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덕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덕동은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속하는 법정동이다. 고려 말 이양중이 조선 건국을 반대하고 은거하며 '덕이 높은 인물'로 추앙받은 데서 유래했다는 설과, 옛 지명 '고다지동' 또는 '고더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1914년 광주군 구천면에 병합되었고, 1963년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 1975년 강남구 관할, 1979년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 1982년부터 1985년까지 고덕지구 택지개발사업이 진행되었으며, 1985년 명일동에서 분동, 1988년 고덕제1동과 2동으로 분동되었다. 서울 지하철 5호선이 지나가는 고덕역이 위치해 있으며, 고덕산, 동자근린공원, 고덕 그라시움 아파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동구의 행정 구역 - 암사동
암사동은 서울 강동구에 위치한 동으로, 삼국시대 사찰에서 유래된 지명을 가지며, 조선시대 구암사리로 불렸고, 특히 신석기 시대 암사동 선사 유적지가 있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 서울 강동구의 행정 구역 - 강일동
강일동은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위치한 동으로, 주요 시설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학교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서울 강동구의 법정동 - 암사동
암사동은 서울 강동구에 위치한 동으로, 삼국시대 사찰에서 유래된 지명을 가지며, 조선시대 구암사리로 불렸고, 특히 신석기 시대 암사동 선사 유적지가 있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 서울 강동구의 법정동 - 강일동
강일동은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위치한 동으로, 주요 시설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학교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 1988년 폐지 - 한국국민당 (1981년)
한국국민당은 1981년 김종철을 중심으로 창당되어 제11대 총선에서 제3당이 되었으나, 분열과 의석 상실로 1988년 해산된 정당이다. - 1988년 폐지 - 압구정동
압구정동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하며 한명회의 정자에서 유래, 고급 아파트 단지 조성 후 고소득층 거주 지역으로 발전하여 백화점, 레스토랑, 부티크 등이 밀집한 번화가이자 압구정로데오거리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령층의 소비자를 흡수하는 쇼핑 명소이며, 편리한 교통과 명문 사립학교, 그리고 대중문화 배경지로도 유명하다.
고덕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 고덕동 |
한자 | 高德洞 |
로마자 표기 | Godeok-dong |
매큔-라이샤워 표기 | Kodŏk-tong |
면적 | 3.75 km² |
인구 (2001년) | 50147명 |
인구 밀도 | 13373명/km² |
방언 | 불명 |
고덕제1동 정보 | |
한글 | 고덕제1동 |
한자 | 高德第1洞 |
로마자 표기 | Godeok 1(il)-dong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시군구 | 강동구 |
![]() | |
![]() | |
면적 | 1.73 |
세대 (2012년 12월 31일) | 5,990 |
인구 (2022년 2월) | 24,066 |
법정동 | 고덕동 |
통 | 30 |
반 | 254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156길 123 |
홈페이지 | 고덕1동 주민센터 |
고덕제2동 정보 | |
한글 | 고덕제2동 |
한자 | 高德第2洞 |
로마자 표기 | Godeok 2(i)-dong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시군구 | 강동구 |
![]() | |
면적 | 2.01 |
세대 (2012년 12월 31일) | 7,025 |
인구 (2022년 2월) | 22,390 |
법정동 | 고덕동 |
통 | 26 |
반 | 217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아리수로78길 43-12 |
홈페이지 | 강동구 고덕2동 주민센터 |
2. 역사
고덕이라는 지명은 고려 말 형조참의를 지낸 이양중(李養中)이 조선 태조 이성계의 조선 건국을 반대하여 이곳에 와서 숨어 살면서 벼슬 제의도 거절하는 굳은 절개를 지켜 주위로부터 "덕이 높은 인물"로 추앙받은 데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진다.[3] 한편으로는 조선시대 기록된 고다지동(古多只洞) 또는 '고더기'라는 옛 지명이 원래 이름이며 음운이 변하여 고덕동으로 쓰인 것이라고도 한다.
1914년 가재울, 비석말, 방죽말, 동자골 등 자연마을을 광주군 구천면(九川面) 고덕리로 병합하였다.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 확장에 따라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면서 고덕동으로 바뀌었고,[4] 1975년 10월 1일 강남구 관할이 되었다가,[5] 1979년 10월 1일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6]
1982년부터 1985년까지 고덕지구 택지개발사업이 완료되어 도시적 주거지와 상업지가 발전하였다. 1985년 9월 1일 명일동에서 택지개발지역이 고덕동으로 분동되었으며, 1988년 7월 1일 고덕동을 고덕제1동, 고덕제2동으로 분동하였다.
2. 1. 지명 유래
고덕이라는 지명은 고려 말 형조참의를 지낸 이양중(李養中)이 조선 태조 이성계의 조선 건국을 반대하여 이곳에 와서 숨어 살면서 벼슬 제의도 거절하는 굳은 절개를 지켜 주위로부터 "덕이 높은 인물"로 추앙받은 데서 비롯되었다고 전해진다.[3] 한편으로는 조선시대 기록된 고다지동(古多只洞) 또는 '고더기'라는 옛 지명이 원래 이름이며 음운이 변하여 고덕동으로 쓰인 것이라고도 한다.2. 2. 서울 편입과 발전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 확장에 따라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면서 고덕동으로 바뀌었고,[4] 1975년 10월 1일 강남구 관할이 되었다가,[5] 1979년 10월 1일 강동구 관할이 되었다.[6]1982년부터 1985년까지 고덕지구 택지개발사업이 완료되어 도시적 주거지와 상업지가 발전하였다. 1985년 9월 1일 명일동에서 택지개발지역이 고덕동으로 분동되었으며, 1988년 7월 1일 고덕동을 고덕제1동, 고덕제2동으로 분동하였다.
1995년 서울 지하철 5호선이 이 지역을 통과하여 고덕역과 명일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3. 행정 구역
법정동 | 행정동 |
---|---|
강동구를, 080은 고덕동을 나타낸다.4. 주요 시설
5. 아파트
6. 교육고덕동에는 다음과 같은 학교들이 있다. 7. 교통참조
[1]
웹사이트
ko:고덕동 (Godeok-dong 高德洞)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