맨위로가기

에스토니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이다. 13세기부터 기록이 나타났으며, 북부 에스토니아 방언을 기반으로 18~19세기에 표준 에스토니아어가 발전했다. 1918년 에스토니아 공화국 수립과 함께 공용어가 되었으며, 1944년 소련의 점령 이후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 지위를 가졌으나, 1991년 독립 회복 후 다시 유일한 공용어가 되었다. 에스토니아어는 문법적으로 교착어와 융합어의 특징을 보이며, 14개의 격 변화를 가진다. 어휘는 게르만어, 특히 독일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9개의 단모음과 36개의 이중모음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토니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에스토니아의 언어 - 바시키르어
    바시키르어는 러시아 바슈코르토스탄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튀르크어의 일종으로, 킵차크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키릴 문자를 주로 사용한다.
  • 핀란드의 언어 - 타타르어
    타타르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며 주로 러시아 타타르스탄 공화국에서 사용되고 약 700만 명 이상의 화자가 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자를 사용해 왔고 현재는 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볼가르어와 킵차크어군에 기원을 둔 교착어이다.
  • 핀란드의 언어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핀우그리아어파 - 메앤키엘리
    메앤키엘리는 스웨덴 북부 토르네 강 계곡에서 쓰이는 핀란드어 기반의 소수 언어로, 스웨덴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했으며, 스웨덴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노력이 이어지고 있고, 핀란드어 방언인지 독립적인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핀우그리아어파 - 핀어군
    핀어군은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등을 포함하며 교착어적 특징을 보이는 우랄어족 언어의 한 갈래이다.
에스토니아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에스토니아어
로마자 표기법eesti keel
IPA 표기/ˈeːsti ˈkeːl/
사용 국가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러시아
사용 지역북유럽
사용자 수124만 4850명 (2022년)
언어 계통우랄어족 - 핀우그리아어파 - 발트핀어 - 남부 발트핀어 - 중앙 발트핀어
문자라틴 문자 (에스토니아어 알파벳), 에스토니아어 점자
공용 국가에스토니아, 유럽 연합
언어 관리 기관에스토니아어 연구소 / Eesti Keele Instituut
ISO 639-1et
ISO 639-2est
ISO 639-3est
Glottologesto1258
Linguasphere41-AAA-d
언어 변종
표준어북부 에스토니아어
방언북동부 해안 에스토니아어
기타 방언ヴォロ語 (Võro)
추가 정보
표준 에스토니아어ekk
표준 에스토니아어 (설명)(북부/표준) 에스토니아어

2. 역사

에스토니아어는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일부 언어학자들은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최소 2천 년 전 두 차례 이상의 이주를 통해 에스토니아에 도착했으며, 이들은 서로 상당히 다른 방언을 사용했다고 본다.[13] 현대 표준 에스토니아어는 18세기와 19세기에 북부 에스토니아 방언을 기반으로 발전했다.

하인리히 슈탈이 1637년 탈린에서 출판한 에스토니아어 문법


1857년, 최초의 에스토니아어 주간 신문인 ''페르누 포스티메스''는 독자들에게 ''"Terre, armas Eesti rahwas!"'' ("안녕하세요, 사랑하는 에스토니아 국민 여러분!")이라는 인사말로 문을 열었다.


1897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에스토니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10세 이상, 남녀 거의 동일하게)의 96.1%가 읽고 쓰는 능력이 있었다.


1897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른 러시아 제국 내 에스토니아어의 지리적 분포


에스토니아어에 대한 최고의 기록은 13세기 ''헨리의 리보니아 연대기''에서 찾을 수 있으며, 여기에는 에스토니아 지명, 단어 및 문장 조각이 포함되어 있다. 중세와 근세에 에스토니아어는 주로 저지독일어에서, 그리고 16세기 종교개혁 이후에는 표준 독일어에서 많은 단어를 차용했다.

19세기 에스토필리아 계몽 시대에 에스토니아어 저술이 활발해졌으며, 크리스티안 야악 페테르손과 같은 작가들이 에스토니아 국민 문학의 기틀을 다졌다.

1918년 에스토니아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에스토니아어는 국가의 공용어가 되었다. 1945년 당시 에스토니아 인구의 97% 이상이 에스토니아어를 사용했다.[13] 1944년 소련군에 의해 에스토니아가 재점령되면서 에스토니아어는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 지위를 유지했지만,[14] 러시아어 사용 압력이 있었다.[13] 1970년대에는 에스토니아인들에 대한 이중언어 사용 압력이 강화되었다.

1991년 독립 회복 후 에스토니아어는 다시 유일한 공용어가 되었고,[15] 2004년 에스토니아가 EU에 가입하면서 EU 공용어 중 하나가 되었다. 20세기 말 소련 이민자들의 귀환으로 에스토니아 원어민 비율은 현재 70%를 넘었다. 에스토니아의 1세대와 2세대 이민자 중 상당수는 현재 에스토니아어를 채택했다(2022년 인구 조사 기준 50% 이상).[13]

18세기 초부터 1918년까지 에스토니아는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약 20년 후 다시 소련에 병합되었다가 1991년에 다시 독립하였지만, 에스토니아어에는 러시아어의 영향이 거의 없다. 오히려 핀란드어독일어가 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33] 핀란드어와 에스토니아어는 같은 우랄어족에 속하며, 어휘와 문법에서 공통점이 많다. 독일어와의 관계는 중국어일본어의 관계와 비슷하며, 장기간에 걸쳐 독일어 또는 그 방언인 저지 독일어의 영향을 받았다. 탈린에는 저지 독일어로 쓰인 역사 문서가 대량으로 보관되어 있다.[34]

에스토니아어가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한 것은 1520년대 이후이지만, 당시에는 독일인 기독교 선교사들이 사용한 것이었기에 실제 사용되던 에스토니아어와는 상당히 달랐다고 한다.[35] 1739년에는 에스토니아어 성경 전역이 출판되었다. 19세기 무렵에는 학교 교육의 보급으로 에스토니아인들 중에서 읽고 쓸 줄 아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기 시작했고, 그 무렵부터 신문이나 소설 등이 출판되기 시작했다.[36] 독립 직후 헌법 제정 회의 의사록은 이미 현대 에스토니아어와 거의 차이가 없다고 한다. 그 후 소련 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른다. 다른 발트 3국과 마찬가지로 에스토니아에는 독일인 이민자가 많았기 때문에, 에스토니아어는 어휘와 통사론 양면에서 독일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다. 언어 형태론적으로는, 우랄어족에 많은 교착어에서 인도유럽어족에 많은 굴절어로의 이행 형태를 보이고 있다.

2. 1. 에스토니아 문학

1524년과 1528년에 작성된 쿨라마 기도문(북부 에스토니아어)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에스토니아어 문장이다.[5] 1525년에 에스토니아어로 출판된 최초의 책은 루터교 사본이었으나, 출판 직후 폐기되었다.

1535년 종교 개혁 시대에 S. Wanradt와 J. Koell이 독일어-에스토니아어로 번역한 루터교 교리문이 현존하는 최초의 에스토니아어 책이다. 1637년에는 사제들을 위한 에스토니아어 문법책이 독일어로 인쇄되었다.[6] 신약전서는 1686년 남부 에스토니아 방언인 베로어로 번역되었고(북부 에스토니아어는 1715년), 안톤 토르 헬레(Anton thor Helle)에 의해 북부 에스토니아어를 기반으로 두 언어가 통합되었다.

19세기 에스토필리아 계몽 시대(1750-1840)에 에스토니아어로 된 저술이 더욱 중요해졌다.

크리스티안 야악 페테르손(Kristjan Jaak Peterson)의 애국적이고 철학적인 시가 출판된 1810년에서 1820년 사이에 토착 에스토니아 문학이 탄생했다. 페테르손은 도르파트 대학교에서 에스토니아 출신임을 처음으로 인정받은 학생이었으며, 에스토니아 국민 문학의 선구자이자 현대 에스토니아 시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그의 생일인 3월 14일은 에스토니아에서 모국어의 날로 기념된다.[7]

1525년부터 1917년까지 에스토니아어로 출판된 책은 14,503권이었고, 1918년부터 1940년까지는 23,868권이 출판되었다.[8]

현대에는 A. H. 탐사아레(A. H. Tammsaare), 얀 크로스(Jaan Kross),[9] 안드루스 키비랕크(Andrus Kivirähk)가 에스토니아에서 가장 유명하고 많이 번역된 작가들이다.

3. 분류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한다. 핀란드어를 비롯해 발트해 주변 및 러시아 북서부에서 사용되는 소수 언어들이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한다. 에스토니아어는 일반적으로 남부 핀우그리아어로 분류되며, 핀우그리아어 중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 핀란드어, 헝가리어, 말타어와 함께 에스토니아어는 유럽 연합의 공식 언어인도유럽어족이 아닌 네 가지 언어 중 하나이다.

언어 형태론 측면에서 에스토니아어는 주로 교착어이다. 어말 음운이 많이 소실되어, 특히 명사와 형용사의 어미 변화에서 그 어휘 형태론이 융합어적으로 변화하였다.[3] 교착어에서 융합어로의 이행 형태는 풍부한 형태론적 체계의 발달과 함께 역사적으로 에스토니아어의 유형론적 특징이다.[4]

어순은 영어보다 훨씬 유연하지만, 기본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이다.

4. 방언

에스토니아어는 크게 북부 방언과 남부 방언으로 나뉜다. 표준어는 북부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18][19] 역사적으로 북부는 탈린을, 남부는 타르투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18][19]

북부 방언 그룹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방언명설명
keskmurreet (중앙 방언)표준어의 기반
läänemurreet (서부 방언)레네마아와 페르누마아에 해당
saarte murreet (섬 방언)사레마아, 히우마아, 무후, 키흐누
idamurreet (동부 방언)페이푸스호 북서쪽 해안



사레마아 방언은 'õ' 모음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남에스토니아어는 타르투 방언, 멀기 방언, 보로 방언, 세토 방언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때때로 남에스토니아어의 변종으로 간주되기도 하고,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20] 특히, 세토어와 보로어는 언어뿐만 아니라 문화와 각각의 기독교 신앙으로 서로 구별된다.[13][21]

5. 문자

에스토니아어는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알파벳을 사용한다. 이 알파벳에는 'ä', 'ö', 'ü', 'õ'와 후에 추가된 'š'와 'ž'가 포함된다.[37][38] 'c', 'q', 'w', 'x', 'y'는 외국어 고유 명사에 한정하여 사용되며, 'f', 'z', 'š', 'ž'는 외래어와 외국 이름에만 나타난다.[37][38]

'ö'와 'ü'는 스웨덴어독일어와 유사하게 발음된다. 표준 독일어와는 달리, 스웨덴어(r 다음에 오는 경우)와 핀란드어와 마찬가지로 'ä'는 영어 'mat'과 같이 [æ]로 발음된다. Ä, Ö, Ü는 문자 모양은 독일어에서 유래했지만, 에스토니아어에서는 명확하게 구분되는 음소이며 고유한 음소이다. 'õ'는 [ɤ], 무원순 [o], 또는 중고모음 후설 무원순 모음을 나타낸다. 이것은 불가리아어의 ъ ([ɤ̞])와 베트남어의 ơ와 거의 동일하며, 러시아어 ы를 표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문자IPA이름참고
Aa[ɑ]aa [ɑːː]
Bb[b]bee [beːː]
Dd[d]dee [deːː]
Ee[e]ee [eːː]
Ff[f] 또는 [fː]eff [efːː]외래어에만 사용됨.
Gg[ɡ]gee [ɡeːː]
Hh[h]haa [hɑːː]
Ii[i]ii [iːː]
Jj[j]jott [jotʲːː]
Kk[k] 또는 [kː]kaa [kɑːː]
Ll[l]ell [elːː]
Mm[m]emm [emːː]
Nn[n]enn [enːː]
Oo[o]oo [oːː]
Pp[p] 또는 [pː]pee [peːː]
Rr[r]err [erːː] 또는 ärr [ærːː]
Ss[s]ess [esːː]
Šš[ʃ] 또는 [ʃː]šaa [ʃɑːː]
Zz[s]zett [setːː]
Žž[ʃ]žee [ʃeːː]
Tt[t] 또는 [tː]tee [teːː]
Uu[u]uu [uːː]
Vv[v]vee [veːː]
Õõ[ɤ]õõ [ɤːː]
Ää[æ]ää [æːː]
Öö[ø]öö [øːː]
Üü[y]üü [yːː]



'C', 'Q', 'W', 'X', 'Y'는 외국어 고유 명사를 쓸 때 사용된다. 이들은 에스토니아어 단어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공식적으로 알파벳에 포함되지 않는다.

6. 음운

에스토니아어는 9개의 단모음과 36개의 이중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28개는 에스토니아어 고유의 것이다.[1] 특징적인 모음으로 무원순 후설 모음 /ɤ/가 있다. 자음무성음유성음, 단음과 장음의 구별이 있으며, 구개음화된 자음도 존재한다. 모음의 장단에는 단모음, 장모음, 초장모음의 세 단계 변화가 있다.[39]

에스토니아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사람의 예시


표준어는 탈린을 중심으로 형성된 북부 방언 그룹의 keskmurreet (중앙 방언)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모음조화가 없다. 그러나 오래된 텍스트에서는 여전히 모음조화가 나타난다.[23]

6. 1. 모음

에스토니아어에는 9개의 단모음과 36개의 이중모음이 있으며, 그중 28개는 에스토니아어 고유의 이중모음이다.[1] 9개의 모음 모두 이중모음의 첫 번째 성분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ɑ e i o u/만이 두 번째 성분으로 나타난다. 에스토니아어의 특징적인 모음은 둥근 입술을 사용하지 않는 뒤 모음 /ɤ/이며, 이것은 중간 높이 뒤, 높이 뒤, 또는 중간 높이 중앙 모음일 수 있다.

에스토니아어 모음


에스토니아어 단모음[22]
rowspan="2" |전설후설
비원순원순비원순원순
고모음iüõu
중모음eöo
저모음äa



다음 모음은 일본어에 없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u는 영어의 b''oo''k의 ''oo'' 발음이다. 입술을 둥글게하여 발음한다.
  • ä는 영어의 c''a''t의 ''a'' 발음이다.
  • ö는 독일어의 ö이다. /e/의 형태로 혀를 위치시키고 입술을 둥글게 한다.
  • õ는 일본어의 우 발음과 비슷하다. (하지만 완전히 같지는 않다.)
  • ü는 독일어의 ü이다. /i/의 형태로 혀를 위치시키고 입술을 둥글게 한다.

6. 2. 자음

에스토니아어의 자음은 순음, 치경음, 후치경음, 연구개음, 성문음으로 분류된다.[22]

에스토니아어 자음 음소
rowspan=2 colspan=2|순음치음치경후음경구개음성문음
무기음구개화
비음
파열음
마찰음
유사음
전동음



파열음마찰음은 단음과 장음의 구별이 있으며, 일부 자음에서만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존재한다.


  • 어두의 'b, d, g'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나며, 일부 오래된 외래어는 'b, d, g' 대신 'p, t, k'로 표기되기도 한다. (예: ''pank'' '은행')
  • 어중이나 어말에서 'b, d, g'는 짧은 파열음 /p, t, k/(부분적으로 유성음으로 발음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p, t, k'는 반장음 파열음 /pː, tː, kː/를, 'pp, tt, kk'는 초장음 파열음 /pːː, tːː, kːː/를 나타낸다. (예: ''kabi'' /kɑpi/ '발굽' — ''kapi'' /kɑpːi/ '옷장' — ''kappi'' /kɑpːːi/ '옷장')
  • b, d, g와 p, t, k는 각각 같은 p, t, k의 음을 나타낸다. 예) paar-baar 「쌍, 짝」-「바(술집)」[40]
  • 'b, p, d, t, g, k, s, h, f, š, z, ž' 앞뒤에서 [p], [t], [k]는 형태론이나 어원에 따른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p, t, k'로 표기된다.
  • 구개화 자음의 표기는 일관적이지 않으며, 항상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 ŋ은 /k/ 앞에서 /n/의 동위음이다.
  • 어두의 h는 읽지 않는 화자도 많다.
  • š와 ž는 모두 (무성 후치경 마찰음)를 나타내며, š는 “길게”, ž는 “짧게” 발음한다(p와 b의 차이와 같다).[41]
  • j는 독일어 등과 마찬가지로 //를 나타낸다(야행의 음).[42]

7. 문법

에스토니아어는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융합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언어이다. 핀란드어처럼 어말 음운이 소실되는 현상이 잦아 명사와 형용사의 어미 변화에서 융합어적 특징이 두드러진다.[3] 이러한 어말 음운 소실과 형태론적 체계의 발달은 에스토니아어의 유형론적 특징을 이룬다.[4]

기본 어순은 SVO(주어-동사-목적어)이지만, 영어보다 어순이 자유롭다.[24]

에스토니아어 명사대명사는 문법적 성이 없지만, 명사와 형용사는 14개의 격 변화를 한다. 형용사는 명사의 격과 수에 일치하며, 종착격, 설격, 결여격, 동반격은 수에만 일치하고 형용사는 소유격 형태를 취한다. 예를 들어 ''kollane maja''(''노란 집'')의 향격은 ''kollasesse majja''(''노란 집 안으로'')이지만, 종착격은 ''kollase majani''(''노란 집까지'')이다.[3]

동사는 별도의 미래 시제가 없어 현재 시제가 미래를 나타내기도 하며,[25] 불특정 주어를 나타내는 "비인칭" 형태가 있다.

7. 1. 명사

명사에는 이 없지만, 단수와 복수의 를 가지며, 14가지의 격 변화를 한다. 목적격이 없고, 직접 목적어는 소유격 또는 탈격으로 표현한다. 직접 목적어는 부정문에서는 항상 탈격이 된다. 긍정문에서의 이러한 구분은 동사의 상에서 완료상과 미완료상의 대립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며, 일반적으로 가산적인 개체에는 소유격을, 비가산적인 비개체에는 탈격을 사용한다.

에스토니아어 명사는 다양한 격 변화를 한다. 소유격은 반드시 끝이 모음이며, 분포격은 끝이 모음이거나 자음 t, d이다.[43]

단수 소유격 형에 -d를 붙여 복수 주격 형을 나타낸다.[44]

격 변화의 내역은 주격, 소유격, 분포격, 여격, 내격, 탈격, 향격, 접격(처소격), 탈취격(이탈격), 변격, 상격, Terminative case|도착격영어, 결격, 공격의 14가지이다.[45]

이 중에서 장소를 나타내는 격은 여섯 가지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조한다.

장소격의 변화
~로-sse(여격)-le(향격)
~에서-s(내격)-l(접격)
~에서부터-st(탈격)-lt(탈취격)



단, “안”, “위”는 어디까지나 기준 정도이다. 또한, 이상의 어미는 모두 단수 소유격형에 붙인다.[46]

7. 2. 인칭대명사

에스토니아어 문법 문서에 따르면, 에스토니아어의 인칭대명사는 다음과 같다.[47]

인칭대명사
단수복수
1인칭mina(ma)meie(me)
2인칭sina(sa)teie(te)
3인칭tema(ta)nemad(nad)



괄호 안은 강세가 없는 단형, 괄호 밖은 장형이다. 3인칭에는 남녀 구별이 없다.

7. 3. 동사

에스토니아어에서 동사는 주어의 인칭에 따라 변화하지 않으며, 현재형은 미래의 일도 나타낸다. 부정형을 만들 때는 동사 앞에 부정의 조사 "ei"를 놓는다. 동사 부정사는 -ma 부정사와 -ta 또는 -da 부정사의 두 가지가 있다.

8. 어휘

에스토니아어는 게르만어족에서 많은 어휘를 빌려왔다. 특히 저지 독일어고지 독일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스웨덴어러시아어에서도 차용어가 있지만, 그 비중은 상대적으로 적다.[27] 20세기와 21세기에는 영어에서 유래한 새로운 차용어가 등장하고 있다.[27]

에스토니아어는 게르만어족, 특히 독일 지배 시대 저지역 사투리인 중세 저지 독일어고지 독일어(표준 독일어 포함)로부터 어휘의 약 1/3을 차용했다.[26] 저지역 사투리와 고지 독일어 차용어의 비율은 약 22~25%로 추산되며, 저지역 사투리 차용어는 약 15%를 차지한다.[26] 차용어에서 'b'와 'p'는 종종 서로 바뀌는데, 예를 들어 'baggage'는 'pagas'가 되고, 'lob'(던지다)는 'loopima'가 된다. 또한 다른 자음 앞에 오는 's'는 종종 생략되는데, 예를 들어 'skool'은 'kool'이 되고, 'stool'은 'tool'이 된다.

요하네스 아아빅과 같은 언어 개혁가들은 무에서 새로운 단어를 창조하는 방식을 시도하기도 했다.[28] 요하네스 아아빅은 파생어, 합성어, 핀란드어 등에서 차용한 외래어와 함께 무에서 단어를 창조(''ex nihilo'')하는 방식을 사용했다.[28] 1921년 아아빅의 사전에는 약 4,000개의 단어가 수록되어 있고, 이 중 약 40개가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된다.[28][29] 예를 들어, *ese*('물체'), *kolp*('두개골'), *liibuma*('달라붙다'), *naasma*('돌아오다'), *nõme*('멍청한, 둔한') 등이 있다.[28][29]

무에서 창조된 단어로 여겨지는 많은 신조어들은 러시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핀란드어, 영어, 스웨덴어 등 외국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30]

9. 예시

터누 트루베츠키의 노래 "NURMEKUNNA HÜMN" 가사는 다음과 같다.[31]

:Karjatades kundikarju,

:Süües musti hooramarju,

:Leidsin eilse Nurmekunna ma.

:Veel ei olnud otsas mõdu,

:Veel ei olnud sündind sõdu,

:Lembitut, kes liitis Maavalla.

:Hingel hakkab veidi valus.

:Kuskil laanes, kuskil talus,

:Kostab vaikselt vilepilli hääl.

:Kuskil nurmel lõhnab mesi.

:Tuul toob kokku inimesi,

:Hõbedased sõled rinna pääl.

:Kostab, justkui löödaks lokku –

:Juuaks karudega kokku.

:Nurmel mängib vaikselt vilepill.

:Karukujud hõbemärgis,

:Tuleb tüdruk valges särgis,

:Juustesse on põimit rukkilill.

:Aga ükskord joodi mõdu,

:Mäletati muistseid sõdu,

:Lembitut, kes liitis Maavalla.

:Hiiekünkal kasvas tamme.

:Kuulsin tuleviku samme –

:Leidsin homse Nurmekunna ma.

:Kõik, mis on ilus, on eilsesse läev.

:Jällegi eilseks saab tänane päev.

:Kõik, mis siin selles ilus on jääv,

:Tagasi homsest toob tänane päev.

에스토니아어 숫자 표현은 다음과 같다.

에스토니아어 숫자
숫자에스토니아어
0null
1üks
2kaks
3kolm
4neli
5viis
6kuus
7seitse
8kaheksa
9üheksa
10kümme
11üksteist
12kaksteist
13kolmteist
14neliteist
15viisteist
16kuusteist
17seitseteist
18kaheksateist
19üheksateist
20kakskümmend
30kolmkümmend
40nelikümmend
50viiskümmend
60kuuskümmend
70seitsekümmend
80kaheksakümmend
90üheksakümmend
100sada
1,000tuhat



숫자 조합은 1부터 9까지의 단어에 특정 접미사를 추가하는 방식이다. 11부터 19까지는 '-teist'를, 20, 30과 같은 'n0' 형태의 숫자는 '-kümmend'를 추가한다. 100, 1000 등의 숫자는 별도의 단어를 사용하며, 200, 300과 같은 'n00' 형태는 'n+sada', 'n000' 형태는 'n+tuhat'으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386은 'kolmsada+kaheksakümmend+kuus'가 된다.

에스토니아어 숫자 조합 예시
숫자에스토니아어
999üheksasadaüheksakümmendüheksa
134(üks)sadakolmkümmendneli
621kuussadakaskümmendüks
837kaheksasadakolmkümmendseitse
2,837kakstuhatkaheksasadakolmkümmendseitse
8,279kaheksatuhatkakssadaseitsekümmendüheksa



세계인권선언 제1조 에스토니아어 및 한국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

:Kõik inimesed sünnivad vabadena ja võrdsetena oma väärikuselt ja õigustelt. Neile on antud mõistus ja südametunnistus ja nende suhtumist üksteisesse peab kandma vendluse vaim.et

:''모든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서 평등하다. 사람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므로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대해야 한다.''[32]

참조

[1] 웹사이트 Estonian in a World Context http://www.estonica.[...] 2018-09-26
[2] 웹사이트 The Estonian Language http://www.estonica.[...] 2022-10-15
[3] 논문 Linguistic Strategies and Markedness in Estonian Morphology 2009
[4] 서적 The Estonian Language in the Digital Age Springer 2012
[5] 서적 The Development of Written Estonian https://books.google[...] RoutledgeCurzon 1997
[6] 서적 Dictionary of Languages: The Definitive Reference to More Than 400 Languag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4
[7]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the Baltic Stat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06
[8] 웹사이트 Translation into Estonian – Ivextrans https://www.ivextran[...] 2022-11-16
[9] 서적 Jaan Kross https://books.google[...]
[10] 서적 Jaan Kaplinski https://books.google[...]
[11] 뉴스 Novel news: world's biggest bookworms revealed in study https://www.theguard[...] 2024-09-13
[12] 서적 Estonia: Identity and Independence Rodopi 2004
[13] 논문 Language Policy in Estonia https://dialnet.unir[...] 2004
[14] 서적 Encyclopedia of Bilingualism and Bilingual Education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1998
[15] 웹사이트 Estonie http://www.tlfq.ulav[...] 2014-08-23
[16] 논문 Best practices for spatial language data harmonization, sharing and map creation—A case study of Uralic 2022-06-08
[17] 데이터셋 Geographical database of the Uralic languages Zenodo 2021
[18] 웹사이트 Map of Estonian Dialects http://www.murre.ut.[...] 2014-08-23
[19] 웹사이트 Tartu University's Estonian Dialect Corpus website https://web.archive.[...]
[20] 웹사이트 Culture Tourism in South Estonia and Võru County: Situation Analysis https://web.archive.[...] 2013-07-02
[21] 웹사이트 Eesti murded / Estonian Dialects http://portaal.eki.e[...] 2014-08-23
[22] Harvcoltxt 2009
[23] 서적 Eesti keele ajalugu Tartu Ülikooli Kirjastus 2020
[24] 논문 The Word Order of Estonian: Implications to Universal Language 2006-03
[25] 논문 Language Shapes People's Time Perspective and Support for Future-Oriented Policies 2017
[26] 웹사이트 Eesti kirjakeele sõnavara ajalugu https://web.archive.[...]
[27] 웹사이트 Eesti keele käsiraamat 2007 http://www.eki.ee/bo[...] 2020-09-30
[28] 서적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 Palgrave Macmillan 2003
[29] 웹사이트 Eesti entsüklopeedia http://entsyklopeedi[...]
[30] 서적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2003
[31]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Estonian (Eesti) https://www.ohchr.or[...] Estonian Human Rights Institute, Estonia 2021-09-13
[32]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33] 참고문헌 松村、宮野(2012)
[34] 참고문헌 松村、宮野(2012)
[35] 참고문헌 松村、宮野(2012)
[36] 서적 松村、宮野(2012)
[37] 서적 松村(1999)
[38] 서적 松村(1999)
[39] 서적 松村(1999)
[40] 서적 松村、宮野(2012)
[41] 서적 松村(1999)
[42] 서적 松村(1999)
[43] 서적 松村、宮野(2012)
[44] 서적 松村、宮野(2012)
[45] 서적 松村(1999)
[46] 서적 松村、宮野(2012)
[47] 서적 松村、宮野(2012)
[48] 서적 松村、宮野(2012)
[49] 서적 松村(1999)
[50] 서적 松村(1999)
[51] 서적 松村、宮野(2012)
[52] 서적 松村、宮野(2012)
[53] 서적 松村、宮野(2012)
[54] 서적 松村(1999)
[55] 서적 松村(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