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고리오 알바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레고리오 알바레스는 1925년 우루과이에서 태어나 군 경력을 거쳐 1973년 쿠데타 이후 국가안보위원회 상임 비서가 되었다. 1978년 육군 사령관이 되었으며, 1981년 과도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독재 정치를 펼쳤다. 1985년 사임 후 인권 침해 혐의로 기소되어 2009년 37건의 살인 및 인권 침해 혐의로 25년형을 선고받았고, 2016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루과이의 대통령 - 호세 무히카
호세 무히카는 좌파 게릴라 활동과 투옥 생활을 거쳐 우루과이 대통령을 역임하며 검소한 삶과 진보적 정책으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정치인이다. - 우루과이의 대통령 - 타바레 바스케스
우루과이의 의사 출신 정치인 타바레 바스케스는 광범위 전선 소속으로 좌파 정부를 이끌며 두 차례 우루과이 대통령을 역임하면서 빈곤율 감소와 경제 성장을 이룩했지만, 후반기에는 지지율 하락을 겪었고 폐암으로 사망했다. - 1925년 출생 - 조르조 나폴리타노
조르조 나폴리타노는 이탈리아 공산당 출신의 정치인으로, 이탈리아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이탈리아 최초의 공산당 출신 대통령이자 재선된 대통령으로 기록되었다. - 1925년 출생 - 미시마 유키오
미시마 유키오는 1925년 도쿄에서 태어나 소설, 희곡,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본의 전통과 현대 사이의 갈등을 작품에 담아낸 20세기 일본 문학의 중요한 인물이며, 1970년 자위대에서 쿠데타를 시도하다 실패하고 할복 자살했다. - 2016년 사망 - 신영복
신영복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사회운동가, 대학교수, 저술가로서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수감 생활 중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집필하여 반향을 일으켰고, 출소 후 관계론을 중심으로 사상을 발전시키며 독특한 서체로 민중과 소통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2016년 사망 - 낸시 레이건
낸시 레이건은 배우로 활동하다 로널드 레이건과 결혼하여 캘리포니아 주지사 부인과 영부인으로 활동하며 백악관 개조, 패션, 마약 퇴치 캠페인을 주도했고 남편의 정치 활동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2016년에 사망했다.
그레고리오 알바레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우루과이의 대통령 (군사 정부에 의해 임명됨) |
임기 시작 | 1981년 9월 1일 |
임기 종료 | 1985년 2월 12일 |
이전 | 아파리시오 멘데스 |
다음 | 라파엘 아디에고 |
임기 시작 | 1978년 2월 1일 |
임기 종료 | 1979년 2월 1일 |
이전 | 훌리오 세사르 바도라 |
다음 | 루이스 비센테 케이롤로 |
정당 | 무소속 |
출생일 | 1925년 11월 26일 |
출생지 | 라바예하 주, 우루과이 |
사망일 | 2016년 12월 28일 |
사망지 |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
배우자 | 마리아 델 로사리오 플로레스 |
직업 | 군인 |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알바레스는 1925년 미나스 주에서 태어났으며, 1927년 미나스 주는 라바예하 주로 개명되었다.[1] 그는 1940년 우루과이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46년부터 1959년까지 기병 연대 장교로 복무했다.[1] 1962년에는 몬테비데오에서 공화국 경비대장이 되었다. 1971년 장군으로 진급한 후 투파마로스 (도시 게릴라)에 대한 대게릴라 작전을 수행하는 통합군 사령부[3]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80년 국민투표에서 우루과이가 민주주의로 복귀를 결정하자, 국가안보위원회는 1981년 9월 1일 알바레스를 과도 대통령으로 임명했다.[3] 그는 노동조합을 탄압하여 더 많은 국민과 군대의 지지를 잃었다. 1982년 내부 정당 선거를 거쳐 1984년 11월에 입법 및 대통령 선거를 치르기로 동의한 후, 콜로라도당의 훌리오 마리아 상기네티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자 알바레스는 1985년 2월 12일에 사임했다. 최고 법원의 라파엘 아디에고 대통령은 상기네티가 3월 1일에 취임할 때까지 임시 대통령직을 맡았다.
1973년 우루과이 쿠데타로 군부가 권력을 장악했을 때, 알바레스는 새로운 국가 안보 위원회(Consejo de Seguridad Nacional)의 상임 비서가 되었다.[3] 1978년에는 육군 사령관이 되었다.[2]
3. 대통령 취임과 독재 통치
1984년 선거를 앞두고 국가안보위원회의 온건파 구성원들의 지지를 잃은 알바레스의 행보는 위원회, 군, 그리고 헌법 정당 지도자들 간의 관계에 대한 조사를 불러일으킨다. 어떤 이들은 알바레스가 1981년에 대통령직을 맡은 것이 그의 권력의 정점이었고, 그것이 그의 사임까지 이어졌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알바레스가 1973년 국가안보위원회 상임 서기직을 맡은 것이 그가 상당한 행정 권한을 얻은 실제 시점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어느 관점에서 보든, 알바레스 장군의 공적 역할이 1973-1985년 정부에 상당한 시민 참여가 있었던 배경과 대조되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으며, 알바레스는 대통령 임기 중에도 어느 정도 소외되었다.
1973년부터 1985년까지 지속된 민간-군사 행정부에서 우루과이 대통령이 된 5명 중 알바레스는 실제로 군 직함을 가진 유일한 사람이었다. 이 5명은 후안 마리아 보르다베리, 알베르토 데미첼리, 아파리시오 멘데스, 알바레스, 라파엘 아디에고였다.
3. 1. 인권 탄압과 콘도르 작전
1986년 사면 조치에도 불구하고, 2004년 11월 타바레 바스케스의 광역 전선 대통령 당선 이후, 알바레스의 인권 침해, 1973년 보르다베리의 쿠데타 가담, 그리고 그 이후의 사건들에 대한 기소가 다시 제기되었다.[6]
2006년 7월, 몬테비데오에 있는 알바레스의 거주지는 1973-1985년 민군정부의 반대파 실종에 항의하는 시위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러한 시위 옹호자들은 알바레스가 1973-1985년 독재의 가장 혐오스러운 측면을 상징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2007년 12월 알바레스는 그가 주요 역할을 한 독재 기간 동안의 인권 침해 혐의로 기소되었다.[4] 2009년 10월 22일, 그는 37건의 살인 및 인권 침해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25년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그는 병환으로 인해 판결을 듣기 위해 법정에 출두하지 못했다.[5] 알바레스는 2016년 12월 28일 91세의 나이로 감옥에서 사망했다.[1][6]
3. 2. 민주화 이행과 퇴임
1980년 국민투표에서 우루과이가 민주주의로 복귀를 결정한 후, 국가안보위원회는 1981년 9월 1일 알바레스를 과도 대통령으로 임명했다.[3] 그는 노동조합에 대한 탄압을 지속하면서 더 많은 국민의 지지와 군대의 대다수 지지를 잃었다. 그는 1982년 내부 정당 선거를 거쳐 1984년 11월에 입법 및 대통령 선거를 치르기로 동의했다. 콜로라도당의 훌리오 마리아 상기네티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자 알바레스는 사임했다 (1985년 2월 12일). 최고 법원의 라파엘 아디에고 대통령은 상기네티가 3월 1일에 취임할 때까지 임시 대통령직을 맡았다. 알바레스는 1984년 호르헤 상기네티의 후보를 좋게 보지 않았지만, 그의 말년에는 상기네티로부터 약간 뜻밖의 옹호를 받았다. 그는 1973-1985년 독재와 관련된 사면이 알바레스와 같이 그 기간 동안 두드러졌던 더 노골적인 군부와 불쾌한 인물들조차 기소하기 위해 철회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1984년 선거를 앞두고 국가안보위원회의 (비교적) 온건파 구성원들의 지지를 잃고, 이어서 사임한 알바레스의 행보는 위원회, 군, 그리고 헌법 정당 지도자들 간의 관계에 대한 조사를 불러일으킨다. 어떤 이들은 알바레스가 1981년에 대통령직을 맡은 것이 그의 권력의 정점이었고, 그것이 그의 사임까지 이어졌다고 주장할 것이다. 다른 이들은 알바레스가 1973년 국가안보위원회 상임 서기직을 맡은 것이 그가 상당한 행정 권한을 얻은 실제 시점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어느 관점에서 보든, 알바레스 장군의 공적 역할이 1973-1985년 정부에 상당한 시민 참여가 있었던 배경과 대조되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또한 알바레스는 대통령 임기 중에도 어느 정도 소외되었다는 점도 사실이다. (예를 들어, 가브리엘 테라 대통령 재임 기간과 같이) 법령에 의한 시민 통치의 전통이 있었던 우루과이와 같은 국가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때로는 일치할 수 있지만, 법령에 의한 통치를 군사 통치와 동일시하는 것은 정확하지 않다고 주장할 수 있다.
4. 퇴임 이후와 체포
1986년 사면 조치에도 불구하고, 2004년 11월 타바레 바스케스의 광역 전선 대통령 당선 이후, 알바레스의 인권 침해, 1973년 보르다베리의 쿠데타 가담, 그리고 그 이후의 사건들에 대한 기소가 다시 제기되었다.[6]
2006년 7월, 몬테비데오에 있는 알바레스의 거주지는 1973-1985년 민군정부의 반대파 실종에 항의하는 시위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러한 시위의 옹호자들은 알바레스가 1973-1985년 독재의 가장 혐오스러운 측면을 상징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반면에, 알바레스가 그 기간 동안 다섯 번의 대통령직을 수행한 유일한 현역 군인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시위는 정당하든 그렇지 않든, 콜로라도당과 블랑코당 정치인들의 그 정부에 대한 상당한 시민적 지지를 모호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정확히 주장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정당의 관점에서 볼 때, 그러한 시위는 그 정권 동안 그 정당의 저명한 인물들이 행사한 역할에 대한 초점을 돌리는 역할을 한다.
2007년 12월 알바레스는 그가 주요 역할을 한 독재 기간 동안의 인권 침해 혐의로 기소되었다.[4] 2009년 10월 22일, 그는 37건의 살인 및 인권 침해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25년형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그는 병환으로 인해 판결을 듣기 위해 법정에 출두하지 못했다.[5] 알바레스는 2016년 12월 28일 91세의 나이로 감옥에서 사망했다.[1][6]
참조
[1]
웹사이트
Fallece el general Gregorio Álvarez, presidente de Uruguay en la dictadura
https://web.archive.[...]
2016-12-28
[2]
뉴스
Gen. Gregorio Alvarez, Last Uruguayan Dictator, Dies at 91
https://www.nytimes.[...]
2016-12-28
[3]
서적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s Since 1945
Taylor and Francis
2014
[4]
뉴스
Uruguayan dictator guilty of murder
http://www.aljazeera[...]
2009-10-23
[5]
뉴스
BBC News - Uruguay's ex-ruler Alvarez jailed
http://news.bbc.co.u[...]
2009-10-22
[6]
뉴스
Uruguay ex-military ruler Gregorio Alvarez dies aged 91
https://www.bbc.co.u[...]
2016-12-28
[7]
URL
http://www.yonhapne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