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주신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신사는 일제강점기인 1917년 5월 1일에 건립되어,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를 제신으로 모셨다. 일제는 신사 참배를 강요하며 민족 말살 정책을 펼쳤고, 광주신사는 이러한 정책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1945년 일본의 패전으로 폐지되었으며, 이후 부지는 광주공원이 되었고, 1961년에는 충혼탑이 건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7년 완공된 건축물 - 용호정
    용호정은 일제강점기 유림 인사들이 항일 의지를 다지고 독립 정신을 고취하기 위해 1917년 건립한 정자로, 민족의식 고취와 항일 운동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민주주의와 민족정신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 광주광역시의 건축물 - 광주무등경기장
    과거 광주광역시에 위치했던 종합 스포츠 시설인 광주무등경기장은 야구장과 주경기장을 포함하여, 1988년 서울 올림픽 축구 경기와 K리그, FA컵 등의 주요 경기를 개최하고 한국 스포츠 발전에 기여했지만, 현재는 노후화로 인해 대부분의 시설이 철거되고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가 건립되었다.
  • 광주광역시의 건축물 - 광주월드컵경기장
    광주월드컵경기장은 2002년 FIFA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대한민국이 8강전에서 스페인을 꺾고 4강에 진출한 역사적인 장소이자 광주 상무와 광주 FC의 홈 구장, 그리고 전국체육대회와 하계 유니버시아드의 주 경기장으로 활용된 42,115석 규모의 축구 경기장이다.
  • 한국의 신사 - 경성신사
    경성신사는 일제강점기 서울에 세워진 일본 신사로, 남산대신궁으로 시작하여 경성신사로 개칭되었고 국폐소사로 격상되었으나, 일본 패전 후 폐지되어 현재는 숭의여자대학교가 위치하며, 식민지 지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한국의 신사 - 조선신궁
    조선신궁은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식민지배 강화와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건립한 신사로, 천조대신과 메이지 천황을 주신으로 모셨으며, 신사 참배 강요 논쟁과 해방 후 철거, 그리고 건립 과정의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일제의 식민 통치와 한국인들의 저항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광주신사
개요
명칭광주 신사
위치조선 전라남도 광주부 구강정
신사 정보
제신천조대신
국혼대신
사격국폐소사
창건1917년 ( 다이쇼 6년)
예제10월 15일

2. 역사

1912년 8월, 광주부내 구강공원龜岡公園에 황대신궁 요배소를 건립한 것이 시초이다.[6] 1916년 8월 신사 창립을 출원, 1917년 5월 1일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를 제신으로 하는 광주신사 창립이 허가되었고,[6][7] 11월 3일 진좌제가 집행되었다.[6]

1936년 8월 11일 도공진사로 지정되었다.[8][9] 같은 해 11월 봉찬회가 조직되어 신전 조영과 경내 확장에 착수했으나, 자재 입수 곤란으로 지연되다가 1940년 11월 19일 본전 천궁제를 집행하였다.[6] 1941년 1월 16일 국혼대신國魂大神 증사增祀를 신청, 4월 8일 허가받았다.[6] 10월 1일 강원신사와 함께 국폐소사國幣小社로 강등되었다.[6][10]

1945년 11월 17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전함에 따라 폐지되었다.[11] 해방 후 부지는 광주공원이 되었고, 1961년 충혼탑이 건립되었다.[12]

2. 1. 건립 배경

1910년 한일병합 이후, 일제는 조선의 민족정신을 말살하고 일본에 대한 충성을 강요하기 위해 신사 건립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광주신사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건립되었다. 1912년 8월, 광주부내 구강공원(龜岡公園)에 황대신궁 요배소를 건립한 것이 광주신사의 시초이다.[6]

2. 2. 건립과 운영

1916년 8월에 신사 창립을 출원하여, 1917년 5월 1일에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를 제신으로 하는 광주신사의 창립이 허가되었다.[6][7] 같은 해 11월 3일에 진좌제가 집행되었다.[6] 1936년 8월 11일 도공진사로 지정되었다.[8][9] 같은 해 11월 봉찬회가 조직되어 신전 조영과 경내 확장에 착수하였으나, 시국이 좋지 않아 자재 입수가 곤란하여 지연되다가 제반 공사가 거의 준공되었기 때문에 1940년 11월 19일 본전 천궁제를 집행하였다.[6] 1941년 1월 16일, 국혼대신(國魂大神) 증사(增祀)를 신청하여 같은 해 4월 8일에 허가받았다.[6] 같은 해 10월 1일, 강원신사와 함께 국폐소사(國幣小社)로 강등되었다.[6][10] 이는 조선총독부가 신사의 등급을 조정하여 조선인들의 신사 참배를 강요하고 통제하기 위한 조치였다.

2. 3. 강제 참배와 민족 말살

1910년대 초, 일제는 조선인들에게 신사 참배를 강요하기 시작했다. 1912년 8월, 광주부내의 구강공원(龜岡公園)에 황대신궁의 요배소를 건립한 것을 시작으로,[6] 1917년 5월 1일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를 제신으로 하는 광주신사를 창립하고,[6][7] 같은 해 11월 3일 진좌제를 거행했다.[6] 이는 조선인들에게 일본 천황에 대한 충성을 강요하고, 일본 제국의 신민으로 만들려는 의도였다.

1936년 8월 11일, 광주신사는 도공진사로 지정되었다.[8][9] 그 해 11월에는 봉찬회가 조직되어 신전 조영과 경내 확장에 착수했지만, 자재 수급 문제로 지연되다가 1940년 11월 19일 본전 천궁제를 집행하였다.[6] 1941년 1월 16일, 국혼대신(國魂大神) 증사를 신청하여 같은 해 4월 8일에 허가받았다.[6] 같은 해 10월 1일, 강원신사와 함께 국폐소사(國幣小社)로 격하되었다.[6][10]

일제는 신사 참배를 통해 조선의 민족 신앙과 문화를 억압하고, 조선인들의 정신을 일본 제국에 종속시키려 했다. 신사 참배는 단순한 종교 행위를 넘어선, 민족 말살 정책의 일환이었다.

2. 4. 폐지와 그 이후

1945년 11월 17일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함에 따라 폐지되었다.[11]

해방 이후 신사 부지는 광주공원이 되었고, 1961년에는 한국전쟁 전몰자를 기리는 충혼탑이 건립되었다.[12] 이는 일제 식민 통치의 잔재를 청산하고, 새로운 대한민국을 건설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준다.

3. 사진

광주신사의 본전, 배전, 제기고, 신찬소 전경

3. 1. 전경


3. 2. 내관

3. 3. 배면

4. 비판적 관점

광주신사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라, 일제의 식민 지배와 민족 말살 정책을 상징하는 공간이었다는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신사 건립과 운영 과정에서 조선인들의 의사는 철저히 무시되었으며, 강제적인 참배 강요와 민족 문화 탄압이 이루어졌다. 광주신사의 역사는 과거를 잊지 않고, 올바른 역사 인식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6]

참조

[1] 간행물 神社明細帳(光州神社)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Ref.B02031402700 (外務省外交史料館)
[2] 간행물 神社創立許可 朝鮮総督府官報第1422号(大正6年5月3日)
[3] 간행물 朝鮮総督府告示第440号 朝鮮総督府官報第2874号(昭和11年8月11日)
[4] 간행물 朝鮮総督府告示第1565号 朝鮮総督府官報号外(昭和16年10月1日)
[5] 간행물 内務省告示第264号 官報第5660号(昭和20年11月22日)
[6] 간행물 神社明細帳(光州神社)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Ref.B02031402700 (外務省外交史料館)
[7] 간행물 神社創立許可 朝鮮総督府官報第1422号(大正6年5月3日)
[8] 문서 도공진사(道供進社)란 도에서 신찬폐백료를 공진해야 할 신사를 말한다.
[9] 간행물 朝鮮総督府告示第440号 朝鮮総督府官報第2874号(昭和11年8月11日)
[10] 간행물 朝鮮総督府告示第1565号 朝鮮総督府官報号外(昭和16年10月1日)
[11] 간행물 内務省告示第264号 官報第5660号(昭和20年11月22日)
[12] 웹인용 벚나무 뒤에 숨은 뼈아픈 역사 http://www.gjdream.c[...] 2021-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