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도시철도 2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인천광역시의 도시 철도 노선으로, 1990년대 계획 수립 이후 경전철 시스템으로 변경되어 2009년 착공, 2016년 개통되었다. 검단오류역에서 운연역까지 27개 역을 운영하며,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2량 1편성으로 운행되며,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인천 도시철도 2호선에서 2량 1편성으로 운행되는 경전철 차량으로, 검단오류역부터 운연역 구간을 운행하며, 2012년부터 2014년까지 1차로 37편성, 2021년에 6편성이 추가 도입되어 제3궤조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 인천광역시의 철도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인천광역시의 철도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서울역, 김포공항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등을 지나 직통열차와 일반열차를 운행한다. - 대한민국의 경전철 -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은 녹산국가산업단지와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경제 위기로 인해 사상-하단 구간을 우선 추진하며,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총 6.9km, 7개의 역에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경전철 - 양산 도시철도
양산 도시철도는 2026년 개통을 목표로 11.4km 구간에 7개 역을 갖춘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의 노선으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포역에서 양산시 북정역까지 연결되며 총 사업비는 5,516억 원이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인천 2호선 |
원어 이름 | 인천 2호선(仁川二號線) |
로마자 표기 | Incheon I Hoseon |
종류 | 도시 철도 |
시스템 | 인천 도시철도 |
상태 | 운영 중 |
지역 | 인천광역시 |
기점 | 검단오류역 |
종점 | 운연역 |
역 수 | 27 |
개통일 | 2016년 7월 30일 |
소유자 | 인천광역시 |
운영자 | 인천교통공사 |
차량 기지 | 오류주박기지, 운연차량사업소 |
노선 길이 | 29.2km |
선로 수 | 2 |
궤간 | 1435mm |
전철화 방식 | 직류 750V 제3궤조 방식 |
신호 방식 | RF-CBTC |
노선 색상 | #ED8B00 |
운영 | |
차량 |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이미지 | |
![]() | |
노선 정보 | |
영업 최고 속도 | CBTC/ATP/ATO 구간 80㎞/h |
제원 비고 | 내용 |
기타 | |
로마자 표기법 | Incheon Rapid Transit Line2 |
2. 역사
1990년대에 인천광역시가 추진한 계획에서 최초로 등장한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본래 1999년 일부 착공하여 2006년까지 해당 구간을 준공·개통할 예정이었다.[14] 그러나 IMF 외환 위기 이후 자금난 문제로 사업 시행이 보류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의견 충돌로 진통을 겪은 끝에 기존의 중량 전철에서 경전철로 시스템을 변경하고, 노선 또한 현재와 동일하게 변경하여 사업 규모를 축소, 2009년 6월 26일 착공하였다.
2호선은 2014년 8월 개통될 예정이었으나,[4] 개통일이 2016년 7월 30일로 연기되었다.
2. 1. 건설 배경 및 추진 과정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1990년대에 인천광역시가 추진한 계획에서 최초로 등장하였다. 당시 계획에는 1, 2, 3호선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때의 2호선은 남동공단의 근로자 통근을 위하여 인천대공원이 아니라 공단을 경유하고, 대공원은 3호선이 지나도록 계획되었다. 당초 1999년 일부 착공하여 2006년까지 해당 구간을 준공·개통할 예정이었으나[14], IMF 외환 위기 이후 자금난 문제로 사업 시행이 보류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의견 충돌로 진통을 겪은 끝에 기존의 중량 전철에서 경전철로 시스템을 변경하고, 노선 또한 현재와 동일하게 변경하여 사업 규모를 축소, 2009년 6월 26일 착공하였다.[15]날짜 | 내용 |
---|---|
1992년 9월 |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 노선 기본계획 확정 |
1998년 5월 | 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 승인 신청 |
2006년 9월 |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시행 |
2007년 7월 | 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안 제출 |
2007년 12월 | 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안 2차 제출 (총 사업비 24.59조원) |
2008년 8월 | 한국개발연구원 2차 예비타당성조사 시행, 발표 |
2009년 6월 26일 | 착공[15] |
2010년 4월 12일 | 사업 계획 승인 (사업 기간 ~ 2014년)[16] |
2013년 3월 20일 | 사업 기간 연장 ( ~ 2016년)[17] |
2015년 10월 5일 | 역명 결정고시[18] |
2016년 7월 25일 | 서구청역 특별 무료시승 |
2016년 7월 29일 | 개통식 및 무료시승 |
2016년 7월 30일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29.1km 구간 개통(영업 개시)[19] |
당초 2호선은 2014년 아시안 게임 개최에 맞춰 개통을 목표로 2009년 6월에 착공되었으나,[4] 개통일이 2016년 7월 30일로 연기되었다.[2][3]
2. 2. 개통 및 운영
1990년대에 인천광역시가 추진한 계획에서 최초로 등장한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본래 1999년 일부 착공하여 2006년까지 해당 구간을 준공·개통할 예정이었다.[14] 그러나 IMF 외환 위기 이후 자금난 문제로 사업 시행이 보류되었다. 이후 수차례씩 의견 충돌 문제로 진통을 겪은 끝에 기존의 중량 전철에서 경전철로 시스템을 변경하고, 노선 또한 현재와 동일하게 바꾸는 과정이 이루어져 사업 규모를 축소하여, 2009년 6월 26일 착공하였다.날짜 | 내용 |
---|---|
1992년 9월 |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 노선 기본계획 확정 |
1998년 5월 | 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 승인 신청 |
2006년 9월 |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시행 |
2007년 7월 | 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안 제출 |
2007년 12월 | 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안 2차 제출 (총 사업비 24.59조원) |
2008년 8월 | 한국개발연구원 2차 예비타당성조사 시행, 발표 |
2009년 6월 26일 | 착공[15] |
2010년 4월 12일 | 사업 계획 승인 (사업 기간 ~ 2014년)[16] |
2013년 3월 20일 | 사업 기간 연장 ( ~ 2016년)[17] |
2015년 10월 5일 | 역명 결정고시[18] |
2016년 7월 25일 | 서구청역 특별 무료시승 |
2016년 7월 29일 | 개통식 및 무료시승 |
2016년 7월 30일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29.1km 구간 개통[19](영업 개시) |
2021년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석남역 환승 개통 |
2023년 7월 28일 | 고양 연장 예비 타당성 조사 착수[20] |
2023년 11월 9일 | 신천~하안~신림선 연장 예비 사전타당성 조사용역 결과 비용대비 편익이 1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21] |
2024년 3월 | 중련열차 투입 예정[22] |
2호선은 당초 2014년 아시안 게임(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개최에 맞춰 개통을 목표로 2009년 6월에 착공되었으나, 2014년 8월 개통 예정에서[4] 2016년 7월 30일로 연기되었다.[2][3] 개통 첫날부터 신호 시스템에 문제가 잇따르기도 했다.[10]
2. 3. 연장 및 추가 개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1990년대에 인천광역시가 추진한 계획에서 최초로 등장하였다. 초기 계획에는 1, 2, 3호선이 모두 포함되었는데, 당시 2호선은 남동공단의 근로자 통근을 위해 인천대공원이 아닌 공단을 경유하고, 대공원은 3호선이 지나도록 설계되었다. 당초 1999년 일부 착공하여 2006년까지 해당 구간을 완공하고 개통할 예정이었으나[14], IMF 외환 위기 이후 자금난 문제로 사업 시행이 보류되었다. 여러 차례 의견 충돌로 진통을 겪은 끝에 기존의 중량 전철에서 경전철로 시스템을 변경하고, 노선 또한 현재와 동일하게 변경하여 사업 규모를 축소, 2009년 6월 26일 착공하였다.날짜 | 내용 |
---|---|
1992년 9월 |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 노선 기본계획 확정 |
1998년 5월 | 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 승인 신청 |
2006년 9월 |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시행 |
2007년 7월 | 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안 제출 |
2007년 12월 | 인천광역시 노선 기본계획 변경안 2차 제출 (총 사업비 24.59조원) |
2008년 8월 | 한국개발연구원 2차 예비타당성조사 시행, 발표 |
2009년 6월 26일 | 착공[15] |
2010년 4월 12일 | 사업 계획 승인 (사업 기간 ~ 2014년)[16] |
2013년 3월 20일 | 사업 기간 연장 ( ~ 2016년)[17] |
2015년 10월 5일 | 역명 결정고시[18] |
2016년 7월 25일 | 서구청역 특별 무료시승 |
2016년 7월 29일 | 개통식 및 무료시승 |
2016년 7월 30일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29.1km 구간 개통[19](영업 개시) |
2021년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석남역 환승 개통 |
2023년 7월 28일 | 고양 연장 예비 타당성 조사 착수[20] |
2023년 11월 9일 | 신천~하안~신림선 연장 예비 사전타당성 조사용역 결과 비용대비 편익이 1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21] |
2024년 3월 | 중련열차 투입 예정[22] |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을 갖춘 지하철 노선이다.[4][5] 현대로템에서 2013년에 제작한 2량 1편성 열차 37편성이 운행되고 있다.[4][5] 이 열차는 캐나다 밴쿠버의 캐나다 라인 차량과 유사하지만, 폭이 좁은 경전철 차체(2.65m)와 외측 슬라이딩 도어, 하부 접촉식 제3궤조를 사용하는 점이 다르다.
3. 운영
현재 모든 역은 4량 열차(2편성 연결)를 수용할 수 있지만, 지금은 2량 열차(1편성)만 운행하고 있다.
탈레스의 SelTrac CBTC 시스템과 도시철도 교통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무인 운전이 가능하다.[2] 부산교통공사 4호선이나 신분당선처럼 무인 자동 운전이지만, 비상시를 대비해 운전사 자격을 가진 직원이 탑승한다.
3. 1. 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인천광역시 서구 오류동에서 남동국가산업단지까지 계획되었으나, 2008년 8월 검단오류역에서 운연역까지 27개 역을 건설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 노선은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인근을 경유하며,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기관사 면허를 가진 운행관리원이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항상 탑승한다.[4][5]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을 갖춘 지하철 노선으로, 2량 1편성으로 구성된 열차 37편성이 운행 중이다. 모든 열차는 현대로템에서 2013년에 제작되었다. 열차는 캐나다 밴쿠버의 캐나다 라인 차량과 유사하지만, 폭이 좁은 경전철 차체(2.65m)와 외측 슬라이딩 도어, 하부 접촉식 제3궤조를 사용한다.
현재 모든 역은 4량 열차(2편성 연결)를 수용할 수 있지만, 현재는 2량 열차(1편성)를 운행하고 있다.
탈레스가 SelTrac CBTC 시스템과 도시철도 교통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무인 운전이 가능하다.[2]
2014년 아시안 게임 개최에 맞춰 개통을 목표로 2009년 6월에 착공되었으나, 2016년 7월에 완공되었다. 인천국제공항철도 (검암역), 7호선 (석남역), 1호선 (주안역), 인천 1호선 (인천시청역)과 환승된다.
3. 2. 차량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전동차이다.[4][5] 비상시 대응을 위해 운전사 자격을 가진 직원이 탑승하지만, 기본적으로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된다.[2]2량 1편성으로 구성된 총 37편성의 열차가 2013년에 제작되어 운행 중이다.[4][5] 이 열차는 캐나다 밴쿠버의 캐나다 라인 차량과 유사하나,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갖는다.
- 폭이 좁은 경전철 차체 (2.65m)
- 외측 슬라이딩 도어 사용
- 하부 접촉식 제3궤조 사용
현재 모든 역은 4량 열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실제 운행은 2량 열차로 이루어지고 있다.[23]
항목 | 내용 |
---|---|
제작사 | 현대로템 |
운행 방식 | 무인 자동 운전 (관제원 탑승) |
도입 편성 수 | 37편성 (철제 차륜 2량 1편성, 향후 4량 1편성으로 변경 예정) |
규격 | 전장(34.4m), 전폭(2.65m), 전고(3.6m) |
3. 3. 운임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마찬가지로, 수도권 전철의 일부로서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동일하게 적용된다.3. 4. 역 목록
거리거리
(검단산업단지)
(黔丹産業團地)
(Geomdan Industrial Complex)
(공촌사거리)
(公村四거리)
(Gongchon Sageori)
(루원시티)
(Lu 1 City)
(Lu 1 City)
(거북시장)
(거북市場)
(Geobuk Market)
(인천J밸리)
(仁川J밸리)
(Incheon J Valley)
(문화창작지대)
(文化創作地帶)
(Culture Creation Z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