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도 제16호선 (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16호선 (미국)은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시작하여 와이오밍주와 사우스다코타주를 통과하는 도로이다. 와이오밍주에서는 국도 14호선, 20호선과 노선을 공유하며, 버펄로와 길레트를 거쳐 사우스다코타주 경계로 이어진다. 사우스다코타주에서는 러시모어 산길로 알려져 있으며, 커스터와 힐시티를 통과하여 래피드시티에서 190번 주간고속도로와 연결된다. 과거에는 미시간주를 포함하는 더 넓은 노선이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구간이 다른 고속도로로 대체되었다.

2. 노선 설명

노선 길이
거리
와이오밍약 758.00km
사우스다코타약 109.44km [1]
합계약 869.04km



국도 제16호선(US 16)은 옐로스톤 국립공원 동쪽 입구에서 국도 14호선, 국도 20호선과 함께 시작한다. 이 세 도로는 노선 중복 상태로 와이오밍주의 코디와 그레이불까지 이어진다. 그레이불에서 국도 14호선이 동쪽으로 갈라지면, 국도 16호선은 국도 20호선과 함께 워랜드까지 남하한다. 워랜드에서는 국도 20호선과 분기하여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파우더리버 고개를 넘어 버펄로로 향한다. 이후 길레트와 무어크로프트를 지나 업턴과 뉴캐슬 마을을 거쳐 동쪽으로 사우스다코타주 경계에 이른다. 와이오밍주 구간 대부분은 2차선 도로이다.

사우스다코타주 서부에서 16번 국도는 러시모어 산길(Mount Rushmore Road)로도 불린다. 주 경계를 넘어 주얼 동굴 국립기념물 근처를 지나[2] 커스터 시로 진입하며, 이곳에서 국도 385호선과 잠시 노선을 공유한다. 힐시티 동쪽에서 국도 385호선과 다시 갈라진 후, 왕복 4차선 분리 고속도로 형태로 래피드시티 방면으로 이어진다. 일부 구간에서는 상행선과 하행선이 최대 약 0.80km까지 떨어져 있기도 하다. 래피드시티에서는 트럭 우회로가 별도로 지정되어 있다.

사우스다코타주에서 16번 국도의 구간은 사우스다코타주 법전(South Dakota Codified Laws) § 31-4-138에 법적으로 정의되어 있다.[3]

2. 1. 와이오밍주

국도 제16호선(US 16)은 옐로스톤 국립공원 동쪽 입구에서 국도 14호선, 국도 20호선과 함께 시작한다. 국립공원에서 이 세 도로는 노선 중복을 이루며 코디와 그레이불까지 이어진다. 그레이불에서 국도 14호선은 동쪽으로 갈라지고, 국도 16호선과 국도 20호선은 베이신과 워랜드로 향한다.

워랜드에서 국도 16호선은 국도 20호선에서 분기하여 파우더리버 고개를 넘어 버펄로로 향한다. 버펄로를 지나면 국도 16호선은 북쪽으로 아치형을 그리며 크로스 지역으로 향하여 다시 국도 14호선과 만나고, 이후 남쪽으로 아치형을 그리며 길레트로 이어진다.

국도 16호선은 길레트와 무어크로프트 사이 구간에서는 주간 고속도로 90호선(I-90)과 함께 동쪽으로 뻗어 나간다. 이후 남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업턴과 뉴캐슬 마을을 지나 동쪽으로 향하여 사우스다코타주 경계에 도달한다. 와이오밍주를 통과하는 대부분의 구간은 2차선 도로이다.

2. 2. 사우스다코타주

16번 국도는 사우스다코타주 서부에서 러시모어 산길이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주 경계선에서 시작하여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동굴인 주얼 동굴 인근을 통과한다.[2] 이후 커스터 시를 지나며, 이 구간에서는 385번 국도와 노선이 겹친다. 힐시티 동쪽 지점에서 16번 국도는 385번 국도에서 분기된다.

분기 이후 16번 국도는 왕복 4차선 분리 고속도로 형태로 바뀌며, 일부 구간에서는 상행선과 하행선이 최대 약 0.80km까지 떨어져 있기도 하다. 이 분리된 도로 사이에는 과거 금광 마을이었던 로커빌이 위치한다. 래피드시티에서는 트럭 우회도로가 캐트론 대로(Catron Boulevard)와 엘크 베일 로드(Elk Vale Road)를 따라 90번 주간고속도로의 61번 나들목까지 연결된다.

사우스다코타주에서 16번 국도의 구간은 사우스다코타주 법전(South Dakota Codified Laws) § 31-4-138에 법적으로 정의되어 있다.[3]

3. 역사

와이오밍주 텐슬립 협곡의 US 16번 국도, 빅혼 산맥


US 16번 국도는 원래 디트로이트에서 옐로스톤 국립공원까지 이어졌으며, 미시간호를 가로지르는 머스키건과 밀워키 사이의 페리 운항 구간을 포함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노선에 여러 변경이 있었다. 초기에는 사우스다코타주와이오밍주 경계를 스피어피시 서쪽에서 통과했으나, 1934년 래피드시티와 무어크로프트 사이를 지나는 남쪽 경로(과거 US 216번 국도)로 변경되었고, 기존 경로는 US 14번 국도의 일부가 되었다.

주간고속도로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미시간주, 위스콘신주, 미네소타주, 사우스다코타주 동부 등 많은 구간이 I-96이나 I-90 등으로 대체되거나 주 또는 카운티 도로로 전환되어 폐지되었고, 노선은 현재의 종점으로 축소되었다.[4]

2009년에는 사우스다코타주의 커스터와 힐 시티 사이의 일부 구간(US 385번 국도와 중복)이 Crazy Horse Memorial Highway|크레이지 호스 기념 고속도로eng로 지정되기도 했다. 이 구간은 크레이지 호스 기념관을 지난다.

3. 1. 초기 역사 (미시간주 구간)

US 16번 국도는 초기에 디트로이트에서 옐로스톤 국립공원까지 이어졌으며, 미시간호를 건너는 머스키건과 밀워키 사이의 페리 운항 구간을 포함했다. 미시간주 내 해당 경로는 자동차 시대 이전부터 이용되었고, 초기 정착민들에게는 '그랜드 리버 로드'(Grand River Road)로 불렸다. 1920년대에는 미국 국도 지정 이전, 디트로이트에서 머스키건 남쪽까지 M-16번 도로로 지정되었다.

1938년, 디트로이트- 래싱 구간 US 16번 국도에 약 30.48m 간격으로 반사판을 설치하여 야간 교통사고 감소에 기여했으며, 이는 다른 주에서도 참고하는 사례가 되었다.

이후 미시간주 내 US 16번 국도의 대부분 구간은 I-96으로 대체되었고, 디트로이트의 그랜드 리버 애비뉴(Grand River Avenue) 일부는 M-5로 변경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미시간주를 포함한 여러 주에서 US 16번 국도 지정이 폐지되었다.[4]

3. 2. 노선 변경 (사우스다코타주, 와이오밍주)

미국 16번 국도(US 16)는 원래 사우스다코타주와이오밍주의 경계를 스피어피시 서쪽 지점에서 통과했다. 1930년에는 '''U.S. Highway 216''' ('''US 216''')가 새롭게 지정되었는데, 이 노선은 래피드시티와 무어크로프트 사이에서 기존 US 16번 국도로부터 남쪽으로 갈라져 나왔으며, 커스터 서쪽에서 주 경계를 넘었다. 1934년에 US 16번 국도의 노선은 US 216번 국도가 사용하던 경로로 변경되었고, 기존에 US 16번 국도가 지나던 구간은 US 14번 국도의 연장 구간으로 편입되었다.

3. 3. 주간 고속도로 대체 및 폐지

미시간주에서는 US 16번 국도의 대부분이 I-96으로 대체되었고, 디트로이트의 그랜드 리버 애비뉴(Grand River Avenue) 일부는 M-5가 되었다. 이후 US 16번 국도는 위스콘신주, 미네소타주, 그리고 사우스다코타주 동부에서 폐지되어 현재의 종점으로 축소되었다.[4]

사우스다코타주 래피드시티미네소타주 덱스터 사이 구간은 I-90으로 대체되었다. 미네소타주 페리보트군 지역에서는 이미 16번으로 지정된 지방도가 있었기 때문에 다른 번호가 부여되었다. 하지만 지역 주민들은 계속해서 이 도로를 "16" 또는 "구 16"이라고 불렀고, 결국 해당 구간은 카운티 도로 16번(CR 16)으로 재지정되었다. 마틴군과의 서쪽 경계에서부터 US 16번 국도는 1번가(1st Street)와 렐랜드 파크웨이(Leland Parkway)의 일부로 블루어스를 통과하여 동쪽으로 이어지다가 잠시 US 169/그로브 스트리트(Grove Street)와 합류했다. 그 지점에서 남쪽으로 약 약 0.80km 떨어진 그로브 스트리트와 7번가(7th Street)의 교차로에서 CR 16번은 7번가를 따라 동쪽으로 프리본군 경계까지 이어졌다. 페리보트군을 통과하는 구간의 대부분은 비교적 좁은 2차선 도로였으나, US 16번 국도가 폐지된 이후 최소 두 번 이상 확장되었다. 덱스터 동쪽 구간은 현재 미네소타주 고속도로 16번과 위스콘신주 주 간선 고속도로 16번이 운행되고 있다.

사우스다코타주에서는 폐지된 US 16번 국도 구간이 다양한 주 고속도로(예: SD 38, SD 248) 및 카운티 도로로 대체되었다. 일반적으로 웨스트 리버 지역에서는 구 노선이 완전히 카운티 관할로 이관되었고, 이스트 리버 지역에서는 주에서 관리하는 고속도로로 남아 있다. 과거 사우스다코타주에 있던 US 16A는 SD 240이 되었다.

3. 4. 크레이지 호스 기념 고속도로

2009년 사우스다코타주에서 사우스다코타주 교통부는 커스터와 힐 시티 사이의 US 16번 국도/US 385번 국도 구간을 Crazy Horse Memorial Highway|크레이지 호스 메모리얼 하이웨이eng로 지정했다. 이 구간은 블랙힐스에 조각되고 있는 크레이지 호스 기념관을 지난다. US 385번 국도의 해당 구간은 George Hearst Memorial Highway|조지 허스트 메모리얼 하이웨이eng의 일부이기도 하다.

4. 주요 교차점

미국 국도 제16호선은 와이오밍주사우스다코타주를 통과하며 여러 주요 도로와 교차한다. 각 주 경계를 지날 때마다 마일리지는 초기화된다.[5][6] 상세한 교차점 정보는 각 주별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와이오밍 주

국도 제16호선(US 16)은 옐로스톤 국립공원 동쪽 입구에서 국도 14호선, 국도 20호선과 함께 시작한다. 이 세 도로는 국립공원에서부터 노선 중복 상태로 동쪽으로 이동하여 코디와 그레이불까지 이어진다. 그레이불에서 국도 14호선은 동쪽으로 분기되고, 국도 16호선과 국도 20호선은 함께 남쪽으로 베이신과 워랜드 방향으로 향한다.

워랜드에서는 국도 16호선이 국도 20호선에서 갈라져 나와 동쪽으로 파우더리버 고개를 넘어 버펄로로 이어진다. 버펄로를 지나면 국도 16호선은 북쪽으로 크게 휘어져 유크로스 지역으로 향하며, 이곳에서 다시 국도 14호선과 합류한다. 이후 다시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길레트로 향한다.

길레트와 무어크로프트 사이 구간에서는 주간 고속도로 90호선(I-90)과 함께 동쪽으로 뻗어 나간다. 무어크로프트 이후 국도 16호선은 I-90에서 분기되어 남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업턴과 뉴캐슬 마을을 지난다. 뉴캐슬을 통과한 후 도로는 동쪽으로 향하여 사우스다코타주 경계에 도달한다. 와이오밍주를 통과하는 대부분의 구간에서 국도 16호선은 2차선 도로이다.[5][6]

4. 1. 1. 파크 카운티

옐로스톤 국립공원 동쪽 입구에서 국도 14호선, 국도 20호선과 함께 시작하며, 이 세 도로는 노선 중복 상태로 코디까지 동쪽으로 이어진다. 코디 시내를 통과하며 여러 주요 도로와 교차한다.

마일위치교차 도로비고
약 79.52km코디WYO 291
약 83.52km코디US 14A (동쪽) / WYO 120 (북쪽) (파월 방면)WYO 120 중복 구간 서쪽 종점
약 87.10km코디WYO 120 (남쪽) (미티츠, 서모폴리스 방면)WYO 120 중복 구간 동쪽 종점


4. 1. 2. 빅혼 카운티

빅혼 카운티 내에서 국도 제16호선은 여러 주요 도로와 교차한다.[5][6]

  • 마일리지 85.056 지점에서 동쪽 벌링턴으로 향하는 30번 와이오밍 주도와 만난다. 이곳은 30번 와이오밍 주도의 서쪽 끝 지점이다.
  • 마일리지 85.655 지점에서는 북쪽 러벨로 가는 32번 와이오밍 주도와 교차하며, 이는 32번 와이오밍 주도의 남쪽 끝 지점이다.
  • 마일리지 99.197 지점에서는 북쪽 러벨 방면의 310번 미국 국도 및 789번 와이오밍 주도와 만나 노선이 중복된다. 이곳은 789번 와이오밍 주도 중복 구간의 서쪽 시작점이자 310번 미국 국도의 남쪽 끝 지점이다.
  • 그레이불에서는 마일리지 104.05 지점에서 동쪽으로 향하는 14번 미국 국도와 분기된다. 이 지점은 14번 미국 국도와의 중복 구간이 끝나는 곳이다.
  • 마일리지 109.27 지점에서는 36번 와이오밍 주도(골프 코스 로드)와 교차한다.
  • 베이신에서는 마일리지 111.42 지점에서 30번 와이오밍 주도와 만난다.
  • 마일리지 122.32 지점에서는 433번 와이오밍 주도와 교차한다.
  • 맨더슨에서는 마일리지 123.50 지점에서 31번 와이오밍 주도와 교차한다.

4. 1. 3. 워섀키 카운티

워섀키 카운티 주요 교차로
위치마일리지 (mi)[5][6]교차 도로비고
워랜드0.00US 20 동쪽 / WY 789 남쪽 / WY 432 남쪽US 20 및 WYO 789 중복 구간의 동쪽 종점; WYO 432의 북쪽 종점
텐 슬립26.42WY 434
해당 없음30.04WY 436
33.90WY 435


4. 1. 4. 존슨 카운티

와이오밍주 존슨 카운티 구간 주요 교차로
마일리지[5][6]위치교차 도로비고
92.12버펄로BL 25, US-Bus 87, WYO 196 (Main Street)WYO 196 중복 구간 서쪽 종점
100.00BL 25, US-Bus 87, WYO 196 (Main Street)WYO 196 중복 구간 동쪽 종점
100.61해당 없음I-25, US 87I-25 299번 출구
2.12I-90I-90 58번 출구


4. 1. 5. 셰리든 카운티

존슨 카운티에서 북쪽으로 경로를 변경한 국도 16호선은 셰리든 카운티로 들어선다. 셰리든 카운티 내에서는 유크로스 지역을 통과하며, 이곳에서 서쪽에서 오는 국도 14호선과 만나 동쪽으로 함께 가는 중복 구간이 시작된다.[5][6] 이후 동쪽으로 계속 나아가 WYO 341과 교차한 뒤, 캠벨 카운티 방면으로 향한다.[5][6]

셰리든 카운티 주요 교차로
위치마일교차 도로비고
유크로스약 28.39km국도 14호선 (서)국도 14호선 중복 구간 서쪽 종점[5][6]
(셰리든 카운티)약 88.06kmWYO 341[5][6]


4. 1. 6. 캠벨 카운티

셰리던 카운티에서 국도 14호선과의 중복 구간이 끝난 후, 국도 16호선은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캠벨 카운티로 진입한다.

캠벨 카운티 내에서 국도 16호선은 다음과 같은 경로를 지난다.

  • 마일 102.07 지점에서 WYO 59와 만나 남쪽으로 향하는 중복 구간이 시작된다.[5][6]
  • 이후 도로는 길레트 시내로 들어선다.
  • 길레트 시내에서 마일 113.10 지점에서 WYO 59와의 중복 구간이 끝나며(더글러스 하이웨이),[5][6] 마일 114.86 지점에서는 WYO 50 (스카이라인 드라이브)과 교차한다.[5][6]
  • 마일 127.57 지점에서는 I-90 서쪽 방향 및 WYO 51과 만나 I-90 동쪽 방향과의 중복 구간이 시작된다. 이 지점은 I-90의 128번 출구에 해당하며,[5][6] 이후 국도 16호선은 I-90과 함께 동쪽으로 크룩 카운티 방면으로 향한다.

4. 1. 7. 크룩 카운티

국도 16호선은 캠벨 카운티를 지나 크룩 카운티로 들어선다. 이 카운티로 진입하는 시점부터 무어크로프트까지 국도 16호선은 I-90과 노선이 중복된다. 무어크로프트의 I-90 153번 출구에서 이 중복 구간이 끝나고, 국도 16호선은 독립 노선으로 동쪽으로 향한다.[5][6] 무어크로프트 시내를 통과하며 WY 51과 교차한다.[5][6] 무어크로프트를 지나 계속 동쪽으로 가면 US 14와의 중복 구간도 끝나 US 14는 동쪽으로 갈라져 나간다.[5][6]

4. 1. 8. 웨스턴 카운티

크룩군에서 웨스턴군으로 진입한 국도 16호선은 남동쪽으로 계속 이어진다. 업턴 마을에서는 짧은 구간 동안 WYO 116과 노선을 공유한다. 이후 오세이지를 지나며 WYO 451과 교차하고, 계속 남동쪽으로 진행하여 WYO 450과 만난다. 뉴캐슬에서는 시내를 통과하는 US Bus 16 및 US Truck 16 노선과 두 차례 교차하며, US 85와도 교차한다. 뉴캐슬을 지나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와이오밍-사우스다코타 주 경계에 도달하며 사우스다코타주로 넘어간다.

주요 교차로[5][6]
카운티위치마일교차 도로비고
웨스턴업턴약 353.78kmWYO 116WYO 116 중복 구간 서쪽 시작
약 354.26kmWYO 116WYO 116 중복 구간 동쪽 끝
오세이지약 375.44kmWYO 451
해당 없음약 395.37kmWYO 450
뉴캐슬약 398.05kmUS Bus 16 (뉴캐슬), US Truck 16 (뉴캐슬)
약 400.71kmUS Bus 16 (뉴캐슬), US Truck 16 (뉴캐슬)
약 402.05kmUS 85
와이오밍-사우스다코타 주 경계약 416.95km사우스다코타주로 진입하여 국도 16호선 동쪽 방향으로 계속됨.


4. 2. 사우스 다코타 주

미국 국도 제16호선은 사우스다코타주 서부에서 러시모어 산길(Mount Rushmore Road)로 불리기도 한다. 와이오밍주 경계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향하며, 주얼 동굴 국립 기념물과 같은 명소 인근을 지난다.[2] 이 도로는 커스터와 래피드시티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일부 구간에서는 다른 국도와 노선을 공유하거나 분리 고속도로 형태로 운영된다. 래피드시티에서는 트럭 우회로가 별도로 지정되어 있다.

사우스다코타주 내 16번 국도의 구간은 사우스다코타주 성문화 법률(South Dakota Codified Laws) § 31-4-138에 따라 정의된다.[3]

4. 2. 1. 커스터 카운티

와이오밍 주 경계를 넘어 사우스다코타주로 진입하며 커스터 카운티를 통과한다. 이 구간에서 16번 국도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동굴인 주얼 동굴 국립 기념물 근처를 지난다.[2] 이후 커스터 시를 지나며, 385번 국도와 일부 구간을 공유한다.

위치마일교차 도로비고
커스터26.46US 385 / SD 89US 385 및 SD 89와 중첩 시작[5][6]
26.96US 16A / SD 89SD 89 중첩 종료[5][6]


4. 2. 2. 페닝턴 카운티

힐시티 동쪽에서 16번 국도는 385번 국도에서 갈라진다. 그 후 왕복 4차선 분리 고속도로가 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두 개의 도로가 최대 약 0.80km 떨어져 있기도 하다. 이 구간에는 두 도로 사이에 옛 금광 마을인 로커빌이 완전히 위치해 있다. 래피드시티에서는 트럭 우회로가 캐트론 대로(Catron Boulevard)와 엘크 베일 로드(Elk Vale Road)를 따라 90번 주간고속도로의 61번 출구까지 이어진다.

페닝턴 카운티 주요 교차로[5][6]
마일리지 (mi)마일리지 (km)위치도로참고사항
약 60.33km약 60.33kmSD 87 (Needles Highway)
약 60.66km약 60.66kmSD 244
약 65.19km약 65.19km힐시티US 16 Truck / US 385 Truck
약 66.08km약 66.08kmUS 16 Truck / US 385 Truck
약 72.42km약 72.42kmUS 385US 385 중복 구간의 동쪽 종점
약 81.43km약 81.43kmUS 16A
로커빌교차로; 좌측 출구 및 진입로
약 103.30km약 103.30km래피드시티US 16 Truck
약 111.04km약 111.04kmSD 44 (Omaha Street) / I-190 방면동쪽 종점


5. 관련 노선


  • 국도 제116호선
  • 국도 제216호선

참조

[1] 서적 State Highway Log: Rapid City Region http://www.sddot.com[...] South Dakot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7-04-08
[2] 웹사이트 Jewel Cave National Monument http://www.nps.gov/j[...] National Park Service 2008-05-18
[3] 서적 South Dakota Codified Laws https://sdlegislatur[...] South Dakota Legislature 2023-04-04
[4] 간행물 2015-09-02
[5] 서적 Reference Marker Book https://web.archive.[...] Wyoming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1-04-26
[6] 서적 State Highway Log: Rapid City Region http://www.sddot.com[...] South Dakot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0-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