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항은 1876년 강화도 조약에 의해 부산포라는 이름으로 개항한 이후, 대한민국의 주요 항만으로 발전했다. 일제강점기에는 대륙 침략을 위한 병참 기지 역할을 했으며, 한국 전쟁 중에는 유엔 구호품과 전쟁 물자를 받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70년대 이후 신발 및 베니어 산업의 성장과 컨테이너 화물 증가에 따라 급속하게 성장하여, 2003년 세계 4위의 컨테이너 항만이 되었고, 현재는 세계 5위, 동북아시아 10위의 바쁜 항만이다. 부산항은 북항, 남항, 감천항, 다대포항, 국제여객터미널, 감만컨테이너터미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산신항 건설을 통해 증가하는 컨테이너 화물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부산항은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 동아시아 주요 항만들과 경쟁하며, 사우샘프턴항 등 6개 항구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항구 - 부산신항
부산신항은 부산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를 해결하기 위해 가덕도 일대에 건설된 대규모 컨테이너 터미널로,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민간 기업과 부산항만공사의 참여로 개발되어 현대화된 항만 시설을 제공한다. - 부산광역시의 항구 - 부산항여객터미널
부산항여객터미널은 부산항에 위치한 여객터미널 시설로, 국제선과 연안선 노선을 운항하며 부산역과 터미널을 순환하는 버스를 운영하여 여행객들의 편의를 제공한다. - 부산항 - 부산항만공사
부산항만공사는 2004년 1월 16일 설립된 해양수산부 산하 시장형 공기업으로, 항만 시설 관리 운영 및 부산항 개발 사업을 수행하며 컨테이너 부두 등을 관리한다. - 부산항 - 돌아와요 부산항에
1971년 김해일의 "돌아와요 충무항에"를 원곡으로 하는 "돌아와요 부산항에"는 황선우 작곡, 김성술 작사의 부산과 한국을 대표하는 노래로, 조용필 리메이크와 일본 번안을 통해 큰 인기를 얻었으며, 가사 내용 차이 및 저작권 표절 소송 등의 이슈도 있다. - 부산 중구 - 국제시장
국제시장은 1945년 도떼기시장으로 시작하여 한국전쟁 피난민들의 생계터전이었던 부산의 전통시장으로, 화재와 인터넷 발달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현대화 노력과 영화 흥행으로 재조명받고 있다. - 부산 중구 - 부산롯데타운
부산롯데타운은 부산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대규모 복합 시설로, 롯데백화점 광복점을 시작으로 다양한 시설이 개장했으며, 완공 시 부산 최고 높이의 건축물이 될 롯데타운타워를 포함하고 도시철도 중앙역 및 남포역과 인접하여 교통 환경 개선에도 기여했다.
부산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부산항 |
로마자 표기 | Port of Busan |
한글 표기 | 부산항 |
한자 표기 | 釜山港 |
가타카나 표기 | プサンハン |
히라가나 표기 | ふざんこう |
위치 | 부산광역시 동구 충장대로 |
국가 | 대한민국 |
개항 | 1876년 2월 27일 |
관리자 | 부산항만공사 |
종류 | 무역항 |
이미지 | |
![]() | |
![]() | |
![]() | |
추가 정보 | |
UN/LOCODE | KRPUS |
웹사이트 | www.busanpa.com |
2. 역사
부산항은 강화도 조약에 의해 1876년 부산포라는 이름으로 개항하였다. 옛날에는 왜관이 설치되어, 대마번과 조선의 무역항이었다. 1877년의 조일수호조규로 조선이 개항했을 때 개항장이 되어, 항만 도시 부산의 발전을 뒷받침했다. 1906년 처음으로 부두축조공사를 시작하였고 1945년까지 1, 2, 3, 4 부두와 중앙부두를 만들었다. 1974년부터 1982년 사이에 부산항 1, 2 단계 개발사업을 시작해서 자성대 컨테이너 부두 등 4개 전용 부두와 국제 여객 부두 등을 만들었고, 1985년부터 1991년 사이에 부산항 3 단계 개발사업으로 신선대 컨테이너 부두를 만들었다. 부산항만공사는 1992년부터 1998년까지 4 단계 개발사업으로 감만 컨테이너 터미널을 만들었다.
1950년 한국 전쟁 기간 동안 부산항은 전쟁 물자와 유엔의 구호품을 받는 주요 항구였다.[3] 당시 부산항은 섬유 및 가공식품과 같은 전쟁 물자와 원조를 받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대한민국의 경제 안정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3]
늘어나는 컨테이너 화물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1997년부터는 부산신항을 만들기 시작해서 2012년 기준으로 북컨테이너 부두를 운영하고 있으며, 남컨테이너 부두와 서컨테이너 부두 등을 추가로 만들고 있다. 관용적으로는 부산 원도심 인근에 위치한 북항과 남항, 자성대 부두만을 부산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970년대에는 신발과 베니어 산업의 성장으로 인해 공장 노동자들이 부산으로 이주하여 부산 인구가 180만 명에서 300만 명으로 증가했다. 부산항은 계속 성장하여 2003년 세계 4위의 컨테이너 항만이 되었다.[4] 1970년 한국의 세계 무역 비중은 0.7%였지만 2003년에는 2.5%로 증가했다. 부산 제조업 일자리의 50%가 수출과 관련되어 있으며, 한국 수출의 83%가 컨테이너화되어 부산은 한국 최대의 컨테이너 및 일반화물 항만이 되었다.[4] 부산항과 비교하여 인천항은 컨테이너의 7%만 취급한다. 일본, 싱가포르, 홍콩과의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점이 부산항의 엄청난 성장에 기여했다.
현재 부산항은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바쁜 컨테이너 항만이자 동북아시아에서 열 번째로 바쁜 항만이다.[5] BPA에서 개발, 관리 및 운영하고 있다. 오늘날 부산항은 북항, 남항, 감천항, 다대포항의 네 개 항구와 국제여객터미널, 감만컨테이너터미널로 구성되어 있다. 북항은 여객 처리 시설과 화물을 제공하며, 감천항의 도움으로 더 많은 화물량을 처리할 수 있다. 남항에는 한국 최대의 어업 기지인 부산공동어시장이 있으며, 총 해양 물동량의 30%를 처리한다. 부산항 서쪽에 위치한 다대포항은 주로 연안 어획량을 처리한다.
2007년 부산항은 비료, 고기, 고철, 석유 및 기타 가스, 원유, 석탄, 가죽, 지방 및 오일, 철광석, 원목, 천연 모래, 제분업 제품 및 설탕을 포함한 화물을 취급했다. 2016년 한국은 총 5,150억 달러를 수출하고 3,980억 달러를 수입했다. 한국의 주요 수출품은 집적회로, 자동차, 정제 석유, 여객 및 화물선, 자동차 부품이다. 한국은 중국, 미국, 베트남, 홍콩, 일본으로 가장 많은 수출을 한다. 한국의 수입은 주로 중국, 일본, 미국, 독일 및 기타 아시아 국가에서 온다.[6] 2017년 부산은 2천만 TEU(20피트 컨테이너 환산 단위, 컨테이너 선박의 용량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 이상을 처리했다.[7]
이 항구는 중국 해안에서 인도 남단을 거쳐 몸바사까지, 거기서 수에즈 운하를 통해 지중해로, 그리고 트리에스테의 상부 아드리아 해 지역으로 이어지는 해상 실크로드의 일부이다. 트리에스테는 중앙 및 동유럽과의 철도 연결을 가지고 있다.[8][9][10][11]
현재의 물동량과 도시 인구를 바탕으로 사우샘프턴 항만 도시 분류 시스템을 사용하여 부산을 대형 항만 도시로 분류한다.[12]
1990년대 이후로는 컨테이너 항만으로 크게 성장하여 대한민국 최대의 항만이 된 것은 물론, 가오슝항·상하이항 등과 경쟁하는 동아시아 최대급의 허브 항만이 되었다. 부산항의 컨테이너 터미널은 세계 각지에서 온 컨테이너를 한국 국내로 수송하거나, 일본이나 중화인민공화국의 지방 항구를 향한 노선으로 환적하는 거점이 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항만 시설에서는 증가하는 컨테이너 화물에 대응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에, 1997년부터 부산광역시 서부의 강서구에서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걸치는 지역에서 부산신항의 정비가 진행되어, 2006년부터 순차적으로 사용을 개시하여 기능을 분산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개항 ~ 일제강점기)
부산항은 1876년 조일수호조규를 통해 개항된 이후 한국, 중국, 일본 간의 무역 중심지로 발전하였다.[3] 낙동강 하구에 위치하며 일본 쓰시마섬을 마주보고 있다. 초기에는 소규모 항구였으나, 대마번과 조선 간의 무역항 역할을 수행하며 성장했다.일제강점기에는 대륙 침략을 위한 병참 기지 역할을 하면서 항만 시설이 확장되었다. 1906년 최초의 부두 축조 공사가 시작되었고, 1945년까지 1, 2, 3, 4 부두와 중앙부두가 건설되었다.
2. 2. 한국전쟁과 전후 복구
1950년 한국 전쟁 기간 동안 부산항은 전쟁 물자와 유엔의 구호품을 받는 주요 항구였다.[3] 당시 부산항은 섬유 및 가공식품과 같은 전쟁 물자와 원조를 받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대한민국의 경제 안정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3]전쟁이 끝난후 부산항은 계속 성장하여 2003년 세계 4위의 컨테이너 항만이 되었다.[4] 1970년 한국의 세계 무역 비중은 0.7%였지만 2003년에는 2.5%로 증가했다. 부산 제조업 일자리의 50%가 수출과 관련되어 있으며, 한국 수출의 83%가 컨테이너화되어 부산은 한국 최대의 컨테이너 및 일반화물 항만이 되었다.[4]
2. 3. 급속한 성장과 현대화 (1970년대 ~ 현재)
1970년대 신발과 베니어 산업의 성장으로 공장 노동자들이 부산으로 이주하면서 부산 인구가 180만 명에서 300만 명으로 증가했다.[4] 1970년 한국의 세계 무역 비중은 0.7%였지만 2003년에는 2.5%로 증가했으며, 부산 제조업 일자리의 50%가 수출과 관련되어 부산항은 한국 최대의 컨테이너 및 일반화물 항만이 되었다.[4]부산항은 계속 성장하여 2003년 세계 4위의 컨테이너 항만이 되었으며[4], 현재는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바쁜 컨테이너 항만이자 동북아시아에서 열 번째로 바쁜 항만이다.[5] 2017년에는 2천만 TEU(20피트 컨테이너 환산 단위) 이상을 처리했다.[7]
1990년대 이후 부산항은 컨테이너 항만으로 크게 성장하여 대한민국 최대의 항만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가오슝항·상하이항 등과 경쟁하는 동아시아 최대급의 허브 항만이 되었다. 부산항의 컨테이너 터미널은 세계 각지에서 온 컨테이너를 한국 국내로 수송하거나, 일본이나 중화인민공화국의 지방 항구를 향한 노선으로 환적하는 거점이 되고 있다.
한편, 기존 항만 시설로는 증가하는 컨테이너 화물에 대응하기 어려워, 1997년부터 부산광역시 서부의 강서구에서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걸치는 지역에서 부산신항 건설이 시작되어 2006년부터 순차적으로 운영을 개시하며 기능을 분산하고 있다.
2. 4. 북항 재개발
1994년부터 계획이 시작되어 2007년에 착공한 북항 재개발 사업은 노후화된 항만 시설을 현대화하고, 시민들을 위한 친수 공간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5년 8월 31일에는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이 개장하였다. 2017년 현재 인공섬이 이미 완공되었으며, 2020년대 완공을 목표로 사업이 진행 중이다.3. 시설
3. 1. 주요 항구
3. 2. 접안 시설
200척 이상의 선박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으며, 총 30,709.4m의 안벽과 9,604km의 물양장을 갖추고 있다.3. 3. 보관 시설
9만 톤의 화물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으며, 116만 톤의 야적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3. 4. 여객 시설
부산항여객터미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에 위치하며, 부산 연안 및 해외 도시를 연결한다.- '''부산항''' - 후쿠오카항
- * 퀸비틀호, 뉴카멜리아호
- '''부산항''' - 시모노세키항
- * 하마유호, 성희(ソンヒ)호
- '''부산항''' - 오사카항
- * 팬스타드림호
- '''부산항''' - 쓰시마섬 (이와라항, 히다카쓰항)
- * 씨플라워2호, 드림플라워호(현재 운항 중단), 오션플라워호[17]
- '''부산항''' - 제주항
- * 코치아일랜드호, 동양익스프레스페리호, 트레저아일랜드호
3. 4. 1. 국제여객터미널
후쿠오카, 시모노세키, 오사카, 쓰시마 등을 연결하는 국제 여객선이 운항한다.- '''부산항''' - 후쿠오카항
- * 퀸비틀호, 뉴카멜리아호
- '''부산항''' - 시모노세키항
- * 하마유호, 성희(ソンヒ)호
- '''부산항''' - 오사카항
- * 팬스타드림호
- '''부산항''' - 쓰시마섬(이와라항, 히다카쓰항)
- * 씨플라워2호, 드림플라워호(현재 운항 중단), 오션플라워호[17]
3. 4. 2. 연안여객터미널
부산과 제주를 잇는 연안 여객선이 운항한다.4. 운항 노선
부산항은 일본 각지로 취항하는 정기 항로가 운항하고 있으며, 이들 항로는 「국제여객터미널」에서 취급한다. 과거에는 부산항 - 히로시마항 간 「은하」호가 운항되었으나 현재는 운휴 중이다.
부산항은 일본 쿠마모토항을 비롯하여 세계 각지의 항구와 연결되는 정기 컨테이너선 항로를 운영하고 있다. 고려해운에서 운항하는 SUNNY SPRUCE호가 주 2회 운항하며, 삼각해운에서 대리점을 맡고 있다.
4. 1. 국제 정기 컨테이너선 항로
부산항은 일본 쿠마모토항을 비롯하여 세계 각지의 항구와 연결되는 정기 컨테이너선 항로를 운영하고 있다. 고려해운에서 운항하는 SUNNY SPRUCE호가 주 2회 운항하며, 삼각해운에서 대리점을 맡고 있다.5. 경쟁 관계
부산항은 동아시아의 주요 항만들과 경쟁 관계에 있으며, 특히 다음과 같은 항만들이 주요 경쟁 상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 양산심수항, 홍콩항
- 일본: 고베항 - 과거 일본의 주요 항만이었으나,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부산항에 그 지위를 상당 부분 내주었다.
- 싱가포르: 싱가포르항
- 중화민국: 가오슝항
5. 1. 주요 경쟁 항만
부산항의 주요 경쟁 항만은 다음과 같다.6. 한일 관계
한일 무역 분쟁이 발생한 2019년, 부산항만공사 통계에 따르면 부산항을 이용한 사람은 93만 7139명으로, 2018년 143만 2455명에 비해 감소했다.
6. 1. 한일 무역 분쟁의 영향
한일 무역 분쟁이 발생한 2019년, 부산항만공사 통계에 따르면 부산항을 이용한 사람은 93만 7139명으로, 2018년 143만 2455명에 비해 감소했다.7. 자매 항구
부산항은 전 세계 6개 항구와 자매결연을 맺고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부산항은 1978년 영국 사우샘프턴항을 시작으로,[18][14] 1981년 미국 시애틀항,[14] 1985년 일본 오사카항과 네덜란드 로테르담항,[19][14] 1988년 미국 뉴욕 뉴저지항,[14] 1994년 중국 상하이항[14]과 자매결연을 맺었다.[14] 이란 반다르압바스와도 자매결연을 맺었다.[14]
7. 1. 자매 항구 목록
부산항은 1978년 영국 사우샘프턴항을 시작으로,[18][14] 1981년 미국 시애틀항,[14] 1985년 일본 오사카항과 네덜란드 로테르담항,[19][14] 1988년 미국 뉴욕 뉴저지항,[14] 1994년 중국 상하이항[14], 이란 반다르압바스와 자매결연을 맺었다.[14]8. 통계
8. 1. 컨테이너 처리량
부산항의 컨테이너 처리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1년에는 2270만 TEU를 기록하였다. 2010년 1419만 TEU에서 2014년 1868만 TEU로 증가하였고, 2018년에는 2166만 TEU를 넘어섰다.```wikitable
연도 | 컨테이너 처리량 (TEU) |
---|---|
2010 | 14,194,240 |
2011 | 16,184,599 |
2012 | 17,046,177 |
2013 | 17,686,099 |
2014 | 18,683,283 |
2015 | 19,468,725 |
2016 | 19,456,291 |
2017 | 20,493,475 |
2018 | 21,662,572 |
2019 | 21,992,000 |
2020 | 21,823,995 |
2021 | 22,706,130 |
9. 사건/사고
2021년, 대형 화물선이 부산항에 주차하는 과정에서 여러 대의 크레인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13] 다행히 사상자는 발생하지 않았다.[13]
참조
[1]
웹사이트
UNLOCODE (KR) - KOREA, REPUBLIC OF
https://service.unec[...]
2020-04-28
[2]
논문
Economic Impacts of Container Freight Activities in Busan Port on the Regional Economy of Busan, South Korea
2015-12-01
[3]
논문
"Dynamic Busan": Envisioning a global hub city in Korea
2015-08-01
[4]
논문
The Emergence of a Mega-Port - from the Global to the Local, the Case of Busan
2005-09-01
[5]
웹사이트
Port of Busan
https://www.ship-tec[...]
2018-12-10
[6]
웹사이트
OEC - South Korea (KOR) Exports, Imports, and Trade Partners
https://atlas.media.[...]
2018-12-10
[7]
웹사이트
Decades of Growth at Port of Busan
https://earthobserva[...]
2018-09-05
[8]
서적
Die Renaissance der Seidenstraße
2018
[9]
웹사이트
Can the New Silk Road Compete with the Maritime Silk Road?
https://www.maritime[...]
[10]
웹사이트
China’s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https://rusi.org/sit[...]
[11]
웹사이트
China’s Maritime Silk Road and the Middle East: Tacking Against the Wind
https://www.mei.edu/[...]
[12]
논문
The Southampton system: A new universal standard approach for port-city classification
[13]
Youtube
Big Ship Crashes into new Gantry cranes. DISASTER!
https://m.youtube.co[...]
[14]
웹사이트
Port of Busan, Sister Ports, Busan
http://www.busanport[...]
[15]
웹사이트
Port & Harbor Bureau, City of Osaka
http://www.city.osak[...]
2006-09-15
[16]
웹사이트
物流も韓流 釜山港に集う貨物 WEDGE11月号特集 WEDGE Infinity(ウェッジ)
https://wedge.ismedi[...]
2011-10-24
[17]
기타
[18]
웹사이트
Port of Busan, Sister Ports, Busan
http://www.busanport[...]
[19]
웹사이트
보관된 사본
http://www.city.osak[...]
2006-09-15
[20]
논문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9-29
[21]
웹사이트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편〕
https://policy.nl.go[...]
[22]
웹사이트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www.data.go.[...]
[23]
웹사이트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보배터널 관리사무소
http://www.yooshin.c[...]
[24]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지사-웅동 연결도로
http://its.busan.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