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의 국가는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가 1823년에 작사한 "자유의 찬가"를 기반으로 한다. 이 곡은 1828년 니콜라오스 만차로스가 작곡했으며, 1864년 그리스의 국가로 채택되었다. "자유의 찬가"는 1966년부터 키프로스의 국가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올림픽 폐회식에서 그리스를 기리기 위해 연주된다. 가사는 그리스 독립 전쟁과 오스만 제국 지배 하의 그리스인들의 고통과 자유에 대한 열망을 담고 있으며, 158절 중 처음 두 절이 국가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그리스 독립 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 - 히오스섬의 학살 히오스섬의 학살은 외젠 들라크루아가 1824년에 완성한 유화로, 1822년 오스만 군대의 히오스 섬 학살 사건을 묘사하며, 참혹한 사건을 두 개의 인간 피라미드 구성을 통해 표현한다.
그리스 독립 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 - 아테네의 폐허 아테네의 폐허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1811년에 작곡한 부수 음악으로, 아우구스트 폰 코체부의 희곡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1812년 헝가리 페슈트에서 초연된 후 서곡과 합창곡이 추가되어 다양한 형태로 편곡되기도 했다.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는 1823년 자킨토스에서 자유의 찬가를 썼고, 1년 뒤 메솔롱기에서 인쇄되었다.[3] 1824년 10월에는 런던 필헬레닉 위원회에서 런던에서 출판되었고, 이탈리아어 번역본은 거의 같은 시기에 메솔롱기 신문 ''엘리니카 크로니카''에 실렸다.[3]
1828년 코르푸 출신 오페라 작곡가 니콜라오스 만차로스가 자유의 찬가에 곡을 붙였으며, 24개 파트로 구성된 합창곡을 작곡하여 초대 그리스 국왕 오토에게 헌정했다.[3] 오토는 만차로스에게 구세주 훈장의 은십자 훈장을 수여하며 감사를 표했지만, 그의 재위 기간(1832–1862) 동안에는 오토를 찬양하는 가사가 담긴 "신이여, 국왕을 구하소서"를 기반으로 한 국가가 사용되었다.[3]
1862년 오토가 축출된 후, "자유의 찬가"는 1864년 그리스의 국가이자 왕실 국가로 채택되었다.[3] "자유의 찬가"는 또한 1966년 키프로스 각료 회의의 명령에 따라 키프로스의 국가로 채택되었다.[4]
'''자유의 찬가'''(Ύμνος εις την Ελευθερίαν|이므노스 에이스 틴 엘레프테리안el)는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가 1823년에 쓴 시로, 총 158절로 이루어져 있다.[5][6][7] 이 중 처음 2절이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국가로 사용된다.
솔로모스는 그리스 독립 전쟁에 영감을 받아 수세기 동안의 오스만 제국 지배 이후 독립을 위한 그리스인들의 투쟁을 기리는 찬가를 썼다. "자유의 찬가"는 오스만 제국 치하의 그리스인들의 고통과 자유에 대한 그들의 희망을 이야기하며,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그레고리 5세의 처형, 열강의 반응, 특히 트리폴리차 포위전과 투쟁의 기독교적 성격과 같은 전쟁의 다양한 사건들을 묘사한다.[17]
3. 1. 그리스어 가사 (원문 및 음역)
현대 철자법
원래 철자법
로마자 음역
독음
}
Του σπαθιού την τρομερή,|투 스파티우 틴 트로메리,|el
Σε γνωρίζω από την όψη,|세 그노리조 아포 틴 옵시,|el
Που με βιά μετράει τη γη.|푸 메 비아 메트라이 티 기.|el
Απ’ τα κόκκαλα βγαλμένη|압 타 코칼라 브갈메니|el
Των Ελλήνων τα ιερά,|톤 엘리논 타 이에라,|el
𝄆 Και σαν πρώτα ανδρειωμένη,|케 산 프로타 안드리오메니,|el
Χαίρε, ω χαίρε, ελευθεριά! 𝄇|하이레, 오 하이레, 엘레프테리아! 𝄇|el[35][36][37]
𝄆 και εις το ρούχο σου έσταζ’ αίμα,|카이 에이스 토 루호 수 에스타즈' 아이마,|el
πλήθος αίμα Ελληνικό. 𝄇|플리티토스 아이마 엘리니코. 𝄇|el
|
|}
3. 2. 한국어 해석
Σε γνωρίζω από την κόψη|세 그노리조 아포 틴 콥시|너를 칼날로부터 알아보노라el
Του σπαθιού την τρομερή,|투 스파시우 틴 트로메리|무시무시한 칼의.el
Σε γνωρίζω από την όψη,|세 그노리조 아포 틴 옵시|너를 모습으로부터 알아보노라el
Που με βιά μετράει τη γη.|푸 메 비아 메트라이 티 기|힘차게 대지를 재는.el
Απ’ τα κόκκαλα βγαλμένη|앞 타 코칼라 브갈메니|그리스인들의 성스러운 뼈에서 나온el
Των Ελλήνων τα ιερά,|톤 엘리논 타 이에라|거룩한.el
𝄆 Και σαν πρώτα ανδρειωμένη,|케 산 프로타 안드리오메니|𝄆 그리고 처음처럼 용감하게,el
Χαίρε, ω χαίρε, ελευθεριά! 𝄇|헤레, 오 헤레, 엘레프테리아!|𝄇 기뻐하라, 오 기뻐하라, 자유여!el
그대의 날카로운 경외의 칼날은
해방을 이루게 할 줄 안다네.
그대의 빛나는 광채는
국토를 비추어 줌을 안다네.
거룩한 폐허에서 되살아나는
그리스의 위대함이여,
𝄆 지난 날처럼 용감하여라!
만세, 오, 만세! 우리의 자유여! 𝄇
4. 현대적 활용
자유의 찬가는 그리스와 키프로스에서 국가로 공식 지정되어 여러 행사에서 연주된다.[3][4][1] 올림픽 폐회식에서는 그리스가 근대 올림픽의 발상지임을 기념하여 자유의 찬가를 연주한다. 2024년 하계 올림픽 폐회식까지 그리스 국가는 시드니, 아테네 (그리스 개최), 밴쿠버에서 세 번 불렸다. 그리스 군악대는 마르가리티스 카스텔리스 중령(1907–1979)이 편곡한 버전을 주로 연주한다.[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