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하고도 싱글로 남는 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결혼하고도 싱글로 남는 법은 2006년 프랑스 영화로, 43세의 향수 제조사 루이스 캄포스가 가족의 강요로 결혼을 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루이스는 결혼을 피하기 위해 친구의 여동생 엠마를 가짜 신부로 고용하지만, 예상과 달리 엠마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이 영화는 프랑스에서 흥행에 성공하여 2007년 박스 오피스 2위를 기록했으며, 세자르상에서 여러 부문 후보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 - 섹스 러브 앤 테라피
소피 마르소, 패트릭 브루엘, 앙드레 빌름, 실비 바르탕 등이 출연하는 영화 섹스 러브 앤 테라피는 주디스 샤브리에, 램베르 레발루아, 미셸 샤브리에, 나딘 레발루아 역을 각각 맡은 배우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 프랑스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 - 라붐
13세 소녀 빅이 파리에서 가족, 사랑, 성장을 겪는 이야기를 그린 프랑스 영화 라붐은 소피 마르소 주연으로 국제적인 흥행을 기록했으며, 주제곡 "리얼리티" 또한 많은 사랑을 받았다. - 프랑스의 코미디 영화 - 나의 삼촌
《나의 삼촌》은 자크 타티 감독 및 주연의 1958년 프랑스 코미디 영화로, 물질만능주의 사회에서 인간성과 물질주의의 대조를 통해 현대 사회를 풍자하며 비평가들의 호평과 함께 고전 영화로 자리 잡았다. - 프랑스의 코미디 영화 - 파리의 늑대인간
《파리의 늑대인간》은 1997년 앤서니 월러가 감독한 공포 영화로, 파리에서 늑대인간에게 물린 미국인 앤디가 늑대인간 집단과 싸우며 저주를 풀고 세라핀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 2006년 영화 - 더 리턴
더 리턴은 11살 때부터 환영에 시달리던 조애나 밀스가 고향에서 15년 전 살인 사건과 연관된 단서를 찾아 진범을 밝히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내용을 그린 2005년 개봉 영화이다. - 2006년 영화 - 괴물 (2006년 영화)
괴물 (2006년 영화)은 주한미군의 유해물질 방류로 한강에 나타난 괴생물체에 맞서 딸을 구하려는 가족의 사투를 그린 봉준호 감독의 영화로, 가족애와 사회 비판적 메시지를 담아 한국 영화 역대 최다 관객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결혼하고도 싱글로 남는 법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직역) | (내 손을 빌려줘) |
미국 개봉명 | I Do |
해외 개봉명 | Rent a Wife |
영화 정보 | |
감독 | 에릭 라티고 |
각본 | 알랭 샤바, 필리프 메켈렌, 로랑 티라르, 그레고아 비네롱, 로랑 제이통 |
제작 | 아망딘 빌로, 패트릭 보르디에, 알랭 샤바 |
주연 | 알랭 샤바, 샬롯 갱스부르, 베르나데트 라퐁 |
촬영 | 레지스 블론도 |
편집 | 줄리엣 웰플링 |
음악 | 에르완 케르모르방 |
배급사 | 마스 디스트리뷰션, 스튀디오카날 |
상영 시간 | 90분 |
제작 국가 | 프랑스 |
언어 | 프랑스어 |
제작비 | 900만 달러 |
흥행 수익 | 3020만 달러 |
2. 줄거리
43세의 향수 제조사인 루이스(알랭 샤바)는 행복한 싱글 생활을 즐기고 있지만, 어머니와 다섯 누이로 구성된 가족(G7)의 결혼 압박에 시달린다. 첫사랑 실패 후 진지한 관계를 원치 않던 루이스는, 가장 친한 친구의 여동생 엠마(샤를로트 갱스부르)를 "고용"하여 완벽한 신부 역할을 맡기고 결혼식 당일 잠적하는 계획을 세운다.
영화 《결혼하고도 싱글로 남는 법》의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그러나 가족들이 엠마를 진심으로 좋아하게 되면서 계획은 틀어지고, 루이스는 엠마가 가족에게 끔찍하게 행동하도록 유도하는 새로운 계획을 세운다. 결국 두 사람은 진정한 사랑에 빠지게 되고, 루이스는 가족에게 자신의 계획을 고백하고 엠마와 함께하게 된다.
3. 등장인물
한국어 더빙(KBS) 성우는 다음과 같다.
[1]
3. 1. 주요 인물
배역 | 배우 | 한국어 더빙 (KBS) |
---|---|---|
루이스 | 알랭 샤바 | 오인성 |
엠마 | 샤를로트 갱스부르 | 이현주 |
제네비에브 코스타 (루이스의 엄마) | 베르나데트 라퐁 | 이선영 |
프란시스 베르토프 (회사 사장) | 블라디미르 요르다노프 | 이호인 |
피에르-이브 (루이스의 친구/엠마의 오빠) | 그레구와 외스테르만 | 홍승섭 |
카트린 (카트린느) | 비로니크 바로 | 강희선 |
악셀 (루이스의 동생) | 마리 아멜르 드기 | 임은정 |
마리 | 뤼스 무셸 | 김옥경 |
캐롤 (루이스의 동생) | 카티아 레브코비츠 | 은미 |
엠마의 전 남편 / 처남 | 크리스토프 크로츠킨 | 윤세웅 |
막신 (루이스의 동생) | 루이즈 모노 | 유지원 |
음식점 직원 | 비르지니 보데스 | 전진아 |
루이스의 아버지 / 처남 / 와인가게 직원 | 패트릭 보르디에 | 김두용 |
키르스텐 한센 | 아이사 마이가 | - |
판매원 | 안 마리빈 | - |
지나가는 사람 | 에릭 라티고 | - |
3. 2. 루이스의 가족 (G7)
배우 | 역할 |
---|---|
알랭 샤바 | 루이스 |
샤를로트 갱스부르 | 엠마 |
베르나데트 라퐁 | 제네비에브 코스타 (루이스의 엄마) |
블라디미르 요르다노프 | 프란시스 베르토프 (회사 사장) |
그레구와 외스테르만 | 피에르-이브 (루이스의 친구, 엠마의 오빠) |
비로니크 바로 | 카트린느 |
마리 아멜르 드기 | 악셀 (루이스의 동생) |
뤼스 무셸 | 마리 |
카티아 레브코비츠 | 캐롤 (루이스의 동생) |
크리스토프 크로츠킨 | 엠마의 전 남편 |
루이즈 모노 | 막신 (루이스의 동생) |
비르지니 보데스 | 음식점 직원 |
패트릭 보르디에 | 루이스의 아버지 |
3. 3. 기타 인물
한국어 더빙판 성우 | 배역 | 원어 배우 |
---|---|---|
오인성 | 루이스 | 알랭 샤바 |
이현주 | 엠마 | 샤를로트 갱스부르 |
이선영 | 루이스의 엄마 | 베르나데트 라퐁 |
이호인 | 회사 사장 | 블라디미르 요르다노프 |
홍승섭 | 루이스의 친구/엠마의 오빠 | 그레구와 외스테르만 |
강희선 | 카트린느 | 베로니크 바로 |
임은정 | 루이스의 동생 | 마리 아멜르 드기 |
김옥경 | 마리 | 뤼스 무셸 |
은미 | 루이스의 동생 | 카티아 레브코비츠 |
윤세웅 | 엠마의 전 남편 / 처남 | 크리스토프 크로츠킨 |
유지원 | 루이스의 동생 | 루이즈 모노 |
전진아 | 음식점 직원 | 비르지니 보데스 |
김두용 | 루이스의 아버지 / 처남 / 와인가게 직원 | 패트릭 보르디에 |
알랭 샤바 | 루이스 코스타 | |
샬롯 갱스부르 | 엠마 | |
베르나데트 라퐁 | 제네비에브 코스타 | |
블라디미르 요르다노프 | 프란시스 베르토프 | |
그레고리 오스터만 | 피에르-이브 | |
베로니크 바로우 | 카트린 | |
마리-아르멜 드그이 | 악셀 | |
아이사 마이가 | 키르스텐 한센 | |
카티아 레프코비치 | 캐롤 | |
루이즈 모노 | 막신 | |
안 마리빈 | 판매원 | |
에릭 라티고 | 지나가는 사람 |
4. 제작 과정
알랭 샤바는 원래 이 영화의 아이디어를 떠올렸고, 제작 및 각본을 맡을 계획이었다. 에릭 라티고 감독은 그에게 루이스 역을 맡아달라고 요청했고, 샤바는 캐릭터를 더 나이든 남자로 다시 썼다.[3] 샤바의 원래 각본은 5년 동안 다른 4명의 각본가에 의해 7번이나 수정되었다.[4] 샤바는 엠마 캐릭터가 액션 영화를 보는 장면을 넣기로 결정했다. 여러 중국 무협 영화를 비교한 후, 그는 인도 영화 무투(1995)의 100초 분량 격투 시퀀스를 선택했다.[5]
이 영화는 메지쉬르센과 팡탱을 포함한 파리의 여러 지역에서 촬영되었다.
5. 한국판 성우진 (KBS)
KBS에서 한국어 더빙판을 방영했다.
성우 | 배역 |
---|---|
오인성 | 루이스 (알랭 샤바) |
이현주 | 엠마 (샤를로트 갱스부르) |
이선영 | 루이스의 엄마 (베르나데트 라퐁) |
이호인 | 회사 사장 (블라디미르 요르다노프) |
홍승섭 | 루이스의 친구/엠마의 오빠 (그레구와 외스테르만) |
강희선 | 카트린느 (비로니크 바로) |
임은정 | 루이스의 동생 (마리 아멜르 드기) |
김옥경 | 마리 (뤼스 무셸) |
은미 | 루이스의 동생 (카티아 레브코비츠) |
윤세웅 | 엠마의 전 남편 (크리스토프 크로츠킨) / 처남 |
유지원 | 루이스의 동생 (루이즈 모노) |
전진아 | 음식점 직원 (비르지니 보데스) |
김두용 | 루이스의 아버지 (패트릭 보르디에) / 처남 / 와인가게 직원 |
6. 흥행 및 평가
Prête-moi ta main프랑스어는 2006년 11월 1일 프랑스에서 개봉하여 첫 주 박스 오피스 1위를 차지했으며, 100만 장 이상의 티켓 판매고를 올렸다.[6] 6주 연속 박스 오피스 10위 안에 들었으며,[7] 12월 19일까지 300만 장의 티켓 판매를 돌파했다.[8] 최종적으로 350만 장이 넘는 티켓을 판매하여 2007년 프랑스 박스 오피스에서 두 번째로 성공적인 영화가 되었다.[9]
7. 수상 및 후보
세자르상 후보에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여우조연상이 올랐다.[1]
7. 1. 세자르상 (프랑스)
참조
[1]
웹사이트
PRêTE-MOI TA MAIN (I DO) – BY COUNTRY
https://www.boxoffic[...]
[2]
뉴스
Manmadhudu 2 is remake of a French film, confirms Nagarjuna
https://www.indiatod[...]
India Today
2019-07-25
[3]
뉴스
Alain Chabat "Le principe même de la comédie"
http://www.metrofran[...]
2006-11-01
[4]
웹사이트
Prête-moi ta main Secrets de tournage
http://www.zoom-cine[...]
[5]
뉴스
Style, camera, action
http://www.hindu.com[...]
2007-01-26
[6]
문서
In France, box office is based on the number of tickets sold
[7]
웹사이트
Box-office : Arthur et les minimoys sont géants !
http://www.nord-cine[...]
Nord Cinema
[8]
뉴스
"Casino Royale" résiste aux "Infiltrés"
http://lci.tf1.fr/cu[...]
2006-12-08
[9]
뉴스
Box-office : déjà un mois de règne pour "Arthur"
http://www.allocine.[...]
2007-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