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2. 명칭 및 정보
'ㄸ'은 한글 낱자 중의 하나로, ㄷ을 두 번 겹쳐 쓴 것이다. 남한에서는 '쌍디귿'으로, 북한에서는 '된디읃'으로 부른다.
어두에서는 무성 파열음([ t˭ ])으로, 어중에서는 무성 파열음([ t˭ ])으로, 어말에서는 [ t ̚]으로 소리난다. 구개음화되어 어두에서는 [ ȶ˭ ], 어중에서는 [ ȶ˭ ]로 발음된다.
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에는 그 평음이 경음으로 바뀌는 이음 현상이 나타난다.
자명 | 쌍디귿(남) 된디읃(북) |
발음 | 어두 : , 어중 : , 어말 : , 어두 구개음화 : , 어중 구개음화 : (남) 어두 : , 어중 : , 어말 : , 어두 구개음화 : , 어중 구개음화 : (북) |
이음 | 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평음이 경음으로 된다. |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설음의 전탁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훈민정음의 세종 어제 서문에서는 "ㄷ 설음은 '두' 자의 초성과 같고, 병서하면 '覃' 자의 초성과 같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에 전청을 병서하면 전탁이 된다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전탁은 탁음(유성음)이 아니라, 당시에도 된소리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훈민정음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 ㄸ이 된소리 표기에 사용되는 경우는 많지 않았고, 주로 한자음의 탁음 표기에 사용되었다.
3. 역사
된소리를 표기하는 것으로 정식으로 채택된 것은 1933년의 한글 맞춤법 통일안부터이다. '쌍디귿'이라는 명칭도 이때 붙여졌다.
3. 1. 훈민정음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설음의 전탁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훈민정음의 세종 어제 서문에서는 "ㄷ 설음은 '두' 자의 초성과 같고, 병서하면 '覃' 자의 초성과 같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에 전청을 병서하면 전탁이 된다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전탁은 탁음(유성음)이 아니라, 당시에도 된소리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훈민정음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 ㄸ이 된소리 표기에 사용되는 경우는 많지 않았고, 주로 한자음의 탁음 표기에 사용되었다.
3. 2. 근대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설음의 전탁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훈민정음의 세종 어제 서문에서는 "ㄷ 설음은 '두' 자의 초성과 같고, 병서하면 '覃' 자의 초성과 같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에 전청을 병서하면 전탁이 된다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전탁은 탁음(유성음)이 아니라, 당시에도 된소리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훈민정음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 ㄸ이 된소리 표기에 사용되는 경우는 많지 않았고, 주로 한자음의 탁음 표기에 사용되었다.
된소리를 표기하는 것으로 정식으로 채택된 것은 1933년의 한글 맞춤법 통일안부터이다. '쌍디귿'이라는 명칭도 이때 붙여졌다.
3. 3. 현대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설음의 전탁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훈민정음의 세종 어제 서문에서는 "ㄷ 설음은 '두' 자의 초성과 같고, 병서하면 '覃' 자의 초성과 같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에 전청을 병서하면 전탁이 된다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전탁은 탁음(유성음)이 아니라, 당시에도 된소리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훈민정음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 ㄸ이 된소리 표기에 사용되는 경우는 많지 않았고, 주로 한자음의 탁음 표기에 사용되었다.
1933년의 한글 맞춤법 통일안부터 된소리를 표기하는 것으로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쌍디귿'이라는 명칭도 이때 붙여졌다. 이는 대한민국 맞춤법의 근간이 되며,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한글 맞춤법을 존중하고 계승하는 입장이다.
4. 음성
쌍디귿(ㄸ)은 혀끝을 잇몸에 밀착시켜 폐쇄를 만들고, 공기의 흐름을 막은 후 한꺼번에 개방하여 내는 치경 파열음의 일종이다. 한국어의 파열음은 유기음 여부와 후두 긴장(텐스) 여부에 따라 세 계통으로 나뉘는데, 쌍디귿은 후두 긴장을 동반하는 된소리(경음)를 나타낸다. 음소 기호는 /t'/ 등으로 표기된다. 국제 음성 기호(IPA)에는 된소리 표기 기호가 없어, 편의상 "'"를 붙여 표기한다.
자명 | 쌍디귿(남) 된디읃(북) |
발음 | 어두 : , 어중 : , 어말 : , 어두 구개음화 : , 어중 구개음화 : (남) 어두 : , 어중 : , 어말 : , 어두 구개음화 : , 어중 구개음화 : (북) |
이음 | 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평음이 경음으로 된다. |
초성에서는 무성 연구개 파열음의 된소리로 발음된다. 종성에서는 /ㄷ/으로 발음되지만, 실제로는 종성에 이 자모를 사용하는 단어가 없어 발음될 일은 없다.
5. 라틴 문자 표기
문화관광부 2000년식,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모두 tt로 표기된다.
6. 코드 값
ㄸ은 한글 낱자 중 하나로,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있다. 단독형 ㄸ은 U+3138, 초성용 ㄸ은 U+1104 코드로 배당되어 있어 전산 처리 및 정보 교환이 용이하다.
이름 | 용도 | 코드 | HTML 실체 참조 코드 | 표시 |
---|---|---|---|---|
HANGUL LETTER SSANGDIGEUT | 단독형 | U+3138 | ㄸ | ㄸ |
HANGUL CHOSEONG SSANGDIGEUT | 초성용 | U+1104 | ᄄ | ᄄ |
6. 1. 유니코드
ㄸ은 한글 낱자 중 하나로, 유니코드에 포함되어 있다. 단독형 ㄸ은 U+3138, 초성용 ㄸ은 U+1104 코드로 배당되어 있어 전산 처리 및 정보 교환이 용이하다.이름 | 용도 | 코드 | HTML 실체 참조 코드 | 표시 |
---|---|---|---|---|
HANGUL LETTER SSANGDIGEUT | 단독형 | U+3138 | ㄸ | ㄸ한국어 |
HANGUL CHOSEONG SSANGDIGEUT | 초성용 | U+1104 | ᄄ | ᄄ한국어 |
7. 관련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