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ㄾ은 한글 자모의 하나로, '리을티읕'이라고 불린다. 남한과 북한에서 발음 차이가 있으며, 어중에서는 [ɭtʰ] 또는 [ltʰ], 어말에서는 [ɭ] 또는 [l]로 발음된다. 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평음이 경음으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 유니코드 상에서 닿소리 ㄾ은 U+313E, 끝소리 ᆴ은 U+11B4,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의 은 U+F8A4, 반각 ᆴ은 U+FFAE로 정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글 낱자 -
    ㄸ은 한글 자모 중 하나로, ㄷ을 겹쳐 쓴 형태이며, 된소리를 나타내고, 무성 파열음으로 발음되며, 유니코드에는 U+3138 (단독형)과 U+1104 (초성용) 코드로 등록되어 있다.
  • 한글 낱자 -
    ㅃ은 한글 자모 중 하나로 쌍비읍이라고도 하며,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순음의 전탁으로 분류되고, 무성 양순 파열음의 된소리 /p'/로 발음되며, 유니코드에서 U+3143, U+1108 등의 코드 값을 가진다.
한글 자모
종류닿소리 겹받침
구성' + '
소리
순서, ㅁ, ㅂ, ㅅ, ㅆ, ㅇ, ㅈ, ㅊ, ㅋ, , ㅍ, ㅎ
로마자 표기lt
'현대 한국어 표기'
발음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는 로 소리난다.
예시'핥다 → [할따], 곯다 → [골따], 여덟 → [여덜]'

2. 명칭

리을티읕(북)발음어중 : , 어말 : , 어중 구개음화 : (남)
어중 : , 어말 : , 어중 구개음화 : (북)이음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평음이 경음으로 된다.


3. 코드 값

ㄾ은 여러 코드 체계에서 다양한 코드로 표현된다. 닿소리 ㄾ은 U+313E, 끝소리 ᆴ은 U+11B4,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의 는 U+F8A4, 반각 형태 ᆴ는 U+FFAE로 나타낸다.

3. 1. 유니코드

종류코드
닿소리U+313E
끝소리U+11B4
한양 끝소리U+F8A4
반각U+FFAE


4. 발음

'ㄾ'은 남북한에서 발음 방식에 차이가 있다. 어중에서는 남한은 , 북한은 로 소리낸다. 어말에서는 남한은 , 북한은 로 발음한다. 구개음화될 때는 남한은 , 북한은 로 소리난다. 뒤따르는 자음이 평음이면 경음으로 바뀐다.

4. 1. 남한

'ㄾ'의 남한에서의 자명은 리을티읕이다. 발음은 어중에서는 , 어말에서는 이다. 어중에서 구개음화될 때는 로 소리난다. 뒤따르는 자음이 평음일 경우에는 그 평음이 경음으로 바뀌는 현상이 일어난다.

자명리을티읕
발음어중:
어말:
어중 구개음화:
이음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평음이 경음으로 된다.


4. 2. 북한

북한에서는 ㄾ을 '리을티읕'이라고 부른다. 발음은 어중에서 , 어말에서 이며, 어중 구개음화는 이다.

4. 3. 이음

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평음이 경음으로 된다.

5. 한글 낱자 목록

한글 낱자 목록은 현대 한글 낱자와 옛한글 낱자로 구성된다. 현대 한글 낱자는 홑낱자와 겹낱자로 나뉘며, 겹낱자는 다시 닿소리와 홀소리로 나뉜다. 'ㄾ'은 현대 한글 겹낱자 중 겹받침에 속한다.

한글 낱자 목록
구분종류낱자
현대 한글 낱자홑낱자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겹낱자ㄲ, ㄳ, ㄵ, ㄶ, ㄸ, ㄺ, ㄻ, ㄼ, ㄽ, , ㄿ, ㅀ, ㅃ, ㅄ, ㅆ, ㅉ,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옛한글 낱자홑낱자 및 겹낱자ᄼ, ᄾ, ᅎ, ᅐ, ᅔ, ᅕ, ㅿ, ㆁ, ㆆ, ㆍ, ᇺ, ᅚ, ᇃ, ᇻ, ᇄ, ᇼ, ᇽ, ᇾ, ᄓ, ㅥ, ㅦ, ퟋ, ᄖ, ㅧ, ㅨ, ퟌ, ᇉ, ᄗ, ퟎ, ᇋ, ꥠ, ꥡ, ꥢ, ퟑ, ꥣ, ퟓ, ퟔ, ꥥ, ㅩ, ퟖ, ᄘ, ㅪ, ꥧ, ᇏ, ᄙ, ퟗ, ᇑ, ᇒ, ퟘ, ퟙ, ꥪ, ㅫ, ퟚ, ᇔ, ᇕ, ᇖ, ㅬ, ퟛ, ꥭ, ᇘ, ㅭ, ퟜ, ᄛ, ᇚ, ퟞ, ퟟ, ꥰ, ᇛ, ퟠ, ㅮ, ퟡ, ㅯ, ᇞ, ㅰ, ퟢ, ᇠ, ᇡ, ㅱ, ㅲ, ᄟ, ㅳ, ᇣ, ퟤ, ퟥ, ㅴ, ㅵ, ᄤ, ᄥ, ᄦ, ꥲ, ㅶ, ᄨ, ꥳ, ㅷ, ᄪ, ᇥ, ㅸ, ㅹ, ㅺ, ㅻ, ㅼ, ᄰ, ᄱ, ㅽ, ᄳ, ퟫ, ퟬ, ퟭ, ꥵ, ᄴ, ퟮ, ᄵ, ㅾ, ᄷ, ᄸ, ᄹ, ᄺ, ᄻ, ᄽ, ᄿ, ퟳ, ퟴ, ᅁ, ᅂ, ꥶ, ᅃ, ᅄ, ᅅ, ᅆ, ᅇ, ᅈ, ᅉ, ᅊ, ᅋ, ꥷ, ᇬ, ᇭ, ퟵ, ㆂ, ㆃ, ᇮ, ᇯ, ퟶ, ퟷ, ퟸ, ᅍ, ꥸ, ᅏ, ᅑ, ᅒ, ᅓ, ꥹ, ᅖ, ퟺ, ퟻ, ꥺ, ㆄ, ᇵ, ᇶ, ᇷ, ᇸ, ꥻ, ㆅ, ꥼ, ᅶ, ᅷ, ᆣ, ᅸ, ᅹ, ᆤ, ᅺ, ᅻ, ᅼ, ᆥ, ᅽ, ᅾ, ᆦ, ᆧ, ᅿ, ᆀ, ힰ, ᆁ, ᆂ, ힱ, ᆃ, ힲ, ힳ, ㆇ, ㆈ, ힴ, ᆆ, ᆇ, ㆉ, ᆉ, ᆊ, ᆋ, ힵ, ᆌ, ᆍ, ힶ, ᆎ, ힷ, ᆏ, ᆐ, ㆊ, ㆋ, ힸ, ᆓ, ㆌ, ힹ, ힺ, ힻ, ힼ, ᆕ, ᆜ, ᆗ, ᆘ, ᆙ, ힽ, ힾ, ힿ, ퟀ, ᆚ, ퟁ, ퟂ, ᆛ, ퟃ, ᆜ, ퟄ, ᆝ, ퟅ, ᆟ, ퟆ, ᆠ, ㆎ, ᆢ


5. 1. 현대 한글 낱자

'ㄾ'은 현대 한글에서 사용되는 겹받침 중 하나이다. 을 합쳐 놓은 글자이다.

자명리을티읕
발음어중: , 어말: , 어중 구개음화: (남)
어중: , 어말: , 어중 구개음화: (북)
이음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평음이 경음으로 된다.


5. 1. 1. 홑낱자

을 합쳐 놓은 글자이다.

자명리을티읕
발음어중: , 어말: , 어중 구개음화:
이음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평음이 경음으로 된다.




5. 1. 2. 겹낱자

'ㄾ'은 현대 한글 낱자 중 겹받침에 속하는 글자이다.

자명리을티읕 (남)
리을티읕 (북)
발음어중: , 어말: , 어중 구개음화: (남)
어중: , 어말: , 어중 구개음화: (북)
이음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평음이 경음으로 된다.


5. 2. 옛한글 낱자

'ㄾ'은 옛한글 낱자 중 하나로, 현대 한글에서는 겹받침으로 사용된다.

} , 어말: ɭ|한국어, 어중 구개음화: ɭtʲʰ|한국어 (남)
어중: ltʰ|한국어, 어말: l|한국어, 어중 구개음화: ltʲʰ|한국어 (북)

|-

! 이음

| 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평음이 경음으로 된다.

|}

5. 2. 1. 홑낱자

을 합쳐 놓은 글자이다. 현대 한글 겹낱자 16개 중 하나이다.

자명리을티읕 (남)
리을티읕 (북)
발음어중: {{lang|ko|ɭtʰ|}
} , 어말: ɭ|한국어, 어중 구개음화: ɭtʲʰ|한국어 (남)
어중: ltʰ|한국어, 어말: l|한국어, 어중 구개음화: ltʲʰ|한국어 (북)

|-

! 이음

| 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평음이 경음으로 된다.

|}

5. 2. 2. 겹낱자

'ㄾ'은 현대 한글 낱자 중 겹받침에 속한다.

자명리을티읕 (남)
리을티읕 (북)
발음어중: {{lang|ko|ɭtʰ|}
자명리을티읕 (남)
리을티읕 (북)
발음어중: , 어말: , 어중 구개음화: (남)
어중: , 어말: , 어중 구개음화: (북)
이음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평음이 경음으로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