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검암경서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암경서동은 인천광역시 서구에 속하는 행정동으로, 1977년 서곶출장소 설치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행정 구역 조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법정동으로는 백석동, 시천동, 검암동, 경서동이 있으며, 검암동은 '검은 바위'에서, 경서동은 경명현 서쪽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백석동은 흰 돌이 있는 산에서, 시천동은 시냇물이 시작되는 곳에서 유래되었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암역, 독정역, 검바위역이 위치하며, 다수의 초·중·고등학교가 있어 교육 시설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서구의 행정동 - 검단동 (인천)
    인천광역시 서구 북서부에 위치한 검단동은 김포군에서 편입되어 분동 및 통합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김포와 인접하고 택지 개발로 도농 복합적인 성격을 가진다.
  • 인천 서구의 행정동 - 아라동 (인천)
    인천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아라동은 원당동에서 분동되어 검단신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교통망 확충과 주거 및 문화 시설이 개선되고 있다.
  • 인천 서구의 행정 구역 - 서구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서구는 삼국시대부터 행정 구역 명칭이 변경되어 오다 1988년 북구에서 분리 설치되었고, 1995년 김포군 검단면을 편입하여 현재 58만 명이 넘는 인구에 21개의 법정동과 2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철도 및 도로 교통망과 여러 산업 시설을 갖춘 인천의 구이다.
  • 인천 서구의 행정 구역 - 검단동 (인천)
    인천광역시 서구 북서부에 위치한 검단동은 김포군에서 편입되어 분동 및 통합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김포와 인접하고 택지 개발로 도농 복합적인 성격을 가진다.
  • 1998년 설치 - 서울수서경찰서
    서울수서경찰서는 1998년 강남구 개포동에서 개서하여 112치안종합상황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강남구 테헤란로 남쪽 지역을 관할한다.
  • 1998년 설치 - 여수시
    여수시는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한, 고조선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조선시대 해군 기지로서 기능했고 1998년 통합을 거쳐 2012년 세계박람회 개최로 국제적인 도시가 되었으며 석유화학산업 중심의 경제와 아름다운 해안,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가진 도시이다.
검암경서동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검암경서동
한자 표기黔岩景西洞
로마자 표기Geomamgyeongseo-dong
광역시도인천광역시
시군구서구
면적15.23
세대19,208
세대 조사2018.7.31.
인구45,210
인구 조사2022년 2월
법정동백석동, 시천동, 검암동, 경서동
52
219
동주민센터인천광역시 서구 승학로 480
홈페이지서구 검암경서동 주민센터

2. 연혁

2. 1. 검암동

검암동은 '검은 바위'를 뜻하며, 서인천고등학교 담장 옆에 둘레 20여 미터의 검은 바위가 있었다는 유래에 의해 명명되었다고 한다. 원래 부평군 석곶면 검암리였으나 부평군 모월곶면과 통합하여 부천군 서곶면이 되었다가 1940년 인천부에 편입되었고, 해방 후 검암동으로 개칭되었다. 1977년 백석동, 시천동을 편입하였다. 이곳은 전형적인 농촌 마을로 예부터 검암, 간개발, 시내, 점말 등의 소규모 촌락이 산재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토지 구획 정리 사업이 완료되어 신흥 도시 지역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2]

2. 2. 경서동

경명현(징쟁이 고개) 서쪽에 있는 마을이란 뜻으로, 원래 부평군 석곶면 고잔리였으나 1914년에 부평군 모월곶면과 통합하여 부천군 서곶면에 속했으며, 1940년 인천부에 편입되어 이가정으로 불리었다. 1946년에 경서동이라 명명하게 되었다. 서해안 지역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염전이 많았으며 청라도, 난지도, 소문점도, 사도 등 여러 섬이 속해 있었다. 그러나 1986년 후 요도와 이도, 묘도를 연결하는 대간척사업이 완성됨으로써 약 천만 평의 새로운 땅이 생기고 여러 섬이 육지가 되었다. 현재는 경서구획정리 사업이 완료되어 신흥도시로 부상하고 있다.[2]

2. 3. 백석동

백석동은 뒷산의 주봉이 흰 돌로 이루어진 데서 생긴 이름으로, 옛 부평군 석곶면 백석리였다. 1914년 부평군 모월곶면과 통합하여 부천군 서곶면이 되었으나, 1940년 인천부에 편입되어 운양정이 되었고, 1946년 옛 이름인 백석동으로 불리게 되었다.[2] 자연마을인 한들부락의 이름이 한둘, 한돌 등으로 불리던 것을 "흰돌"로 잘못 알아듣고 한자로 옮겼다는 유래도 있다.[3]

2. 4. 시천동

시천동은 예부터 계양산 계곡에서 흐른 물이 시내를 이뤄, 시냇물이 시작된 곳이란 뜻에서 명명되었다. 지금도 "시천"이란 하천이 흐르고 있다. 이곳은 부평군 석곶면 백석리였으나, 1914년 부평군 모월곶면과 통합하여 부천군 서곶면이 되었고, 1940년 인천부에 편입되어 춘일정이 되었다. 1946년 시천동으로 불리게 되었다.[2]

2. 5. 검암경서동

검암동은 '검은 바위'를 뜻하며, 인광중학교(현 서인천고등학교) 담장 옆에 둘레 20여 미터의 검은 바위가 있었다는 유래에 의해 명명되었다고 한다. 원래 부평군 석곶면 검암리였으나 부평군 모월곶면과 통합하여 부천군 서곶면이 되었다가 1940년 인천부에 편입되었고, 해방 후 검암동으로 개칭되었다. 1977년 백석동, 시천동을 편입하였다. 이곳은 전형적인 농촌 마을로 예부터 검암, 간개발, 시내, 점말 등의 소규모 촌락이 산재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토지 구획 정리 사업이 완료되어 신흥 도시 지역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2]

경서동은 경명현(징쟁이 고개) 서쪽에 있는 마을이란 뜻으로, 원래 부평군 석곶면 고잔리였으나 1914년에 부평군 모월곶면과 통합하여 부천군 서곶면에 속했으며, 1940년 인천부에 편입되어 이가정으로 불리었으며 1946년에 경서동이라 명명하게 되었다. 서해안 지역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염전이 많았으며 청라도, 난지도, 소문점도, 사도 등 여러 섬이 속해 있었다. 그러나 1986년 후 요도와 이도, 묘도를 연결하는 대간척사업이 완성됨으로써 약 천만 평의 새로운 땅이 생기고 여러 섬이 육지가 되었다. 현재는 경서구획정리 사업이 완료되어 신흥도시로 부상하고 있다.[2]

백석동은 뒷산의 주봉이 흰돌로 이루어진 데서 생긴 이름으로 옛 부평군 석곶면 백석리였다. 1914년 부평군 모월곶면과 통합하여 부천군 서곶면이 되었으나, 1940년 인천부에 편입되어 운양정이 되었고, 1946년 옛 이름인 백석동으로 불리게 되었다.[2] 자연마을인 한들부락의 이름이 한둘, 한돌 등으로 불리던 것을 "흰돌"로 잘못 알아듣고 한자로 옮겼다는 유래도 있다.[3]

시천동은 예부터 계양산 계곡에서 흐른 물이 시내를 이뤄, 시냇물이 시작된 곳이란 뜻에서 명명되었다. 지금도 "시천"이란 하천이 흐르고 있다. 이곳은 부평군 석곶면 백석리였으나, 1914년 부평군 모월곶면과 통합하여 부천군 서곶면이 되었고, 1940년 인천부에 편입되어 춘일정이 되었다. 1946년 시천동으로 불리게 되었다.[2]

3. 지명 유래

검암동은 '검은 바위'를 뜻하며, 서인천고등학교 담장 옆에 있던 바위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경서동은 경명현(징쟁이 고개) 서쪽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다. 백석동은 뒷산 주봉이 흰 돌로 이루어진 데서 유래했으며, '한들부락'의 이름과 관련한 유래도 있다. 시천동은 계양산 계곡에서 흐른 물이 시내를 이룬 것에서 유래했다.[2]

3. 1. 검암동

검암동은 '검은 바위'를 뜻하며, 인광중학교(현 서인천고등학교) 담장 옆에 둘레 20여 미터의 검은 바위가 있었다는 유래에 의해 명명되었다고 한다. 원래 부평군 석곶면 검암리였으나 부평군 모월곶면과 통합하여 부천군 서곶면이 되었다가 1940년 인천부에 편입되었고, 해방 후 검암동으로 개칭되었다. 1977년 백석동, 시천동을 편입하였다. 이곳은 전형적인 농촌 마을로 예부터 검암, 간개발, 시내, 점말 등의 소규모 촌락이 산재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토지 구획 정리 사업이 완료되어 신흥 도시 지역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2]

3. 2. 경서동

경명현(징쟁이 고개) 서쪽에 있는 마을이란 뜻으로, 원래 부평군 석곶면 고잔리였으나 1914년에 부평군 모월곶면과 통합하여 부천군 서곶면에 속했으며, 1940년 인천부에 편입되어 이가정으로 불리었다. 1946년에 경서동이라 명명하게 되었다. 서해안 지역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염전이 많았으며 청라도, 난지도, 소문점도, 사도 등 여러 섬이 속해 있었다. 그러나 1986년 후 요도와 이도, 묘도를 연결하는 대간척사업이 완성됨으로써 약 천만 평의 새로운 땅이 생기고 여러 섬이 육지가 되었다. 현재는 경서구획정리 사업이 완료되어 신흥도시로 부상하고 있다.[2]

3. 3. 백석동

백석동은 뒷산의 주봉이 흰 돌로 이루어진 데서 생긴 이름으로, 옛 부평군 석곶면 백석리였다. 1914년 부평군 모월곶면과 통합하여 부천군 서곶면이 되었으나, 1940년 인천부에 편입되어 운양정이 되었다. 1946년 옛 이름인 백석동으로 불리게 되었다.[2] 자연마을인 한들부락의 이름이 한둘, 한돌 등으로 불리던 것을 "흰돌"로 잘못 알아듣고 한자로 옮겼다는 유래도 있다.[3]

3. 4. 시천동

시천동은 예부터 계양산 계곡에서 흐른 물이 시내를 이뤄, 시냇물이 시작된 곳이란 뜻에서 명명되었다. 지금도 "시천"이란 하천이 흐르고 있다. 이곳은 부평군 석곶면 백석리였으나, 1914년 부평군 모월곶면과 통합하여 부천군 서곶면이 되었고, 1940년 인천부에 편입되어 춘일정이 되었다. 1946년 시천동으로 불리게 되었다.[2]

4. 법정동

5. 교육

검암경서동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모두 잘 갖추어져 있다.


5. 1. 초등학교

5. 2. 중학교

5. 3. 고등학교

백석고등학교[1]

한국주얼리고등학교[1]

서인천고등학교[1]

대인고등학교[1]

6. 교통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이 지나간다. 검암역, 독정역, 검바위역이 이 지역에 있다.

6. 1. 철도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암역, 독정역, 검바위역

7. 아파트

검암경서동에는 다양한 아파트 단지가 있다. 주요 아파트 단지로는 풍림산업이 건설한 검암 1, 2, 3차 풍림아이원, 신명종합건설㈜의 검암 1, 2, 3, 4차 신명스카이뷰, ㈜태평주택의 경서 태평샹베르, 가이아건설㈜와 ㈜세계건설의 경서2차 가이아샹베르, 대광건영㈜의 경서아시아드 대광로제비앙, 대우건설검암역 로열파크씨티 푸르지오와 연희공원 푸르지오 라 끌레르, 호반건설의 연희공원 호반써밋 더 파크(2026년 12월 예정) 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주요 아파트 단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7. 1. 주요 아파트 단지

단지명건설사시행사주소입주비고
검암 1차 풍림아이원풍림산업풍림산업㈜검암로20번길 472003년 9월
검암 2차 풍림아이원일주건설㈜검암로 532004년 5월
검암 3차 풍림아이원풍림산업㈜검암로10번길 392004년 7월
검암 1차 신명스카이뷰신명종합건설㈜신명주택건설㈜승학로 4472003년 7월
검암 2차 신명스카이뷰신명종합건설㈜검암로10번길 542003년 10월
검암 3차 신명스카이뷰승학로471번길 72004년 5월
검암 4차 신명스카이뷰신명산업개발㈜검암로10번길 362004년 8월
경서 태평샹베르㈜태평주택도요지로 152005년 2월
경서2차 가이아샹베르가이아건설㈜
㈜세계건설
가이아건설㈜경서로31번길 472005년 3월
경서아시아드 대광로제비앙대광건영㈜㈜대광에이엠씨모월곶로 412017년 12월
검암역 로열파크씨티 푸르지오대우건설㈜디케이도시개발
㈜디케이아시아
한들로 33 (1단지)2023년 6월
한들로 73 (2단지)
연희공원 푸르지오 라 끌레르대우건설
연희공원 호반써밋 더 파크호반건설㈜연희파크2026년 12월 (예정)


참조

[1] 웹사이트 검암경서동 인사말 http://www.seo.inche[...] 2015-09-06
[2] 웹사이트 검암경서동 연혁/유래 http://www.seo.inche[...] 2015-09-06
[3] 블로그 인천서구청 블로그 노을노리 - 사진으로 보는 서구 풍경 14탄, 한들방죽 http://noulnori.net/[...] 2016-03-04
[4] 웹사이트 청라동 법정동 설치에 따른 행정구역 지번별 변경 조서 안내 http://www.seo.inch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