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잔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잔디는 한국잔디와 서양잔디로 구분되며, 주로 잔디밭 조성에 사용되는 식물이다. 한국잔디는 잎이 부드럽고 뻣뻣하며 가뭄, 저온, 염분에 강하고, 다양한 품종이 재배된다. 서양잔디는 왕포아풀, 벤트그래스, 우산잔디 등이 있으며, 기후와 환경에 따라 적합한 종류가 다르다. 잔디는 수문학에서 증발산량 계산에 사용되며, 골프장, 공원, 운동장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잔디족 - 금잔디
    금잔디는 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잎이 섬세하고 뗏장 형성 능력이 뛰어난 잔디의 한 종류로, 한국에서는 서해안 도서 지역에서 발견되고 잔디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품종 개발이 활발하여 골프장, 공원 등에 활용되는 'M45' 품종이 개발되었다.
  • 잔디족 - 잔디속
    잔디속(Zoysia)은 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속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잔디밭, 방목장 등에 재배되고, 포복경을 통해 옆으로 뻗어 나가며, 잔디, 왕잔디, 갯잔디, 금잔디 등이 주요 종으로 포함된다.
  • 화본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화본식물 -
    벼는 벼과에 속하는 중요한 식량 작물로, 자포니카, 인디카, 자바니카의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되며, 볍씨 선별, 비료 사용, 수확 등의 과정을 거쳐 재배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잔디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구 교육 정원의 잔디
연구 교육 정원의 잔디
학명Zoysia japonica
명명자Steud.
생물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외떡잎식물군
미분류 목닭의장풀군
벼목
벼과
미분류PACMAD 분지군
아과나도바랭이아과
잔디족
잔디속
잔디
특징
형태지면을 덮는 형태
번식줄기와 뿌리줄기를 통해 번식
분포아시아
용도널리 사용됨

2. 종류 및 특성

잔디는 보통 한국·중국·일본동북아시아에 분포하는 한국잔디와 서양잔디의 두 무리로 구분한다.[16]

2. 1. 한국잔디 (Zoysia japonica)

온지성(溫地性) 잔디로,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추운 지방에서는 생육이 부진하다. 보통 5월부터 9월까지 푸른 상태를 유지하며,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이어지는 휴면 기간에도 잔디로서의 기능은 유지된다.

땅속줄기가 왕성하게 옆으로 뻗어 나가는 완전 포복형 잔디이다. 이 때문에 특별히 깎아주지 않아도 높이가 15cm 이하로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사람이 밟는 것(답압, 踏壓)에 잘 견디고, 병충해가 거의 없으며, 공해에도 강한 편이다.

한국잔디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종류주요 특징비고 (자생지/개발)
생활력이 강하며, 한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다. 잎 너비는 4mm~7mm, 높이는 10cm~20cm 정도이다. | -
잎이 매우 가늘고(너비 1mm 이하) 높이도 3cm 이하로 자라는 고운 잔디이다. 추위에 약해 경기 지역에서는 겨울을 나기 어렵다. | 남해안 자생
잎 너비 1.5mm~3mm, 높이 4mm~12mm 정도로 매우 고운 잔디이다. | 대전 이남 자생
고운 잔디이지만 줄기가 위로 곧게 서는 경향이 있어 잔디밭 조성에는 적합하지 않다. | 경기 서해안 자생
들잔디와 금잔디를 교배하여 만든 1세대 잡종 품종이다. 금잔디처럼 곱지만 내한성이 강해 경기 지역에서도 겨울을 날 수 있다. | 교잡 품종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에서 개발한 품종이다. 에메랄드잔디보다 품질이 우수하며 생활력, 재생력, 내한성이 더 뛰어나다. | 서울대 농대 개발



식물학적으로 ''Zoysia japonica''는 부드러우면서도 뻣뻣한 질감의 잎을 가지며, 잎은 안에서 말린 형태로 존재한다.[6][8] 잎의 폭은 약 0.5mm까지 자라며, 잎의 아랫부분에는 털이 있고 짧은 꽃차례를 가진다. 꽃자루는 약 1.75mm까지 자라며, 위로 뻗는 줄기의 마디 길이는 대략 14mm 정도이다.[4] ''Z. japonica''는 같은 속의 다른 잔디들에 비해 질감이 상당히 거친 편이다.[3]

이 잔디는 가뭄, 저온, 염분, 그늘에 대한 내성이 높아 잔디밭 조성에 적합하다.[3][9][6] 부정근계가 잔디를 지탱하며,[2] 오랜 가뭄에 노출되면 뿌리 시스템을 더 깊게 발달시켜 환경에 적응한다.[10] 저온에는 강하지만, 서리가 내리면 밝은 녹색을 잃고 갈색으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9]

2. 2. 서양잔디

서양에서 주로 사용되거나 유래한 잔디 품종들을 포함한다. 한국에서도 일부 자생하거나 특정 용도로 사용된다.

  • 왕포아풀: 캔터키 블루그래스라고도 불리며, 서양의 정원이나 공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표적인 품종이다. 한국에서는 농가의 담 밑이나 개울가의 습지에서 자생하기도 한다. 한지형 잔디로 서늘한 기후에 잘 자라지만 더위에는 약하고 병이 발생하기 쉽다. 건조함이나 사람이 밟는 것(답압), 병충해에도 약한 편이다. 불완전하게 옆으로 기는 줄기(포복경)를 가지며, 잎의 너비는 3mm에서 4mm 정도이고, 높이는 30cm에서 50cm까지 자라며, 꽃대가 올라오면 80cm에 달하기도 한다.
  • 벤트그래스: 잔디 중에서 품질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골프장 그린에 사용된다. 한지형으로 서늘한 기후를 선호하여 한국에서는 약 10개월 동안 푸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불완전하게 옆으로 기는 줄기를 가지며, 잎 너비는 2mm에서 3mm 정도이고 길이는 20cm에서 30cm에 이른다. 꽃대가 올라오면 높이가 50cm에서 60cm까지 자란다. 밟히는 것에 약하지만 스스로 회복하는 능력이 뛰어나 피해가 크지는 않다. 다만, 병충해에는 가장 취약한 품종이다.
  • 우산잔디: 버뮤다그래스라고도 하며, 한국에서는 동해안을 따라 강원도 낙산사 부근까지 자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난지형 잔디로 따뜻한 기후를 선호하며, 5월부터 9월까지 약 5개월간 푸른색을 띤다. 옆으로 기는 줄기의 성장 속도가 잔디 중 가장 빠르나, 추위에는 약하다. 높이는 15cm에서 50cm까지 자라므로 자주 깎아주어야 관리가 된다. 회복력이 강하고 병충해도 비교적 적은 편이다.
  • 페스큐그래스: 김의털이나 들묵새 등의 이름으로 한국 산야에 많이 자생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잔디밭 조성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추위에는 강한 편이나 여름철 더위에는 잘 자라지 못하고 병이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 라이그래스: 한지형 잔디로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잔디로, 옆으로 기는 줄기 없이 위로 곧게 자라는 특징이 있다. 비교적 건조한 토양이나 그늘진 환경에서도 잘 견디는 편이다.

2. 2. 1. 한지형 잔디

양잔디 또는 사계절 잔디라고도 한다. 3월 중순부터 성장을 시작하여 5월 초순부터 6월 하순까지 가장 왕성하게 자란다. 이후 7월과 8월에는 생육 속도가 잠시 느려졌다가, 9월부터 10월까지 다시 성장을 이어간다. 한지형 잔디는 일 년 내내 녹색을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2. 2. 2. 난지형 잔디

4월 초순부터 성장을 시작하며, 여름에 가장 왕성하게 자란다. 10월이 되면 잎이 누렇게 변하면서 땅 위의 부분은 성장을 멈추고 휴면기에 들어간다.

2. 3. 유전학적 특성

''갯잔디(Z. japonica)''는 사배체이다.[11]

3. 기후 및 분포

잔디는 생존을 위해 습한 기후가 필요하다. 서늘한 온대 기후 지역, 변이 지역, 따뜻한 온대 또는 해양성 기후 지역에서 잘 자란다.[12] 원래 중국, 일본, 대한민국과 같은 기후에서 재배되었다.[2] 미국에서는 코네티컷주 이남의 대서양 연안부터 텍사스주까지 이어지는 멕시코만 연안 지역에서 재배된다. 호주에서는 북동부 해안선을 따라 재배된다.[8]

4. 재배 및 관리

잔디(한국잔디, ''Zoysia japonicalat'')는 재배와 관리에 특정한 방법과 주의사항이 따른다. 주로 영양 번식을 통해 재배하며, 적절한 비료 주기, 관개, 잔디 깎기 등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상세한 재배 방법과 관리 지침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4. 1. 재배

''Z. japonica''(한국잔디)는 씨앗 파종이 가능한 몇 안 되는 ''Zoysia'' 속 품종 중 하나이지만, 발아 기간이 최소 한 달로 길기 때문에 영양 번식을 통한 식재가 주요 재배 방식이다.[12][9] ''Z. japonica'' 씨앗은 발아를 위해 습한 환경과 약 21.1°C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므로, 뗏장(sod), 꺾꽂이, 플러그를 이용한 식재가 상대적으로 덜 까다로운 방법이다.[12][9] 그럼에도 불구하고, 뗏장 형태로 판매되는 것은 가격이 비싸다.[12] 연중 거의 모든 시기에 식재할 수 있지만, 늦여름 식재는 권장되지 않는다.[12]

뗏장 형태의 잔디 ( x 크기)


''Z. japonica''의 관리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적당량의 질소 비료가 필요하다. 비료를 주는 시기는 이른 봄이나 늦가을이 적합하다.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약 2.54cm에서 약 3.81cm 정도의 관개가 필요하다.[3] 전문가들은 5~10일마다 약 1.27cm에서 약 6.35cm 높이로 잔디를 깎을 것을 권장한다.[6] ''Z. japonica''는 질병에 거의 강하지만, 흰색 굼벵이의 공격을 받을 수 있다.[3] 조경용으로 잔디를 사용할 때 ''Z. japonica''의 주요 문제점 중 하나는 봄철에 씨앗이 생기는 것인데, 이는 미관상 좋지 않아 추가적인 관리 비용을 발생시킨다.[14][13] Brosnan 등 (2012)은 잔디를 죽이지 않으면서 이미다졸리논으로 씨앗 머리 발달을 억제하는 방법을 연구했으며, Patton 등 (2018)은 에테폰으로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14] (그러나, 이 두 가지 처리는 다른 ''Zoysia'' 품종에 대해서는 시험되거나 적용되지 않았다.)[14]

4. 2. 관리

잔디(''Zoysia japonicalat'') 관리 요약
항목내용비고
비료질소 비료 적당량 사용시비 시기: 이른 봄 또는 늦가을[3]
관개주당 약 2.54cm ~ 약 3.81cm[3]
깎기높이 약 1.27cm ~ 약 6.35cm 유지주기: 5~10일[6]
병충해질병에 강함흰색 굼벵이 피해 주의[3]



잔디(Zoysia japonicalat)의 관리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잔디의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적당량의 질소 비료를 주는 것이 좋다. 비료를 주는 시기는 이른 봄이나 늦가을이 적합하다.[3] 물주기(관개)는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약 2.54cm에서 약 3.81cm 정도가 필요하다.[3] 잔디 깎기는 5일에서 10일 간격으로 잔디 높이를 약 1.27cm에서 약 6.35cm 사이로 유지하도록 권장된다.[6]

Z. japonicalat는 질병에는 비교적 강한 편이지만, 흰색 굼벵이의 공격을 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3] 특히 레크리에이션 용도로 사용되는 잔디밭의 경우, 봄철에 씨앗이 맺히는 것이 미관상 좋지 않고 추가적인 관리 비용을 발생시키는 주요 문제점 중 하나이다.[14][1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잔디 자체에는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씨앗 머리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예를 들어, 이미다졸리논[14]이나 에테폰[14]과 같은 성분을 처리하면 씨앗 머리 발달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처리 방법은 Z. japonicalat 외 다른 Zoysialat 속 잔디에 대해서는 검증되지 않았다.[14]

5. 이용

잔디가 깔린 공원


잔디는 수문학에서 증발산량을 산정하는 데 필요한 작물계수를 계산하는 데 이용된다.[17] 가장 대표적인 용도는 잔디밭을 만드는 것이다. 골프장의 페어웨이, 티잉 그라운드, 러프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야외 공원, 학교 운동장 등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골프 코스 잔디로 사용됨


특히 한국잔디로 알려진 ''Zoysia japonica''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잔디 종류 중 하나이다. 이 잔디는 골프장의 페어웨이, 티잉 그라운드, 러프뿐만 아니라 가정의 잔디밭, 공원, 학교 운동장, 운동 경기장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된다. 조경 분야에서는 화단이나 모래 구덩이 주변에 심어 침입종의 확산을 막는 완충재 역할을 하기도 한다.[12]

과거 기록에 따르면, 일본에서는 목초지로 사용되었고, 한국에서는 기독교인들의 묘지에 사용되기도 했다.[2]

생태계에서는 사슴의 먹이가 되기도 한다. 특히 ''Zoysia japonica''의 씨앗은 사슴이 즐겨 먹는 먹이 중 하나로, 이는 일본 북동부 긴카산 섬에서 관찰된 바 있다.[15]

참조

[1] PLANTS 2017-04-03
[2] 서적 Turfgrass Biology, Genetics, and Breeding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3] 서적 Turfgrasses: Their Management and Use in the Southern Zone,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Texas A&M University Press
[4] 서적 Turfgrass Biology, Genetics, and Breeding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5] 웹사이트 Emerald Grass characteristics, information, and curiosities https://realgramas.c[...] 2021-02-26
[6] 서적 Fundamentals of Turfgrass Management, 5th edi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7] 서적 Organic Lawn Care: Growing Grass the Natural Wa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8] 서적 International Turf Manage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9] 서적 Genetics, Genomics and Breeding of Forage Crops https://books.google[...] CRC Press
[10] 서적 Handbook of Turfgrass Management and Physiology https://books.google[...] CRC Press
[11] 간행물 Recent Advances in Assembly of Plant Complex Genomes
[12] 서적 Turfgrass Maintenance Reduction Handbook: Sports, Lawns, and Golf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3] 간행물 Registration of 'DALZ 1308' zoysiagrass
[14] 서적 Handbook of Plant and Crop Physiology
[15] 서적 Sika Deer: Biology and Management of Native and Introduced Popul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6] 문서 잔디 - 속씨식물 글로벌 세계 대백과
[17] 서적 수문학 구미서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