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이삭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겨이삭속(Agrostis)은 벼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2024년 5월 기준 150종 이상의 종이 인정된다. 이 속의 식물은 잔디로 사용되며, 특히 골프 코스의 티잉 구역, 페어웨이, 그린에 적합하다. 겨이삭은 짧게 깎을 수 있고, 보행량이 많은 곳에 적합하며, 얕고 밀도가 높은 뿌리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씨앗으로 쉽게 번식하며 짙은 녹색을 띤다. 주요 재배종으로는 크리핑 벤트, 갯새풀, 갯그령 등이 있으며, 일부 종은 나비 애벌레의 먹이 식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겨이삭아족 - 산새풀속
산새풀속은 전 세계 다양한 환경에 분포하며 갯조풀, 낭림새풀, 백산새풀, 산새풀, 실새풀, 야지피 등 다양한 종을 포함하고 한국에도 여러 자생종이 있는 식물 속이다. - 겨이삭아족 - 실새풀
실새풀은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숲속과 풀밭에서 자라며 8~9월에 원추꽃차례에 달리는 꽃이 피고 잎과 잎집에 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겨이삭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학명 | Agrostis |
명명자 | L. |
종 기준 | Agrostis canina |
종 기준 명명자 | L. |
하위 분류군 | |
속 | 겨이삭속 |
동의어 | |
동의어 목록 | Agraulus P.Beauv. Agrestis Bubani Anomalotis Steud. Bromidium Nees & Meyen Candollea Steud. Decandolia T.Bastard Didymochaeta Steud. Linkagrostis Romero García, Blanca & C.Morales Neoschischkinia Tzvelev Notonema Raf. Podagrostis (Griseb.) Scribn. & Merr. Pentatherum Nábelek Senisetum Honda Trichodium Michx. Vilfa Adans. |
2. 종
Plants of the World Online의 2024년 5월 자료 기준으로 인정되는 종은 다음과 같다.[10]
- ''겨이삭속 암바토엔시스'' Asteg.
- ''겨이삭속'' × ''아무렌시스'' Prob.
- ''겨이삭속 아나디렌시스'' Soczava
- ''겨이삭속 안그레니카'' (Butkov) Tzvelev
- ''겨이삭속'' × ''아퀴타니카'' Romero Zarco & Romero García
- ''겨이삭속 아르벤시스'' Phil.
- ''겨이삭속 아틀란티카'' Maire & Trab.
- ''겨이삭속 아우스트랄리엔시스'' Mez
- ''겨이삭속'' × ''아바트첸시스'' Prob.
- ''겨이삭속 발란사에'' (Boiss.) Tzvelev
- ''겨이삭속 바리키이'' P.Agnihotri & D.Prasad
- ''겨이삭속 바살리스'' Luces
- ''겨이삭속 베르기아나'' Trin.
- ''겨이삭속 베티아이'' S.W.L.Jacobs
- ''겨이삭속'' × ''비외크마니이'' Widén
- ''겨이삭속 블라스달레이'' Hitchc.
- ''겨이삭속 보르마니이'' Vickery
- ''겨이삭속 부르가에이'' E.Fourn.
- ''겨이삭속 보이아켄시스'' Swallen & García-Barr.
- ''겨이삭속 브라키아타'' Munro ex Hook.f.
- ''겨이삭속 브라키아테라'' Steud.
- ''겨이삭속 브레비쿨미스'' Hitchc.
- ''겨이삭속 부르마니카'' Bor
- ''겨이삭속 칼데로니에'' Acosta
- ''겨이삭속 카니나'' L. (갯그령, 벨벳 벤트) - 한국 서식
- ''겨이삭속 카필라리스'' L. (갯강아지풀, 브라운탑) - 한국 서식
- ''겨이삭속 카르미카엘리이'' Schult. & Schult.f.
- ''겨이삭속 카스텔라나'' Boiss. & Reut. (고산 갯강아지풀)
- ''겨이삭속'' × ''카스트리페레이'' Waisb.
- ''겨이삭속 클라바타'' Trin. (북부 갯강아지풀)
- ''겨이삭속'' × ''클라바티포르미스'' Prob.
- ''겨이삭속 클레멘시요룸'' Bor
- ''겨이삭속 코모렌시스'' A.Camus
- ''겨이삭속 콘게스티플로라'' Tutin & E.F.Warb.
- ''겨이삭속 콘티누아타'' Stapf
- ''겨이삭속 키프리콜라'' H.Lindb.
- ''겨이삭속 체르냐기나에'' Prob.
- ''겨이삭속 데카리아나'' A.Camus
- ''겨이삭속 델리슬레이'' Hemsl.
- ''겨이삭속 덴시플로라'' Vasey (캘리포니아 갯강아지풀)
- ''겨이삭속 디에메니카'' D.I.Morris
- ''겨이삭속 디바리카티시마'' Mez
- ''겨이삭속 드슝가리카'' (Tzvelev) Tzvelev
- ''겨이삭속 다이에리이'' Petrie
- ''겨이삭속 엘리오티이'' Hack.
- ''겨이삭속 엘리오티아나'' Schult.
- ''겨이삭속 에미르넨시스'' (Baker) Bosser
- ''겨이삭속 엑사라타'' Trin. (스파이크 갯강아지풀)
- ''겨이삭속 필리페스'' Hook.f.
- ''겨이삭속 플라키다'' Hack.
- ''겨이삭속 폴리아타'' Hook.f.
- ''겨이삭속'' × ''푸이야데'' P.Fourn.
- ''겨이삭속 가리아나'' Taheri
- ''겨이삭속 기에스브레히티이'' E.Fourn.
- ''겨이삭속 기간테아'' Roth (검정 갯강아지풀, 레드탑) - 한국 서식
- ''겨이삭속'' × ''기간티페라'' Portal
- ''겨이삭속 글라브라'' (J.Presl) Kunth
- ''겨이삭속 구겐시스'' C.E.Hubb.
- ''겨이삭속 그라실리폴리아'' C.E.Hubb.
- ''겨이삭속 그라실락사'' Franco
- ''겨이삭속 그리피티아나'' (Hook.f.) Bor
- ''겨이삭속 할리이'' Vasey
- ''겨이삭속'' × ''헤게치바일레리'' Brügger
- ''겨이삭속 헨더소니이'' Hitchc.
- ''겨이삭속 에스페리카'' Romero García, Blanca, G.López & C.Morales
- ''겨이삭속 히데오이'' Ohwi
- ''겨이삭속 히르타'' Veldkamp
- ''겨이삭속 홀게이타나'' C.E.Hubb.
- ''겨이삭속 후케리아나'' C.B.Clarke ex Hook.f.
- ''겨이삭속 후베리이'' Swallen
- ''겨이삭속 호우엘리이'' Scribn. ex Vasey
- ''겨이삭속 후고니아나'' Rendle
- ''겨이삭속 훔베르티이'' A.Camus
- ''겨이삭속 히에말리스'' (Walter) Britton, Sterns & Poggenb. (겨울 갯강아지풀)
- ''겨이삭속 히그로메트리카'' Nees
- ''겨이삭속 아이다호엔시스'' Nash
- ''겨이삭속 임베실라'' Zotov
- ''겨이삭속 임베르비스'' Phil.
- ''겨이삭속 이나에퀴글루미스'' Griseb.
- ''겨이삭속 인콘스피쿠아'' Kunze
- ''겨이삭속 인피르마'' Buse
- ''겨이삭속 이노미나타'' Enustsch.
- ''겨이삭속 인술라리스'' Rúgolo & A.M.Molina
- ''겨이삭속 이소폴리스'' C.E.Hubb.
- ''겨이삭속 야니이'' Luces
- ''겨이삭속 조이스아이'' S.W.L.Jacobs
- ''겨이삭속 유레시이'' Link
- ''겨이삭속 케니엔시스'' Pilg.
- ''겨이삭속 킬리만자로이카'' Mez
- ''겨이삭속 쾨렐리오이데스'' É.Desv.
- ''겨이삭속 콜리멘시스'' Kuvaev & A.P.Khokhr.
- ''겨이삭속 코르차기니이'' Senjan.-Korcz.
- ''겨이삭속 쿠르첸코아이'' Prob.
- ''겨이삭속 라쿠나-베르날리스'' P.M.Peterson & Soreng
- ''겨이삭속 라에가르디이'' A.M.Molina & Rúgolo
- ''겨이삭속'' × ''라펜코이'' Prob.
- ''겨이삭속 락시시마'' Swallen
- ''겨이삭속 라지카'' Balansa
- ''겨이삭속 레만니이'' Swallen
- ''겨이삭속 레니스'' Roseng.
- ''겨이삭속 렙토트리차'' É.Desv.
- ''겨이삭속 롱기베르비스'' Hack. ex Lor.B.Sm.
- ''겨이삭속 맥클리니아이'' Bor
- ''겨이삭속 만니이'' (Hook.f.) Stapf
- ''겨이삭속 마로예지에시스'' A.Camus
- ''겨이삭속 마사푸에라나'' Pilg.
- ''겨이삭속 미디아'' Carmich.
- ''겨이삭속 메르텐시이'' Trin. (북극 갯강아지풀)
- ''겨이삭속 메르크스뮐레리이'' Greuter & H.Scholz
- ''겨이삭속 메이에니이'' Trin.
- ''겨이삭속 미크란타'' Steud.
- ''겨이삭속 미크로필라'' Steud.
- ''겨이삭속 몬테비덴시스'' Spreng. ex Nees
- ''겨이삭속 뮐레리아나'' Vickery
- ''겨이삭속 문로아나'' Aitch. & Hemsl.
- ''겨이삭속'' × ''무르베키이'' Fouill.
- ''겨이삭속 무스고사'' Kirk
- ''겨이삭속 무스지디이'' Rajesw., R.R.Rao & Arti Garg
- ''겨이삭속 네불로사'' Boiss. & Reut.
- ''겨이삭속 네르보사'' Nees ex Trin.
- ''겨이삭속 네샤타예바에'' Prob.
- ''겨이삭속 네바덴시스'' Boiss.
- ''겨이삭속 네브스키이'' Tzvelev
- ''겨이삭속'' × ''노보그라브레노비이'' Prob.
- ''겨이삭속 올림피카'' (Boiss.) Bor
- ''겨이삭속 오레고넨시스'' Vasey
- ''겨이삭속 오르스비아'' Edgar
- ''겨이삭속 오사카에'' Honda
- ''겨이삭속 팔렌스'' Trin. (사구 갯강아지풀, 해안 갯강아지풀)
- ''겨이삭속 팔레스켄스'' Cheeseman
- ''겨이삭속'' × ''파라무시렌시스'' Prob.
- ''겨이삭속 파르비플로라'' R.Br.
- ''겨이삭속 폴세니이'' Hack.
- ''겨이삭속 펜드리이'' Paszko
- ''겨이삭속 페닌술라리스'' Hook.f.
- ''겨이삭속 페레난스'' (Walter) Tuck. (고지대 갯강아지풀)
- ''겨이삭속 페르소나타'' Edgar
- ''겨이삭속 페슈코바에'' Enustsch.
- ''겨이삭속 페트리에이'' Hack.
- ''겨이삭속 필리피아나'' Rúgolo & De Paula
- ''겨이삭속 필립시아이'' R.Kr.Singh, Arigela & Ch.S.Reddy
- ''겨이삭속 필게리아나'' C.E.Hubb.
- ''겨이삭속 필로술라'' Trin.
- ''겨이삭속 피티에리이'' Hack.
- ''겨이삭속 플라텐시스'' Parodi
- ''겨이삭속 플레이오필라'' Mez
- ''겨이삭속 푸레티이'' Willd.
- ''겨이삭속 프로덕타'' Pilg.
- ''겨이삭속 프로핀콰'' S.W.L.Jacobs
- ''겨이삭속 퀸케세타'' (Steud.) Hochst.
- ''겨이삭속 로시이'' Vasey
- ''겨이삭속 살라지엔시스'' C.Cordem.
- ''겨이삭속 살사'' Korsh.
- ''겨이삭속 살라지엔시스'' C.Cordem.
- ''겨이삭속'' × ''산요니스'' Asch. & Graebn.
- ''겨이삭속 스카브라'' Willd. (거친 갯강아지풀, 갯강아지풀) - 한국 서식 추정
- ''겨이삭속 스카브리폴리아'' Swallen
- ''겨이삭속 스키스킨키이'' Paszko
- ''겨이삭속 스미디이'' (Hook.f.) C.E.C.Fisch.
- ''겨이삭속 슈라데리아나'' Bech.
- ''겨이삭속 스클레로필라'' C.E.Hubb.
- ''겨이삭속 세라노이'' Phil.
- ''겨이삭속 시코텐시스'' Prob.
- ''겨이삭속 시키멘시스'' Bor
- ''겨이삭속 시노콘트락타'' S.M.Phillips & S.L.Lu
- ''겨이삭속 시노루페스트리스'' L.Liu ex S.M.Phillips & S.L.Lu
- ''겨이삭속'' × ''스테블레리'' (Asch. & Graebn.) Portal
- ''겨이삭속 스톨로니페라'' L. (잔디 갯강아지풀) - 한국 서식
- ''겨이삭속'' × ''서브클라바타'' Prob.
- ''겨이삭속 서브파텐스'' Hitchc.
- ''겨이삭속 서브레펜스'' (Hitchc.) Hitchc.
- ''겨이삭속 서브스피카타'' (Willd.) Raspail
- ''겨이삭속 서불라타'' Hook.f.
- ''겨이삭속 서불리폴리아'' Stapf
- ''겨이삭속 스왈랄라호스'' Otting
- ''겨이삭속 탄딜렌시스'' (Kuntze) Parodi (케네디 갯강아지풀)
- ''겨이삭속 타테야멘시스'' Tateoka
- ''겨이삭속 테일러리이'' C.E.Hubb.
- ''겨이삭속 테네리마'' Trin.
- ''겨이삭속 톰프소니아이'' S.W.L.Jacobs
- ''겨이삭속 티베스티카'' Miré & Quézel
- ''겨이삭속 틸레니이'' G.Nieto Fel. & Castrov.
- ''겨이삭속 톨루켄시스'' Kunth
- ''겨이삭속'' × ''토르게시이'' Portal
- ''겨이삭속 트라키클라에나'' C.E.Hubb.
- ''겨이삭속 트라키필라'' Pilg.
- ''겨이삭속 트리세토이데스'' Steud.
- ''겨이삭속 트룬카타'' Charit.
- ''겨이삭속 차라타난렌시스'' A.Camus
- ''겨이삭속 치아파자보넨시스'' A.Camus
- ''겨이삭속 치톤드로이넨시스'' A.Camus
- ''겨이삭속 투리알바에'' Mez
- ''겨이삭속 투비니카'' Peschkova
- ''겨이삭속 울리기노사'' Phil.
- ''겨이삭속 움벨라타'' Colla
- ''겨이삭속 우샤에'' Noltie
- ''겨이삭속'' × ''우수리엔시스'' Prob.
- ''겨이삭속 발바타'' Steud.
- ''겨이삭속 바리아빌리스'' Rydb. (산 갯강아지풀)
- ''겨이삭속 베네주엘라나'' Mez
- ''겨이삭속 베누스타'' Trin.
- ''겨이삭속 비달리이'' Phil.
- ''겨이삭속 비네알리스'' Schreb. (갈색 갯강아지풀)
- ''겨이삭속 폴켄시이'' Stapf
- ''겨이삭속 와세이'' C.E.Hubb.
- ''겨이삭속 젠케리이'' Trin.
2. 1. 이전 소속 종
이전에는 겨이삭속에 속했던 수백 종의 종이 사초새속, 개보리속, 잔디속, 털개보리속, 쥐보리속, 갯새속, 조모속, 클로리스속, 시나속, 가래속, 크립시스속, 김의털속, 데샴피아속, 디켈라크네속, 바랭이속, 애기수영속, 기름새속, 에우스타키스속, 가스트리디움속, 그래페포룸속, 검정사초속, 라크나그로스티스속, 실새풀속, 물결무늬새속, 뮬렌베르기아속, 펜타메리스속, 피피시아속, 피파테룸속, 새포아풀속, 털개새속, 푸치넬리아속, 레이마로클로아속, 릴켈라속, 시즈머스속, 털물결풀속 및 징게리아속을 포함한 다른 속으로 이동하였다.[3]과거 겨이삭속에 포함되었으나 현재 다른 속으로 재분류된 대표적인 종은 다음과 같다.
- ''겨이삭속 쿠르티시이'' (털 갯강아지풀) → ''알파그로스티스 세타세아''
- ''겨이삭속 후밀리스'' → ''포다그로스티스 후밀리스''
- ''겨이삭속 마겔라니카'' → ''폴리포곤 마겔라니쿠스''
- ''겨이삭속 투르베리아나'' → ''포다그로스티스 투르베리아나''
3. 용도
겨이삭속의 일부 종은 일반적으로 잔디로 사용된다. 특히 골프 코스의 티잉 구역, 페어웨이, 그리고 그린에 적합한 잔디로 알려져 있다.
겨이삭속 식물이 잔디로 선호되는 이유는 여러 장점 때문이다. 손상 없이 매우 짧게 깎을 수 있고, 많은 보행량을 견딜 수 있다. 또한, 얕고 밀도가 높은 뿌리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씨앗을 뿌려 비교적 쉽게 키울 수 있으며, 보기 좋은 짙은 녹색을 띤다. "벤트(bent)"라는 이름은 토양 표면 바로 아래에서 옆으로 뻗어나가며 번식하는 얕은 뿌리의 특성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1. 주요 재배종
겨이삭속에는 잔디로 널리 이용되는 여러 재배종이 있다. 이들은 주로 골프장 그린이나 정원 잔디밭 등에 사용되며, 각기 다른 특징과 관리 요구 조건을 가진다. 대표적인 재배종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크리핑 벤트''': 땅을 기는 줄기(스톨론)가 발달하여 빽빽하게 자라며, 주로 골프장 퍼팅 그린에 사용된다.[11] 글리포세이트 제초제에 내성을 갖도록 유전자 변형된 품종이 개발되기도 했으나, 환경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12][13][14]
- '''커먼 벤트''' (콜로니얼 벤트): 과거 저택 잔디밭에 많이 쓰였으며, 비교적 키가 크고 질감이 고우며 관리가 용이한 편이다.
- '''벨벳 벤트''': 매우 섬세한 질감을 가지며 짧게 깎을 수 있어 고급 잔디밭이나 골프 그린에 적합하다.[15]
각 재배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1. 크리핑 벤트 (''Agrostis stolonifera'')
''겨이삭속''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종은 ''Agrostis stolonifera''이다. 이 종은 역사적으로 영국 솔즈베리 평원의 한 마을 이름을 따서 '''Orcheston 장초'''라고 불리기도 했다. ''A. stolonifera''는 특히 골프장의 퍼팅 그린과 같은 곳에서 거의 독점적으로 재배된다. 크리핑 벤트는 땅 표면을 따라 수평으로 뻗는 줄기인 스톨론을 왕성하게 만들어낸다. 이를 통해 유리한 조건에서는 빠르게 밀집된 군락을 형성하며 다른 덩굴성 잔디나 넓은 잎 잡초보다 우세하게 자란다. 따라서 가정 잔디에 침입하면 제거하기 어려운 잡초가 될 수 있다. 벤트그래스 잎은 길고 가늘며, 관리하지 않으면 잔디밭을 빠르게 잠식할 수 있고 뿌리는 매우 얕다.[11]스코츠 미라클-그로 컴퍼니와 몬산토는 몬산토의 라운드업 레디 상표 하에, 제초제인 글리포세이트에 내성을 갖도록 ''A. stolonifera''를 유전자 변형시켰다. 이는 "최초의 바람에 의해 수분되고, 여러 해 살며, 다른 개체와 쉽게 교배되는 형질전환 작물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12] 2003년, 스코츠는 매드라스 근처에서 약 160ha에 달하는 대규모 포장 시험을 진행했다. 그러나 2004년, 이 유전자 변형 품종의 꽃가루가 최대 14km 떨어진 야생 벤트그래스 개체군까지 퍼져나간 사실이 확인되었다. 심지어 Agrostis gigantea와의 교차 수분은 21km 떨어진 곳에서도 발견되었다.[13] 스코츠는 포장 시험 후 모든 유전자 변형 식물을 제거하는 데 실패했고, 이로 인해 2007년 미국 동식물 검역소로부터 식물 보호법 규정 위반으로 50만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았다.[14]
3. 1. 2. 커먼 벤트 (''Agrostis capillaris'')
''갯새풀'' 또는 콜로니얼 벤트(Colonial bent)는 유럽에서 미국으로 도입된 종이다. 과거 대부분의 저택 잔디밭에 사용되었던 종류이다. 갯새풀은 벤트 풀 중에서 키가 가장 크고 질감이 매우 곱고, 대부분의 벤트 풀과 마찬가지로 매우 빽빽하게 자라는 특징이 있다. 골프 코스나 스포츠 경기장에도 사용되지만, 잔디밭에 더 적합하다. 콜로니얼 벤트는 씨앗으로 비교적 쉽게 재배할 수 있으며, 잔디밭 비료 사용량도 적은 편이다. 크리핑 벤트(Creeping bentgrass)보다 정착하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지는 않다.3. 1. 3. 벨벳 벤트 (''Agrostis canina'')
''갯그령''(Agrostis canina|아그로스티스 카니나la)은 잔디가 만드는 벨벳 같은 모습 때문에 벨벳 벤트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잔디는 모든 벤트그래스 중에서 가장 섬세한 질감을 가진다. 매우 짧게 깎을 수 있어 유럽에서는 저택의 잔디밭이나 골프 코스의 그린 등에 사용되었다. 벨벳 벤트그래스는 크리핑 벤트와 비슷한 관리가 필요하다. 최근 영국에서는 악천후 조건에서도 빠른 그린 속도를 유지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벨벳 벤트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또한 다른 벤트그래스 종들보다 색상이 더 밝은 편이다.[15]4. 나비 먹이 식물
겨이삭속 식물을 먹이로 삼는 나비 애벌레는 다음과 같다.
- 제이블론 스키퍼 (Poanes zabulonla)
참조
[1]
문서
lectotype designated by Philipson, J. Linn. Soc. London, Bot. 51 (1937)
[2]
Tropicos
Agrostis
[3]
WCSP
Agrostis
[4]
서적
Species Plantarum
1753
[5]
웹사이트
"''Agrostis'' L."
http://delta-intkey.[...]
2021-04-19
[6]
eFloras
Agrostis
[7]
eFloras
Agrostis
[8]
웹사이트
Genere ''Agrostis''
http://luirig.alterv[...]
[9]
웹사이트
Agrostis
http://ausgrass2.mys[...]
[10]
웹사이트
"''Agrostis'' L.."
2024-06-08
[11]
웹사이트
Bentgrass will take over unless you act. Here's what to do.
http://www.chicagotr[...]
Chicago Tribune
2017-03-17
[12]
웹사이트
Future Product: Roundup Ready® Creeping Bentgrass
http://www.scottspro[...]
2021-04-19
[13]
간행물
Evidence for landscape-level, pollen-mediated gene flow from genetically modified creeping bentgrass with CP4 EPSPS as a marker
2004
[14]
웹사이트
USDA Concludes Genetically Engineered Creeping Bentgrass Investigation
http://www.usda.gov/[...]
2021-04-19
[15]
보고서
Potential for velvet bentgrass on Nordic golf greens
http://www.sterf.org[...]
Scandinavian Turfgrass and Environment Research Foundation
2021-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