ك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ك는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의 목록을 나타낸다. 이 문서는 유니코드, JIS X 0213, 문자 참조를 포함한 다양한 문자 부호 위치를 표로 제공하며, 각 문자에 대한 설명과 함께 옛 페르시아 문자, 카프, 페르시아 문자의 카프, 신드어의 무성음 k, 파슈토어의 g, 자위 문자의 g, 튀르크어족의 ng, 알제리 및 모로코 방언의 g, 레즈기어의 x, 알위어의 g 등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ك | |
---|---|
아랍 문자 정보 | |
문자 | ك |
유니코드 이름 | 아랍 문자 카프 |
음가 | /k/ |
2. 문자 부호 위치
ك|카프ar는 여러 언어와 문자에서 사용되는 문자로, 각각의 부호 위치는 다음과 같다.
문자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설명 |
---|---|---|---|---|
𐎻 | U+103BB | - | - | 옛 페르시아 문자[1] |
𐎼 | U+103BC | - | - | 옛 페르시아 문자[1] |
ك | U+0643 | - | - | 카프 |
ک | U+06A9 | - | - | 페르시아 문자의 카프 |
ڪ | U+06AA | - | - | 신드어의 무성음 k |
ګ | U+06AB | - | - | 파슈토어의 g |
ڬ | U+06AC | - | - | 자위 문자의 g |
ڭ | U+06AD | - | - | 튀르크어족의 ng |
ڮ | U+06AE | - | - | |
ݢ | U+0762 | - | - | 자위 문자의 g |
ݣ | U+0763 | - | - | 알제리 및 모로코 방언의 g |
ݤ | U+0764 | - | - | 레즈기어의 x |
𐡿 | U+1087F | - | - | 옛 페르시아 문자[1] |
ࢴ | U+08B4 | - | - | 알위어의 g |
2. 1. 유니코드
문자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설명 |
---|---|---|---|---|
𐎻 | U+103BB | - | 옛 페르시아 문자[1] | |
𐎼 | U+103BC | - | 옛 페르시아 문자[1] | |
ك | U+0643 | - | 카프 | |
ک | U+06A9 | - | 페르시아 문자의 카프 | |
ڪ | U+06AA | - | 신드어의 무성음 k | |
ګ | U+06AB | - | 파슈토어의 g | |
ڬ | U+06AC | - | 자위 문자의 g | |
ڭ | U+06AD | - | 튀르크어족의 ng | |
ڮ | U+06AE | - | ||
ݢ | U+0762 | - | 자위 문자의 g | |
ݣ | U+0763 | - | 알제리 및 모로코 방언의 g | |
ݤ | U+0764 | - | 레즈기어의 x | |
𐡿 | U+1087F | - | 옛 페르시아 문자[1] | |
ࢴ | U+08B4 | - | 알위어의 g |
2. 2. JIS X 0213
문자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설명 |
---|---|---|---|
ك | U+0643 | 카프 | |
ک | U+06A9 | 페르시아 문자의 카프 | |
ڪ | U+06AA | 신드어의 무성음 k | |
ګ | U+06AB | 파슈토어의 g | |
ڬ | U+06AC | 자위 문자의 g | |
ڭ | U+06AD | 튀르크어족의 ng | |
ڮ | U+06AE | ||
ݒ | U+0762 | 자위 문자의 g | |
ݓ | U+0763 | 알제리 및 모로코 방언의 g | |
ݔ | U+0764 | 레즈기어의 x | |
ࢴ | U+08B4 | 알위어의 g |
2. 3. 문자 참조
문자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설명 |
---|---|---|---|---|
ك|카프ar | 1603 | - | - | 카프 |
ک|카프fa | 1705 | - | - | 페르시아 문자 카프 |
ڪ|ksd | 1706 | - | - | 신드어의 무성음 k |
ګ|gps | 1707 | - | - | 파슈토어의 g |
ݢ|gjawi | 1708 | - | - | 자위 문자의 g |
ڭ|ŋtr | 1709 | - | - | 튀르크어족의 ng |
ࢪ|gar | 1890 | - | - | 자위 문자의 g |
ࢫ|gar | 1891 | - | - | 알제리 및 모로코 방언의 g |
ࢬ|xlez | 1892 | - | - | 레즈기어의 x |
ࣴ|gar | 2228 | - | - | 알위어의 g |
3. 각 문자에 대한 설명
문자 유니코드 JIS X 0213 문자 참조 설명 𐎻|옛 페르시아 문자peo[1] 1595 63B ‐ 옛 페르시아 문자 𐎼|옛 페르시아 문자peo[1] 1596 63C ‐ 옛 페르시아 문자 ک 1603 643 ‐ 카프 ڪ 1705 6A9 ‐ 페르시아 문자의 카프 ګ 1706 6AA ‐ 신드어의 무성음 k ݣ 1707 6AB ‐ 파슈토어의 g ڬ 1708 6AC ‐ 자위 문자의 g ﮎ 1709 6AD ‐ 튀르크어족의 ng ﮒ 1710 6AE ‐ ݢ 1890 762 ‐ 자위 문자의 g ﮛ 1891 763 ‐ 알제리 및 모로코 방언의 g ﮜ 1892 764 ‐ 레즈기어의 x |옛 페르시아 문자peo[1] 1919 77F ‐ 옛 페르시아 문자 ࢴ 2228 8B4 ‐ 알위어의 g
3. 1. 옛 페르시아 문자
유니코드와 JIS X 0213에서 옛 페르시아 문자를 나타내는 표는 다음과 같다.
문자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설명 |
---|---|---|---|---|
𐎻|옛 페르시아 문자peo[1] | 1595 | 63B | ‐ | 옛 페르시아 문자[1] |
𐎼|옛 페르시아 문자peo[1] | 1596 | 63C | ‐ | 옛 페르시아 문자[1] |
|옛 페르시아 문자peo[1] | 1919 | 77F | ‐ | 옛 페르시아 문자[1] |
3. 2. 카프 (ک)
아랍 문자의 기본 자모 중 하나인 카프(ک)에 대한 설명이다.문자 | 유니코드 | 설명 |
---|---|---|
ک | 1603 | 카프 |
ڪ | 1705 | 페르시아 문자의 카프 |
ګ | 1706 | 신드어의 무성음 k |
ݣ | 1707 | 파슈토어의 g |
ݤ | 1708 | 자위 문자의 g |
ﮎ | 1709 | 튀르크어족의 ng |
ﮒ | 1710 | |
ﮚ | 1890 | 자위 문자의 g |
ﮛ | 1891 | 알제리 및 모로코 방언의 g |
ﮜ | 1892 | 레즈기어의 x |
ࢴ | 2228 | 알위어의 g |
3. 3. 페르시아 문자 카프 (ک)
페르시아 문자에서 사용되는 카프(ک)는 유니코드 U+06A9에 해당한다.[1] 이 문자는 페르시아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k' 소리를 나타낸다.문자 | 유니코드 |
---|---|
ک | U+06A9 |
3. 4. 신드어의 무성음 k
3. 5. 파슈토어의 g
3. 6. 자위 문자의 g
자위 문자에서 g를 나타내는 문자는 다음과 같다.[1]
3. 7. 튀르크어족의 ng
3. 8. 알제리 및 모로코 방언의 g
3. 9. 레즈기어의 x
3. 10. 알위어의 g
문자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설명 |
---|---|---|---|---|
{{lang|ar|২২২৮|} | } || 8B4 || || || 알위어의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