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봉균 (신경생물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봉균은 서울대학교 석좌교수이자 대한민국 국가과학자로, 신경생물학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다. 2000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인 에릭 캔들 교수의 제자로,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군소를 이용한 학습과 기억의 메커니즘 연구를 수행했으며, 서울대학교 부임 후 쥐 모델을 이용한 연구와 신경정신질환 연구를 진행했다. 듀얼 이그래스프 등 혁신적인 분자유전학적 방법을 연구에 적용하여 학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Nature, Science, Cell 등 주요 학술지에 23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뇌신경과학회 회장, 국제뇌과학기구 아시아-태평양지역 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대한민국학술원상,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삼성호암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신경과학자 - 김은준
    김은준은 KAIST 생명과학과 석좌교수이자 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단장으로, 뇌과학 분야, 특히 시냅스 기능과 관련된 뇌 질환 연구에 기여하며 ADHD 및 자폐증 관련 연구를 통해 질환 기전 규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네이처, 셀 등 저명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고 아산상, 포스코 청암상, 인촌상 등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신경과학자 - 신희섭 (신경과학자)
    신희섭은 서울대학교와 코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포항공과대학교, KIST, KAIST 등에서 뇌과학 연구를 선도하며 간질 및 마비 관련 유전자 발견 등 뇌 기능 조절에 미치는 칼슘 역학 변화 연구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신경과학자이다.
  • 대한민국 국가과학자 - 황준묵
    가야금 연주가 황병기와 소설가 한말숙의 아들이기도 한 대한민국의 수학자 황준묵은 기하학 분야에서 난제를 해결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국제 수학자 대회 초청 강연과 기조 강연,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과 호암상 과학상 수상, 아벨상 심사위원 위촉, 그리고 현재 기초과학연구원 복소기하학 연구단 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 국가과학자 - 신희섭 (신경과학자)
    신희섭은 서울대학교와 코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포항공과대학교, KIST, KAIST 등에서 뇌과학 연구를 선도하며 간질 및 마비 관련 유전자 발견 등 뇌 기능 조절에 미치는 칼슘 역학 변화 연구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신경과학자이다.
  •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 임지순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임지순은 전산재료물리학 분야를 개척하고 "Momentum-space formalism" 논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이론물리센터 소장 역임,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 권욱현
    권욱현은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를 역임한 대한민국의 제어공학자이자 교육자로, 벤처 창업 장려, 국산 과학기술 계산 패키지 개발 주도 등의 공헌으로 대한민국학술원상과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을 수상했다.
강봉균 (신경생물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과학자 정보
이름강봉균
image_fileSNU_neuroscientist_Kaang_Bong-Kiun_강봉균.jpg
태어난 날1961년 11월 21일
태어난 곳대한민국 제주도
국적대한민국
분야신경생물학
소속서울대학교
출신 대학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생물학과 석사
컬럼비아대학교 대학원 신경생물학 박사
주요 업적학습과 기억의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질환에 대한 연구

2. 생애

강봉균은 2000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인 에릭 캔들 교수의 제자로, 신경생물학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다.[1][2] 서울대학교 석좌교수이자 대한민국 국가과학자로 선정되었다.

최근에는 공동연구로 신경정신질환(통증, 가려움증, 자폐증) 등의 심화 연구를 하고 있다. 특히, 듀얼 이그래스프(dual eGRASP) 등 혁신적인 분자유전학적 방법을 연구에 적용하여 새로운 기억의 저장을 중재하는 시냅스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분자적 수준에서 정밀하게 밝히고 이 연구 분야를 특성화하여 학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강봉균은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2] 이후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2000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인 에릭 캔들 교수의 지도 하에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신경계 연구 모델인 군소(바다달팽이, Aplysia영어)를 이용하여 "학습과 기억의 메커니즘" 연구를 수행하였다.[1][2]

2. 2. 연구 경력

강봉균은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인 에릭 캔들 교수의 제자로,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재직 후 1994년 서울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였다.[1][2]

그의 연구 결과는 네이처, 사이언스, 셀을 비롯한 세계적인 학술지에 230편 이상 발표되었다.[1] 2008년부터 해외 학술지 'Molecular brain'의 편집장(Editor-in-Chief)을 맡고 있으며, 2018년부터 국제뇌과학기구(IBRO) 산하 아시아-태평양지역 위원회(APRC) 위원장, 2022년부터 미국신경과학회(Society for Neuroscience) 학술프로그램 분과장을 역임하고 있다.[1]

2012년 대한민국 국가과학자에 선정되었고, 2014년에는 서울대학교 신경생물학연구실이 국가지정연구실로 선정되었다.[1] 2019년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으로 위촉, 2021년 서울대학교 석좌 교수로 선정되었으며, 2023년 IBS(기초과학연구원) 인지·사회성 연구단장에 선임되었다.[1]

2016년 한국뇌신경과학회 회장, 2017년 세계 뇌 주간 행사를 공동 개최하는 한국뇌연구협회 회장을 역임하였다.[1]

2. 2. 1. 초기 연구 활동 (군소 연구)

강봉균은 2000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인 에릭 캔들 교수의 제자로,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박사 과정 동안 신경계 연구 모델인 군소(바다달팽이, Aplysia영어)를 이용한 "학습과 기억의 메커니즘" 연구를 수행하였다.[1][2] 박사 학위 취득 후, 에릭 캔들 교수가 연구소장으로 있던 컬럼비아대학교 신경생물학연구소에서 초빙 연구원(Postdoctoral Fellow)으로 연구를 이어갔다.

1994년 서울대학교 교수로 부임한 후에는 군소를 이용한 EST Database를 정립하고, 세로토닌 수용체를 클로닝하여 장기시냅스 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밝혔다. 또한, ApLLP, CAMAP, ApPDE4, ApAUF1 유전자 등의 기능을 규명하였다.

2. 2. 2. 서울대학교 부임 후 연구 활동 (쥐 모델 및 심화 연구)

1994년 서울대학교 교수로 부임한 후, 강봉균은 군소를 이용한 EST 데이터베이스를 정립하고, 세로토닌 수용체를 클로닝하여 장기 시냅스 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1][2] 또한, ApLLP, CAMAP, ApPDE4, ApAUF1 유전자 등의 기능을 규명했다. 분자생물학, 전기생리학, 행동실험을 통합한 연구 방법을 통해 군소뿐만 아니라 쥐와 같은 더 복잡한 동물 모델에서도 학습과 기억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쥐 모델 연구에서는 기억 재구성 과정에서 일어나는 단백질 분해 과정의 중요성을 밝히고, PI3K 감마가 해마의 장기 시냅스 저하와 인지 기능의 유연성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최근에는 공동 연구를 통해 신경정신질환(통증, 가려움증, 자폐증)에 대한 심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전대상피질(ACC)의 PKM 제타가 신경병증성 통증 유지에 중요하다는 것과 Shank2 유전자가 제거된 자폐증 쥐에서 NMDA 수용체 의존적 시냅스 가소성이 사라진다는 것을 밝혀냈다.

특히, 듀얼 이그래스프(dual eGRASP) 등 혁신적인 분자유전학적 방법을 연구에 적용하여 새로운 기억 저장을 중재하는 시냅스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분자 수준에서 정밀하게 밝혀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2. 2. 3. 최근 연구 활동 (신경정신질환 연구 및 듀얼 이그래스프)

강봉균 교수는 최근 공동연구를 통해 신경정신질환(통증, 가려움증, 자폐증) 등에 대한 심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1] 전대상피질(ACC)의 PKM 제타가 신경 병증성 통증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과 Shank2 유전자가 제거된 자폐증 쥐에서 NMDA 수용체 의존적 시냅스 가소성이 사라진 것을 밝힌 연구 등이 대표적이다.[1]

특히, 듀얼 이그래스프(dual eGRASP) 등 혁신적인 분자유전학적 방법을 연구에 적용하여 새로운 기억의 저장을 중재하는 시냅스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분자적 수준에서 정밀하게 밝히고 이 연구 분야를 특성화하여 학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1]

2. 3. 학문적 업적 및 수상

강봉균은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인 에릭 캔들 교수의 제자로, 신경생물학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다.[1][2] 서울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 서울대학교 교수로 부임한 후, 군소(바다달팽이)와 쥐를 이용한 학습 및 기억 메커니즘 연구를 통해 세계적인 학술지에 23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1][2]

특히, 듀얼 이그래스프(dual eGRASP) 등 혁신적인 분자유전학적 방법을 연구에 적용하여 기억 저장과 관련된 시냅스 변화를 분자 수준에서 밝혀냈다.

학문적 업적과 관련하여 국내외 수상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구분내용
2007년정부교육과학기술부 선정 우수과학자 10인
2008년학회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학술상, 생명과학상
2010년학회[https://kast.or.kr/kr/member/member_view.php?idx=4692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11년대학서울대학교 우수연구상
2012년학회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동헌생화학상
2012년정부[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780489?sid=101 대한민국 국가과학자] 선정
2014년정부서울대학교 신경생물학연구실 국가지정연구실 선정
2016년학회[https://www.ksbns.org/info/officer.asp 한국뇌신경과학회] 회장
2016년정부[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707500165 미래창조과학부 선정 국가연구개발 최우수성과]
2016년정부[https://biosci.snu.ac.kr/board/news?bm=v&bbsidx=16278 대한민국학술원상]
2017년학회한국뇌연구협회 회장
2018년학회[https://ibro.org/ 국제뇌과학기구(IBRO)] 산하 아시아-태평양지역 위원회(APRC) 위원장
2018년정부[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22886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대상(대통령상)]
2021년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진흥 유공자 포상
2021년대학[https://www.mk.co.kr/news/society/10015622 서울대학교 석좌 교수]
2021년기타[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45454 삼성호암상] 화학·생명과학부문 과학상
2022년학회미국신경과학회(Society for Neuroscience) 학술프로그램 분과장
2023년기타IBS(기초과학연구원) 인지·사회성 연구단장


2. 4. 학회 및 사회 활동

강봉균은 2016년에 한국뇌신경과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2017년에는 세계 뇌 주간 행사를 공동 개최하는 한국뇌연구협회 회장을 역임하였다.[1] 2008년부터 해외 학술지 Molecular brain의 편집장(Editor-in-Chief)직을 맡고 있으며, 2018년부터 국제뇌과학기구(IBRO, International Brain Research Organization) 산하 아시아-태평양지역 위원회(APRC) 위원장, 2022년부터 미국신경과학회(Society for Neuroscience) 학술프로그램 분과장을 역임하는 등 뇌과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리더로 활동하고 있다.

3. 학력

4. 경력


  • 1992 ~ 1994 :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신경생물학연구소 초빙연구원(Postdoctoral Fellow)
  • 1994 ~ 1998 : 서울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조교수
  • 1998 ~ 2000 : 서울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부교수
  • 2000 ~ 2004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부교수
  • 2004 ~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교수
  • 2008 ~ : Molecular Brain 편집위원장
  • 2009 ~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뇌인지과학과 교수
  • 2010 ~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 2016 : 한국뇌신경과학회 회장
  • 2017 : 한국뇌연구협회 회장
  • 2018 ~ : 국제뇌과학기구(IBRO, International Brain Research Organization) 산하 아시아-태평양지역 위원회(APRC) 위원장
  • 2021 ~ : 서울대학교 석좌교수
  • 2022 ~ : 미국신경과학회(Society for Neuroscience) 학술프로그램 분과장
  • 2023 ~ : IBS(기초과학연구원) 인지·사회성 연구단장

5. 수상

연도수상 내역
2007년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연구대상
2007년교육과학기술부 10인의 우수과학자상
2008년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학술상, 생명과학상
2010년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11년서울대학교 우수연구상
2012년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 동헌생화학상, 경암학술상 생명과학부문, 대한민국 국가과학자 선정
2014년서울대학교 신경생물학 연구실 국가지정연구실(NRF) 선정
2016년미래창조과학부 국가연구개발최우수성과, 대한민국학술원상 선정
2018년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대상(대통령상)
2019년대통령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위촉
2021년삼성호암상 (화학·생명과학부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진흥 유공자 포상


참조

[1] 논문 Overexpression of an Aplysia shaker K+channel gene modifies the electrical properties and synaptic efficacy of identified Aplysia neurons 1992
[2] 논문 Activation of cAMP-responsive genes by stimuli that produce long-term facilitation in Aplysia sensory neurons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