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규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규영은 대한민국의 의학자이자 혈관 생물학 분야의 권위자이다. 전북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기초과학연구원 혈관 연구단장, 한국과학기술원 특훈교수, 생명과학과/의과학대학원 교수를 역임했으며, 포항공과대학교 부교수를 거쳤다. 또한, 막스 플랑크 연구소 과학 회원,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Blood', '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의 편집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Cancer Research'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3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2020년 올해의 과학자상, 2018년 호암상 의학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산의학상 수상자 - 김은준
    김은준은 KAIST 생명과학과 석좌교수이자 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단장으로, 뇌과학 분야, 특히 시냅스 기능과 관련된 뇌 질환 연구에 기여하며 ADHD 및 자폐증 관련 연구를 통해 질환 기전 규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네이처, 셀 등 저명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고 아산상, 포스코 청암상, 인촌상 등을 수상했다.
  • 아산의학상 수상자 - 서판길
    서판길은 포항공과대학교 뇌·신경과학 연구소 석좌교수이자 한국뇌연구원 초대 원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뇌 과학자로, 뇌 질환 발병 기전 연구에 기여하여 세계적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과학기술 정책 수립 및 과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호암 의학상 수상자 - 김정룡
    김정룡은 B형 간염 백신 '헤파박스-B' 개발과 세계 최초 C형 간염 바이러스 혈청 분리 성공으로 국내 간 질환 연구에 크게 기여한 대한민국 의학자이다.
  • 호암 의학상 수상자 - 정재웅 (미생물학자)
    정재웅은 서울대학교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를 지낸 대한민국의 미생물학자로, RIG-I, TRIM25, 자가포식 등에 대한 연구로 2012년 호암상 의학상을 수상했다.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 남창희 (물리학자)
    남창희는 서울대학교, KAIST,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KAIST와 GIST 교수를 거쳐 IBS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 초대 센터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로, 펨토초 레이저, 고차조화파, 아토초 펄스, 연엑스선 간섭계 및 현미경 기술 등을 연구하며 IUPAP 등 국제 학술 단체에서 활동했고, 미국 물리학회 및 미국 광학회 펠로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 숭도광과학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 현택환
    현택환은 나노 입자 합성 분야의 권위자로, 승온법을 개발하고 균일한 나노 입자 합성 및 MRI 조영제 개발 등의 업적을 통해 젊은 화학자상과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고규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규영
개인 정보
이름고규영
로마자 표기Go Gyu-yeong
한자 표기!
출생일1957년 11월 18일
출생지전주, 전라북도
국적대한민국
학력
출신 학교전북대학교 (박사, 1991년)
경력
직장기초과학연구원
KAIST
주요 연구 분야혈관신생
림프관신생
지방생성
심장생성
알려진 업적TIE2 활성화 항체
수상
수상 내역호암상 (의학, 2018년)
아산의학상 (2012년)
제 5회 아산의학상 (아산재단, 2012년)
제 7회 경암상 (경암재단, 2011년)
이달의 과학자상 (2011년)
올해의 카이스트인상 (카이스트, 2010년)
제 17회 분쉬의학상 (대한의학회, 2007년)
제 3회 화이자의학연구상 (대한의학회, 2002년)
기타
논문약 230편의 SCI 저널에 논문 발표

2. 학력

고규영은 1983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1991년에 전북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3. 주요 경력

기간직책기관
2015. 07 - 현재혈관 연구단장기초과학연구원
2011. 03 - 현재특훈교수한국과학기술원
2003. 09 - 현재교수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의과학대학원
2001. 05 - 2003. 08부교수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1997. 12 - 2003. 09혈관내피세포 창의연구단 단장
1995. 03 - 2001. 05조교수/부교수전북대학교 의학과
1992. 03 - 1995. 02선임연구원인디애나 대학교 심장연구소


3. 1. 학술 활동

고규영은 5년 동안 미국에서 코넬 대학교 연구원으로, 그 후 인디애나 대학교 연구원으로 일했다.[6] 1995년 한국으로 돌아온 고규영은 전북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조교수로 시작하여 부교수로 마쳤으며, 2001년부터 2003년까지 포항공과대학교에서 부교수로 재직했다. 2003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교수를 지냈으며, 2011년에는 의과학대학원에서 석좌교수가 되었다.[7] 2015년 7월 IBS 혈관 연구단 초대 단장이 되었으며, 이는 기초 의과학 분야에서 최초였다.[8] 2016년에는 막스 플랑크 연구소 (뮌스터)의 과학 회원이 되었고,[9] 2022년에는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0]

그는 ''Blood''[11]와 ''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12]의 편집 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Cancer Research''의 편집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13]

4. 수상

연도수상 내역
2024유럽 분자생물학회(EMBO) 회원[35][36]
2023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37][38]
2020올해의 과학자상[41]
2020올해 바이오 성과 TOP5 - 생명과학·바이오융합 (BRIC)[39][40]
2018호암상 의학상
2012제5회 아산의학상 (아산재단)
2011제7회 경암상 (경암재단)
2011이달의 과학자상
2010올해의 카이스트인상 (카이스트)
2007제17회 분쉬의학상 (대한의학회)
2002제3회 화이자의학연구상 (대한의학회)


참조

[1] 웹사이트 아산의학상 - 사업소개 - 아산사회복지재단 http://www.asanfound[...] 아산사회복지재단 2018-04-13
[2] 웹사이트 Leading the first IBS Center in basic medical sciences: Director Gou Young Koh, Center for Vascular Research https://www.ibs.re.k[...] Institute for Basic Science 2015-09-22
[3] 논문 Amelioration of Sepsis by Tie2 Activation-Induced Vascular Protection https://www.science.[...]
[4] 논문 Plastic roles of pericytes in the blood–retinal barrier 2017-05-16
[5] 논문 Attenuated angiopoietin-Tie2 signaling regresses Schlemm's canal integrity and induces glaucoma 2017-09-18
[6] 웹사이트 Leading the first IBS Center in basic medical sciences: Director Gou Young Koh, Center for Vascular Research https://www.ibs.re.k[...] Institute for Basic Science 2015-09-22
[7] 웹사이트 Faculty http://bio.kaist.ac.[...] KAIST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8] 웹사이트 Leading the first IBS Center in basic medical sciences: Director Gou Young Koh, Center for Vascular Research https://www.ibs.re.k[...] Institute for Basic Science 2015-09-22
[9] 웹사이트 Organisation https://www.mpi-muen[...] Max Planck Institute for Molecular Biomedicine
[10] 웹사이트 대한민국학술원 신임회원에 정찬섭·조장옥·고규영·고희종 https://www.mk.co.kr[...] 2022-07-15
[11] 웹사이트 2014 Editorial Board http://www.bloodjour[...]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2014
[12] 논문 Editorial Board 2013-12-11
[13] 웹사이트 Editorial Board http://cancerres.aac[...]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2018-04
[14] 웹사이트 (2024년 제7회)과학자의 서재 속으로 : 「첫 번째 기후과학 수업」/집현네트워크 저 https://ibs.re.kr/sc[...] Institute for Basic Science
[15] 웹사이트 고규영 IBS 단장, 유럽분자생물학기구 외국인 회원 선정 https://www.yna.co.k[...] 2024-07-10
[16] 웹사이트 고규영 IBS 단장, 유럽 최고 분자생물학회 회원 선출 https://www.sedaily.[...] SeDaily 2024-07-10
[17] 웹사이트 2023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선정 https://www.korea.kr[...] 2023-07-02
[18] 웹사이트 2023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에 '의사과학자' 고규영 교수 https://www.fnnews.c[...] 2023-07-02
[19] 웹사이트 연구자 1325명이 선정한 올해 바이오 성과 TOP5 https://www.hellodd.[...] 2020-12-27
[20] 웹사이트 2020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및 뉴스 TOP5 https://m.ibric.org/[...] 2020-12-22
[21] 웹사이트 최기영 장관 "난제해결 열쇠는 과학기술. 기초역량 튼튼히 해야" http://dongascience.[...] 2020-11-27
[22] 웹사이트 Previous Laureates - HOAM http://hoamprize.sam[...] Ho-Am Foundation
[23] 웹사이트 올해 '호암상' 수상자에 오희·박남규·고규영 교수 http://www.yonhapnew[...] Yonhap News Agency 2018-04-10
[24] 웹사이트 Awardees https://www.hfsp.org[...]
[25] 웹사이트 2008 - 2018 - Laureates - Asan Award in Medicine - Asan Medical Center- HOAM http://asanawardinme[...] Asan Foundation
[26] 웹사이트 아산의학상 - 사업소개 - 아산사회복지재단 http://www.asanfound[...] 아산사회복지재단
[27] 웹사이트 고규영 교수, 제7회 경암학술상 수상 http://gsmse.kaist.a[...] KAIST 2011-09-10
[28] 웹사이트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KAIST 고규영 교수 선정 http://www.everynews[...] Every News 2011-08-04
[29] 웹사이트 KAIST 고규명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http://news.joins.co[...] Korea JoongAng Daily 2011-08-03
[30] 웹사이트 의과학대학원 고규영 교수, 2010 "올해의 카이스트인상" 수상 http://gsmse.kaist.a[...] KAIST GSMSE 2011-01-19
[31] 웹사이트 생명과학과 고규영 교수... 분쉬의학상 수상 http://bio.kaist.ac.[...] KAIST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2007-10-29
[32] 웹사이트 고규영 교수 화이자의학연구상 수상 http://times.postech[...]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02-03-27
[33] 웹사이트 포항공대 고규영 교수 '화이자의학연구상' http://www.kyongbuk.[...] Kyongbuk Ilbo 2002-03-21
[34] 웹인용 (2024년 제7회)과학자의 서재 속으로 : 「첫 번째 기후과학 수업」/집현네트워크 저 https://ibs.re.kr/sc[...] 기초과학연구원 2024-11-29
[35] 웹인용 고규영 IBS 단장, 유럽분자생물학기구 외국인 회원 선정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07-11
[36] 웹인용 고규영 IBS 단장, 유럽 최고 분자생물학회 회원 선출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24-07-11
[37] 웹인용 2023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선정 https://www.korea.kr[...] 2023-07-04
[38] 웹인용 2023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에 '의사과학자' 고규영 교수 https://www.fnnews.c[...] 2023-07-04
[39] 웹인용 연구자 1325명이 선정한 올해 바이오 성과 TOP5 https://www.hellodd.[...] 2020-12-28
[40] 웹인용 2020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및 뉴스 TOP5 https://m.ibric.org/[...] 2020-12-28
[41] 웹인용 최기영 장관 "난제해결 열쇠는 과학기술. 기초역량 튼튼히 해야" http://dongascience.[...] 2020-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