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랑송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랑송 전투는 1476년 3월 2일, 부르고뉴 공작 용담공 샤를이 이끄는 부르고뉴 군과 스위스 연방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샤를은 그랑송을 점령한 후 항복한 스위스 수비대를 처형하는 만행을 저질렀고, 이에 분노한 스위스 연방군은 2만 명 이상의 병력을 동원하여 그랑송으로 진격했다. 숲을 이용한 기습으로 스위스군은 부르고뉴 군에게 대승을 거두었고, 부르고뉴 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고 궤멸되었다. 이 전투에서 스위스군은 적은 피해로 당시 유럽 최강의 군대 중 하나를 격파하고 막대한 전리품을 획득했으며, 샤를의 무모한 행동은 스위스 연방을 결속시키고 부르고뉴 공국의 쇠퇴를 가속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76년 분쟁 - 모라 전투
모라 전투는 1476년 샤를 1세가 스위스 연방과 싸워 패배한 전투로, 부르고뉴 공국의 쇠퇴를 가속화하고 스위스 연방의 위상을 강화했다.
| 그랑송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 전투 개요 | |
| 분쟁 | 부르고뉴 전쟁 |
![]() | |
| 날짜 | 1476년 3월 2일 |
| 장소 | 뇌샤텔주 그랑송 근처 |
| 결과 | 스위스 승리 |
| 교전 세력 | |
| 교전국 1 | 부르고뉴 공국 |
| 교전국 2 | 구스위스 연방 |
| 지휘관 및 지도자 | |
| 부르고뉴 공국 | 용담공 샤를 |
| 병력 규모 | |
| 부르고뉴 공국 | 약 20,000명 |
| 스위스 연방 | 약 18,000명 |
| 사상자 규모 | |
| 부르고뉴 공국 | 최소 |
| 스위스 연방 | 최소 |
2. 배경
15세기 후반, 부르고뉴 공국은 프랑스와 신성 로마 제국 사이에서 강력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용담공 샤를은 영토 확장을 통해 독립적인 왕국을 건설하려는 야망을 품고 있었다. 1475년, 샤를은 자신의 동맹인 사부아의 자크의 영지였던 그랑송을 구 스위스 연방으로부터 탈환하기 위해 군사 작전을 개시했다. 구 스위스 연방은 베른을 중심으로 뭉쳐 샤를의 침략에 맞서 싸울 준비를 했다.
2. 1. 부르고뉴 공국의 팽창 정책
1475년, 스위스 보에 위치한 그랑송은 용담공 샤를의 동맹인 사부아의 자크의 소유였으나, 구 스위스 연방에 의해 점령당했다. 당시 구 스위스 연방은 베른 주가 이끌었다.[1] 1476년 1월, 보 지역 반환 협상이 실패하자, 샤를은 약 12,000명으로 구성된 주력 부대를 이끌고 로렌을 출발하여 쥐라 산맥을 넘어 보 지역으로 진격했다.[1] 그의 군대는 이베르동을 점령한 후, 2월 21일 그랑송을 점령하고 그랑송 성을 포위했으며, 성은 2월 28일에 항복했다.[1]3. 1476년 2월 그랑송 공성전
1476년 2월 말, '무모한 샤를'이라고도 불리는 용담공 샤를은 뇌샤텔 호수 인근의 그랑송 성을 포위했다. 그랑송은 샤를의 동맹이었던 자크 드 사부아의 소유였으나, 이전 해에 스위스 연방에게 점령당한 곳이었다. 샤를은 대규모 용병 부대와 함께 많은 대포를 가져왔고, 이 포격의 위력에 스위스 측 수비대는 함락될 위기에 처했다.[1]
베른의 강력한 영향 아래 있던 스위스는 수비대를 구원하기 위해 군대를 편성했다. 원군의 접근을 알리려고 배가 그랑송으로 향했지만, 부르고뉴 군대의 포격이 두려워 성채에 가까이 갈 수 없었다. 배에 탄 사람들은 원군이 가까이 왔다는 것을 몸짓으로 성 안의 사람들에게 알리려 했으나, 수비대는 이를 오해하고 항복을 결정했다.[1]
3. 1. 그랑송 수비대의 처형
스위스 측 자료에 따르면 샤를이 목숨을 보장한다는 조건으로 수비대는 항복에 합의했다. 샤를과 동행했던 역사가 파니가롤라는 수비대가 샤를의 자비에 몸을 맡겼고, 그 처우의 결정권은 샤를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샤를은 수비대 412명 전원을 처형하라고 명령했다. 파니가롤라는 이 사건을 "충격적이고 끔찍한 사건"이라고 기록하고, 스위스 국내는 공포로 가득 찰 것이라고 말했다.[1] 1476년 2월 28일, 희생자들은 모두 샤를의 천막 옆으로 끌려가 나무에 매달리거나 호수에 수장되었다. 처형에는 4시간이 걸렸다.[2]
이후 스위스 병사들은 동료들이 아직 나무에 매달려 있는 곳에 도착했다. 페터만 에텔린은 이를 목격하고 "폭군의 손에 의해 교수형에 처해진 고결한 사람들이 무참히 성의 정면 나무에 매달린 지 얼마 안 된 모습 그대로 있었다. (중략) 큰 가지 하나에 10명에서 20명의 남자가 매달려 있었다. 나무들은 아래로 굽어 매달린 사람들로 가득했다. 아버지와 아들, 혹은 두 형제나 친구끼리 나란히 매달려 있었다."라고 묘사했다.
샤를은 포로를 살해함으로써 스위스군의 사기를 꺾으려 했지만, 오히려 그들을 결속시켜 스스로 파멸을 초래하는 결과를 낳았다.
4. 그랑송 전투 (1476년 3월 2일)
1476년 2월 말, 용담공 샤를(돌진공이라고도 불림)은 뇌샤텔 호반의 그랑송 성을 포위했다. 그랑송은 샤를의 동맹이었던 자코모 디 사보이아의 영지였지만, 전 해에 스위스 연방에게 빼앗겼다. 샤를은 대규모 용병 부대와 함께 많은 대포를 이끌고 왔으며, 스위스 측 수비대는 포격에 위협을 느껴 항복했다. 베른주의 강한 영향 아래에 있던 스위스는 수비대를 구원하기 위해 군대를 편성했다.
thumb
스위스군은 2만 명이 넘는 병력을 집결하여 그랑송으로 진격했다. 샤를은 스위스군의 규모를 과소평가하고 잘못된 판단으로 전투에 임했다. 스위스군은 숲을 이용한 기습 공격으로 부르고뉴 군을 혼란에 빠뜨리고 대승을 거두었다.[7]
4. 1. 전투의 전개
스위스군은 수비대가 항복하여 처형되었다는 소식을 듣지 못한 채, 포위가 풀리기를 바라며 계속 병력을 모았다. 이 원군은 20,000명이 넘어 부르고뉴 군보다 약간 많았다. 1476년 3월 2일, 스위스군은 콩시스 근처에서 샤를의 부대에 접근했다. 스위스군은 세 부대로 나뉘어 진군했고, 슈비츠, 베른, 졸로투른 지역 병사로 편성된 선봉대가 부르고뉴 군과 접촉했다. 정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샤를은 스위스군의 규모와 진형을 파악하지 못하고, 선봉대만을 원군의 전부라고 오해했다.[7]선봉대는 곧 전투가 일어날 것을 알고 꿇어앉아 기도했다. 그들이 "우리들의 주여", "아베 마리아"라고 세 번 외치는 것을 부르고뉴 군의 일부가 항복 의사 표시로 오해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어쨌든 샤를은 공격 명령을 내렸고, 스위스군은 "너희에겐 자비는 없다. 너희는 모두 죽을 것이다"라고 외치며 맹렬히 돌격했다. 부르고뉴 군 기사들은 곧 스위스 선봉대를 포위했지만, 샤를은 중대한 실수를 저질렀다. 소규모 전투 후, 샤를은 재돌격 전에 포격으로 스위스군의 병력을 줄이려고 기병대에게 후퇴를 명령했다.[5]
그때 숲속에서 은밀하게 접근하던 스위스군 본대가 나타났다. 이미 후퇴를 시작한 부르고뉴 군은 더 큰 규모의 스위스군 제2부대의 출현에 혼란에 빠졌다. 정연한 후퇴는 패주로 바뀌었고, 부르고뉴 군은 예측을 뛰어넘어 도망쳤다. 샤를은 혼란에 빠진 군대 속에서 멈추라고 큰 소리로 명령하며, 도망치는 병사들을 검으로 내려쳤다. 그러나 이미 시작된 패주는 멈출 수 없었고, 샤를도 도망칠 수밖에 없었다.[6]
스위스군은 부르고뉴 군을 추격할 기병대가 없었기 때문에 양군 모두 희생자는 거의 없었다. 스위스군은 적은 피해로 유럽에서 가장 위대한 공작에게 굴욕감을 안겨주고, 최강이라고 불리며 두려움을 샀던 군대를 단 한 번의 전투로 격파하고 막대한 보물을 손에 넣었다. 샤를이 갖고 있던 전리품은 보석, 금은그릇, 태피스트리, 그리고 부르고뉴 군의 대포 대부분이었다. 스위스인은 처음엔 이것들의 가치를 전혀 알지 못했다. 이때 전리품의 일부는 오늘날 스위스 각지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현재까지 남아 있던 대포류는 스위스의 뇌샤텔 근처 라 뇌비빌의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7]
4. 2. 전투의 결과
스위스군은 적은 피해로 유럽에서 가장 강력하다고 알려진 부르고뉴 군대를 격파하고 막대한 양의 보물을 획득했다.[7] 샤를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카펫, 55캐럿짜리 상시 다이아몬드, 세 형제 보석 등 귀중품을 잃었고, 은제 욕조와 공작 문장도 스위스군에게 넘어갔다.[3] 스위스군은 처음에는 이 전리품의 가치를 제대로 알지 못했다.

오늘날 이 전리품의 일부는 스위스 여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남은 대포 몇 점은 스위스 뇌샤텔 근처 라 뇌빌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4]
5. 결과
스위스 병사들은 나무에 매달린 동포들의 시신을 발견하고 큰 충격을 받았다. 페타만 에텔린은 이 참혹한 광경을 상세히 기록했다. 샤를은 포로를 잔혹하게 처형함으로써 스위스군의 사기를 꺾으려 했으나, 이는 오히려 스위스군을 더욱 단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잔혹 행위는 스위스인들의 분노를 일으켜 복수심을 불태우게 했다.[5]
결국 샤를의 부르고뉴 군대는 1476년 6월 무르텐 전투에서 스위스군에게 대패했다.[1] 이 전투는 스위스 연방이 독립과 자치권을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고, 용담공 샤를은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5. 1. 스위스 연방에 미친 영향
이 전투 후, 스위스 병사들은 나무에 매달린 동포들의 시신을 발견했다. 페타만 에텔린은 이 참혹한 광경을 기록으로 남겼다. 샤를은 포로를 죽여 스위스군의 사기를 꺾으려 했으나, 오히려 스위스군을 결속시켜 자신의 파멸을 초래했다.[5]스위스는 포위된 수비대의 운명을 알지 못한 채 병력을 모았다. 2만 명이 넘는 스위스군은 콩시스 근처에서 샤를의 부대에 접근했다. 스위스군은 세 갈래로 진군했고, 선봉대가 부르고뉴 군과 접촉했다. 정찰 부족으로 샤를은 스위스군의 규모를 오판했다. 슈비츠, 베른, 졸로투른 출신 병력으로 구성된 선봉대는 전투를 앞두고 기도했다. 부르고뉴 군은 이 모습을 항복 의사로 오해하고 공격을 개시했다.[5]
샤를은 포격으로 스위스군을 약화시키려 기병대에 후퇴를 명령했다. 이때, 숲 속에 숨어 있던 스위스군 본대가 나타났다. 이미 후퇴 중이던 부르고뉴 군은 더 큰 규모의 스위스군에 혼란에 빠졌다. 정연한 후퇴는 패주로 변했고, 샤를은 도주하는 병사를 막을 수 없었다. 스위스군은 기병 부대가 없어 추격하지 못했지만, 적은 손실로 큰 승리를 거두고 막대한 전리품을 얻었다. 스위스인들은 처음에는 전리품의 가치를 알지 못했지만, 현재 스위스 각지와 라 누브빌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6]
5. 2. 부르고뉴 공국에 미친 영향
이 전투 후, 스위스 병사들은 동포들의 시신이 나무에 매달려 있는 것을 발견했다. 페터만 에텔린(Peterman Etterlin)은 이 광경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폭군의 손에 의해 교수형에 처해진 고결한 사람들이 무참하게도 성의 정면에 있는 나무들에 매달린 지 얼마 안 된 모습인 채로 있었다. 이것은 비참하고 슬픈 광경이었다. 1개의 나뭇가지에 10명에서 20명의 남자가 매달려 있었다. 나무들은 아래로 구부러진 채 매달린 인간을 한가득 안고 있었다. 아버지와 아들, 혹은 형제 및 친구들이 서로 곁하여 매달렸다. 거기 그들을 아는 고결한 사람들, 즉 그들의 친구, 사촌, 형제들이 와서 비참하게 달려 있는 그들을 발견하였다. 울음소리와 비탄 속에서 최초의 분노와 고통이 있었다……."[1]샤를은 포로를 죽여 스위스군의 사기를 꺾으려 했으나, 오히려 그들을 결속시켜 자신의 파멸을 초래했다. 1476년 6월 부르고뉴군은 무르텐 전투에서 스위스군에게 완패했다.[1]
6. 관련 작품
Epées et Hallebardes 1315-1476프랑스어 (History&Colectors사 - Vae Victis지#81, 2008년, 크로노노츠 게임)은 모르가르텐 전투, 셈파흐 전투, 그랑송 전투를 다룬다.[1]
참조
[1]
HDS
[2]
서적
Charles the Bold, last Duke of Burgundy, 1433–1477
http://archive.org/d[...]
1908
[3]
서적
The Sancy Blood Diamond: Power, Greed, and the Cursed History of One of the World's Most Coveted Gems
http://worldcat.org/[...]
John Wiley & Sons
2004
[4]
간행물
Die Burgunderbeute
[5]
문서
ダグラス・ミラー、p.23-24
[6]
간행물
Die Burgunderbeute
[7]
간행물
Die Burgunderbeu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