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고리벌레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고리벌레과는 기생 생활에 적응한 갑각류로, 어류의 피부, 지느러미, 아가미, 구강 등에 기생하며, 일부는 근육에 구멍을 내기도 한다. 유충은 숙주에 일시적으로 부착하여 흡혈하며, 성체가 되면 특정 숙주에 영구적으로 기생한다. 갈고리벌레류는 어류에게 빈혈, 영양 장애, 발육 저해를 일으켜 어업 피해를 발생시키며, 생물학적 연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갈고리벌레과에는 물고기 혀벌레속, 수염물고기벌레속, 물고기벌레속, 아가미벌레속, 물렁게속 등 다양한 속이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고리벌레과 - 바티노무스속
    바티노무스속은 열대 및 아열대 해역의 심해에 서식하는 대형 등각류 갑각류로, 큰 겹눈과 50cm가 넘는 크기를 가지며, 기회주의적 포식자로서 심해 저서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몸을 둥글게 말아 방어하는 특징을 가진 15종 이상의 종을 포함하는 속이다.
  • 갈고리벌레과 - 키모토아 엑시구아
    키모토아 엑시구아는 물고기 혀에 기생하여 숙주의 혀를 대체하는 등각류로, 태평양 동부 온대 및 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어업 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대중 매체에도 등장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갈고리벌레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검은쏨뱅이(Spondyliosoma cantharus)에 기생하는 Anilocra physodes
검은쏨뱅이(Spondyliosoma cantharus)에 기생하는 Anilocra physodes
학명Cymothoidae
명명자Leach, 1818
약 40속 (본문 참조)
분류
동물계 Animalia
절지동물문 Arthropoda
아문갑각아문 Crustacea
연갑강 Malacostraca
등각목 Isopoda
아목우오노에아목 Cymothoida
상과우오노에상과 Cymothooidea
우오노에과 Cymothoidae

2. 특징

갈고리벌레과는 어류에 기생하는 등각류의 한 과로, 숙주와의 관계 속에서 기생 생활 방식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적, 생태적 특징을 보인다.[4][2]

2. 1. 형태

갈고리벌레과는 기생 생활 방식에 적응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적 특징을 보인다.[4] 유충 단계에서는 특별한 숙주 요구 없이 물고기의 피부에 일시적으로 부착하여 항응고제를 생성하고 피를 빨아먹는다. 이후 첫 번째 숙주로부터 떨어져 나와 성체로 발달하기에 적합한 다른 숙주를 찾는다. 성체가 되면 대부분 특정 숙주 종을 필요로 하며, 부착 부위도 피부, 지느러미, 아가미, 입 등으로 특화된다. 일부 종은 근육에 구멍을 내기도 한다.[2]

2. 2. 생태

갈고리벌레과는 기생 생활 방식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4] 유충 단계에서는 특별한 요구사항 없이 어떤 물고기의 피부에든 일시적으로 부착하여 항응고제를 생성하고 피를 빨아먹는다. 이후 첫 번째 숙주로부터 떨어져 나와 성체로 발달하기 위한 적합한 물고기 종을 찾는다. 성체가 되면 대부분의 종은 특정 숙주 종과 특정 부착 부위를 필요로 한다. 이들이 선택하는 부착 부위는 피부, 지느러미, 아가미, 등 다양하며, 일부 종은 근육에 구멍을 내기도 한다.[2]

갈고리벌레과 기생충은 자웅동체이다. 각 유생은 먼저 수컷으로 발달하지만, 근처에 암컷이 없으면 암컷으로 변하여 숙주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이 암컷은 주변 수컷 개체가 암컷이 되는 것을 막는 페로몬을 분비할 수 있다. 이러한 기생 활동은 숙주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으며, 느린 성장 속도, 조직 손상, 빈혈, 심지어 죽음에 이르기까지 한다. 많은 숙주 물고기는 ''Ancylomenes pedersoni''와 같은 특정 새우와 상호주의 관계를 맺고, "청소 스테이션"을 방문하여 새우가 기생충을 제거하고 먹도록 한다.[5]

특히 어류의 구강에 기생하는 종은 아가미를 통해 숙주의 구강 내로 침입하여 에 붙어 혈관에서 피를 빤다. 시간이 지나면 혀는 괴사하고, 기생충이 혀가 있던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이 때문에 낚시로 잡은 물고기나 드물게 슈퍼마켓에서 판매하는 물고기의 입 안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물고기가 죽으면 기생충은 숙주로부터 떨어져 나오므로, 잡은 물고기를 넣어둔 아이스박스의 물 속에서 헤엄치는 모습이 발견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인간에게는 무해하며, 실수로 섭취하더라도 사람에게 기생하지는 않는다.

갈고리벌레류의 기생은 어류에게 빈혈, 영양 장애, 발육 저해 등을 일으키기 때문에, 갈고리벌레과에 의한 어업 대상 어종의 피해가 세계 각지에서 보고되고 있다.[8] 하지만 아직 이들의 종류나 숙주 등에 대해서는 불명확한 점이 많다.[9][10][11]

3. 분류

세계 해양 생물 목록에 따르면, 이 과에는 여러 속이 포함되어 있다.[6] 자세한 속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하위 속

세계 해양 생물 목록(WoRMS)[16]에 따르면, 갈고리벌레과에는 다음과 같은 속이 포함된다.[6] 대표적인 속으로는 Anilocra(물고기 혀벌레속), Ceratothoa(히게부토우오노에속), Cymothoa(물고기 털벌레속), Mothocya(아가미벌레속)[14], Nerocila(우오노코반속)[15] 등이 있다.

속명명명자연도종 수
Aegathoa데이나18532
Agarna스키외테 & 마이너트18844
AmblycephalonPillai19542
Anilocra (물고기 혀벌레속)리치181849
AnphiraThatcher19934
Artystone스키외테18663
Asotana스키외테 & 마이너트18813
Braga스키외테 & 마이너트18817
Catoessa스키외테 & 마이너트18844
Ceratothoa (히게부토우오노에속)데이나185229
Cinusa스키외테 & 마이너트18841
CreniolaBruce19873
Cterissa스키외테 & 마이너트18842
Cymothoa (물고기 털벌레속)파브리시우스178747
Elthusa스키외테 & 마이너트188428
Emetha스키외테 & 마이너트18832
Enispa스키외테 & 마이너트18842
Glossobius스키외테 & 마이너트18839
IchthyoxenusHerklots187023
Idusa스키외테 & 마이너트18843
IsonebulaTaberner19772
JorymaBowman & Tareen19834
KunaWilliams & Williams19861
Lathraena스키외테 & 마이너트18811
Livoneca리치18184
Lobothorax블리커18573
Mothocya (아가미벌레속)Costa in Hope185129
Nerocila (우오노코반속)리치181842
NorilecaBruce19903
Olencira리치18182
OurozeuktesH. 밀른-에드워즈18404
ParacymothoaLemos de Castro19553
PhilostomellaSzidat & Schubart19601
Pleopodias리차드슨19104
Plotor스키외테 & 마이너트18811
PseudoironaPillai19641
Renocila미어스188018
Rhiothra스키외테 & 마이너트18841
RiggiaSzidat19485
RyukyuaWilliams & Bunkley-Williams19942
SmenispaÖzdikmen20091[7][21]
Telotha스키외테 & 마이너트18844
TetragonocephalonAvdeev19781
VanameaThatcher19931



4. 피해 및 연구

갈고리벌레과 기생충은 숙주 어류에게 성장 속도 저하, 조직 손상, 빈혈, 심지어 죽음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5] 특히 어업 대상 어종에 기생하여 빈혈, 영양 장애, 발육 저해 등을 일으키는 사례가 세계 각지에서 보고되어 어업에 손실을 입히기도 한다.[8]

이러한 피해뿐만 아니라, 갈고리벌레과는 기생 생활에 적응한 독특한 형태와 생활 주기(예: 자웅동체 및 성전환[5])를 가지고 있어 진화생물학 등 다양한 생물학 분야의 연구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12] 어류학 분야에서는 어류 계통 식별을 위한 생물 표지자로 활용되기도 한다.[8]

그러나 아직 갈고리벌레과의 종류나 정확한 숙주 범위 등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으며[9][10][11], 특히 일본 근해에서의 연구는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8] 최근 연구에서는 갈고리벌레가 심해에 서식했던 공통 조상으로부터 진화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13]

4. 1. 어업 피해

갈고리벌레과 중 일부 종은 어류의 구강에 기생하여 어업에 피해를 준다. 이 기생충은 아가미를 통해 숙주 물고기의 입 안으로 침입하여 에 달라붙어 피를 빨아먹는다. 기생이 지속되면 물고기의 혀는 괴사하고, 갈고리벌레가 그 자리를 대신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기생 활동은 어류에게 빈혈, 영양 장애, 발육 저하 등을 일으키며, 이는 결국 어업 대상 어종의 감소나 품질 저하로 이어져 경제적 손실을 유발한다. 실제로 갈고리벌레과에 의한 어업 피해 사례는 세계 각지에서 보고되고 있다.[8]

이러한 기생충은 낚시로 잡은 물고기의 입 안이나 드물게 슈퍼마켓에서 판매하는 생선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숙주인 물고기가 죽으면 몸에서 떨어져 나오기 때문에, 잡은 고기를 보관하는 아이스박스의 물 속에서 헤엄치는 모습이 발견되기도 한다. 사람에게는 해를 끼치지 않으며, 실수로 섭취하더라도 인체에 기생하지는 않는다.

현재까지 갈고리벌레과의 종류나 정확한 숙주 범위 등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9][10][11]

4. 2. 생물학적 연구

갈고리벌레과 기생충은 자웅동체이며, 각 유생은 처음에 수컷으로 발달한다. 그러나 주변에 암컷이 없으면 수컷은 나중에 암컷으로 성전환하여 숙주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이 암컷은 주변의 다른 수컷 갈고리벌레류가 암컷이 되는 것을 막는 페로몬을 분비할 수 있다. 이러한 기생충은 숙주에게 상당한 피해를 줄 수 있는데, 이는 성장 속도 저하부터 조직 손상, 빈혈, 심지어 사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많은 숙주 물고기는 특정 새우(예: ''Ancylomenes pedersoni'')와 상호주의 관계를 맺기도 한다. 물고기가 "청소 스테이션"을 방문하면 새우가 갈고리벌레 기생충을 제거하고 먹는다.[5]

어류학 분야에서 서양에서는 갈고리벌레류를 어류 계통 식별을 위한 생물 표지자로 활용하기도 하지만[8], 일본 근해에서의 갈고리벌레류 연구는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8]

갈고리벌레류는 기생 생활에 적응한 독특한 형태와 생활 주기(성전환 등)를 가지고 있어, 진화 생물학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12]

에히메 대학과 종합 지구 환경학 연구소 등의 공동 연구팀은 2017년 4월 19일, 갈고리벌레가 심해에 서식했던 공통 조상으로부터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3]

참조

[1] 논문 Tongue replacement in a marine fish (''Lutjanus guttatus'') by a parasitic isopod (Crustacea: Isopoda)
[2] 웹사이트 Tongue Biters and Deep Sea Giants: The Cymothoida (Crustacea: Isopoda) http://bioteaching.c[...] 2012-07-13
[3] 논문 A monograph on the Isopoda Cymothoidae (Crustacea) of the eastern Pacific 1981
[4] 논문 Shape of attachment structures in parasitic isopodan crustaceans: the influence of attachment site and ontogeny
[5] 논문 Ability of Pederson Cleaner Shrimp to Remove Juveniles of the Parasitic Cymothoid Isopod, ''Anilocra haemuli'', from the Host
[6] WoRMS Cymothoidae 2011-12-09
[7] 논문 A new name, ''Smenispa'' for the preoccupied isopod genus ''Enispa'' Schioedte & Meinert, 1884 (Isopoda: Cymothoidae) http://www.munisentz[...]
[8] 간행물 日本産魚類に寄生するウオノエ科等脚類 https://doi.org/10.1[...]
[9] 웹사이트 ウオノエの寄生について〜広島大学デジタル博物館 http://home.hiroshim[...]
[10] 논문 Deep-sea cymothoid isopods (Crustacea: Isopoda: Cymothoidae) of Pacific coast of northern Honshu, Japan http://ir.lib.hirosh[...]
[11] 논문 Cymothoid isopods (Crustacea: Isopoda) collected by Dr. Y. Kano in Toyama Bay of the Sea of Japan http://ir.lib.hirosh[...]
[12] 보고서 瀬戸内海のウオノエ科魚類寄生虫 http://ir.lib.hirosh[...]
[13] 뉴스 魚の口にすむ「ウオノエ」、深海の共通祖先が進化 400種生息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4-19
[14] 보고서 スナメリ(クジラ目:ネズミイルカ科)の胃内容物から発見されたウオノエ科魚類寄生虫(甲殻綱:等脚目) http://hitohaku.jp/r[...]
[15] 논문 Redescription of the fish parasite Nerocila japonica Schioedte & Meinert, 1881 (Crustacea: Isopoda: Cymothoidae), with comments on previous records of N. acuminata in Japanese waters
[16] 웹사이트 Cymothoidae in WoRMS http://www.marinespe[...] 2012-09-04
[17] 웹인용 한반도 생물자원포탈 종분류체계 갈고리벌레과(Cymothoidae) 정보 http://www.nibr.go.k[...] 2012-03-04
[18] 뉴스 물고기혀 먹는 ‘에일리언 기생충’ 확산 충격 http://nownews.seoul[...] 서울신문 나우뉴스 2012-03-04
[19] 웹인용 Cymothoidae http://www.marinespe[...] 2011-12-09
[20] 저널 A monograph on the Isopoda Cymothoidae (Crustacea) of the Eastern Pacific http://www.desertmus[...]
[21] 저널 A new name, ''Smenispa'' for the preoccupied isopod genus ''Enispa'' Schioedte & Meinert, 1884 (Isopoda: Cymothoidae) http://www.munisentz[...]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