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슈토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슈토어는 동이란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을 중심으로 인도, 타지키스탄, 이란 등지에서 사용된다. 파슈토어는 지역에 따라 발음이 다르며, 북부 파슈토어, 남부 파슈토어, 중앙 파슈토어, 와네치어 등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파슈토어는 아랍 문자를 변형한 파슈토 문자를 사용하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른다. 파슈토어는 동이란어군 언어와 어휘적 관련성이 높으며, 페르시아어, 아랍어, 영어 등에서 차용된 단어도 사용한다. 파슈토어는 구전 문학 전통이 풍부하며, 17세기부터 서면 문학이 발전하여 시, 속담 등이 전해진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다리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파키스탄에서는 지방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칸다하르주 - 파슈툰인
파슈툰인은 아프가니스탄 최대 민족이자 파키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민족으로, 파슈토어를 사용하며 강력한 부족 시스템과 파슈툰왈리 관습법에 기반한 문화를 가지고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정치,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 파슈토어 - ځ
ځ는 파슈토어와 우르두어 등에서 사용되는 문자이다. - 파슈토어 - 이 곳은 용감한 자들의 고향이다
"이 곳은 용감한 자들의 고향이다"는 아프가니스탄의 독립과 저항 정신, 그리고 아프간 민족의 용맹함을 찬양하는 파슈토어 노래로,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저항 운동의 상징으로 널리 불리며 국민적 자긍심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 동이란어군 - 슈그니어
슈그니어는 아프가니스탄과 타지키스탄 접경 지역에서 사용되는 파미르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다른 언어와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아랍, 라틴, 키릴 문자 등을 거쳐 현재는 페르시아 문자 기반으로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 동이란어군 - 사리콜리어
사리콜리어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타지키스탄의 타지크어와는 관련이 적으며, 국제 음성 기호, 라틴 문자, 위구르 문자 등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파슈토어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파슈토어 |
고유 이름 | paʂto |
발음 | [pəʂˈto], [pʊxˈto], [pəçˈto], [pəʃˈto] |
사용 국가 |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
민족 | 파슈툰인 |
사용자 수 | 4419만 5670명 (2017–2021년) (모어 화자) |
제2 언어 화자 | 492만 8500명 (2022년)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 인도이란어파 > 이란어군 > 동이란어군 |
방언 | 파슈토어 방언 |
표준어 | 중앙 파슈토어 북부 파슈토어 남부 파슈토어 |
문자 | 파슈토 문자 |
공용어 국가 |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
소수 언어 사용 지역 | 파키스탄 발루치스탄 |
언어 관리 기관 | 아프가니스탄 과학 아카데미 파슈토 아카데미 파슈토 아카데미 퀘타 |
ISO 639-1 | ps |
ISO 639-2 | pus |
ISO 639-3 | pus |
Glottolog | pash1269 |
Glottolog 이름 | 파슈토어 |
언어 코드 | pst (중앙 파슈토어) pbu (북부 파슈토어) pbt (남부 파슈토어) wne (와네치어) |
이미지 | |
![]() |
2. 이름
파슈토어는 표준이 없고 지역마다 발음이 다르다. 북파슈토어에서는 '''푸흐토'''(pʊxˈt̪o|푸흐토ps), 남파슈토어에서는 '''퍼스토'''(pəʂˈt̪o|퍼스토ps), 중앙파슈토어에서는 '''퍼히토'''(pəçˈt̪o|퍼히토ps), 와네치어에서는 '''퍼슈토'''(pəʃˈt̪o|퍼슈토ps)로 읽는다.[15][16][17][18]
파슈토어는 동이란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아베스타어 또는 그와 유사한 방언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으나, 박트리아어에 더 가깝다는 학설도 있다.[61][62][63] 그러나 어느 견해도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 학자들이 동의하는 점은 파슈토어가 박트리아어, 코레즈미아어, 소그드어와 같은 동부 중이란어와 특징을 공유하는 동이란어파 언어라는 사실이다.[64][65]
파슈토어는 주로 아프가니스탄 동부와 남부, 파키스탄 서부에 분포한다. 아프가니스탄 인구의 45~60%[15][16][17][18]가 파슈토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파키스탄에서는 인구의 약 15%[19][20]가 파슈토어를 사용한다.
3. 역사
다른 동이란어파 언어 및 고대 아베스타어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당신을 보고 있습니다" 파슈토어 زۀ تا وينم|Zə tā winə́mps 아베스타어[66][67] Azə̄m θβā vaēnamī|아잠 쯔바 바에나미ae 오세티아어 ӕз дӕ уынын|아즈 다 우너os 오르무리어[68] از بو تو ځُنِم|아즈 부 투 주님oru 이드가어[69] Zo vtō vīnəm əstə (tə)|조 브토 비남 아스타 (타)ydg 문지어[70] Zə ftō wīnəm|자 프토 비남mnj 슈그니어[71] Uz tu winum|우즈 투 위눔sgh 와키어[71] Wuz tau winəm|우즈 타우 위남wbl
압둘 하이 하비비는 가장 오래된 현대 파슈토어 작품이 8세기 초기 구리드 시대의 아미르 크로르 수리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파타 카자나에서 발견된 글을 사용했다고 믿었다. 파타 카자나 (پټه خزانه|파타 카자나ps)는 파슈토어 사본[76]으로, 파슈툰 황제 후세인 호타크의 후원하에 모하마드 호타크가 칸다하르에서 쓴 것으로 주장되는 파슈토어 시인들의 시집이다. 그러나 데이비드 나일 맥켄지와 루치아 세레나 로이와 같은 학자들은 그 진위 여부에 대해 논쟁하고 있다.[77][78]
16세기부터 파슈토어 시는 파슈툰족 사이에서 매우 인기를 얻었다. 파슈토어로 글을 쓴 사람들 중에는 바야지드 피르 로샨(파슈토어 알파벳의 주요 발명가), 쿠샬 칸 카타크, 라흐만 바바, 나조 토키, 그리고 현대 아프가니스탄 국가 또는 두라니 제국의 창시자인 아흐마드 샤 두라니가 있다. 파슈툰 문학 전통은 무굴 제국 통치 이후 약화된 파슈툰 세력의 배경에서 성장했다. 쿠샬 칸 카타크는 파슈토어 시를 사용하여 파슈툰족의 단결을 촉구했고, 피르 바야지드는 파슈툰 대중에게 그의 메시지를 전파하는 편리한 수단으로 사용했다.[80]
아프가니스탄에서는 1930년대부터 파슈토어 장려 운동이 시작되었고, 1936년 모하마드 자히르 샤가 파슈토어를 다리 페르시아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하였다.[32][39]
4. 분포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다리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18세기부터 아프가니스탄의 지도자들은 대부분 파슈툰족이었다. 1930년대부터 파슈토어 진흥 운동이 시작되어 1964년 헌법에서 파슈토어의 공용어 지위가 재확인되었다.
파키스탄에서는 주로 북서부의 카이베르파크툰크와주와 발로치스탄주 북부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파키스탄에서 파슈토어는 연방급 공식 지위는 없으며, 일부 지역에서만 지방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인도, 타지키스탄,[26] 이란 북동부[27], 아랍에미리트[31], 사우디아라비아 등에도 파슈토어 화자 공동체가 존재한다.
방언 차이가 심하여 표준어가 없어 지역 간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파슈툰족은 페르시아어(및 다리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흔하다.
4. 1. 아프가니스탄
다리 페르시아어와 함께 아프가니스탄의 두 가지 공용어 중 하나이다.[32] 18세기 초부터 아프가니스탄의 군주들은(1929년의 하비불라 칼라카니를 제외하고) 파슈툰족이었다.[37] 왕실의 문어였던 페르시아어는[33] 정부기관에서 더 널리 사용되었지만, 파슈툰 부족들은 파슈토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 아마눌라 칸 왕은 1919년 제3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영국 제국에 승리한 후 아프가니스탄의 독립을 이끈 민족 정체성의 표식이자 "공식적 민족주의"의 상징으로서 자신의 통치 기간(1926~1929) 동안 파슈토어를 적극적으로 장려하기 시작했다.[37] 1930년대에는 1931년 파슈토 학회(파슈토 안주만)의 설립[34]과 1932년 카불 대학교의 개교, 그리고 1937년 파슈토 아카데미(파슈토 톨라나)의 설립과 함께 파슈토어를 정부, 행정 및 예술의 언어로 격상시키려는 운동이 시작되었다.[40] 1938년부터 1946년까지 교육부 장관을 역임한 무함마드 나임 칸은 파슈토어를 아프가니스탄의 국어로 격상시키는 공식 정책을 시작하여 파슈토어 교과서의 제작 및 출판으로 이어졌다.[35] 파슈토 톨라나는 1978년 사우르 혁명 이후 소련 모델에 따라 아프가니스탄 과학 아카데미에 통합되었다.[36]
파슈토어의 사용을 공식적으로 지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아프가니스탄 엘리트들은 페르시아어를 "세련된 언어이자 교양 있는 교육의 상징"으로 여겼다.[37] 따라서 모하마드 자히르 샤 왕(재위 1933~1973)은 그의 아버지 모하마드 나디르 샤(나디르 칸)가 1933년 관리들이 페르시아어와 파슈토어를 모두 배우고 사용하도록 명령한 후 이를 따랐다.[38] 1936년 자히르 샤의 왕실 칙령은 파슈토어에게 공식 언어의 지위를 공식적으로 부여했으며,[39] 파슈툰족 왕족과 관료들이 대부분 페르시아어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교육의 모든 측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완전한 권리를 부여했다.[40] 따라서 파슈토어는 파슈툰 민족주의의 상징인 국어가 되었다.
헌법 회의는 아프간 페르시아어가 공식적으로 다리어로 개명되었을 때 1964년 파슈토어의 공식 언어 지위를 재확인했다.[41][42] 아프가니스탄 국가의 가사는 파슈토어로 되어 있다.
4. 2. 파키스탄
파키스탄에서 파슈토어는 인구의 약 15%가 사용하며,[46] 주로 북서부의 카이베르파크툰크와주와 발로치스탄주 북부에서 사용된다.[47] 펀자브 지역의 미안왈리와 아톡 지역, 길기트-발티스탄과 이슬라마바드, 그리고 파키스탄 각 지역에 사는 파슈툰인들이 사용한다. 파슈토어 사용 화자는 신드주의 카라치와 하이데라바드에도 존재한다.
파키스탄의 공용어는 우르두어와 영어이다. 파슈토어는 연방급의 공식 지위는 가지고 있지 않다.[47] 단 지방급에서, 카이베르파크툰크와주와 북 발로치스탄에서 지방언어로 인정받는다.[47] 파키스탄의 공립학교에서 주된 교습 언어는 우르두어이다.[48][49] 2014년 이후로, 카이베르파크툰크와주 정부는 교습언어로서 영어의 위치를 더욱 부각시켰는데, 이는 파슈토어가 완전히 이 방정식에서 제외되어있다는 이유로 파슈툰인들에게 많은 반대감정을 불러 일으켰다.
영국령 인도 시대, 영국 정부가 파키스탄을 건설하기 전인 1920년대에는 당시 북서부 국경 주(NWFP)에서 파슈토어가 발전했다. 1921년에 압둘 가파르 칸은 파슈토어를 파슈툰 문화의 확장으로서 장려하기 위해 “안주만-이-이스라 알-아파기나”(아프가니스탄 개혁 협회)를 설립했다. 1927년에는 약 8만 명이 이 협회의 연례 회의에 참석했다.[43] 1955년에는 압둘 카디르를 포함한 파슈툰 지식인들이 아프가니스탄에 설립된 파슈토 톨라나(Pashto Tolana)를 모델로 하여 페샤와르 파슈토 아카데미를 설립했다.[44] 1974년에는 파슈토어의 발전을 위해 발루치스탄 대학교에 파슈토 학과가 설립되었다.[45]
파슈토어의 중요성 부족과 방치는 파슈툰족 사이에서 점점 더 큰 불만을 야기했다.[50][51][52][53] 파키스탄 학교에서는 파슈토어가 제대로 가르쳐지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54] 또한 정부 학교에서는 해당 지역의 파슈토 방언에 맞는 자료가 제공되지 않고 있는데, 파슈토어는 방언이 풍부한 언어이기 때문이다.[55] 더 나아가 연구자들은 파슈툰 학생들이 우르두어로 된 교육 자료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는 점을 관찰했다.[56]
타리크 라흐만(Tariq Rahman) 교수는[57] 파키스탄 정부가 아프가니스탄의 영토에 대한 분리주의적 주장에 직면하여 파슈토 운동을 억제했고, 파슈툰 엘리트가 지배 엘리트에 편입된 후에야 비로소 주변 영역에서의 사용을 허용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일부 파슈툰 활동가들 사이에는 여전히 권력 영역에서 파슈토어를 사용하려는 적극적인 욕구가 있지만, 이는 민족주의보다는 파슈툰 정체성의 상징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로버트 니콜스는[58] 특히 NWFP의 교육 분야에서의 국가 언어 정책은 3단계 언어 계층 구조를 만들었으며, 파슈토어는 거의 모든 정치적 또는 경제적 권력 영역에서 우르두어와 영어보다 훨씬 뒤처져 있었다고 평가했다.
파슈툰 학생들을 위한 학교 교육 언어로 파슈토어를 사용하면 우르두어를 사용하는 것보다 학생들의 이해도가 높아지지만, 파키스탄 정부는 여전히 국영 학교에서 초등 과정에만 파슈토어를 도입했다.[59] 타이무르 칸은 "우르두어가 우세하여 파슈토어가 공식적이고 형식적인 영역에서 공간을 차지하지 못하도록 압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촉 지대에서 파슈토어는 존재하지만 종속적이고 비공식적인 위치에 있습니다."라고 언급했다.[60]
4. 3. 기타 지역
인도, 타지키스탄,[26] 이란 북동부(주로 남호라산 주의 카엔 동쪽, 아프가니스탄 국경 근처)[27]에도 파슈토어 화자 공동체가 있다. 인도에서는 대부분의 파슈툰족(파탄족)이 파슈토어가 아닌 힌디어-우르두어를 사용하지만, 라자스탄의 쉰 칼라이[28]와 콜카타의 파탄족 공동체(흔히 '카불리왈라'("카불 사람들")로 불림)[29][30]처럼 파슈토어를 사용하는 소수 집단도 있다. 아랍에미리트[31]와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전 세계 다른 국가의 파슈툰족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도 파슈토어를 사용한다.
5. 문법
파슈토어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SOV)을 취하는 언어이며, 형용사가 명사 앞에 오는 AN형 언어이다. 명사(형용사)는 성(남성, 여성), 수(단수, 복수), 격(주격, 사격)에 따라 변화한다.[14] 분열 에르가티브성을 가지고 있어, 과거가 아닌 미완료절에서는 자동사와 타동사 문장 모두 동사가 주어와 일치하지만, 과거 시제에서 완료된 동작을 보고할 때는 자동사인 경우 동사는 주어와 일치하고, 타동사인 경우 목적어와 일치한다.
동사는 현재, 과거 단순 시제, 과거 진행 시제, 현재 완료 시제, 과거 완료 시제, 접속법에 대해 활용된다. 명사와 형용사는 남성과 여성의 두 가지 성,[82] 단수와 복수의 두 가지 수, 직접격, 간접격, 여격, 호격의 네 가지 격에 따라 활용된다. 소유격 구문에서 소유자는 소유물 앞에 오며, 형용사는 그것이 수식하는 명사 앞에 온다.
대부분의 다른 인도-이란어족 언어와 달리, 파슈토어는 전치사, 후치사, 주위사의 세 가지 유형의 전치사구를 모두 사용한다. 주격은 주어 및 현재 시제 동사의 목적어에 사용되고, 사격은 접두사(전치사, 후치사)와 과거 시제 동사의 목적어에 사용된다. 로마자어와 같은 관사는 없다. 동사는 (현재, 과거)와 (단순형, 완료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4가지 시제와 과거 진행형, 접속법을 더해 6가지로 변화한다. 현재 단순형과 접속법을 제외한 4가지의 경우, 동사가 목적어와 어형 일치를 한다.
6. 음운론
파슈토어는 다양한 모음과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파슈토 음운론 문서를 참고하라.
파슈토어의 모음은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으로 나뉜다.
파슈토어의 자음은 양순음, 치경음, 후치경음, 권설음, 연구개음, 성문음 등으로 나뉜다.[83][84][116]
6. 1. 모음
파슈토어는 다양한 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으로 나뉜다.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고모음 | i | u | |
중모음 | e | ə | o |
저모음 | a | ɑ |
6. 2. 자음
양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연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파열음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파찰음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마찰음 |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colspan=2 style="border-right: none;" | | colspan=2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
유음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
탄음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left: none;" | |
* 권설음 탄음 또는 측설음은 음절이나 다른 운율 단위의 처음에서는 측면 탄음 []이 되는 경향이 있으며, 다른 위치에서는 일반적인 탄음 [] 또는 유음 []이 된다.[83][84]
colspan="2" rowspan="1" | | 양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설측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비음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
파열음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 | style="border-right: none;" | | |
파찰음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
마찰음 |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
~ | |||||||||
접근음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
전동음/탄음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style="border-right: none;" | |
7. 문자
파슈토어는 아랍 문자를 변형한 파슈토 문자를 사용한다.[104] 바야지드 피르 로샨은 16세기에 파슈토 문자에 13개의 새로운 문자를 도입했다.[104] 파슈토 문자는 45~46개의 문자와[105] 4개의 구분 부호로 구성된다.
ا|āps | ب|bps | پ|pps | ت|tps | ټ|ṭps | ث|(s)ps | ج|ǧps | ځ|g, dzps | چ|čps | څ|c, tsps | ح|(h)ps | خ|xps |
د|dps | ډ|ḍps | ﺫ|(z)ps | ﺭ|rps | ړ|ṛps | ﺯ|zps | ژ|žps | ږ|ǵps | س|sps | ش|šps | ښ|x̌ps | |
ص|(s)ps | ض|(z)ps | ط|(t)ps | ظ|(z)ps | ع|(ā)ps | غ|ğps | ف|fps | ق|qps | ک|kps | ګ|ģps | ل|lps | |
م|mps | ن|nps | ڼ|ṇps | ں|̃ , ńps | و|w, u, ops | ه|h, aps | ۀ|əps | ي|y, ips | ې|eps | ی|ay, yps | ۍ|əips | ئ|əi, yps |
8. 방언
파슈토어 방언은 크게 "부드러운" 남부 계열의 'Paṣ̌tō'(파슈토)와 "거친" 북부 계열의 'Pax̌tō'(파흐토)의 두 가지로 나뉜다.[109] 각 그룹은 다시 여러 하위 방언으로 세분된다. 남부 방언인 타리노는 가장 독특한 파슈토 방언이다.
1. '''남부 방언'''
:* ''압다일리'' 또는 칸다하르 방언 (또는 '''남서부''' 방언)
:* ''카카르'' 방언 (또는 '''남동부''' 방언)
:* ''시라니'' 방언
:* ''만도켈'' 방언
:* ''마르왓-베타니'' 방언
:* '''남부 카를라니 그룹'''
::* ''카타크'' 방언
::* ''와지르월라'' 방언
:::* ''다와르월라'' 방언
:::* ''마시드월라'' 방언
::* ''바니시(바누)'' 방언
2. '''북부 방언'''
:* ''중앙 길지'' 방언 (또는 '''북서부''' 방언)
:* 유수프자이와 모만드 방언 (또는 '''북동부''' 방언)
:* '''북부 카를라니 그룹'''
::* ''워르닥'' 방언
::* ''타니월라'' 방언
::* ''망갈 부족'' 방언
::* ''호스티'' 방언
::* ''자드란'' 방언
::* ''방가시-오라크자이-투리-자지'' 방언
::* ''아프리디'' 방언
::* ''코기야니'' 방언
3. '''타리노 방언'''
문학 파슈토어는 중앙 깃지(Ghilji) 지역에서 사용되는 북서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고 알려져 있다.[110] 그러나, 표준 파슈토어는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다.[110]
9. 어휘
파슈토어 어휘는 대부분 다른 동이란어군 언어와 관련이 있다.[65] 하지만 파슈토어에만 고유한 단어도 상당히 많다.[91][92]
기원전 3세기부터 그리스어와 고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 단어를 차용하기 시작했다.[85] 예를 들어, 파슈토어 단어 مېچن|메천|mečә́nps (수동식 맷돌)은 고대 그리스어 (기계)에서 유래했다.[86] 7세기 이후에는 주로 페르시아어와 힌디어-우르두어에서 단어를 차용했으며, 아랍어 단어는 페르시아어를 통해 차용했지만,[87] 때로는 직접 차용하기도 했다.[88][89] 현대에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에서도 단어를 차용한다.[90]
다음은 순수 파슈토어와 차용어의 예시다.[93][94]
파슈토 | 페르시아어 차용 | 아랍어 차용 | 의미 |
---|---|---|---|
چوپړ|초파르|čopáṛps | خدمت|khidmatfa | خدمة|khidmahar | 봉사 |
هڅه|하차|hátsaps | کوشش|kušešfa | 노력/시도 | |
ملګری|말거라이|malgə́rayps, ملګرې|말거레|malgə́reps | دوست|dostfa | 친구 | |
نړۍ|나라아이|naṛә́ips | جهان|jahānfa | دنيا|dunyāar | 세계 | |||
تود|토드|todps/توده|타우다|táwdaps | گرم|garmfa | | 뜨거운 | |||
اړتيا|아르티야|aṛtyā́ps | | ضرورة|ḍarurahar | 필요 | |||
هيله|힐라|hílaps | اميد|umidfa | | 희망 | |||
د ... په اړه|더...퍼 아라|də...pə aṛáps | باره|bārafa | | ~에 관하여 | |||
بوللـه|볼랄라|bolә́laps | | قصيدة|qasidahar | 서사시 |
현대에는 페르시아어와 아랍어의 유입으로 인해 파슈토어 어휘가 사라지는 것을 막기 위한 언어 순수주의가 주장되기도 한다.[92][95][96] 많은 고어가 차용어로 대체되었지만, 현대 파슈토어에 다시 도입되고 있다.[102] 예를 들어, پلاز|플라즈|plâzps[97] (왕좌)는 페르시아어 تخت|takhtfa[98][99]로 대체되었으나, ناوې پلاز|나웨 플라즈|ps '신방'과 같이 방언에서 사용되기도 한다.[103]
10. 문학
چې دا نور ټوپن مې بولي ګرم په څۀ|zə raˈmɑn pə ˈxpəl.a ɡram jəm t͡ʃe maˈjan jəm
t͡ʃe dɑ nor ʈoˈpən me boˈli ɡram pə t͡sə}}
'''번역:''' "나 라흐만은, 스스로가 연인이라는 죄를 짓고 있네,
이 다른 우주는 무엇 때문에 나를 죄인이라고 부르는가."
파슈토어는 풍부한 속담(파슈토어 ''matalúna'', 단수 ''matál'')의 유산을 가지고 있다.[112][113] 속담의 예:
اوبه په ډانګ نه بېلېږي|O''bә́ pə ḍāng nə beléẓ̌i''ps
'''번역:''' "막대기로 물을 나눌 수는 없다."
11. 회화 표현
파슈토어 회화 표현으로는 ستړی مه شې|stə́ṛay mə́ šeps (피곤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또는 په خير راغلې|pə xair rā́ğleps (좋은 일로 왔습니다)와 같은 인사말, مننه|manə́naps (감사합니다), په مخه دې ښه|pə mə́kha de x̌áps (안녕히 가세요)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색깔이나 하루의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도 배울 수 있다.
11. 1. 인사말
인사말 | 파슈토어 | 라틴 문자 표기 | 직역 |
---|---|---|
안녕하세요 | ستړی مه شې|stə́ṛay mə́ šepsستړې مه شې|stə́ṛe mə́ šeps | 피곤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
ستړي مه شئ|stə́ṛi mə́ šəips | 피곤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여러 사람에게) | |
په خير راغلې|pə xair rā́ğleps | 좋은 일로 왔습니다 | |
감사합니다 | مننه|manə́naps | 수락 [동사 منل|manəlps에서 유래] |
안녕히 가세요 | په مخه دې ښه|pə mə́kha de x̌áps | 앞길이 좋기를 |
خدای پامان|xwdā́i pāmā́nps | 출처: خدای په امان|x̌wdā́i pə amānps [신의 보호하에] |
11. 2. 색깔
색깔 | 파슈토어 표기 | 발음 | 비고 |
---|---|---|---|
빨강 | سور|surps | 수르 | |
녹색 | شين|šinps | 신 | |
파랑 | شين|šinps | 신 | |
검정 | تور|torps | 토르 | |
흰색 | سپين|spinps | 스핀 | |
보라색 | کینخي|kinxíps | 키낙시 | |
갈색 | نسواري|nәswārips | 나스와리 | |
노랑 | ژېړ|žëṛps | 제르 | |
보라 | چوڼيا|čunyāps | 추냐 | |
회색 | خړ|xәṛps | 크르 | |
주황색 | نارنجي|nārәnjíps | 나란지 | 페르시아어 차용 |
분홍색 | ګلابي|gulābíps | 굴라비 | 힌두스타니어 차용 (원래는 페르시아어) |
남색 | نيلي|nilíps | 닐리 | 페르시아어 차용 (궁극적으로는 산스크리트어) |
11. 3. 하루의 시간

시간 | 파슈토어 | 라틴 문자 표기 |
---|---|---|
아침 | ګهيځ|gahíźps | |
낮 | غرمه|ğarmáps | |
오후 | ماسپښين|māspasx̌ínps | |
저녁 | ماښام|māx̌ā́mps |
참조
[1]
웹사이트
Private schools asked to introduce regional languages as compulsory subject
https://www.app.com.[...]
2023-09-28
[2]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0-04-06
[3]
웹사이트
Pashto (less commonly Pushtu)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Incorporated
2016-07-18
[4]
웹사이트
Pashto (also Pushtu)
https://www.ahdictio[...]
Houghton Mifflin Harcourt Publishing Company
2016-07-18
[5]
웹사이트
Pashto (also Pushtu)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Pashto (also Pushto or Pushtu)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Article Sixteen of the 2004 Constitution of Afghanistan
https://web.archive.[...]
2012-06-13
[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Afghanistan – Chapter 1 The State, Article 16 (Languages) and Article 20 (Anthem)
http://www.servat.un[...]
[9]
서적
Afghanistan: The land
https://books.google[...]
Crabtree Publishing Company
2010-08-22
[10]
간행물
Population by Mother Tongue
http://www.pbs.gov.p[...]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Government of Pakistan
[11]
간행물
Pashto
[12]
서적
A Grammar of Pashto a Descriptive Study of the Dialect of Kandahar,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Ishi Press International
[13]
서적
Language Policy and Language Conflict in Afghanistan and Its Neighbors: The Changing Politics of Language Choice
https://brill.com/vi[...]
Brill
2011-12-09
[14]
웹사이트
Pashto languag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0-12-07
[15]
웹사이트
Languages: Afghanistan
https://www.cia.gov/[...]
The World Factbook
2020-10-27
[16]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
2012-04-07
[17]
웹사이트
Pashto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10-12-10
[18]
백과사전
Encyclopædia Iranica
2020-10-11
[19]
웹사이트
Government of Pakistan: Population by Mother Tongue
http://www.statpak.g[...]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2016-07-18
[20]
웹사이트
Population by mother tongue
https://web.archive.[...]
2023-09-15
[21]
웹사이트
Karachi's Invisible Enemy
https://www.pbs.org/[...]
PBS
2010-08-24
[22]
웹사이트
In a city of ethnic friction, more tinder
http://www.thenation[...]
The National
2010-08-24
[23]
잡지
Columnists {{pipe}} The Pakhtun in Karachi
http://tribune.com.p[...]
2011-09-08
[24]
웹사이트
http://www.thefriday[...]
thefridaytimes
2012-12-09
[25]
학술지
An Afghan Tragedy: The Pashtuns, the Taliban and the State
2021-05-04
[26]
웹사이트
Pashto, Southern
http://www.ethnologu[...]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14th edition
2010-09-18
[27]
웹사이트
Languages of Iran
http://www.ethnologu[...]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2010-09-27
[28]
뉴스
Tattooed 'blue-skinned' Hindu Pushtuns look back at their roots
https://www.thehindu[...]
2018-02-03
[29]
뉴스
The 'Kabuliwala' Afghans of Kolkata
https://www.bbc.co.u[...]
2015-05-23
[30]
웹사이트
Hindu Pashtuns: How One Granddaughter Uncovered India's Forgotten Links to Afghanistan
https://www.thebette[...]
2018-08-08
[31]
웹사이트
Languages of United Arab Emirates
http://www.ethnologu[...]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2010-09-27
[32]
서적
Iran, Afghanistan and Tadjikistan, 1911–1916
https://books.google[...]
De Gruyter
[33]
학술지
Die Herausbildung moderner iranischer Literatursprachen
Akademie Verlag
[34]
서적
Untersuchungen zum Satzbau des Paschto
[35]
서적
Afghanistan in Ink: Literature Between Diaspora and Nation
https://books.google[...]
Hurst
2013
[36]
서적
Afghanistan in Ink: Literature Between Diaspora and Nation
https://books.google[...]
Hurst
2013
[37]
간행물
Pashto Language & Identity Formation in Pakistan
1995-07
[38]
서적
Reform of Languages
Buske
1983
[39]
서적
Concise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Routledge
1999
[40]
서적
Pakistan and the emergence of Islamic militancy in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Ashgate
2005
[41]
간행물
Language and Politics in Afghanistan
E. J. Brill
1978
[42]
간행물
Are we teaching Persian?
Iranbooks
1994
[43]
서적
Afghanistan in Ink: Literature Between Diaspora and Nation
https://books.google[...]
Hurst
2013
[44]
서적
Fighting Words: Language Policy and Ethnic Relations in Asia
https://archive.org/[...]
MIT Press
[45]
웹사이트
Department of Pashto
http://web.uob.edu.p[...]
2021-09-07
[46]
웹사이트
Government of Pakistan: Population by Mother Tongue
http://www.statpak.g[...]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2016-07-18
[47]
서적
Pashto
Elsevier
2009
[48]
서적
Education in Pakistan a Survey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49]
웹사이트
Will change in medium of instruction improve education in KP?
http://www.dawn.com/[...]
2016-07-18
[50]
서적
Sociolinguistic Survey of Northern Pakistan
https://web.archive.[...]
Quaid-i-Azam University &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2014-10-06
[51]
웹사이트
د کرښې پرغاړه (په پاکستان کې د مورنیو ژبو حیثیت)
http://www.mashaalra[...]
2016-07-18
[52]
보고서
Teaching and learning in Pakistan: the role of language in education
http://www.britishco[...]
British Council
2012-09-24
[53]
뉴스
The decline of Pashto
https://tribune.com.[...]
2014-04-27
[54]
저널
Socio-Economic Profile of Kurram Agency
[55]
저널
Socio-Economic Profile of South Waziristan Agency
[56]
저널
Sociolinguistic Survey of Northern Pakistan
https://www.sil.org/[...]
[57]
저널
The Pashto language and identity-formation in Pakistan
https://www.research[...]
1995-07
[58]
서적
Language Policy and Language Conflict in Afghanistan and Its Neighbors: The Changing Politics of Language Choice
https://brill.com/vi[...]
Brill
2011-12-09
[59]
서적
Pakistanizing Pashtun: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sruption and re-invention of Pashtun
https://www.academia[...]
American University
[60]
서적
Pakistanizing Pashtun: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sruption and re-invention of Pashtun
https://www.academia[...]
American University
[61]
서적
Chants populaires des Afghans
[62]
서적
[63]
서적
The Hidden Treasure: A Biography of Pas̲htoon Poets
[64]
서적
The world's major languages
Routledge
2009
[65]
웹사이트
AFGHANISTAN vi. Paṧto
https://web.archive.[...]
Encyclopaedia Iranica
2010-10-10
[66]
서적
A Grammar of Gatha-Avestan
https://books.google[...]
BRILL
1988
[67]
웹사이트
Avestan grammar help: Azə̄m θβąm vaēnami?
https://linguistics.[...]
2021-10-16
[68]
서적
The Ormuri Language in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Forum for Language Initiatives
2011
[69]
서적
Indo-iranian Frontier Languages, by Georg Morgenstiern. Vol. II. Iranian Pamir Languages (yidgha-munji, Sanglechi-ishkashmi and Wakhi).
https://books.google[...]
W. Nygaard
1938
[70]
웹사이트
In this video, the Pashtun... - Pashtun Studies Network
https://www.facebook[...]
2021-10-16
[71]
웹사이트
Can Eastern Iranics Understand Each Other?
https://www.youtube.[...]
2021-10-16
[72]
웹사이트
Afghan and Afghanistan
http://www.alamahabi[...]
2010-10-24
[73]
웹사이트
History of Afghanista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0-11-22
[74]
서적
Afghanistan – a country without a state?
IKO
[75]
웹사이트
Events Of The Year 910 (1525)
https://web.archive.[...]
Packard Humanities Institute
2012-01-10
[76]
웹사이트
Pata Khazana
http://patakhazana.h[...]
2010-09-27
[77]
서적
The Development of the Pashto Script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 of London
[78]
서적
Il tesoro nascosto degli Afghani
Il Cavaliere azzurro
[79]
서적
Afghan History Through Afghan Eyes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80]
서적
Afghanistan in Ink: Literature Between Diaspora and Nation
https://books.google[...]
Hurst
2013
[81]
서적
Selections from the Poetry of the Afghans: From the Sixteenth to the Nineteenth Century, Literally Translated from the Original Pushto, with Notices of the Different Authors, and Remarks on the Mystic Doctrine and Poetry of the Sūfis
https://books.google[...]
Cosmo Publications
2015
[82]
논문
Bilingualism and Structural Borrowing
[83]
서적
Pashto
The major languages of South Asia, the Middle East and Africa
[84]
서적
A reader of Pashto
[85]
서적
Phonologies of Asia and Africa: (including the Caucasus)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1997-06-30
[86]
서적
A New Etymological Vocabulary of Pashto
https://books.google[...]
Reichert
2003
[87]
서적
Lexical Areas and Semantic Fields of Arabic
Linguistic convergence and areal diffusion: case studies from Iranian, Semitic and Turkic
[88]
학술지
Areal Lexical Contacts of the Afghan (Pashto) Language (Based on the Texts of the XVI-XVIII Centuries)
[89]
학술지
Census of India, 1931, Volume 17, Part 2
https://books.google[...]
2009-06-07
[90]
학술지
Western Loanwords in Modern Pashto
1961-01-01
[91]
서적
Language Issues in Comparative Education: Inclusive Teaching and Learning in Non-Dominant Languages and Cultur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06-13
[92]
서적
Afghanistan 101: Understanding Afghan Culture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93]
서적
A dictionary of the Puk'hto, Pus'hto, or language of the Afghans
https://dsal.uchicag[...]
Williams and Norgate
[94]
웹사이트
Qamosona.com
https://qamosona.com[...]
[95]
서적
Language Issues in Comparative Education: Inclusive Teaching and Learning in Non-Dominant Languages and Cultur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06-13
[96]
웹사이트
Muhammad Gul Khan Momand
https://web.archive.[...]
[97]
웹사이트
https://qamosona.com[...]
2024-08-01
[98]
웹사이트
Pata Khanaza
http://alamahabibi.n[...]
[99]
서적
The Hidden Treasure: A Biography of Pas̲htoon Poe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7
[100]
웹사이트
https://qamosona.com[...]
2024-08-01
[101]
학술지
The Neologism of Bayazid Ansari
http://khyber.org/pa[...]
[102]
서적
Pashto–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Dunwoody Press
2009
[103]
웹사이트
Daryab Pashto Glossary
https://qamosona.com[...]
[104]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f Reading Education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2
[105]
서적
Pashto Grammar
AuthorHouse
2011
[106]
Wiki
BGN/PCGN romanization
[107]
웹사이트
Romanization system for Pashto
http://earth-info.ng[...]
2012-02-04
[108]
웹사이트
NGA: Standardization Policies
http://earth-info.ng[...]
[109]
서적
South Asian Folklore: An Encyclopedia : Afghanistan, India, Nepal, Pakistan, Sri Lanka
Taylor & Francis
2003
[110]
논문
Placing Wardak Among Pashto Varieties
https://commons.und.[...]
University of North Dakota
2014-01-01
[111]
학술지
A Standard Pashto
https://www.jstor.or[...]
1959
[112]
서적
Mataluna: 151 Afghan Pashto Proverbs
Cultures Direct Press
[113]
서적
Rohi Mataluna: Pashto Proverbs
Interlit and Pashto Academy, Peshawar University
2006
[114]
서적
An Ethno-Linguistic Study of the Karlanri Varieties of Pashto
Pashto Academy, University of Peshawar
[115]
서적
The Camphor Flame: Popular Hinduism and Society in Ind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6]
서적
A Reference Grammar of Pashto
http://files.eric.ed[...]
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