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 잉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체 잉크는 프린터에서 액체 잉크나 토너 가루 대신 고체 형태의 잉크 스틱, 크레용, 구슬 또는 과립을 사용하는 기술이다. 고체 잉크는 인쇄 품질이 뛰어나고 폐기물이 적으며 잉크가 마르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예열 시간이 필요하고 프린트 헤드 막힘, 전력 소비, 이동 제약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1960년대에 처음 개발되었으며, 3D 프린팅 분야에도 응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린터 -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는 잉크 리본에 핀을 쳐서 점으로 문자와 그래픽을 인쇄하는 충격식 프린터로, 1957년 IBM에서 처음 출시되었고 1980년대 널리 보급되었으나 잉크젯 프린터 등장 후 쇠퇴하여 현재는 일부 특수 분야에서 사용된다. - 프린터 - 라인 프린터
라인 프린터는 컴퓨터 기술 초기에 상업적으로 사용된 고속 인쇄 장치로, 한 번에 한 줄씩 인쇄하며 드럼, 체인, 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어 컴퓨터 시스템 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
고체 잉크 | |
---|---|
개요 | |
종류 | 프린터 잉크 |
형태 | 고체 |
사용 분야 | 잉크젯 프린터, 인쇄 |
상세 정보 | |
특징 | 카트리지 없음 폐기물 감소 친환경적 |
기술 | 잉크를 녹여서 사용 왁스 기반 고체 상태로 보관 |
적용 프린터 | 잉크젯 프린터 제록스 Phaser 프린터 |
장점 | 색상 정확도 높음 유지 보수 용이 낭비되는 잉크 적음 |
단점 | 특수 용지 필요 에너지 소비량 높음 인쇄 속도 느림 |
역사 | 1986년 제록스에서 개발 |
작동 원리 | 고체 잉크 녹임 프린트 헤드를 통해 분사 용지에 잉크 고착 |
구성 성분 | 왁스 수지 안료 첨가제 |
2. 디자인
고체 잉크 기술의 핵심은 고체 상태의 잉크를 녹여 액체 형태로 만든 후 인쇄에 사용하는 것이다. 초기의 고체 잉크는 장기간 보관 시 종이 뒷면으로 잉크가 배어 나오는 현상이 있었고, 인쇄 시 특유의 냄새가 심했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들이 보완되었다.
고체 잉크젯 프린터는 다른 방식의 프린터 엔진에 비해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견고하여 대량의 출력물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일례로, 비교적 많은 출력물을 필요로 하는 국내 대부분의 보험회사에서 사용 편의성, 저렴한 출력 비용, 탁월한 내구성 등으로 인해 고체 잉크젯 프린터를 선호하고 있다.
인쇄 품질은 2000년대 초반 시점에서 이미 1200dpi를 달성했다.[23] 국내 판매는 당초 소니 테크트로닉스에서 진행했지만 1999년에 테크트로닉스 본사의 프린터 사업을 제록스사가 인수하면서, 국내 판매도 소니 테크트로닉스에서 후지 제록스(현: 후지필름 비즈니스 이노베이션)의 100% 자회사인 페이저 프린팅 재팬으로 이관되었다.[23] 이후, 판매 부진으로 2006년에 솔리드 잉크의 국내 판매는 종료되었다.
고체 잉크젯 프린터 및 고체 잉크에 관한 특허는 제록스가 독점하고 있어 액체나 토너 방식의 프린터와 같은 폭넓은 시장을 형성하지 못하는 점은 단점이다. 제록스를 제외하고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1999년부터 고체 잉크를 순수 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생산해 오던 국내 제조회사인 (주)화립(구 MSNG)은 2016년 2월 고체 잉크 제조에 관한 특허 및 생산 설비 등 모든 자산을 제록스에 매각하였다.
2. 1. 작동 원리
고체 잉크는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액체 잉크나 토너 가루 대신 고체 잉크 스틱, 크레용, 구슬 또는 과립 형태의 고체 재료를 사용한다. 고체 잉크는 프린터에 장착되면 녹아서 오프셋 인쇄와 유사한 방식으로 종이나 다른 재료에 이미지를 인쇄하는 데 사용된다.[1]고체 잉크 프린터는 가열된 프린트 헤드를 사용한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에는 연속 잉크젯(CIJ) 방식이, 이후에는 필요시 낙하(DOD) 방식이 발명되어 왁스와 저온 금속 합금 잉크를 사용하는 고체 잉크 산업이 시작되었다. DOD는 압전 장치를 사용하며, 열은 분극을 변화시킨다. 1985년, Howtek은 Howtek 스타일 DOD 잉크젯 설계를 통해 DOD 고온의 장벽을 극복했다. 이를 통해 화학자들은 고체 잉크를 새로운 방향으로 개발할 수 있었고, Visual Impact Corporation이라는 회사를 설립한 전 Howtek 직원의 3차원 인쇄 특허로 이어졌다.[8]
기존의 잉크젯 프린터는 액체 잉크를 사용했지만, 안료계, 염료계 모두 인쇄 속도가 레이저 프린터에 비해 느렸다. 솔리드 잉크는 약 60도의 온도에서 액체화되어 용지에 전사되므로 번짐이 적고, 선명한 인쇄 품질과 빠른 출력(분당 16매)을 제공한다.[23]
2. 2. 잉크 형태
고체 잉크는 프린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체 잉크 또는 토너 가루 대신 고체 잉크 스틱, 크레용, 구슬 또는 과립 형태의 고체 재료를 사용한다. 일부 유형의 고체 잉크 프린터는 작은 구형 또는 고체 잉크 퍽을 사용하며, 이는 웜 기어에 의해 프린트 헤드로 옮겨지거나 필요에 따라 녹기 전에 호퍼에 보관된다. 고체 잉크는 YMCK(노랑, 마젠타, 시안, 검정) 각 색상으로 제공되며, 잉크 투입구는 다른 색상을 잘못 투입하지 않도록 입구의 단면 형상이 결정되어 있다.[23]3. 장점
고체 잉크 프린터는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견고하여 대량 출력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국내 대부분의 보험회사는 사용 편의성, 저렴한 출력 비용, 탁월한 내구성 때문에 고체 잉크젯 프린터를 선호한다.[1]
솔리드 잉크는 액체 잉크보다 번짐이 적고 선명하며, 고속(분당 16매) 출력이 가능하다.[23] 2000년대 초반에는 이미 1200dpi의 인쇄 품질을 달성했다.[23]
3. 1. 우수한 인쇄 품질
고체 잉크는 잉크를 페이지에 인쇄하는 방식 덕분에 인쇄 품질이 정확하고 선명하며 밝은 색상을 낸다고 평가받는다.[1] 용지 표면을 광택 있고 거의 불투명하게 덮기 때문에 저품질 용지에서도 뛰어난 결과를 얻을 수 있다.[1] 다양한 종류와 두께의 용지에 인쇄할 수 있으며, 이는 컬러 레이저 프린터보다 용지 유형의 변화에 덜 민감하다.[1] 기존의 잉크젯 프린터는 번짐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팅지나 광택지와 같은 고품질의 전용 용지를 필요로 했지만, 솔리드 잉크는 저품질의 종이에서도 선명한 인쇄가 가능했다.3. 2. 다양한 용지 호환성
고체 잉크 프린터는 컬러 레이저 프린터보다 다양한 종류와 두께의 용지에 인쇄할 수 있다. 고체 잉크는 용지 표면을 광택 있고 거의 불투명하게 덮기 때문에 저품질 용지에서도 뛰어난 결과를 얻을 수 있다.[1] 기존의 잉크젯 프린터는 번짐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팅지나 광택지와 같은 고품질의 전용 용지를 필요로 했지만, 솔리드 잉크는 저품질의 종이에서도 선명한 인쇄가 가능했다.3. 3. 친환경성
고체 잉크 블록은 포장재 외에 빈 잉크나 토너 카트리지를 생성하는 레이저 프린터 또는 잉크젯 프린터보다 폐기물이 적다. 잉크 블록이 다 소모되면 잔여 카트리지가 남지 않으며, 얇은 플라스틱 포장 봉투나 트레이, 재활용 가능한 판지 포장 상자만 남는다.[6] 토너 카트리지나 잉크 탱크와 같은 수지제 용기 폐기물도 발생하지 않는다.[21]3. 4. 잉크 안정성
고체 잉크 프린터는 장기간 사용하지 않아도 잉크젯 프린터처럼 잉크가 마르지 않는다. 냉각되어 고체화된 잉크는 마르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프린터가 작동하지 않는 동안 고체화된 왁스는 산소와 수분이 잉크 전달 구성 요소의 많은 내부 부품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1]3. 5. 안전성
고체 잉크 블록은 무독성으로 만들어져 취급이 안전하다. 1990년대 테크트로닉스(Tektronix) 사장은 식물성 기름에서 추출한 고체 잉크 조각을 먹어 안전성을 입증하기도 했다.[4] 이는 처방된 알약의 코팅과 유사하게 묘사될 수도 있다.[1]4. 단점
초기 고체 잉크는 장기간 보관 시 종이 뒷면으로 잉크가 배어 나오는 현상이 있었고, 인쇄 시 고체 잉크 특유의 냄새가 심했으나 최근에는 이런 단점들이 보완되었다.[1]
고체 잉크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 잉크 블록은 제록스가 잉크의 제형(특히 용융점)을 변경함에 따라 각 모델별로 CMYK 모양을 다르게 했기 때문에 Phaser 모델 간에 호환되지 않는다. 특수 개구부는 잘못된 모델이나 슬롯에 잉크 스틱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1]
- 인쇄면에 필기하기 어렵다.[1]
- 장기 보존 시 용지에 왁스가 스며들어 번진다.[1]
- 왁스 특유의 냄새가 난다.[1]
- 전원을 켤 때 일정량의 왁스를 폐기한다.[22]
- 왁스가 묻어 있으므로 뒷면에 인쇄하려고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에 넣으면 정착기 주변에 악영향을 준다.[1]
- 제록스가 고체 잉크젯 프린터 및 고체 잉크에 관한 특허를 독점하고 있어 액체나 토너 방식의 프린터와 같은 폭넓은 시장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1]
4. 1. 프린트 헤드 막힘
고체 오염 물질이 잉크에 섞이면 프린트 헤드 노즐이 막힐 수 있으며, 이는 프린트 헤드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1]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정품 잉크를 사용하고 필터 관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록스는 자사 제품에 대한 보증을 제공하며, 일부 서드 파티 잉크 제조업체도 보증을 통해 손상된 프린트 헤드 교체 비용을 지원한다.4. 2. 예열 시간
프린터가 차가울 때, 잉크를 녹이기 위해 예열 시간이 필요하며, 첫 페이지를 인쇄하는 데 수십 분이 걸릴 수 있다.[1] 예열 후에는 잉크를 훨씬 더 빠르게 녹일 수 있으므로 추가 페이지 인쇄 속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4. 3. 전력 소비
고체 잉크는 가열이 필요하며, 인쇄 메커니즘의 상당 부분이 사용 중에 잉크의 용융점에 가깝게 유지되어야 한다. 프린터가 "절전 모드"에 있을 때에도, 프린트 헤드 내부에 각 색상의 소량의 왁스를 잉크의 "동결점"보다 약간 높은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유지한다. 제록스 서비스 매뉴얼에 따르면, 이는 약 50와트를 소비한다.[1]4. 4. 이동 제약
고체 잉크 프린터는 작동 온도에서 녹은 왁스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 설명서에는 기계 제어판에서 특수 냉각 주기를 완료해야만 이동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1] 주 전원을 제거한 후 30분간 냉각하는 것이 권장되지만, 최신 고체 잉크 프린터는 10분 이내에 팬을 사용해 잉크를 굳히는 종료 기능이 있어 이동이나 배송 중 손상을 막기 위해 프린트 헤드를 물리적으로 고정한다. 설명서에는 냉각 주기를 완료하지 않고 프린터를 이동하면 심각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숙련된 기술자의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명시되어 있다. 냉각 전에 프린터를 이동하면 녹은 잉크가 다른 색상 저장소나 프린터 내부 부품(모터, 벨트 등)으로 흘러 프린트 헤드가 손상될 수 있으며, 이는 유지 보수나 보증 대상이 아니다. 이러한 액체 잉크 유출 문제 때문에 고체 잉크 프린터는 소매점 가격표 인쇄용 이동식 카트와 같은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4. 5. 프린트 헤드 수명
카트리지에 프린트 헤드가 포함된 일부 잉크젯 프린터와 달리, 고체 잉크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는 고정되어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린트 헤드의 일부 노즐이 영구적으로 막혀서 보기 흉한 줄무늬가 생길 수 있지만, 프린트 헤드 및 드럼 청소 주기와 제트 교체 옵션을 통해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1] 최근 ColorQube 장치(8570/8870)에서는 흡입된 잉크에 대한 필터가 구현되어 막힘 문제를 줄였다. 저렴한 종이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먼지는 프린트 헤드 막힘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록스는 정기적인 사용 중에 먼지나 섬유가 나오지 않는 종이의 사용을 권장한다. 종이 먼지는 프린터 내부의 잔해로 축적될 수도 있으며, 이는 드럼에 마모를 일으켜 인쇄 품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본 내장 드럼 청소 절차는 프린트 헤드 노즐 청소 주기를 시작하기 전에 최소 3번 실행하는 것이 권장된다. 프린트 헤드 시스템에는 또한 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먼지, 잔해 및 잔여 잉크로부터 프린트 헤드를 닦는 와이퍼 어셈블리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이 시스템은 견고하며, 프린트 헤드는 백만 번 이상의 인쇄를 견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6. 라미네이션 어려움
고체 잉크 기술의 특성상 라미네이션이 어렵다. 라미네이터 온도를 잉크가 녹는 온도까지 충분히 낮추지 않으면 잉크가 번질 수 있다.[1]5. 역사
고체 잉크 기술은 1962년 텔레타이프사에서 처음 소개되었다.[7] 초기에는 종이 뒷면으로 잉크가 번지는 현상이나 특유의 냄새와 같은 단점이 있었지만, 이후 기술 발전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이 개선되었다.
고체 잉크젯 프린터는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여 대량 출력이 필요한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었고, 특히 국내 보험회사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고체 잉크 및 프린터 관련 특허를 제록스가 독점하고 있어 시장 확대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제록스를 제외하고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1999년부터 고체 잉크를 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생산해 오던 국내 제조회사인 (주)화립(구 MSNG)은 2016년 2월 고체 잉크 제조에 관한 특허 및 생산설비 등 모든 자산을 제록스에 매각하였다.
5. 1. 초기 개발
1966년 텔레타이프(Teletype) 인크트로닉(Inktronic) 터미널에서 왁스를 사용한 최초의 고체 잉크 제품이 출시되었다.[7] 1972년 4월 4일에는 핫멜트 왁스에 대한 특허(US3653932)가 발급되었다.[7] 1971년에는 액체 금속 기록기에 대한 특허(US3596285)가 발급되었는데, 이 특허에서는 액체 금속을 핫멜트 "타입" 잉크라고 언급하며, 이는 3D 프린팅 기술의 초기 형태 중 하나로 볼 수 있다.[7]5. 2. Howtek의 등장
1982년, 로버트 하워드는 센트로닉스를 떠나기 전 소형 컬러 프린터 시스템 개발 아이디어를 떠올렸고, 2년 후 이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Howtek, Inc.를 설립했다.[19] 1984년, Howtek은 핫멜트 열가소성 잉크를 사용하는 픽셀마스터(Pixelmaster) 프린터를 출시했다.[19] 이 프린터는 피에조 크리스탈을 사용하여 각 기본 색상(빨강, 녹색, 파랑)과 검은색 잉크 방울을 종이에 분사했다.[19] Howtek 고체 잉크는 감산 색상 증착(레이어링) 방식으로 색상을 인쇄했다.Howtek 창립자와 직원들은 이후 3D 프린팅 회사 설립에 기여했다. 리처드 헬린스키는 1989년 C.A.D.-Cast, Inc.(이후 Visual Impact Corporation으로 변경)를 설립하고,[8] 3D 프린터 Sculptor를 제작했으나, 1992년 관련 특허(US 5136515A)를 획득한 후 1993년 Sanders Prototype, Inc.에 라이선스를 부여했다. 허브 멘헤넷은 1993년 Personal Modeler 제품을 가지고 Ballistic Particle Manufacturing(BPM)에 합류했다.[9] 이 두 회사 모두 Howtek 스타일의 잉크젯과 열가소성 재료를 사용했다. 3D 회사 사장 중 3명 이상은 Howtek의 전직 직원, 디자이너, 부사장, 엔지니어, 화학자, 구매자, 비서 및 기술자였다.
5. 3. 테크트로닉스와 제록스
1991년 6월, 테크트로닉스는 컬러 고체 잉크 프린터 PhaserJet PXi를 출시했으며, 가격은 거의 10000USD였다.[17][11] 1991년 9월, Dataproducts Corporation은 컬러 고체 잉크 프린터 Jolt를 출시했다.[12]1990년대에는 Tektronix Phaser III, Tektronix Phaser 300을 포함하여 최대 타블로이드 엑스트라 크기로 인쇄할 수 있는 일련의 고체 잉크 프린터가 출시되었으며, 1997년 Tektronix Phaser 380으로 정점을 찍었다. 1996년에는 와이드 포맷 고체 잉크 프린터인 Phaser 600이 출시되었다. Phaser 600은 최대 48인치 너비의 롤지 또는 시트지를 사용할 수 있었다.[13][14]

2000년 제록스가 테크트로닉스 컬러 인쇄 및 이미징 부서를 인수하면서,[15][16] 고체 잉크 기술은 제록스 오피스 인쇄 및 이미징 제품 라인의 일부가 되었다.
5. 4. 한국의 고체 잉크 개발
제록스를 제외하고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1999년부터 고체 잉크를 자체 기술로 개발하여 생산해 오던 국내 제조회사인 (주)화립(구 MSNG)은 2016년 2월 고체 잉크 제조에 관한 특허 및 생산설비 등 모든 자산을 제록스에 매각하였다.[1]5. 5. 최근 동향
제록스는 2016년 상반기 무렵 고체 잉크 프린터 판매를 중단했다.[20] 이후 고체 잉크 기술은 3D 프린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6. 응용 기술
고체 잉크 특유의 상온에서 고체화되는 성질을 적층하는 기술은 3D 프린터에 응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6. 1. 3D 프린팅
고체 잉크의 상온 고체화 특성을 이용해 정밀 부품을 출력하는 3D 프린터가 개발되고 있다. 2013년 3D 시스템즈(3D Systems)는 제록스로부터 일부 고체 잉크 개발팀을 3250만달러에 인수하여 3D 프린팅 기술 개발에 활용하고 있다.[24][25][26] 광경화성 수지나 열 용융 적층 방식보다 정밀한 부품 출력에 적합하며, 로스트 왁스 원형 제조 등 정밀 부품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Solidscape사에서도 유사한 방식의 3D 프린터를 판매한다.참조
[1]
서적
Chemistry and technology of printing and imaging systems
https://www.worldcat[...]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1996
[2]
웹사이트
Xerox OEM Inks
https://oem-printhea[...]
2020-12-30
[3]
웹사이트
Solid Ink
https://promotions.n[...]
2020-12-30
[4]
서적
Inkjet! : history, technology, markets, and applications
Digital printing Council, PIA/GATFPress
2008
[5]
뉴스
Pros & Cons of a Solid Ink Printer
https://yourbusiness[...]
2020-12-30
[6]
뉴스
Pros & Cons of a Solid Ink Printer
https://yourbusiness[...]
2020-12-30
[7]
서적
Print unchained : fifty years of digital printing, 1950-2000 and beyond : a saga of invention and enterprise
https://www.worldcat[...]
DRA of Vermont, Inc
2000
[8]
서적
Automated fabrication : improving productivity in manufacturing
PTR Prentice Hall
1993
[9]
서적
Automated fabrication : improving productivity in manufacturing
PTR Prentice Hall
1993
[10]
서적
3D printing : the next industrial revolution
https://www.worldcat[...]
ExplainingTheFuture.com
2013
[11]
간행물
World of Color Printing Done from the Desktop
InfoWorld Publishing
1991-09-30
[12]
간행물
Dataproducts offers two solid ink-jet color printers
https://books.google[...]
InfoWorld Publishing
2017-12-06
[13]
Citation
380 DSE
http://www.office.xe[...]
Xerox
[14]
Citation
Phaser 600 Support
http://www.office.xe[...]
Xerox Corporation
[15]
뉴스
Xerox to Pay $950 Million For Color Printer Business
https://www.nytimes.[...]
2017-08-22
[16]
웹사이트
Xerox buys Tektronix unit
https://money.cnn.co[...]
2017-08-22
[17]
뉴스
Computers: Two U.S. Firms Outpace Japan Rivals: Color Printer Gives Tektronix Jump on Canon
1991-06-14
[18]
서적
Automated fabrication : improving productivity in manufacturing
PTR Prentice Hall
1993
[19]
서적
Connecting the dots : my life and inventions, from X-rays to death rays
Welcome Rain
2009
[20]
웹사이트
Is Xerox Retiring Solid Ink?
https://www.industry[...]
2021-07-04
[21]
문서
Xerox Solid Ink Printer Cuts Waste by 90%
http://inhabitat.com[...]
[22]
문서
ソリッドインクカラープリンタがイケてない理由
http://blog.livedoor[...]
[23]
문서
フェイザー、最大で毎分16枚印刷可能なページプリンター『Phaser 860 シリーズ』を発表
https://ascii.jp/ele[...]
[24]
문서
3D Systems buys Xerox’s solid ink product design group
http://www.techfever[...]
[25]
문서
3D Systems to Acquire a Portion of Xerox’s Oregon Based Solid Ink Engineering and Development Teams
http://www.3dsystems[...]
[26]
문서
3D Systems To Acquire a Portion of Xerox’s Oregon Based Solid Ink Engineering and Development Teams
http://www.xerox.com[...]
[27]
서적
Chemistry and technology of printing and imaging systems
https://www.worldcat[...]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1996
[28]
웹인용
Xerox OEM Inks
https://oem-printhea[...]
2020-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