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계양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양산은 인천광역시의 산으로, 고려 시대에는 안남산으로 불리다가 계양도호부 설치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굳어졌다. 산 동쪽 능선에는 삼국 시대에 축조된 계양산성이 있으며, 산성 집수정에서 《논어》 목간이 출토되었다. 1944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공원으로 지정되었고, 현재는 인천지하철 1호선 계산역에서 접근 가능한 등산 코스로 이용되고 있다. 과거 롯데그룹의 골프장 건설 계획으로 개발 논쟁이 있었으며, 디지털 TV 및 지상파 DMB 방송 송신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계양산은 공촌천과 시천천의 발원지이며, OBS 인사이드 및 KBS 환경 스페셜 등 관련 TV 프로그램에서 다뤄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계양구의 지리 - 굴포천
    굴포천은 칠성약수터에서 한강까지 흐르는 하천으로, 과거에는 원통천 등으로 불렸으며 고려와 조선 시대에 운하 건설 시도가 있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수리 사업이 진행되었으며, 산업화 시대를 거쳐 일부 복개되었으나 2008년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다.
  • 인천 계양구의 지리 - 서부간선수로
  • 인천광역시의 공원 - 월미도
    월미도는 인천 중구에 위치한 섬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지명의 유래에 대한 여러 설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군사적 요충지이자 유원지로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월미공원과 놀이시설을 갖춘 관광 명소이다.
  • 인천광역시의 공원 - 자유공원 (인천)
    자유공원은 인천에 위치한 공원으로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이 투영된 공간이며, 각국공원에서 시작해 만국공원을 거쳐 맥아더 장군 동상 건립 후 현재 이름으로 바뀌었고, 기념 시설과 문화 시설 및 시가지와 항구를 조망할 수 있는 경관을 자랑하며 벚꽃 축제가 열리지만 일제강점기 잔재 논란도 있는 곳이다.
  • 인천광역시의 산 - 마니산
    마니산은 강화군에 있는 산으로, 단군이 제사를 지냈다는 참성단이 있으며, 한국인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중요한 장소로 여겨지고 매년 개천절에 제례 행사가 열린다.
  • 인천광역시의 산 - 고려산
    고려산은 강화도에 위치한 산으로, 고구려 시대 혈구군에 속했으며 연개소문이 태어났다는 전승에 따라 유적지 비석이 세워졌다.
계양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계양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등산로에서 서쪽을 바라본 모습
계양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등산로에서 서쪽을 바라본 모습
기본 정보
이름계양산
로마자 표기Gyeyangsan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Kyeyangsan
위치인천광역시 계양구
높이395m
산맥한남정맥

2. 상세

계양산은 고려 초기 '''수주악'''(樹州岳), 고려 의종 이후 '''안남산'''(安南山)으로 불리다가 고려 고종 때 계양도호부가 설치된 후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3] 조선 시대 대동여지도에는 안남산으로 표기되어 있기도 하다. 계수나무회양목이 많이 자생하여 계양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4] '''아남산'''(阿南山), '''경명산'''(景明山)으로 불리기도 했으며,[3] 《동국여지승람》에는 '''진산''' 또는 '''안남산'''으로 기록되어 있다.

산 동쪽 능선에는 계양산성이 있고, 서쪽에는 조선 고종 때 해안 방비용으로 징매이고개를 따라 중심성(衆心城)이 축조되어 있었다.[3]

1944년 1월 8일 조선총독부관보를 통해 계양산 전체를 공원으로 지정하였고,[7] 1988년에는 인천시 시공원 제1호로 지정되었다.

계양산 높이는 395m로 인천 도심 지역에서 가장 높으며,[8] 초보 등산객이 오르기에 적합하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계산역에서 등산로 입구까지 도보로 5분 거리이며, 등산로는 연무정에서 시작한다. 중간에 팔각정을 지나 하느재고개를 넘어 경사진 계단을 오르면 정상에 도착할 수 있다. 정상에는 계양정[9]과 표지석, 망원경 등이 설치되어 있다. 날씨가 좋으면 정상에서 서쪽으로는 강화도-영종도, 북쪽으로는 고양시, 남쪽으로는 인천광역시를 볼 수 있다.[2] 주능선 등산로는 그늘이 없어 여름철보다는 봄철 산행지로 적합하다.

2. 1. 계양산성

계양산성(桂陽山城)은 삼국 시대 때 축조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산성(古山城)으로도 불린다. 축조 형식은 지형 분류상 산정식(山頂式)이고, 방법상으로는 내탁식(內托式)으로 안쪽은 불규칙한 할석(割石)으로 쌓았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관방성곽조〉(關防成廓條)에 의하면 둘레가 1937보(步)라고 기록되어 있다.[5] 현재 성곽 대부분이 훼손된 상태이다.[5]

집수정 바닥에서는 《논어》 〈공야장〉의 주요 내용이 기록된 목간이 출토되었는데, 5각형의 각 면에 《논어》 구절이 으로 쓰여 있다. 이 목간은 한성백제 시기의 유물로, 한국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목간으로 추정된다.[6]

2. 2. 목간 출토

집수정 바닥에서 《논어》 〈공야장〉의 주요 내용이 기록된 목간이 출토되었는데, 오각형의 각 면에 《논어》의 구절이 으로 쓰여 있다. 한성백제 시기의 유물로 한국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목간으로 추정된다.[6]

3. 개발 논쟁

롯데그룹은 계양산에 골프장을 건설하겠다는 개발 계획을 발표하여 개발을 반대하는 지역 기독교계 및 시민 단체들과 갈등을 겪었다. 2008년 2월 11일, 환경부건설교통부 중앙도시계획원회 심의를 앞두고 계양산 롯데 골프장 건설과 관련해 환경성 검토 결과 ‘조건부 동의’ 협의 의견을 제출했다. 환경부는 소나무 군락지를 사업 대상지에서 제외하고 훼손지 중심으로만 개발할 것을 조건으로 제시했다.[10] 2011년 6월, 인천광역시는 도시관리계획안에서 다남동 대중골프장의 체육시설을 폐지하기로 결정하였다.[11] 2012년 6월 해당 결정이 의결되었으나, 롯데건설이 11월 19일 ‘도시계획시설 폐지 고시 행정심판’ 및 ‘사업시행자 지정 반려처분 취소 행정소송’에서 승소하자 인천광역시는 항소하였다.[12] 2014년 2월, 롯데건설 등이 인천지방법원에 청구한 ‘도시관리계획 폐지 결정 취소청구’는 기각되었다.[13]

4. 방송 송신 시설

계양산에는 YTN DMB, QBS, MBC DMB, U-KBS, SBS(u) 등의 지상파 DMB 방송 송신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4. 1. 디지털 TV

가상채널방송국명호출부호물리채널출력가시청권
CH 6-1SBS TVHLSQ-DTVCH 35100W수도권 서부
CH 7-1KBS 2 디지털TVHLQS-DTVCH 47100W
CH 8-1OBS경인TVHLQS-DTVCH 36500kW
CH 9-1KBS경인 D1TVHLAY-DTVCH 38100W
CH 11-1MBC TVHLKV-DTVCH 43100W


4. 2. 지상파 DMB

YTN DMB, QBS, MBC DMB, U-KBS, SBS(u)의 지상파 DMB 방송 송신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앙상블명방송국명호출부호채널(주파수)출력가시청권
YTN DMBmYTNHLMA-TDMBCH 8-B
(183.008 MHz)
rowspan="20" |수도권, 충남북부 일부
HD mYTN
LOTTE Homeshop(임대채널)
QBSQBS YonhapTVHLMC-TDMBCH 8-C
(184.736 MHz)
HD QBS YonhapTV
CJ O SHOPPING(임대채널)
HD CJ O SHOPPING(임대채널)
MBC DMBMY MBCHLKV-TDMBCH 12-A
(205.280 MHz)
HD my MBC
MBC RADIO
U-KBSKBS STARHLKA-TDMBCH 12-B
(207.008 MHz)
HD KBS STAR
KBS HEART
KBS MUSIC
SBS(u)SBS u TVHLSQ-TDMBCH 12-C
(208.736 MHz)
HD SBS u TV
SBS V-Radio
Arirang Radio
HYUNDAI Home(임대채널)


5. 하천

계양산은 인천광역시 지방하천인 공촌천시천천의 발원지이다.[2] 같은 한남정맥의 서해측 줄기이자 심곡천의 발원지인 천마산과 함께 주요한 산맥을 이룬다. 한남정맥의 동쪽 방향으로는 원적산, 철마산, 만월산, 소래산 등이 있다.

6. 관련 TV 프로그램


  • OBS의 인사이드
  • * 롯데 골프장 개발 논란 - 계양산의 운명은 (2009년 4월 23일)
  • * 골프장 개발 논란 - 계양산과 굴업도는 지금 (2009년 10월 8일)
  • * 개발과 보존 사이 - 계양산 골프장 (2010년 2월 25일)
  • KBS 1TV환경스페셜 - 사라지는 생명의 땅 그린벨트 (2009년 12월 9일)

참조

[1] 웹사이트 계양산성 박물관 2016년 만든다 https://web.archive.[...] 2013-04-24
[2] 뉴스 "둘레길 따라 느긋한 산행" 초보에게 안성맞춤, 계양산 http://boomup.chosun[...] 조선일보 2019-05-10
[3] 서적 계양산 이야기 계양문화원 2018-12
[4] 뉴스 "[기획]미리가 본 인천 지하철-귤현역"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1999-04-09
[5] 웹사이트 문화재청 http://www.cha.go.kr[...]
[6] 웹사이트 문화재청 http://cha.korea.kr/[...]
[7] 뉴스 계양산 '공원 조성 74년 만에' 공원 조성 첫발 http://m.kyeongin.co[...] 경인일보 2019-01-01
[8] 서적 계양산 이야기
[9] 웹인용 계양구 힐링 명소로 탈바꿈…계양구 팔각정자·편백나무숲 조성 http://www.kyeonggi.[...] 2019-05-11
[10] 뉴스 환경부, 계양산골프장 ‘조건부 동의’ http://www.i-today.c[...] 인천신문 2007-02-11
[11] 뉴스 계양산 롯데골프장 건설 백지화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6-22
[12] 뉴스 인천시 “롯데의 계양산 골프장 안돼” 항소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2-12-11
[13] 뉴스 "계양산 골프장 백지화 정당"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4-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