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시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시장은 부산에 위치한 한국의 오래된 시장 중 하나로, 1945년 일제강점기 직후 개장하여 약 80년 동안 운영되어 왔다. 한국 전쟁 중 부산이 임시 수도가 되면서 피난민들이 대거 유입되고 미군의 주둔으로 무역 수요가 증가하며 시장이 성장했다. 1950년과 1953년의 대규모 화재로 피해를 입었으나, 이후 복구 과정을 거쳤다. 1990년대 이후 인터넷의 등장으로 외국 상품 구매의 주요 역할이 감소하였으나, 젊은 층과 외국인 고객을 위한 상점들이 들어서며 변화를 겪고 있다. 2014년에는 시장을 배경으로 한 영화 '국제시장'이 개봉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시장 - 자갈치시장
    자갈치시장은 부산 남포동과 충무동에 걸쳐 있는 수산물 시장으로, 1945년 광복 후 형성되어 한국 전쟁 이후 자갈밭에 자리 잡았으며, 현대화된 건물과 다양한 해산물 및 먹거리, 편리한 교통, 부산국제영화제 행사 장소 등으로 부산의 대표적인 랜드마크이자 관광 명소이다.
  • 부산광역시의 시장 - 부산공동어시장
    부산공동어시장은 1963년 부산종합어시장으로 개장하여 1971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 1973년 남부민동으로 이전했으며, 2017년에는 대한민국 최초 수산업협동조합법상 법인인 부산공동어시장조합공동사업법인으로 전환되었다.
  • 부산 중구 - 부산항
    부산항은 1876년 개항하여 동북아시아 주요 항만으로 성장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의 국제 무역항으로, 세계 5위 컨테이너 항만이자 부산항만공사에서 관리하며 북항 재개발 사업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 부산 중구 - 부산롯데타운
    부산롯데타운은 부산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대규모 복합 시설로, 롯데백화점 광복점을 시작으로 다양한 시설이 개장했으며, 완공 시 부산 최고 높이의 건축물이 될 롯데타운타워를 포함하고 도시철도 중앙역 및 남포역과 인접하여 교통 환경 개선에도 기여했다.
국제시장
지도
기본 정보
이름국제시장
로마자 표기Gukje Sijang
한자 표기國際市場
위치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 4가
주차용두산공원 공영주차장
웹사이트국제시장 공식 웹사이트 (영어)
2019년 10월의 국제시장 야경
밤의 시장 (2019)
특징
설명부산의 대표적인 소매 시장 중 하나.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며, 부산의 활기찬 분위기를 느낄 수 있음.
인근 시장부평깡통시장
영화
관련 영화국제시장

2. 역사

부산 국제시장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장 중 하나로, 1945년 일제 강점기 직후 개장하여 약 80년 동안 운영되어 왔다.[6][7] 1950년대에는 한국 전쟁으로 부산이 임시 수도가 되면서 피난민이 대거 유입되어 시장의 성격이 급격하게 변화했다.[10]

2. 1. 형성 배경 (1945~1950)

1945년 일제 강점기 직후 부산 국제시장은 '도떼기시장'(도떼기시장|Bustling Market한국어)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6][7][8][9] 1948년에는 '자유시장'(자유시장|Freedom Market한국어)으로 이름을 바꾸었고,[9][7] 1950년 5월 현재의 '국제시장'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7]

2. 2. 한국전쟁과 시장의 성장 (1950~1953)

한국 전쟁 발발 후 부산이 임시수도(1950년 8월 18일~10월 27일, 1951년 1월 4일~1953년 8월 15일)가 되면서[10] 피난민들이 대거 유입되었다. 1950년 6월에는 서울에서 20만 명, 1951년 1월에는 50만 명, 그리고 중국 인민지원군이 서울을 점령한 후에는 북한에서 10만 명의 피난민이 부산으로 몰려들었다. 이 기간 동안 미군이 부산 지역에 군사 시설을 건설하면서 미군 병사들이 대거 유입되어 무역 수요가 증가하고 시장의 사업과 고객이 늘었다.

한국 전쟁 중 부산은 전쟁을 피해 온 피난민들의 중심지였다. 피난민들은 물건을 팔아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점을 설치했다. 특히 인기가 많았던 것은 수입품이나 외국산 제품(특히 미군으로부터 온 것들)이었는데, 이러한 제품들은 한국인들이 소유하거나 판매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금지되어 있었다.[8][11][9] 외국산 제품의 증가, 특히 불법적인 제품들 때문에 국제시장 옆에 활기 넘치는 암시장이 형성되었다.

한반도 전역의 한국인들과 일본에서 돌아온 한국인들이 부산에 정착하여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1951년에는 부산 인구가 한국 전체 인구의 1/3을 차지했고, 많은 사람들이 가족의 지원을 받지 못했다.[9]

2. 3. 1953년 대화재와 복구

1953년 화재 이후 폐허가 된 모습


국제시장은 1950년과 1953년에 발생한 대규모 화재로 큰 피해를 입었다.[10] 1953년 1월 30일, 시장 북쪽에 위치한 식당 춘향원|춘향원한국어에서 세 명의 술 취한 화장품 상인이 기름램프를 넘어뜨리면서 큰 화재가 발생했다. 불은 순식간에 번져 시장 전체를 휩쓸었다. 화재는 창선시장(창선시장|창선시장한국어)으로까지 번져 그곳도 대부분 파괴되었다. 당시 부산에는 한국 전쟁으로 인한 많은 피난민들이 인화성이 높은 판잣집에 거주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판잣집들도 많이 불에 타 소실되었다. 화재는 시작된 지 9시간 만인 1월 31일 오전 1시에야 진화되었다. 이 화재로 약 1,600개의 건물이 소실되었고, 약 1조(1945~1953년 당시 대한민국 원)[12]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6,800가구 22,50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12]

1953년 화재 이후 한국 전쟁이 끝나가고 사람들이 고향으로 돌아가면서, 매우 크고 번화했던 국제시장은 이전의 규모와 위상을 회복하지 못했다.[9]

2. 4. 최근 역사 (1990년대~현재)

1990년대까지 국제시장은 외국 상품을 구입하는 주요 장소로 여겨졌으나, 인터넷의 등장으로 그 역할은 감소했다.[4] 2023년에는 시장 내 많은 전통 상점들이 문을 닫거나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현대화 노력으로 젊은층과 외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상점들이 기존의 전통 상점들을 대체하고 있다. 2015년 국제시장은 글로벌 럭셔리 마크 홍보 프로젝트에 참여했는데,[13] 이는 국제시장을 세계적인 문화 랜드마크로 소개하기 위한 것이었다.[4]

2014년 영화 국제시장은 이 시장의 이름을 딴 것이다. 이 영화는 시장 내 상점("꽃분이네")[6]을 소유한 한 가족과 한국 전쟁부터 현재까지 그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14]

참조

[1] 웹사이트 Best of Busan: What to do in Korea's 'second city' http://edition.cnn.c[...] CNN 2013-07-29
[2] 웹사이트 국제시장 - 국제시장 https://gukjemarket6[...]
[3] 웹사이트 http://eng.gukjemark[...] 2023-09-22
[4] 웹사이트 [Subway Stories] Jagalchi Station: Busan's vibrant market hub https://www.koreaher[...] 2023-07-27
[5] 웹사이트 KOBIS(발권)통계 http://www.kobis.or.[...] Korean Film Council 2022-06-03
[6] 웹사이트 Shopping for herring: Marketplaces in Busan https://www.koreaher[...] 2019-11-14
[7] 웹사이트 http://eng.gukjemark[...] 2023-09-22
[8] 웹사이트 Gukje Market bustling with energy https://www.visitbus[...] 2023-09-22
[9] 웹사이트 https://encykorea.ak[...] 2023-09-22
[10] 논문 Pusan at War: Refuge, Relief, and Resettlement in the Temporary Capital, 1950–1953 2017
[11] 웹사이트 Gukje Market (국제시장) http://english.visit[...] 2023-09-22
[12] 웹사이트 https://busan.grandc[...] 2024-12-01
[13] 웹사이트 국제시장 - 국제시장 https://gukjemarket6[...]
[14] 웹사이트 Ode to My Father: A depic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 https://www.tbsnews.[...] 2023-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