갸충캉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갸충캉 산은 히말라야 산맥에 위치한 산으로, 1964년 가토 유키히코와 사카이자와 키요토가 북서릉을 통해 초등했다. 이후 야스히사 카즈시게와 마치다 카즈노부가 제2등에 성공했으며, 1999년 마르코 프레젤리와 안드레 슈트렘펠리가 북벽 초등을 달성했다. 2002년 야마노이 야스시가 북벽 제2등에 성공했고, 2005년 하나다 히로시와 시게카와 에이스케가 남서릉 초등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말라야산맥의 7000미터 봉우리 - 나디출리
티베트 자치구에 위치한 나디출리 산은 가파른 서쪽 면과 툴라기 빙하 인접, 1979년 폴란드 원정대의 초등, 1970년 일본 원정대의 등반 시도, 그리고 1982년 영국 육군 산악 협회 원정대 이후 등반 시도가 없는 산이다. - 히말라야산맥의 7000미터 봉우리 - 남차바르와산
남차바르와산은 티베트 자치구 동남부에 위치한 히말라야 산맥의 봉우리로, 야를룽장포강이 주변을 U자 형태로 우회하며 험준한 지형과 악천후로 등반이 어려워 1992년에 초등되었고 콩포 티베트인들에게 신성한 산으로 여겨진다. - 네팔-중국 국경 - 에베레스트산
에베레스트산은 해발 8,848m의 세계 최고봉으로, 네팔과 티베트에서 각각 사가르마타, 초모랑마로 불리며, 1953년 힐러리와 텐징에 의해 초등되었으나 험준한 지형과 기후, 상업 등반으로 인한 안전 및 환경 문제가 남아있는 셰르파족에게 신성한 산이다. - 네팔-중국 국경 - 로체산
로체산은 해발 8,516m로 세계 네 번째로 높은 산이며, 1956년 스위스 원정대에 의해 초등되었고, 에베레스트 등반 경로와 유사한 표준 등반로를 가지며, 로체 샤르, 로체 미들 등의 부속 봉우리와 난공불락으로 여겨지는 남벽을 포함한다. - 네팔의 산 - 에베레스트산
에베레스트산은 해발 8,848m의 세계 최고봉으로, 네팔과 티베트에서 각각 사가르마타, 초모랑마로 불리며, 1953년 힐러리와 텐징에 의해 초등되었으나 험준한 지형과 기후, 상업 등반으로 인한 안전 및 환경 문제가 남아있는 셰르파족에게 신성한 산이다. - 네팔의 산 - 안나푸르나산
안나푸르나산은 네팔 히말라야 산맥에 위치하며 8,000m가 넘는 봉우리들을 포함하며, 안나푸르나 1봉은 세계 10위 봉우리이고 트레킹 코스로도 유명하다.
| 갸충캉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높이 | 7,952 |
| 높이 순위 | 15위 |
| 돌출높이 | 700 |
| 위치 | 네팔 - 중국 |
| 산맥 | 마할랑구르 히말, 히말라야 산맥 |
| 좌표 | 28°05′53″N 86°44′32″E |
| 등반 정보 | |
| 첫 등반 | 1964년 일본 팀 |
| 쉬운 등반 경로 | 빙하/눈/얼음 등반 |
| 언어별 명칭 | |
| 네팔어 | ग्याचुङ्काङ |
| 중국어 | 格重康峰 (Géchóngkāng Fēng) |
| 영어 | Gyachung Kang |
2. 등정사
갸충캉산은 히말라야 산맥에 위치하며, 셸파어로 "백 개의 계곡이 모이는 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해발 고도가 8,000 미터 봉우리에 약간 못 미치고 접근성이 낮아 등반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은 편이다.
최초 등정은 1964년 일본 나가노현 산악 연맹 원정대에 의해 북서릉 루트로 이루어졌다. 이후 1999년 슬로베니아 원정대가 북벽을 처음 등반하는 등 여러 루트가 개척되었다. 초등 이후에도 오랫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2002년 야마노이 야스시의 북벽 등반 중 조난 및 생환과 이를 다룬 사와키 고타로의 저서 『얼음』을 통해 대중적 인지도를 얻게 되었다.
2. 1. 초등
1964년 4월 10일, 일본의 나가노현 산악 연맹 원정대가 북서릉 루트를 통해 처음으로 정상에 올랐다. 초등정 멤버는 가토 유키히코와 사카이자와 키요토였으며, 다음 날인 4월 11일에는 같은 원정대의 야스히사 카즈시게와 마치다 카즈노부가 두 번째로 등정했다. 이 등반은 극지법으로 이루어졌으나, 산소통 불량 문제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무산소 등정이 되었다.이후 여러 루트를 통한 등반이 이루어졌으며, 주요 등반 기록은 다음과 같다.
| 날짜 | 등반자 | 국적/소속 | 루트 | 비고 |
|---|---|---|---|---|
| 1964년 4월 10일 | 가토 유키히코, 사카이자와 키요토 | 일본 (나가노현 산악 연맹) | 북서릉 | 초등 (무산소) |
| 1964년 4월 11일 | 야스히사 카즈시게, 마치다 카즈노부 | 일본 (나가노현 산악 연맹) | 북서릉 | 제2등 |
| 1999년 봄 | 마르코 프레젤리, 안드레 슈트렘펠리 | 슬로베니아 | 북벽 | 북벽 초등 |
| 2002년 9월 8일 | 야마노이 야스시 | 일본 | 북벽 | 북벽 제2등 |
| 2005년 10월 17일 | 하나다 히로시, 시게카와 에이스케 | 일본 (후쿠오카 대학 산악회) | 남서릉 | 남서릉 초등 |
8,000 미터 봉우리에 비해 약간 낮은 높이와 긴 접근로 때문에 등반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일본인에 의해 초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2002년 야마노이 부부가 북벽 등반 후 하산 중 눈사태를 만나 조난되었다가 극적으로 생환한 사건과, 이를 다룬 사와키 고타로의 논픽션 『얼음』(凍)이 출간되면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2. 2. 주요 등정
1964년 4월 10일, 나가노현 산악 연맹 원정대의 가토 유키히코와 사카이자와 키요토가 북서릉을 통해 처음으로 정상에 올랐다. 다음 날인 4월 11일에는 야스히사 카즈시게와 마치다 카즈노부가 두 번째로 등정했다. 이 초등은 극지법으로 시도되었으나, 산소통 불량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무산소 등정이 되었다.북벽은 1999년 슬로베니아 원정대의 마르코 프레젤리와 안드레 슈트렘펠리가 처음으로 등반했으며, 2002년에는 야마노이 야스시가 두 번째로 북벽 등정에 성공했다.
갸충캉산은 셸파어로 "백 개의 계곡이 모이는 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해발 고도가 8,000m에 약간 못 미치고 접근로가 길어 주변의 유명 봉우리들에 비해 등반 횟수가 적은 편이다. 이러한 이유로 초등이 일본 등반대에 의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잘 알려지지 않은 산이었다. 그러나 2002년 야마노이 야스시 부부가 등반 중 눈사태를 만나 조난되었다가 극적으로 생환한 사건과, 이 경험을 바탕으로 사와키 고타로가 쓴 논픽션 『얼음』이 출간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 날짜 | 등반가 | 국적/소속 | 경로 | 비고 |
|---|---|---|---|---|
| 1964년 4월 10일 | 가토 유키히코, 사카이자와 키요토 | 일본 (나가노현 산악 연맹) | 북서릉 | 초등정. (다음 날 야스히사 카즈시게, 마치다 카즈노부 제2등) |
| 1999년 봄 | 마르코 프레젤리, 안드레 슈트렘펠리 | 슬로베니아 | 북벽 | 북벽 초등정 |
| 2002년 9월 8일 | 야마노이 야스시 | 일본 | 북벽 | 북벽 제2등정 |
| 2005년 10월 17일 | 하나다 히로시, 시게카와 에이스케 | 일본 (후쿠오카 대학 산악회) | 남서릉 | 남서릉 초등정 |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갸충캉산의 남부 및 북부 등반 경로를 조망할 수 있다.
3. 경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