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고리벌레아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고리벌레아목은 등각류에 속하는 아목으로, 마디벌레상과, 갈고리벌레상과, 새우살이벌레상과, Cryptoniscoidea 상과를 포함한다. 각 상과에는 여러 과가 속해 있으며, 이는 본문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고리벌레아목 - 새우살이벌레과
새우살이벌레과는 새우를 포함한 다양한 갑각류에 기생하는 등각류 갑각류 기생 생물 분류군으로, 160여 개가 넘는 다양한 속이 알려져 있다. - 등각목 - 등각류
등각류는 절지동물 갑각류의 한 목으로, 키틴질 외골격과 관절 다리를 가지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서식하고, 쥐며느리아목은 육상 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했으며 일부 종은 물고기 외부 기생충으로 생활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갈고리벌레아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분류 | |
| 계 | 동물계 (Animalia) |
| 문 | 절지동물문 (Arthropoda) |
| 아문 | 갑각아문 (Crustacea) |
| 강 | 연갑강 (Malacostraca) |
| 목 | 등각목 (Isopoda) |
| 아목 | 갈고리벌레아목 (Cymothoida) |
| 학명 | Cymothoida |
| 명명자 | Wägele, 1989 |
| 하위 분류 | |
| 상과 | Anthuroidea 에비야도림시상과 (Bopyroidea) 카쿠레야도림시상과 (Cryptoniscoidea) 우오노에상과 (Cymothooidea) |
2. 분류
갈고리벌레아목에는 4개의 상과가 속해 있다.[8][2]
| 상과 | 과 |
|---|---|
| 마디벌레상과 (Anthuroidea) | Antheluridae, 마디벌레과, Expanathuridae, Hyssuridae, Leptanthuridae, 오목꼬리마디벌레과 |
| 갈고리벌레상과 (Cymothooidea) | 부채벌레과, Anuropidae, Barybrotidae, 모래무지벌레과, Corallanidae, 갈고리벌레과, 큰턱벌레과, Protognathiidae, Tridentellidae |
| 새우살이벌레상과 (Bopyroidea) | 새우살이벌레과 (십각기생과), Colypuridae, Dajidae, Entoniscidae, Rhabdochiridae |
| Cryptoniscoidea | Asconiscidae, Cabiropidae, Crinoniscidae, Cryptoniscidae, Cyproniscidae, Hemioniscidae, Podasconidae |
일부 자료에서는 새우살이벌레상과와 Cryptoniscoidea 상과를 묶어 Epicaridea 하목으로 분류하기도 한다.[3]
2. 1. 마디벌레상과 (Anthuroidea)
마디벌레상과(Anthuroidea)는 1814년 Leach가 처음 명명했으며, 다음 6개 과를 포함한다.[8][2]- Antheluridae Poore & Lew Ton, 1988
- 마디벌레과 (Anthuridae) Leach, 1814
- Expanathuridae Poore, 2001
- Hyssuridae Wägele, 1981
- Leptanthuridae Poore, 2001
- 오목꼬리마디벌레과 (Paranthuridae) Menzies & Glynn, 1968
2. 2. 갈고리벌레상과 (Cymothooidea)
갈고리벌레상과(Cymothooidea)는 1814년 리치(Leach)가 처음 명명했으며, 다음과 같은 과들을 포함한다.[8][2]| 과 | 명명자 및 연도 |
|---|---|
| 부채벌레과 (Aegidae) | White, 1850 |
| Anuropidae | Stebbing, 1893 |
| Barybrotidae | Hansen, 1890 |
| 모래무지벌레과 (Cirolanidae) | Dana, 1852 |
| Corallanidae | Hansen, 1890 |
| 갈고리벌레과 (Cymothoidae) | Leach, 1818 |
| 큰턱벌레과 (Gnathiidae) | Leach, 1814 |
| Protognathiidae | Wägele & Brandt, 1988 |
| Tridentellidae | Bruce, 1984 |
2. 3. 새우살이벌레상과 (Bopyroidea)
새우살이벌레과 또는 십각기생과(Bopyridae) Rafinesque, 1815, Colypuridae Richardson, 1905, Dajidae Giard & Bonnier, 1887, Entoniscidae Kossmann, 1881, Rhabdochiridae Richardson, 1905를 포함한다.[8]2. 4. Cryptoniscoidea 상과
Cryptoniscoidea 상과에는 다음 과들이 속해 있다.[8]| 과 |
|---|
| Asconiscidae Bonnier, 1900 |
| Cabiropidae Giard & Bonnier, 1887 |
| Crinoniscidae Bonnier, 1900 |
| Cryptoniscidae Kossmann, 1880 |
| Cyproniscidae Bonnier, 1900 |
| Hemioniscidae Bonnier, 1900 |
| Podasconidae Bonnier, 1900 |
3. 한국의 갈고리벌레아목
갯강구상과(Cymothooidea)에는 다음 과들이 속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ongue Biters and Deep Sea Giants: The Cymothoida (Crustacea: Isopoda)
http://bioteaching.c[...]
2014-06-03
[2]
간행물
Cymothoida
2012-11-11
[3]
간행물
Epicaridea
2022-12-28
[4]
간행물
Cryptoniscoidea Kossmann, 1880
2022-12-28
[5]
간행물
Bopyroidea Rafinesque, 1815
2022-12-28
[6]
웹사이트
Tongue Biters and Deep Sea Giants: The Cymothoida (Crustacea: Isopoda)
http://bioteaching.c[...]
2014-06-03
[7]
간행물
Cymothoida
2012-11-11
[8]
웹인용
Cymothoida
http://www.marinespe[...]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10-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