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선 비틀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곡선 비틀림은 유클리드 공간 상의 곡선이 공간에서 휘어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호의 길이 매개변수와 일반 매개변수 표현을 통해 정의되며, 종법선 벡터와 주법선 벡터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곡선의 비틀림이 0이면 평면 곡선이며, 나선의 곡률과 비틀림은 상수이다. 비틀림의 역수는 비틀림 반지름이라고 하며, 우향 나선은 양의 비틀림, 좌향 나선은 음의 비틀림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곡률 - 가우스 곡률
가우스 곡률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놓인 곡면의 두 주곡률의 곱으로, 곡면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곡면 자체의 길이 측정만으로 결정되는 내재적인 값이다. - 곡률 - 평균곡률
평균 곡률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곡면의 한 점에서의 곡률을 나타내는 값으로, 법선을 포함하는 평면들이 곡면을 자르는 곡선들의 부호 있는 곡률의 평균이며, 특히 평균 곡률이 0인 곡면을 극소 곡면, 상수인 곡면을 상수 평균 곡률 곡면이라고 한다. - 곡선 - 선적분
선적분은 스칼라장이나 벡터장의 곡선에 대한 적분으로, 함수의 종류와 곡선의 표현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며, 물리학과 공학 등에서 활용된다. - 곡선 - 아스트로이드
아스트로이드는 별 모양의 곡선으로, `x2/3 + y2/3 = a2/3` (a는 상수)로 표현되는 6차 실수 대수곡선이며, 매개변수 방정식, 페달 방정식 등 다양한 수학적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고, 면적은 (3/8)πa², 둘레는 6a이며, 원 내부에서 작은 원이 구르며 생기는 자취로도 설명된다. - 미분기하학 - 가우스 곡률
가우스 곡률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놓인 곡면의 두 주곡률의 곱으로, 곡면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곡면 자체의 길이 측정만으로 결정되는 내재적인 값이다. - 미분기하학 -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는 곡면의 가우스 곡률이 외부 공간이 아닌 곡면 자체의 리만 계량만으로 결정된다는 정리로, 곡면의 변형 시 가우스 곡률이 보존됨을 의미하며, 지도 제작의 불가능성 증명과 고차원 리만 다양체 일반화에 응용되어 미분기하학과 일반 상대성 이론의 기초가 된다.
곡선 비틀림 | |
---|---|
일반 정보 | |
![]() | |
분야 | 미분기하학 |
정의 | 곡선이 접촉 평면에서 얼마나 빨리 회전하는지를 측정하는 값 |
기호 | τ (타우) |
SI 단위 | 라디안/미터 (rad/m) |
차원 | L⁻¹ |
정의 | |
공식 정의 | 곡선 C가 주어지고, C의 단위 접선 벡터 T, 법선 벡터 N, 종법선 벡터 B가 주어질 때, 비틀림 τ는 다음 공식을 통해 정의됨: d**B**/ds = -τ**N** 여기서 s는 호 길이 매개변수 |
계산 방법 | 위치 벡터 r(t)로 매개변수화된 3차원 공간의 곡선의 경우, 비틀림은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음: τ = ((r' × r) ⋅ r) / ||r' × r||² 여기서 r', r'', r는 각각 r(t)의 1차, 2차, 3차 도함수를 나타냄 |
성질 | |
평면 곡선 | 평면 곡선의 비틀림은 0임 |
직선 | 직선의 비틀림은 정의되지 않음 (곡률이 0이므로) |
상수 비틀림 | 만약 비틀림이 상수라면, 그 곡선은 나선 또는 직선임 |
응용 | |
물리학 | 끈 이론과 같은 물리학 분야에서, 비틀림은 입자의 회전과 관련된 속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음 |
생물학 | DNA와 같은 분자의 모양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 DNA의 비틀림은 유전 정보의 복제 및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함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곡률 프레네-세레 공식 접촉 평면 |
2. 정의
3차원 유클리드 공간 에서 곡선 의 비틀림 는 주어진 점에서 이중 법선 벡터의 회전 속도를 측정한다. 비틀림이 클수록 이중 법선 벡터가 접선 벡터로 주어진 축을 중심으로 더 빠르게 회전한다.
2. 1. 호 길이 매개변수 표현
호의 길이로 매개변수화된 공간 곡선 에 대해, 단위 접선 벡터를 라고 하자. 의 곡률 가 0이 아닌 점에서, 주 법선 벡터와 이중 법선 벡터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프라임(')은 매개변수 에 대한 벡터의 도함수를 나타낸다. '''비틀림''' 는 주어진 점에서 이중 법선 벡터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며, 다음 방정식으로 표현된다.
:
이는 다음과 동치이다.
:
이므로, 와 같다.
'''R'''3 위의 공간 곡선을 호의 길이 매개변수 ''s''로 나타낸 것을 ''r''(''s'')라고 할 때, 비틀림 (''s'')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 ''b''(''s'')는 종법선 벡터 :
- ''n''(''s'')는 주법선 벡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