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가연구평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연구평의회(RFR)는 1937년 독일 국가과학교육문화부 산하에 설립되어 독일의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중앙집권적으로 계획하고 통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초대 의장은 카를 하인리히 에밀 베커였으며, 1940년 베커 사후에는 교육국가장관 루스트가 의장을 겸임했다. 1942년에는 제국 무기 및 탄약부 산하로 재편되었고 헤르만 괴링이 의장을 맡았다. RFR의 재조직은 국민사회주의의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를 가져왔으며, 유대계 과학자 추방의 문제점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국가연구평의회
기본 정보
유형단체
분야연구
국가독일
설립1937년
해산1945년
후신독일 연구 재단
상세 정보
목표제3제국의 연구 계획 조정 및 자금 지원
특징다양한 분야의 과학자 및 관료 참여
나치 이념에 따른 연구 활동 지원
역할연구 프로젝트 심사 및 선정
연구 자금 배분
연구 결과 평가
정부와의 협력
역사
배경나치 정권의 과학 기술 중시 정책
전쟁 준비를 위한 연구 개발 강화 필요성
설립 과정기존의 연구 기관 통합 및 재편
정부 주도의 연구 시스템 구축
주요 활동물리학, 화학, 생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 지원
군사 관련 연구 집중 지원
해산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연합군에 의해 해산
조직
구성원과학자
관료
군인
기업인
운영 방식위원회 중심 운영
나치 이념 반영
관련 인물
주요 인물베르너 오젠베르크 (Werner Osenberg)
에리히 슈만 (Erich Schumann)
기타
영향독일의 과학 기술 발전 기여
전쟁 관련 연구 개발 가속화
나치 정권의 과학 통제 강화

2. 결성

1937년 3월 16일, 에리히 슈만의 구상에 따라 베른하르트 루스트가 장관으로 있던 국가과학교육문화부 산하에 제국연구평의회(RFR)가 설치되었다.[1] RFR은 헤르만 괴링이 관할하던 항공 분야를 제외한 독일의 모든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중앙집권적으로 계획하고 통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초대 평의회 의장은 육군무기청(HWA) 청장이자 베를린 공과대학교 방위기술학부 학장이었던 카를 하인리히 에밀 베커 포병대장이었다.(1937년-1940년)[2][4][5] 1940년 베커 사후, 루스트가 RFR 의장을 겸임했으나,[6] 실무는 독일 연구협회(DFG) 회장 루돌프 멘첼이 전담했다.[7]

2. 1. 주요 평의원


  • 쿠르트 디프너 - 튀링겐 슈타틸름 소재 RFR 핵물리학 실험장 책임자 겸 고토프 소재 HWA 실험장 관리관.[21]
  • 아브라함 에자우 - 1937년부터 1943년 말까지 물리학 부서장 역임. 1942년부터 1943년까지 핵물리학 전권대사, 이후 고주파물리학 전권대사.[22]
  • 발터 게를라히 - 에자우의 후임 물리학 부서장 및 핵물리학 전권대사(1944년 1월 1일 이후).
  • 베르너 오젠베르크 - 1943년 6월 29일부터 1945년까지 RFR 계획기획단 책임자. 약 5천 명의 과학자와 공학자들을 연구 개발에 종사하게 했으며, 종전 시기에는 그 수가 1만 5천 명으로 증가.[23]
  • 오토 셰르처 - 레이다 부서장 (1944년-1945년)
  • 에리히 슈만 - 폭발물리학 전권대사 (1942년-1945년)
  • 페터 아돌프 티센 - 화학 및 유기물질 부서장.

3. 재조직

1942년 6월 9일, 아돌프 히틀러는 국가연구평의회(RFR)를 군수탄약부 산하 기관으로 재편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헤르만 괴링을 의장으로 임명했다.[24] 이 재조직은 알베르트 슈페어 군수탄약국가장관의 건의로 이루어졌는데, 슈페어는 RFR이 교육장관 루스트의 산하에 있는 것이 비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25] 괴링은 항공 부문을 효율적으로 관리했듯이 RFR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것을 기대하며 의장에 임명되었다.

1942년 7월 6일, RFR의 의제를 설정하기 위한 회합이 소집되었다. 이 회합은 국민사회주의의 과학에 대한 태도 전환점이었다. 이때 유대계 과학자들을 독일에서 축출한 것이 실수였다는 인식이 이루어졌다. 1933년 막스 플랑크는 카이저 빌헬름 연구소 소장 자격으로 히틀러를 만나 유대계 과학자들을 추방하면 그들의 실력이 외국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히틀러는 플랑크의 말을 듣지 않았다.[26][27][28]

4. 한국의 관점에서 본 RFR

나치 독일의 RFR(Reichsforschungsrat, 국가연구평의회)은 과학기술을 전쟁 도구로 활용하려 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RFR의 조직 구조와 운영 방식은 당시 독일의 중앙집권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정치 체제를 반영한다. 유대인 과학자 추방과 같은 정책 실패는 과학기술 발전의 다양성과 개방성을 저해하는 요인임을 보여준다. 이는 포용적 과학기술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RFR의 사례는 한국 과학기술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과학기술 발전은 국가 안보와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지만, 동시에 윤리적, 사회적 책임을 수반해야 한다. 과도한 군사 연구 집중은 기초 과학 발전을 저해하고, 장기적으로 국가 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Creation of a Research Council Hentschel 1937-03-16
[2] 문서
[3] 간행물 Macrakis
[4] 문서
[5] 간행물 Abschied von der „reinen” Wissenschaft: „Wehrtechnik” und Anwendungsforschung in der Preufiischen Akademie nach 1933 http://edoc.bbaw.de/[...] Burghard Ciesla in Die Preuß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zu Berlin 1914-1945 (Akademie Verlag 2000
[6] 간행물 Macrakis
[7] 간행물 Hentschel
[8] 간행물 Hentschel
[9] 논문 Between Autonomy and Accommodation: The German Physical Society during the Third Reich 2005
[10] 간행물 Macrakis
[11] 간행물 The Führer’s Decree on the Reich Research Council Hentschel 1942-06-09
[12] 간행물
[13] 간행물 Max Planck: My Audience with Adolf Hitler Hentschel
[14] 간행물 Record of Conference Regarding the Reich Research Council Hentschel 1942-07-06
[15] 간행물 Macrakis
[16] 간행물 Creation of a Research Council Hentschel 1937-03-16
[17] 간행물 Macrakis
[18] 간행물 Abschied von der „reinen” Wissenschaft: „Wehrtechnik” und Anwendungsforschung in der Preufiischen Akademie nach 1933 http://edoc.bbaw.de/[...] Burghard Ciesla in Die Preuß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zu Berlin 1914-1945 (Akademie Verlag 2000
[19] 간행물 Macrakis
[20] 간행물 Hentschel
[21] 간행물 Hentschel
[22] 논문 Between Autonomy and Accommodation: The German Physical Society during the Third Reich 2005
[23] 간행물 Macrakis
[24] 간행물 The Führer’s Decree on the Reich Research Council Hentschel 1942-06-09
[25] 간행물
[26] 간행물 Max Planck: My Audience with Adolf Hitler Hentschel
[27] 간행물 Record of Conference Regarding the Reich Research Council Hentschel 1942-07-06
[28] 간행물 Macrak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