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색사향고양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색사향고양이는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학명은 Paradoxurus jerdoni이다. 1885년 윌리엄 토마스 블랜포드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인도 서고츠산맥 남부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균일한 갈색 털을 가지며, 꼬리 끝에 흰색 또는 옅은 노란색 팁이 있는 경우도 있다. 주로 열매를 먹고, 야행성 생활을 하며, 멸종 위협이 낮은 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5년 기재된 포유류 - 검은문착
- 1885년 기재된 포유류 - 맥클레이도르콥시스
맥클레이도르콥시스는 뉴기니섬 남동부 열대 습윤림에 서식하며 윌리엄 존 맥클레이를 기려 명명된 작은도르콥시스속의 야행성 숲왈라비이다. - 사향고양이과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사향고양이과 -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는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빈투롱속, 세줄무늬사향고양이속, 술라웨시섬사향고양이속, 흰코사향고양이속, 아시아사향고양이속과 멸종된 속들을 포함하고, 일부 종은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 인도의 포유류 - 부탄타킨
부탄타킨은 부탄, 중국, 인도에 서식하며 해발 1,000~4,500m 고도의 숲에서 풀, 새싹, 나뭇잎 등을 먹는 주행성 포유류로, 불법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부탄의 국가 동물이다. - 인도의 포유류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갈색사향고양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식육목 |
아목 | 고양이아목 |
하목 | 사향고양이하목 |
과 | 사향고양이과 |
아과 |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 |
속 | 아시아사향고양이속 |
종 | 갈색사향고양이 (P. jerdoni) |
일반 정보 | |
이름 | 갈색사향고양이 |
학명 | Paradoxurus jerdoni |
명명자 | Blanford, 1885 |
보전 상태 | LC |
IUCN 3.1 | e.T16104A45201757 |
![]() |
2. 분류
학명 ''Paradoxurus jerdoni''은 1885년 윌리엄 토마스 블랜포드(William Thomas Blanford)가 토마스 C. 저든(Thomas C. Jerdon)을 기려 명명했으며,[2] 아종 ''caniscus''는 레지날드 이네스 포콕(Reginald Innes Pocock)이 기술했다.[3] 두 개의 아종이 있다.[4]
2. 1. 아종
학명 ''Paradoxurus jerdoni''은 1885년 윌리엄 토마스 블랜포드(William Thomas Blanford)가 처음 소개했다. 그는 코다이카날에서 수집된 갈색사향고양이의 두개골과 가죽을 묘사하면서, 앞쪽 구개의 긴 공과 프랜시스 데이(Francis Day)가 수집한 다른 동물 표본과 일치하는 가죽에 주목했다. 블랜포드는 이 종을 토마스 C. 저든(Thomas C. Jerdon)을 기려 명명했다.[2] 레지날드 이네스 포콕(Reginald Innes Pocock)은 남부 코르그의 비라지페트에서 수집된 표본을 바탕으로 아종 ''caniscus''를 기술했다.[3]
기준종인 ''P. j. jerdoni''와 ''P. j. caniscus''의 두 아종이 있다.[4]
3. 특징
갈색사향고양이는 머리, 목, 어깨, 다리, 꼬리 주변이 더 어두운 균일한 갈색 털을 가지고 있다. 때로는 털이 약간 회색을 띨 수도 있다. 털의 색상을 기준으로 두 개의 아종이 설명되었지만, 색상은 옅은 황갈색 또는 옅은 갈색에서 짙은 갈색까지 매우 다양하다. 짙은 꼬리는 때때로 흰색 또는 옅은 노란색 팁을 가지고 있다. 아시아사향고양이와 같이 몸이나 얼굴에 뚜렷한 무늬가 없다. 특징적인 특징은 스리랑카의 황금사향고양이와 유사하게 목덜미의 털이 반대 방향으로 자란다는 것이다. 일반 사향고양이만큼 크지만 길고 매끄러운 꼬리를 가지고 있다. 수컷의 체중은 3.6kg, 머리와 몸 길이는 430mm, 꼬리 길이는 380mm이다.[8][5][6]
4. 분포 및 서식지
갈색사향고양이의 분포는 서고츠 남단 문던투라이 타이거 보호지역부터 북쪽으로 고아 주 카르나타카 캐슬 록까지 이어진다.[17] 카르나타카 주, 캐슬 록에서 고아를 거쳐 칼라카드 문단투라이 호랑이 보호구역에 있는 서고츠 남단까지 분포한다.[7] 야행성이며, 이전에 생각했던 것만큼 희귀하지 않고 초기에는 현지에서 멸종된 것으로 간주했지만 코다이카날과 우타카문드에서 관찰된 기록이 있으며, 이는 남의 눈에 잘 띄지 않는 능력의 표지이다.[18]
해발 500m에서 1300m의 열대우림 지역에 서식한다.[8] 이 지역은 차와 커피 농장과 같이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구역 속에 열대 우림의 잔재가 남아 있는 단편화된 환경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은 커피 농장의 그늘 나무와 같이 다양한 과수 종의 존재에 달려 있다.[9]
5. 생태 및 행동
갈색사향고양이는 단독 생활을 하며 야행성이다. 낮에는 인도대왕쥐의 둥지, 수관 덩굴, 나무 구멍, 나뭇가지 갈라진 부분과 같은 은신처에서 휴식을 취한다. 낮 동안의 은신처가 되는 나무들은 크고, 보통 수관 연결이 높은 울창한 성숙림에 있다. 때때로 밤에는 탁 트인 나뭇가지에서 휴식을 취하기도 한다.[10]
갈색사향고양이는 주로 과식성이며 다양한 식물 종을 종자 산포하는 것으로, 서부 고츠 산맥 열대 우림에서 중요한 포유류 종자 산포자이다. 53종 이상의 토종 식물과 4종의 도입 식물의 열매가 이 종의 먹이의 약 97%를 차지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 이 종은 지름이 1cm 미만인 나무와 덩굴 식물의 열매를 주로 먹으며, 초본이나 관목의 열매는 드물게 먹는다. 열매는 다수의 씨앗이 들어있는 펄프질 장과, 중간에서 높은 수분 함량을 가진 핵과, 그리고 ''Palaquium ellipticum'', ''Elaeocarpus serratus'', ''Holigarna nigra'', ''Knema attenuata''와 같이 지름이 2cm 이상인 열매를 포함한다. 먹이 패턴은 열매의 가용성에 따라 연도별로, 심지어 같은 해 내에서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한 다양한 무척추동물과 척추동물을 먹기도 한다.[11] ''Cullenia exarillata''[12] 및 ''Syzygium'' 종의 꽃을 먹는 것도 기록되었다.[11]
6. 보존
광범위한 서식지와 여러 보호 구역 내에서의 존재로 인해, 갈색사향고양이는 보존 상태에 대한 우려가 낮은 것으로 분류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지역들은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코뿔새나 대형 비둘기와 같은 대형 포유류의 종자 산포자나 조류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갈색사향고양이는 인간의 영향이 큰 환경에서 중요한 종자 산포자로서 중요성을 얻으며 생물 다양성을 유지한다.[13]
참조
[1]
간행물
Paradoxurus jerdoni
2016
[2]
저널
Exhibition and description of a skull of an apparently new Species of Paradoxurus (Paradoxurus jerdoni)
https://archive.org/[...]
[3]
저널
The Palm Civets or 'Toddy Cats' of the genera Paradoxurus and Paguma inhabiting British India
[4]
간행물
[5]
저널
A Monograph of the Genus Paradoxurus, F. Cuvier
https://archive.org/[...]
[6]
서적
Fauna of British India. Mammalia
https://archive.org/[...]
Taylor and Francis, London
[7]
저널
The Brown Palm-Civet in North Kanara
https://www.biodiver[...]
[8]
저널
Distribution and status of the Brown Palm Civet in the Western Ghats, South India
https://www.research[...]
[9]
저널
Responses of small carnivores to rainforest fragmentation in the southern Western Ghats, India
https://www.research[...]
[10]
저널
Day-bed choice by the brown palm civet (Paradoxurus jerdoni) in the Western Ghats, India
[11]
저널
Diet and fruit choice of the brown palm civet Paradoxurus jerdoni, a viverrid endemic to the Western Ghats rainforest, India
[12]
저널
Flowering phenology and flower predation of Cullenia exarillata (Bombacaceae) by arboreal vertebrates in Western Ghats, India
[13]
저널
Two endemic viverrids of the Western Ghats, India
[14]
간행물
[15]
간행물
Paradoxurus jerdoni
[16]
서적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Volume 1. Carnivores
Lynx Edicions
[17]
저널
The Brown Palm-Civet in North Kanara
http://www.biodivers[...]
[18]
저널
Distribution and status of the Brown Palm Civet in the Western Ghats, South India
http://www.smallcarn[...]
2011-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