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암사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리암사대교는 한강에 건설된 32번째 다리이다. 2006년 착공하여 2014년 임시 개통되었으며, 2015년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 다리 명칭을 두고 서울시와 구리시가 갈등을 겪었으며, 서울시가 건설 및 관리 비용을 부담함에도 불구하고 구리시의 요구로 인해 '구리'가 포함된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서울시가 도로 관리, 시설물 유지 보수, 재해 대책 비용을 모두 부담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홍예교 - 방화대교
방화대교는 2000년 11월 21일 개통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일부이자 한강의 26번째 다리이다. - 대한민국의 홍예교 - 서강대교
서강대교는 서울특별시 한강에 건설된 다리로, 밤섬 통과 노선으로 환경 단체의 반발이 있었으나 건설 방식 변경과 철새 보호 조치를 거쳐 1996년 조기 개통되었다. - 서울 강동구의 건축물 - 배재고등학교
배재고등학교는 1885년 아펜젤러가 설립하여 고종 황제로부터 '배재학당'이라는 이름을 받은 한국 최초의 서양식 학교 중 하나로, 민족 교육의 전통을 이어가며 독립운동가를 배출했으나 과거 논란도 있었다. - 서울 강동구의 건축물 - 광진교
광진교는 서울 광진구에 있는 한강 다리로서, 1936년 건설 후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는 왕복 2차선 도로와 보행로 등을 갖춘 복합 교량이며, 서울 동부 지역의 교통 및 휴식 공간으로 기능한다. - 서울 강동구의 교통 - 세종포천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을 잇는 총 144.6km의 고속도로로, 구리~포천 구간은 개통되었고 세종~구리 구간은 건설 중이며, 건설 초기 명칭 및 노선 관련 논란이 있었고 현재는 구리~포천 구간은 서울북부고속도로주식회사가, 세종~구리 구간은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한다. - 서울 강동구의 교통 -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서울 강동구에서 강원 양양군을 잇는 약 151km의 고속도로로, 1997년 타당성 조사 후 2017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민자 및 국고 구간으로 나뉘고 대한민국 최장 터널인 인제양양터널을 포함하여 원톨링 시스템 도입 등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구리암사대교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한글 이름 | 구리암사대교 |
| 한자 이름 | 里 |
| 로마자 표기 | Guri–Amsa Daegyo |
| 교량 종류 | 강상판 상형교, 아치교 |
| 위치 | 서울특별시 강동구 ~ 구리시 토평동 |
| 관리 | 서울특별시청 |
| 횡단 위치 | 서울특별시와 구리시 사이의 한강 |
| 교통 시설 | 양재대로 |
| 주경간 | 180m (아치교) |
| 총 길이 | 1,133m |
| 너비 | 24~44m (4~6차선) |
| 운행 높이 | 28m |
| 건설 정보 | |
| 착공일 | 2006년 9월 12일 |
| 완공일 | 2015년 6월 29일 |
| 임시 개통일 | 2014년 11월 21일 |
2. 연혁
- 2006년 9월 12일 : 착공[6]
- 2008년 8월 27일 : 다리 이름을 '구리암사대교'로 명명
- 2009년 12월 21일 : 다리 남단에 잠실 방면 추가램프 설치 결정[7]
- 2010년 12월 6일 : 아치교 구간 설치[8]
- 2014년 11월 21일 : 용마터널과 함께 임시개통[9]
- 2015년 6월 29일 : 진출입램프 전 구간 완공[10]
3. 명칭 관련 논란
한강의 32번째 다리인 구리암사대교는 기공식 당일까지 암사대교로 불렸다. 서울시와 구리시는 다리 명칭을 두고 갈등을 겪었는데, 서울시는 서울시와 국비를 절반씩 투입해 건설했고 관리 비용도 서울시가 부담한다는 이유로 서울의 지명을 따서 명명했다.[11] 그러나 구리시는 다리 명칭에 '구리'를 포함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하며 구리시 구간에서 '도시계획시설사업 실시계획인가'를 지연시켰다.[11] 결국 서울시 지명위원회는 다리 명칭을 구리암사대교로 변경했다.[11]
고덕대교 옆에 위치한 구리암사대교는 현재 도로 관리, 시설물 유지·보수·관리, 재해 대책에 드는 비용 모두를 서울시가 부담하고 있다.
3. 1. 서울시와 구리시 간 갈등
한강의 32번째 다리인 구리암사대교는 기공식 당일까지 암사대교로 불렸다. 서울시와 구리시는 다리 명칭을 두고 갈등을 겪었는데, 서울시는 서울시와 국비를 절반씩 투입해 건설했고 관리 비용도 서울시가 부담한다는 이유로 서울의 지명을 따서 명명했다.[11] 그러나 구리시는 다리 명칭에 '구리'를 포함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하며 구리시 구간에서 '도시계획시설사업 실시계획인가'를 지연시켰다.[11] 결국 서울시 지명위원회는 다리 명칭을 구리암사대교로 변경했다.[11]고덕대교 옆에 위치한 구리암사대교는 현재 도로 관리, 시설물 유지·보수·관리, 재해 대책에 드는 비용 모두를 서울시가 부담하고 있다.
3. 2. 정치권 개입 논란
3. 3. 예산 부담 문제
한강의 32번째 다리인 구리암사대교는 기공식 당일까지 암사대교로 불렸다. 서울 시비와 국비를 각각 절반씩 투입해 건설했고, 관리 비용 역시 서울시가 부담해 서울의 지명을 따서 명명했다. 하지만 구리시는 다리 명칭에 ‘구리’를 넣으라고 강력히 요구했다. 구리시 구간에선 ‘도시계획시설사업 실시계획인가’를 지연시켰다. 결국 서울시 지명위원회는 다리 명칭을 구리암사대교로 변경했다.[11]고덕대교 옆에 위치한 구리암사대교는 지금도 도로 관리는 물론 시설물 유지·보수·관리, 재해 대책에 드는 비용 모두를 서울시가 부담하고 있다.[11]
참조
[1]
뉴스
암사(구리)대교 기공식
http://news.naver.co[...]
Yonhap News Agency
2006-09-12
[2]
뉴스
강동·구리, 다리 이름 놓고 '옥신각신'
http://mbn.mk.co.kr/[...]
Maeil Business Newspaper
2008-03-31
[3]
뉴스
[수도권]강동구~구리시 연결 다리 ‘구리·암사대교’로
http://news.donga.co[...]
The Dong-a Ilbo
2008-09-11
[4]
뉴스
구리암사대교 11월 20일 임시개통…한강 31번째 다리
http://news.naver.co[...]
Yonhap News Agency
2014-09-16
[5]
웹사이트
구리암사대교 진출입램프 전구간 6월 29일 개통합니다
http://infra.seoul.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07-22
[6]
뉴스
암사(구리)대교 기공식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09-12
[7]
뉴스
서울시 '구리암사대교' 추가램프 설치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12-21
[8]
뉴스
한강 구리암사대교에 초대형 아치 설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2-06
[9]
뉴스
구리암사대교 11월 21일 임시개통…한강 31번째 다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09-16
[10]
웹사이트
구리암사대교 진출입램프 전구간 6월 29일 개통합니다
https://infra.seoul.[...]
서울특별시청 공지사항
2015-07-22
[11]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s://n.new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