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종포천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종포천고속도로는 세종특별자치시와 경기도 포천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이다. 2004년 용인~서울 고속도로 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의 계획 변경과 논란을 거쳐 구리-포천 구간은 2017년 개통되었고, 서울-세종 구간은 2025년 개통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 남한산성 통과 문제, 충청북도 경유 문제 등 사업 추진 과정에서 다양한 논란이 있었으며, 사업 방식 또한 재정사업과 민자사업 사이에서 변경되었다. 현재는 안성~구리 구간이 건설 중이며, 세종~안성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남시의 도로 - 중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는 경기도 하남시에서 충청북도 청주시를 잇는 총연장 117.2km의 고속도로로, 1985년 착공되어 1987년 서울~대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1년에 고속국도 노선번호 35호선으로 변경되었고, 구간별로 왕복 4차로와 8차로로 운영된다.
  • 하남시의 도로 - 제2중부고속도로
    제2중부고속도로는 경기도 이천시에서 하남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31.08km의 왕복 4차로 고속도로이며, 1997년 착공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노선 번호는 제37호이다.
  • 광주시의 도로 - 광주원주고속도로
    광주원주고속도로는 경기도 광주시와 강원도 원주시를 잇는 총 연장 59.65km의 고속국도 제52호선으로, 2017년 2월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10개의 나들목과 분기점을 통해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는 왕복 4차로 고속도로이다.
  • 광주시의 도로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약 263.4km의 고속도로로, 민간투자 및 국가재정 사업으로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 중이며 일부 구간은 2009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었고 일부는 2020년대 후반 완공 예정이다.
  • 포천시의 도로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약 263.4km의 고속도로로, 민간투자 및 국가재정 사업으로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 중이며 일부 구간은 2009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었고 일부는 2020년대 후반 완공 예정이다.
  • 포천시의 도로 - 호국로
    호국로는 경기도 고양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을 연결하는 도로로, 1987년부터 부분 개통 및 확장되어 2009년 2개 이상 시·도에 걸친 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주요 경유지인 고양시, 양주시, 의정부시, 포천시, 철원군 등의 지역을 연결하며 교육, 편의, 문화, 치안 시설들을 지난다.
세종포천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노선 정보
종류고속국도
노선 번호29
총 연장171.56 km
개통일2017년 6월 30일 (구리 ~ 포천 구간)
2025년 1월 1일 (구리 ~ 안성 구간)
방향남북
기점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주요 경유지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천안시
경기도 안성시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 광주시
경기도 하남시
서울특별시
경기도 구리시
경기도 남양주시
경기도 의정부시
경기도 포천시
종점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주요 교차 도로경부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87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지방도 제325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로마자 표기Sejong Pocheon Gosok Doro
건설 정보
개통2017년 6월 30일
대체 도로없음
구간별 정보
안성 ~ 구리71.10 km
구리 ~ 포천50.60 km
세종 ~ 안성55.86 km
기타 정보
영어 이름Sejong-Pocheon Expressway

2. 역사

세종포천고속도로는 2008년 8월 수립된 '''수도권 고속도로망 구축 실행계획'''[29]을 바탕으로 한다. 이때부터 구리~세종 구간은 공식적으로 '''서울세종고속도로'''로 불렸다. 제2경부고속도로라는 이름이 사용된 노선은 서울~부산[6], 서수원~오산[8], 하남~오산[10], 하남~안성[28], 구리~세종[29]의 5가지 구간인데, 이 중에서 제2경부고속도로라고 고시되었던 노선[28]은 하남~안성 구간뿐이었다. 이후 이 구간이 구리~세종 구간인 서울세종고속도로에 포함되면서 서울세종고속도로가 하남~안성의 제2경부고속도로 역할도 하는 것으로 계획되었다.[29] 서울세종고속도로는 기존의 서울~행정중심복합도시 간 고속도로[27], 연천~용인 간 남북5축 고속도로[26], 하남~안성 간 제2경부고속도로[28]의 세 가지 계획이 통합된 형태로서, 기존의 남북5축 연천~용인 간 고속도로를 '''연천~서울~세종 간 고속도로'''로 연장, 조정하여 만들어졌다.[29]

세종 - 구리 노선은 경부고속도로의 교통 혼잡을 줄이기 위해 건설한다고 하여 '''제2경부고속도로'''라는 이름으로 불려왔다. 2014년 새누리당에서 이 고속도로를 다시 추진하면서 세종시까지 추진하기로 함에 따라 명칭 변경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60] 2015년 11월 19일 국토교통부는 이 고속도로 건설 사업에 대해 발표하면서 '''서울세종고속도로'''로만 불러달라고 요청했다. 이는 제2경부고속도로라고 부를 경우, 이 고속도로가 부산까지 연장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는 세종시 아래로 이 고속도로 노선을 연장하는 방안은 검토된 적이 없다고 밝혔다.[61]

2009년 12월 기본설계를 실시하던 중 남한산성 인근 주민들의 반대로 지체되고 있다고 국토해양부가 발표하였으나, 같은 시점에 착공한 4대강 사업 때문에 지연되었다는 의견도 있다.[20] 2011년 6월 국토교통부는 서울세종고속도로 사업에 대한 기본조사를 2009년에 완료하였다고 고시하였고,[36] 투자우선순위는 6위로 결정하였고 사업시행방식은 관계기관 협의 후 확정하기로 결정하였다.[36] 또한 경기도, 충청남도, 호남 중심부의 고속도로들이 속한 제2축 고속도로군으로 재분류하였다. 2011년 12월에는 서울세종고속도로를 6차선[37]으로 건설하기로 계획 수립하였다.

2013년 2월 안성시가 제안해 세종시, 하남시, 용인시, 천안시, 공주시 등 서울세종고속도로가 관통하는 관련 지방자치단체들이, 2017년까지 완공을 목표로 추진됐지만 2009년 12월 기본설계가 중단된 채 방치되고 있는 제2경부고속도로의 조기 착공을 중앙정부에 촉구하였다.[20]

2014년 3월 14일 TV조선에서 이 고속도로를 2015년에 착공할 것이라고 보도하자[21] 대한민국 정부에서 결정된 바가 없다면서 선을 그었다.[22]

2015년 11월 19일 국토교통부는 서울특별시와 세종특별자치시를 연결하는 연장 129km의 고속도로를 건설하기로 발표했고,[23] 그 중 남안성 분기점 ~ 남구리 나들목 구간이 2016년 12월 13일에 착공되어 2023년 개통 예정이다. 추후 세종 ~ 남안성 분기점 구간도 2019년 12월에 착공될 예정이다.[24]

국토교통부는 2009년에 실시한 예비타당성조사(B/C 1.28)와 그동안의 재원조달과 추진방식의 협의에 따라 서울세종고속도로를 구리시 토평동 ~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현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노선으로 건설하겠다고 발표하였으며,[42] 2009년에 실시한 환경성검토협의회, 사전환경성검토서(초안) 공람 및 주민설명회에도 근거한다고 발표하였다.[34] 그리고 서울~안성 구간은 한국도로공사가 착수한 후 민자로 전환하며 2016년 착공하여 2022년 완공하고, 안성~세종 구간은 민자사업으로 하여 2019년 12월에 착공하여 2024년 6월에 개통하고 청주시 오송으로 가는 지선 고속도로를 추가하여 서울~오송간도 직결시키기로 하였다. 목적은 경부중부고속도로의 혼잡을 개선하고 세종시의 기능을 조기 안정화하고 수도권과 세종충청권의 연계 강화로 균형발전을 지원함이라고 발표하였다. 세종포천고속도로의 청사진이었던 2008년 계획에 맞추어 2016년 10월에 구리포천고속도로와 서울세종고속도로를 합쳐서 세종포천고속도로라고 명칭을 부여하고 노선번호를 제29호로 결정 고시하였다.[45]

안성세종 구간은 2017년 5월 29일에 민자적격성 조사에 통과되었다.[25] 이후 문재인 정부가 정식 출범하면서 고속도로 공공성 강화 방침에 따르고 조기완공의 대통령공약을 이행하기 위하여 한국도로공사 투자로 추진방식을 변경하여 기존 노선도에 2019년에 착공하여 2024년에 완공한다고 기입하여 발표하였다.[51]

하지만 철근 수급 문제 등으로 인하여 안성 ~ 구리 구간은 2024년으로, 세종 ~ 안성 구간은 2026년으로 개통이 연기되었다.

2. 1. 초기 구상 및 계획

1991년 경부고속도로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 민주당에서 경부고속철도를 추진할 때 대체 방안 중 하나로 제2경부고속도로를 제안했다.[6][7] 그러나 14대 대선에서 김영삼이 당선되어 이 제안은 무산되었다.

2003년 건설교통부에서 서수원 ∼ 천안을 잇는 연장 107.94km의 노선을 민자 노선으로 하는 제2경부고속도로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8][9] 이어서 하남 ~ 오산을 잇는 52.2km 구간을 경기도에서 먼저 추진하려 했으나,[10] 건설교통부는 "일방적 추진"이라며 불만을 표시했고,[11] 일각에서는 현실성 없는 선심성 사업이라는 비판도 나왔다.[12]

건설교통부가 2003년 12월에 완료하고 2004년 12월에 확정한 "수도권 고속도로망 기본계획"[26]에는 두 가지 노선 계획이 거의 모두 포함되었지만, 제2경부고속도로라는 명칭은 지정되지 않았다. 이 기본계획에서 현재의 세종포천고속도로의 모태가 되는 남북5축 용인~서울~연천 간 고속도로 계획이 수립되었다.

2006년 10월에는 용인~하남 구간을 먼저 건설하기로 발표했으며,[13] 2010년 착공을 목표로 2007년 실시설계에 들어갔다.[14] 2009년 2월에는 턴키방식으로 1단계 구간인 서하남~용인 구간을 건설하기로 발표했으나,[15] 기획재정부에서 민자사업이 아니라 재정사업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나서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16]

현재의 세종포천고속도로의 청사진은 다음과 같이 공식적으로 수립되었다. 건설교통부는 2005년 12월에 남양주인근에서 세종특별자치시 (행정중심복합도시)로 향하는 고속도로 건설 계획을 포함한 수도권간선도로망 계획[27]을 고시하였고, 2007년 12월에는 제2경부고속도로[28]라는 명칭을 최초로 고시하면서 하남∼용인∼안성 구간으로 확정하였다. 이로써 노선이 중복되는 남북 5축 고속도로, 제2경부고속도로와 세종시행 고속도로를 통합할 필요성이 발생하여, 국토해양부는 2008년 10월에 기존의 남북 5축인 용인-하남-서울-연천 (92.9km) 고속도로를 조정하여 남북 5축 세종-천안-안성-용인-하남-서울 간, 서울-연천 간 고속도로 (182.2km) 건설 실행계획[29]을 수립하였다. 서울~연천 고속도로는 민자사업으로, 서울~세종고속도로는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한 후에 한국도로공사 투자로 추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로 하였다. 이때 서울세종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의 성남축을 보완하는 제2경부고속도로의 역할과 세종시 정상화 기능을 담당하기로 계획되었다. 2008년 9월에는 서울세종고속도로가 광역경제권 발전을 위한 30대 선도프로젝트[30]로 선정되었다.

국토교통부가 수립하여 제출한 서울세종고속도로 사업계획서에 대하여 2008년 7월부터 국가재정법 38조에 따라 예비타당성조사[32]가 시작되어 2009년 2월에 완료되었다. 이 조사에서는 국토부 사업계획서에서 제시한[32] 기점이 충남 공주시 장기면 (대전~당진간 고속도로)이고 서세종JCT, 의당JCT, 천안성남JCT, 동안성JCT, 동용인JCT와 남구리IC를 거쳐 종점이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서울~포천간 민자고속도로)에 이르는 노선도에 대하여 실시되었으며, B/C 1.28로 통과되었다. 사업계획서 상 재원 조달 방식은[32] 한국도로공사 자체 투자였으며, 사전민자 적격성 조사도 추가로 실시하여 통과되었다. 2008년 8월에서 2009년 11월까지는 국토해양부와 한국도로공사에 의한 타당성조사[34]도 이루어져 통과되었다.

사업계획서상 노선에 대하여 예비타당성조사를 통해 선정된 최적노선[32]에 대하여 2009년 7월에 환경성검토협의회[34]가 개최되었으며, 2009년 8월에 서울세종간 고속도로 사전환경성검토서(초안) 공람 및 설명회[33]가 안성시, 용인시, 광주시, 천안시에서 개최되었다. 여기에서 사업구간은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간 노선[33]이고 사업시행자는 국토해양부(한국도로공사)[33]라고 공표되었고 노선도 안이 공시되었다.

2009년 6월 한국개발연구원에서는 이 고속도로가 민자사업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경제성이 있다고 발표했으며,[17] 2009년 8월 기획재정부에서는 이 고속도로 건설 사업이 타당성이 있다고 국토교통부에 통보했다.[18] 하지만 서울 강동구와 성남시에서 남한산성 구간 통과 문제로 논란이 끊이지 않자 착공이 무산되었다.[19]

2. 2. 사업 추진 지연 및 논란

2008년 수도권 고속도로망 구축 실행계획에 따라 세종포천고속도로의 청사진이 수립되었으나,[29] 남한산성 구간 통과 문제로 인해 지역 주민, 정치인, 환경 단체가 반발하면서 사업 추진이 지연되었다. 이들은 남한산성 구간 통과가 생태계를 파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2009년 이후에는 4대강 사업 등의 영향으로 사업이 지연된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2010년대 초에는 사업 시행 방식을 두고 논란이 벌어졌다. 정부는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려 했으나, 민간투자사업으로 변경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논란이 일었다.

2014년에는 충청북도가 고속도로 노선 경유 문제를 제기하면서 지역 간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는 제6회 지방선거에서 쟁점으로 떠오르기도 했다.

2. 3. 구리-포천 구간 건설 및 개통

2008년 고속국도 제19호선 구리포천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3] 이후 2012년에 착공하여 2017년 6월 30일에 남구리IC-신북IC 구간, 소흘JCT-양주IC 구간이 개통되었다.[3] 소흘JCT에서 분기하는 지선(소흘JCT~양주IC)은 2021년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에 편입되었다.

'''24시간 교통량'''(대)[3]

구간2017년2020년2022년
남구리IC - 중랑IC37,94852,39964,289
중랑IC - 남별내IC58,17468,05670,928
남별내IC - 동의정부IC46,28562,92270,226
동의정부IC - 민락IC48,39663,88275,332
민락IC - 소흘IC43,66556,41261,470
소흘IC - 소흘JCT36,73449,57856,552
소흘JCT - 선단IC49,76746,78544,024
선단IC - 포천IC31,88735,03034,945
포천IC - 신북IC18,44722,21028,637


2. 4. 서울-세종 구간 건설 재추진

2004년 경부고속도로의 우회 노선으로 제2경부고속도로가 구상되었다. 2005년 행정수도로 개발 예정이던 세종특별자치시로 향하는 고속도로 노선으로 변경되어, 서울세종고속도로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남한산성 부근의 터널 관통 문제 등으로 사업이 지연되었다.[1]

구리~포천 구간은 별도로 계획된 노선으로, 2008년 고속국도 19호선 구리포천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 2016년 세종~서울 구간, 구리와 서울의 연결 구간을 합쳐 고속국도 29호선 세종포천고속도로로 통합 지정되어 현재의 계획이 확정되었다.[1]

세종~구리 구간 중 안성~구리 구간은 2024년, 세종~안성 구간은 2025년 개통을 목표로 건설 중이다.[1]

3. 구성

세종포천고속도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가칭 세종IC)을 기점으로,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남구리IC)을 경유하여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신북IC)을 종점으로 하는 고속도로이다. 총 연장은 44.6km이며, 관리 회사는 구간에 따라 서울북부고속도로주식회사(남구리~신북)와 한국도로공사(세종~남구리)로 나뉜다. 제한 최고 속도는 100km/h, 제한 최저 속도는 50km/h이다.

번호이름한자연결 노선위치비고
1소흘 분기점소흘分岐點세종포천고속도로 (본선)경기도 포천시
2옥정玉井지방도 제56호선한국어 (화합로)경기도 양주시양주 방향 진출입 가능
3양주楊州지방도 제56호선한국어 (화합로), 국도 제3호선 (신평화로)경기도 양주시


3. 1. 차로 수

남안성 분기점 ~ 소흘 분기점: 왕복 6차로 (30.46km)

소흘 분기점 ~ 신북 나들목: 왕복 4차로 (14.14km)

3. 2. 총 연장

남안성 분기점 ~ 신북 나들목: 44.6km

3. 3. 제한 속도

구간속도
신북 나들목 ~ 오포 나들목최고 100km/h, 최저 50km/h
오포 나들목 ~ 용인 분기점최고 110km/h, 최저 50km/h
용인 분기점 ~ 남안성 분기점최고 120km/h, 최저 90km/h


3. 4. 터널

성남시 중원구 양지동 ·은행동 ·상대원동
광주시 광남동2025년포천 방면안성 방면갈현터널경기도 성남시 갈현동
광주시 삼동2025년포천 방면안성 방면오포1터널경기도 광주시 고산동 · 추자동2025년포천 방면안성 방면오포2터널경기도 광주시 고산동2025년포천 방면안성 방면오포3터널경기도 광주시 고산동2025년포천 방면안성 방면모현터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초부리2025년포곡2터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삼계리 ·금어리2025년포천 방면안성 방면포곡1터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금어리2025년운학터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송문리 · 운학동2025년포천 방면안성 방면해곡터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해곡동2025년포천 방면안성 방면문수3터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호동2025년포천 방면안성 방면문수2터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호동2025년포천 방면안성 방면문수1터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호동 · 이동읍 묵리2025년포천 방면안성 방면쌍령터널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학일리 ·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2025년포천 방면안성 방면고삼터널경기도 안성시 고삼면 쌍지리 · 보개면 북아현리2025년포천 방면안성 방면금광터널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금광리2025년포천 방면안성 방면


4. 나들목 및 분기점

wikitext

번호이름한자연결 노선위치비고
1남구리南九里강변북로경기도구리시
2중랑中浪북부간선도로서울특별시중랑구요금소
요금소갈매동구릉 요금소갈매東구릉料金所경기도구리시본선 요금소
3남별내南別內송산로남양주시
휴게소별내휴게소別內休憩所포천 방면
4동의정부東議政府국도 제43호선 (송산로)의정부시
휴게소의정부휴게소議政府休憩所세종 방면
5민락民樂민락로 298번길
국도 제3호선 (신평화로), 민락로
6소흘蘇屹국도 제43호선 (호국로)
지방도 98호선 (호국로)
포천시
7소흘 분기점蘇屹 分岐點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8선단仙壇국도 제43호선 (호국로)
지방도 제56호선 (호국로)
지방도 제364호선 (삼육사로)
9포천抱川국도 제87호선 (포천로)
요금소신북 요금소新北 料金所본선 요금소
10신북新北국도 제43호선 (호국로)


4. 1. 세종 ~ 안성 구간 (예정)

서산영덕고속도로 세종 분기점, 국도 제43호선 세종, 오송지선·국도 제1호선 연기, 경부고속도로·당진청주고속도로 동천안 분기점, 5산단로 동천안, 국도 제34호선 서운입장, 지방도 제325호선 금광

4. 2. 안성 ~ 포천 구간

SA고삼
고삼호수휴게소Gosam이전봉산길양방향
2025년 10월 휴게소 정식 개장14남용인South Yongin지방도 제318호선 (이원로)경기도 용인시15용인 분기점Yongin JC50호선 영동고속도로16북용인 분기점N.Yongin Junction JC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17북용인Mohyeon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용인~포곡간 도로)SA처인휴게소Cheoin SA양방향 통합형18오포Opo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용인~포곡간 도로)19광남Gwangnam국도 제3호선 (성남이천로)경기도 광주시20서하남 분기점W.est Hanam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경기도 하남시TG하남감북 요금소Hanam Gambuk TG|21초이Choi감초로22강동고덕Gangdong Godeok올림픽대로서울특별시 강동구1남구리S.Guri강변북로경기도 구리시2중랑Jungnang북부간선도로서울특별시 중랑구구리방향 진입, 포천방향 진출 시 요금 지불TG갈매동구릉 요금소Galmae-Donggureung TG경기도 구리시본선요금소3남별내S.Byeollae송산로경기도 남양주시SA별내휴게소Byeollae SA포천방향4동의정부E.Uijeongbu국도 제43호선 (송산로)경기도 의정부시SA의정부 휴게소Uijeongbu SA안성방향5민락Millak민락로298번길
국도 제3호선 (신평화로), 민락로6소흘Soheul국도 제43호선 (호국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호국로)경기도 포천시7소흘 분기점Soheul JC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8선단Seondan국도 제43호선 (호국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호국로)
지방도 제364호선 (삼육사로)9포천Pocheon국도 제87호선 (포천로)TG신북 요금소Sinbuk TG본선요금소10신북Sinbuk국도 제43호선 (호국로), 반월산성로


5. 주요 통과지

세종특별자치시장군면 · 연서면 · 전동면
충청남도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 수신면 · 병천면 · 북면) - 서북구 입장면)
경기도안성시 (서운면 · 금광면 · 보개면 · 고삼면) - 용인시 (원삼면 · 이동읍 · 호동 · 운학동 · 해곡동 · 양지면 · 포곡읍 · 모현읍) - 광주시 (문형동 · 추자동 · 고산동 · 삼동 · 목동 · 직동) -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 상대원동) -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 - 하남시 (학암동 · 감이동 · 광암동 · 감일동 · 감북동 · 초이동)
서울특별시강동구 (길동 · 둔촌동 · 명일동 · 상일동 · 고덕동 · 암사동)
경기도구리시 (토평동 · 교문동)
서울특별시중랑구 (망우동 · 신내동)
경기도구리시 (인창동 · 갈매동) - 남양주시 (퇴계원읍 · 별내면) - 의정부시 (산곡동 · 고산동 · 민락동 · 낙양동 · 자일동) - 포천시 (소흘읍 · 가산면 · 군내면 · 신북면)



중랑 나들목

6. 논란

세종포천고속도로 건설 과정에서 여러 논란이 있었다.

2008년 처음 계획 당시에는 재정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이었으나, 기획재정부의 압력으로 민자사업으로 전환되었다가[16] 2017년에 다시 재정사업으로 변경되는 등 사업 진행 방식에 혼선이 있었다.[51]

남한산성 통과 구간은 고가도로 건설 계획에 대한 성남 지역 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발로[63] 터널로 변경되었다.[65]

충청북도 경유 문제는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의 충청북도지사 선거 쟁점으로까지 번졌으며,[69] 새정치민주연합 충북도당은 충청북도 경유를 주장했다.[68] 새누리당 일부 의원들도 이에 공감했으나,[73][74] 세종특별자치시, 천안시, 공주시 등은 원안을 지지했다.[77][78][79] 결국 본선은 충청북도를 경유하지 않고, 충청북도를 연결하는 지선을 신설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80]

6. 1. 사업 진행 방식 문제

2008년 8월 서울세종고속도로 계획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 사업 방식은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재정사업으로 할지 최종 결정하기로 했다.[29] 국토부는 재정사업을 전제로 구리시~공주시 간 노선의 사업계획서를 제출하여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고, 추가로 사전민자적격성 조사도 통과했다.[32] 2009년 국토부는 재정사업으로 진행했지만,[33] 기획재정부가 민자사업으로 전환하도록 압력을 가하면서[16] 사업 시행이 늦어졌다. 그러다 2015년에 2009년 예비타당성조사를 바탕으로 민자사업으로 시행하기로 결정되어[42] 민자적격성이 통과되었는데,[25] 2017년에 다시 원래대로 재정사업으로 시행하기로 결정되었다.[51]

6. 2. 남한산성 통과 문제

2009년 이 고속도로의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되던 중, 계획 구간에서 성남시 구간이 남한산성과 사기막골 유원지 구간을 고가도로로 지나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성남 지역 주민과 정치인, 환경단체는 생태계 파괴와 환경오염 문제를 제기하며 반발했고,[63] 고가도로 건설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64] 이에 국토교통부 및 국회 국토해양위원회는 실무협의를 통해 이 구간을 터널로 건설하기로 결정했다.[65]

6. 3. 충청북도 경유 문제

2014년부터 이 고속도로가 충청북도를 경유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충청북도에서 논란이 일었다.[66][67] 새정치민주연합 충북도당은 충청북도의 발전에 저해가 된다는 이유로 충청북도 경유를 주장했으며,[68] 이는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의 충청북도지사 선거에서도 주요 쟁점이 되었다.[69] 이 논란은 진실공방 등으로 변질되어 도지사 후보들이 서로를 고소하는 상황까지 이어졌다.[70]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 이후에도 논란은 계속되었다. 2014년 6월 23일,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범도민 협의기구가 출범했으며,[71] 이 협의기구 회의에서 고속도로의 충청북도 경유와 대체 방안인 중부고속도로 확장을 놓고 논쟁을 벌였다.[72]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이 주장에 공감을 표시했고,[73] 이인제오송 경유를 주장하였다.[74] 2014년 5월 29일 윤진식 지사후보 캠프에서 열린 새누리당 중앙선대위 현장회의에서 이완구 원내대표(공동선대위원장)는 고속도로 노선에 충북이 포함되도록 검토하고 있다고 발언하였으며, 주호영 정책위의장은 당 차원에서 검토했다면서 경유하게끔 하겠다고 약속했다.[75] 7월 14일 새누리당 전당대회를 앞두고 서청원 최고위원 후보는 이 고속도로가 충청북도 지역을 경유할 수 있겠다고 약속했다.[76]

이러한 논란에 대해 원안 노선의 주요 경유지 및 인접 지역인 세종특별자치시, 천안시, 공주시에서는 원안 지지 의견을 국토교통부에 전달하였다. 공주시청주시의 제안이 정부의 중부고속도로 확장 계획과 중복될 우려가 있고, 비용편익분석(B/C)도 1 이하로 경제성과 사업 추진 타당성이 원안보다 떨어진다고 주장하며,[77][78] 경쟁력 있는 국가 기간교통망 구축과 국토 균형 발전이라는 의미에서 (원안 추진을) 적극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다.[79]

2015년 11월 19일, 국토교통부는 서울세종고속도로 건설 계획을 확정 발표하면서, 본선은 충청북도를 경유하지 않는 원안대로 건설하되 충청북도를 연결하는 지선 노선을 신설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중부고속도로 확장 사업은 필요한 구간에서 추진하고 타당성 재조사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80]

참조

[1] 일반텍스트
[2] 뉴스 '경기 중북부 대동맥' 구리~포천 민자고속道 6월 개통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7-02-22
[3] 뉴스 구리 포천 고속도로 30일 개통, 35분으로 단축 ‘통행료는?’ http://www.hankookil[...] 한국日報 2017-06-27
[4] 일반텍스트
[5] 뉴스 '경기 중북부 대동맥' 구리∼포천 민자고속道 6월 개통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7-02-22
[6] 뉴스 민주 제2京釜고속도 건설 제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1-11-25
[7] 뉴스 <정가낙수> "제2 京釜고속도건설 바람직"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1-11-25
[8] 뉴스 제2경부고속도 民資건설 추진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2003-01-04
[9] 일반텍스트
[10] 뉴스 ‘수도권 제2경부고속도’ 추진 https://news.naver.c[...] 한겨레 2003-09-26
[11] 뉴스 제2경부고속도 건설발표, 건교부 "정부압박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02-04
[12] 뉴스 묻지마 정책… 주민만 골탕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05-04-06
[13] 뉴스 제2경부고속도로 용인∼하남 우선건설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06-10-12
[14] 뉴스 제2경부고속도로 2010년께 착공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07-11-21
[15] 뉴스 제2경부고속도로 1단계 9월 턴키발주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09-02-09
[16] 뉴스 제2 경부고속도 사업 추진 방식 갈등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9-03-18
[17] 뉴스 "제2경부고속도로, 민자사업 아니어도 경제성 있다"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6-07
[18] 뉴스 제2경부고속道 내달 발주..내년 상반기 착공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09-08-12
[19] 뉴스 (단독)제2경부고속道 장기표류 조짐..연내착공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09-12-29
[20] 웹사이트 보관된 사본 http://www.anseongne[...] 2017-08-25
[21] 뉴스 제2 경부고속도로, 내년에 착공한다 http://news.tvchosun[...] TV조선 뉴스9 2014-03-14
[22] 뉴스 [해명]「제2경부고속도로 내년 착공」 보도는 사실과 다름 http://www.korea.kr/[...] 정책브리핑 2014-03-14
[23] 웹사이트 한국도로공사 서울세종고속도로 서울 ~ 세종 구간 신설 설계 공사 안내 http://www.ex.co.kr/[...]
[24] 뉴스 유찰된 공사구간 수의시담 마무리...성남~구리 도로 전구간 착공 http://www.cnews.co.[...] 건설경제 2017-04-26
[25] 뉴스 천안시, 서울세종고속도로 민자구간 조기착공 촉구 http://www.cenews.co[...] 토목신문
[26] 간행물 국가 간선도로망 중장기 계획 http://17region.pa.g[...] 건설교통부 도로정책과 2004-12-23
[27] 간행물 도로정비기본계획 수정계획 http://www.nl.go.kr/[...] 건설교통부 2005
[28] 간행물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 http://www.molit.go.[...] 건설교통부 광역교통정책팀 2007-12-03
[29] 간행물 수도권 고속도로망 구축 실행계획 http://www.chungnam.[...] 국토해양부 도로교통과
[30] 간행물 광역경제권 발전 선도프로젝트 추진방안 http://www.molit.go.[...] 기획재정부 국토해양부
[31] 법률 대통령령 제21123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8-11-17
[32] 보고서 서울~세종 고속도로 건설사업 2009년도 간이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http://www.kdi.re.kr[...]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2009-02-28
[33] 공고 서울세종간 고속도로 사전환경성검토서(초안) 공람 및 설명회 개최공고 http://www.molit.go.[...] 국토해양부 도로정책과
[34] 보고서 서울세종(안성성남) 고속도로건설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 http://www.molit.go.[...] 국토교통부 한국도로공사
[35] 공고 국가기간교통망계획 제2차 수정계획 http://www.molit.go.[...] 국토해양부 종합교통정책과
[36] 간행물 제2차 도로정비기본계획(2011~2020) http://www.molit.go.[...] 국토해양부 도로정책과 2011
[37] 간행물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 (2012~2016) http://www.molit.go.[...] 국토해양부 도시광역교통과 2011
[38]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284호 http://gwanbo.mois.g[...] 2012-06-05
[3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739호 http://gwanbo.mois.g[...] 2014-12-24
[40]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41] 간행물 행정자치부고시 제2015-19호 http://gwanbo.mois.g[...] 2015-05-27
[42] 보도자료 서울-세종 고속도로, 민자사업으로 추진 https://www.molit.go[...] 국토교통부 도로정책과 2015-11-19
[43] 뉴스 서울세종 고속道 '성남~구리' 구간 4곳에 IC 설치 확정 http://news1.kr/arti[...] 뉴스1 2016-08-01
[4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684호 http://gwanbo.mois.g[...] 2016-10-19
[45] 간행물 도로노선의 변경 고시 http://www.molit.go.[...] 국토교통부 2016-10-19
[46] 간행물 도로구역 결정 고시 (안성성남) http://www.mois.go.k[...] 국토교통부 한국도로공사 2016-12-09
[47] 뉴스 서울∼세종고속도로 건설 본격 추진…첫 공사 착수신고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12-10
[4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828호 http://gwanbo.mois.g[...] 2016-12-09
[4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345호 http://gwanbo.mois.g[...] 2017-06-09
[50]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7-1019호 http://gwanbo.mois.g[...] 2017-06-29
[51] 보도자료 서울~세종 고속도로, 한국도로공사 시행으로 전환 https://www.molit.go[...] 국토교통부 서울세종고속도로팀 2017-07-27
[5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166호 http://gwanbo.mois.g[...] 2018-03-23
[5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256호 http://gwanbo.mois.g[...] 2018-05-04
[5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447호 http://gwanbo.mois.g[...] 2018-07-19
[5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45호 http://gwanbo.mois.g[...] 2019-01-30
[56]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9-110호 http://gwanbo.mois.g[...] 2019-01-30
[57]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550호 http://gwanbo.mois.g[...] 2019-10-11
[5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249호 http://gwanbo.mois.g[...] 2020-03-10
[5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066호 https://gwanbo.go.kr[...] 2021-09-07
[60] 뉴스 제2 경부고속道 명칭 '경세고속道'로 변경해야 http://www.jbnews.co[...] 중부매일 2014-11-12
[61] 뉴스 '서울세종고속도로' 고속도로 작명 배경은?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5-11-19
[62] 웹사이트 서울 ~ 세종 상세정보 http://www.ex.co.kr/[...] 한국도로공사
[63] 뉴스 “제2경부고속도로, 남한산성 지나면 안돼” http://www.hani.co.k[...] 한겨레 2009-06-17
[64] 뉴스 제2경부고속도 남한산성 구간 고가도로 건설 철회 요구 잇따라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6-10
[65] 뉴스 제2경부고속도 남한산성구간 8.3km 터널 건설…반대여론 여전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6-23
[66] 뉴스 제2경부 노선, 충북 비켜간다 http://www.inews365.[...] 충북일보 2014-03-23
[67] 뉴스 與 공약집에 '충북'은 없었다 http://www.jbnews.co[...] 중부매일 2014-05-13
[68] 뉴스 새정치 충북도당,제2경부고속도 충북 통과 해야 http://www.gukjenews[...] 국제뉴스 2014-05-18
[69] 뉴스 "제2경부 공세 그만"… "왜 발뺌" http://www.jbnews.co[...] 중부매일 2014-05-24
[70] 뉴스 "지지하곤 저지했다 거짓말" 여당, 이시종 고발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4-05-26
[71] 뉴스 충북도민協 '시동'…제2경부선 쟁점 '급부상'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4-06-23
[72] 뉴스 제2경부선 신설보다 중부선 확장이 유리 http://www.jbnews.co[...] 중부매일 2014-06-24
[73] 뉴스 김무성 “중부고속도로 확장 바람직” http://www.anewsa.co[...] 아시아뉴스통신 2014-07-02
[74] 뉴스 이인제 "충북 지원할 것…제2경부 오송 경유해야"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4-07-07
[75] 뉴스 서울~세종 충북경유 약속 '공염불' http://www.inews365.[...] 충청일보 2015-11-23
[76] 뉴스 서청원-김무성 지역투어 공언 남발 실태 http://www.ilyosisa.[...] 일요시사 2014-07-07
[77] 웹인용 공주시, 서울-세종고속도로 국토부 원안지지 총력 http://www.pedien.co[...] 2017-08-27
[78] 뉴스 천안 이어 공주시도 '서울∼세종고속도로 원안'지지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05-02
[79] 뉴스 공주시 "서울-세종간 고속도로 환영"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날짜 정보 없음)
[80] 웹사이트 (제목 정보 없음)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