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렌 머컷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렌 머컷은 호주 건축가로, 1936년 런던에서 태어나 파푸아뉴기니에서 유년 시절을 보낸 후 시드니에서 건축학을 전공했다. 그는 호주에서만 활동하면서 주거 및 공공 건축 분야에서 독창적인 설계를 선보였으며,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는 '땅 위에 가볍게 올라서기'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경제적이고 기능적인 건축물을 설계했다. 머컷은 프리츠커상, AIA 금메달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에 거주한 오스트레일리아인 - 줄리언 어산지
줄리언 어산지는 1971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태어난 인터넷 활동가이자 위키리크스 설립자로, 기밀문서 공개로 논란을 일으키며 여러 국가를 거쳐 망명 및 수감 생활을 하다 2024년 석방 후 고국으로 귀국했다. - 영국에 거주한 오스트레일리아인 - 팀 케이힐
팀 케이힐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축구 선수로, 다양한 클럽과 오스트레일리아 국가대표팀에서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뛰어난 골 결정력과 투지 넘치는 플레이를 선보인 인물이다. - 프리츠커상 수상자 - 리처드 마이어
리처드 마이어는 흰색과 기하학적인 구조를 선호하는 모더니즘 건축가로, 1984년 프리츠커상을 수상했으며,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을 받아 하이 미술관, 바르셀로나 현대미술관, 게티 센터 등의 작품을 남겼으나, 2018년 성추문으로 은퇴했다. - 프리츠커상 수상자 - 장 누벨
프랑스 건축가 장 누벨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틀을 깬 독창적인 스타일로 아랍 세계 연구소, 루브르 아부다비 등을 설계했으며 프리츠커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고, 건축물과 주변 환경의 조화, 연극적 효과, 다양한 분야와의 협업을 추구하며 아틀리에 장 누벨을 운영하고 있다.
| 글렌 머컷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글렌 머컷 |
| 원어 이름 | Glenn Murcutt |
| 국적 | 오스트레일리아 |
| 출생일 | 1936년 7월 25일 |
| 출생지 | 영국 런던 |
| 경력 | |
| 주요 건축물 | 마리 쇼트 하우스 (1975년) 프레데릭스 하우스 (1982년) 볼-이스타웨이 하우스 (1983년) 매그니 하우스 (1984년) 마리카-알더턴 하우스 (1994년) 아서 앤 이본 보이드 교육 센터 (1999년) 오스트레일리아 이슬람 센터 (2016년) 코바 사운드 채플 (2022년) |
| 수상 | |
| 수상 내역 | RAIA 금메달 (1992년) 알바르 알토 메달 (1992년) 프리츠커 건축상 (2002년) 미국 건축가 협회 금메달 (2009년) 프레미움 임페리얼 (2021년) |
2. 생애
글렌 머컷은 1936년 7월 25일 런던에서 호주인 부모의 아들로 태어났다.[2] 유아 시절 5년 동안 파푸아뉴기니 모로베 주에서 살았으며 이때 처음으로 토착 건축과 조우하였다. 1941년 부모와 함께 시드니로 이주하고 맨리 남자 고등학교를 거쳐 1961년 시드니 기술 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하였다.[3] 경력 초기에 네빌 그루즈먼, 켄 울리, 시드니 앤처, 브라이스 모틀록 등 다양한 건축가와 일하면서 그들 건축의 유기적인 형태가 추구하는 자연과의 관계를 경험할 수 있었다. 1969년에 시드니 외곽 모스만에 자신의 설계 사무소를 차렸다.[18][19][3][4]
머컷은 비록 자국에서만 활동하지만 전세계적인 영향력을 지녔다. 주거 및 공공 분야를 넘나들며 홀로 건축 활동을 해오고 있다.[20][15] 그의 신조인 ‘땅 위에 가볍게 올라서기’는 호주 특유의 경관에 적합한 설계를 낳았다. 머컷의 작업은 매우 경제적이고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설계를 시작하기 전에 주어진 부지에서 관찰되는 바람의 방향이나 물의 움직임, 기온과 광량에 주의를 기울인다. 유리, 돌, 목재, 콘크리트, 강철, 골함석을 주로 사용한다.
프리츠커상 심사단은 그의 건축에 대해 “유명인사에 현혹된 우리 시대에 ‘스타키텍트’라는 후광은 많은 건축계 인사와 정치적 관계를 등에 업고 헤드라인을 장악한다. 정반대로, 글렌 머컷은 지구 반대편에서 홀로 일한다. 매 작업마다 최선을 다하는 그를 기다리는 의뢰인들이 있다. 머컷은 자신의 환경과 지역성에 대한 감수성을 직설적이고, 정직하며, 내실있는 작업의 경지에 올려놓는 혁신적인 건축적 기술자이다.”라고 평했다.[21][5] 2009년 머컷은 미국 건축가 협회 금메달을 수상했다.
현재 UNSW 건축 환경 대학에서 교수직을 역임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11년 사망한 아들 니콜라스 역시 건축가로 활동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글렌 머컷은 1936년 7월 25일[2] 런던에서 호주인 부모의 아들로 태어났다. 유아 시절 5년 동안 파푸아뉴기니 모로베 주에서 살았으며 이때 처음으로 토착 건축과 조우하였다. 1941년 부모와 함께 시드니로 이주하고 맨리 보이스 고등학교를 거쳐 1961년 시드니 기술 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하였다.[3] 경력 초기에 네빌 그루즈먼, 켄 울리, 시드니 앤처, 브라이스 모틀록 등 다양한 건축가와 일하면서 그들 건축의 유기적인 형태가 추구하는 자연과의 관계를 경험할 수 있었다. 1969년에 시드니 외곽 모스만에 자신의 설계 사무소를 차렸다.[3][4][18][19]젊은 건축가들을 위한 수업을 진행하는 머컷은 비록 자국에서만 활동하지만 전세계적인 영향력을 지녔다.[15][20] 주거 및 공공 분야를 넘나들며 홀로 건축 활동을 해오고 있다. 그의 신조인 ‘땅 위에 가볍게 올라서기’는 호주 특유의 경관에 적합한 설계를 낳았다. 머컷의 작업은 매우 경제적이고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설계를 시작하기 전에 주어진 부지에서 관찰되는 바람의 방향이나 물의 움직임, 기온과 광량에 주의를 기울인다. 유리, 돌, 나무, 콘크리트, 강철, 골함석 그리고 슬레이트를 주로 사용한다.
프리츠커상 심사단은 그의 건축에 대해 “유명인사에 현혹된 우리 시대에 ‘스타키텍트’라는 후광은 많은 건축계 인사와 정치적 관계를 등에 업고 헤드라인을 장악한다. 정반대로, 글렌 머컷은 지구 반대편에서 홀로 일한다. 매 작업마다 최선을 다하는 그를 기다리는 의뢰인들이 있다. 머컷은 자신의 환경과 지역성에 대한 감수성을 직설적이고, 정직하며, 내실있는 작업의 경지에 올려놓는 혁신적인 건축적 기술자이다.”라고 평했다.[5][21]
현재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건축학과에서 교수직을 역임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11년 사망한 아들 니콜라스 머컷 역시 건축가로 활동했다.
2. 2. 경력 초기
글렌 머컷은 1936년 7월 25일 런던에서 호주인 부모의 아들로 태어났다.[2] 유아 시절 5년 동안 파푸아뉴기니에서 살았으며 이때 처음으로 단순하고 자생적인 토착 건축과 조우하였다. 1941년 부모와 함께 시드니로 이주하고 맨리 보이스 고등학교를 거쳐 1961년 시드니 기술 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하였다.[3] 경력 초기에 네빌 그루즈먼, 켄 울리, 시드니 앤처, 브라이스 모틀록 등 다양한 건축가와 일하면서 그들 건축의 유기적인 형태가 추구하는 자연과의 관계를 경험할 수 있었다. 1969년에 시드니 외곽 모스먼에 자신의 설계 사무소를 차렸다.[18][19][3][4]2. 3. 독립 및 건축 철학
글렌 머컷은 1936년 7월 25일 런던에서 호주인 부모의 아들로 태어났다.[2] 유아 시절 5년 동안 파푸아뉴기니 모로베 주에서 살았으며 이때 처음으로 토착 건축과 조우하였다. 1941년 부모와 함께 시드니로 이주하고 맨리 남자 고등학교를 거쳐 1961년 시드니 기술 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하였다.[3] 경력 초기에 네빌 그루즈먼, 켄 울리, 시드니 앤처, 브라이스 모틀록 등 다양한 건축가와 일하면서 그들 건축의 유기적인 형태가 추구하는 자연과의 관계를 경험할 수 있었다. 1969년에 시드니 외곽 모스만에 자신의 설계 사무소를 차렸다.[18][19][3][4]머컷은 비록 자국에서만 활동하지만 전세계적인 영향력을 지녔다. 주거 및 공공 분야를 넘나들며 홀로 건축 활동을 해오고 있다.[20][15] 그의 신조인 ‘땅 위에 가볍게 올라서기’는 호주 특유의 경관에 적합한 설계를 낳았다. 머컷의 작업은 매우 경제적이고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설계를 시작하기 전에 주어진 부지에서 관찰되는 바람의 방향이나 물의 움직임, 기온과 광량에 주의를 기울인다. 유리, 돌, 목재, 콘크리트, 강철, 골함석을 주로 사용한다.
프리츠커상 심사단은 그의 건축에 대해 “유명인사에 현혹된 우리 시대에 ‘스타키텍트’라는 후광은 많은 건축계 인사와 정치적 관계를 등에 업고 헤드라인을 장악한다. 정반대로, 글렌 머컷은 지구 반대편에서 홀로 일한다. 매 작업마다 최선을 다하는 그를 기다리는 의뢰인들이 있다. 머컷은 자신의 환경과 지역성에 대한 감수성을 직설적이고, 정직하며, 내실있는 작업의 경지에 올려놓는 혁신적인 건축적 기술자이다.”라고 평했다.[21][5] 2009년 머컷은 미국 건축가 협회 금메달을 수상했다.
현재 UNSW 건축 환경 대학에서 교수직을 역임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11년 사망한 아들 니콜라스 역시 건축가로 활동했다.
2. 4. 후기 경력 및 교육 활동
런던에서 호주인 부모의 아들로 태어난 글렌 머컷은 유아 시절 파푸아뉴기니에서 자생적인 건축과 조우하였다.[18][19] 1961년 시드니 테크니컬 칼리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네빌 그루즈먼 등 여러 건축가와 일하며 자연과의 관계를 추구하는 유기적인 형태의 건축을 경험했다. 1969년 자신의 설계 사무소를 차린 후,[3][4] 호주 전역에서 주거 및 공공 건축물을 설계하며 활동하고 있다. 비록 자국에서만 활동하지만, 그의 작품은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젊은 건축가들을 위한 수업을 진행하며 더욱 그러하다.[15]그의 신조인 ‘땅 위에 가볍게 올라서기’는 호주 특유의 경관에 적합한 설계를 낳았으며, 매우 경제적이고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유리, 돌, 나무, 콘크리트, 강철, 골함석등의 재료를 주로 사용하며, 설계를 시작하기 전에 주어진 부지의 바람의 방향, 물의 움직임, 기온과 광량에 주의를 기울인다.
프리츠커상 심사단은 “머컷은 자신의 환경과 지역성에 대한 감수성을 직설적이고, 정직하며, 내실있는 작업의 경지에 올려놓는 혁신적인 건축적 기술자이다.”라고 평했다.[21] 2009년에는 미국 건축가 협회 금메달을 수상했다.
현재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건축학과 교수직을 역임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22년 4월 2일에는 코바 사운드 채플을 개관했다.[9] 2011년 사망한 아들 니콜라스 머컷 역시 건축가로 활동했다.
3. 주요 작품
글렌 머컷은 오스트레일리아의 건축가로, 그의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1972–74 : 로리 쇼트 하우스,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74–75 : 마리 쇼트 하우스, 캠프시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76–83 : 베로라 워터스 인, 베로라 워터스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77–78: 오켄스 하우스, 크로머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77–80 : 니콜라스 하우스, 마운트 어빈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77–80 : 캐루더스 하우스, 마운트 어빈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82 : 캠프시 방문자 정보 센터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81–83 : 볼-이스테이 하우스, 글레노리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76–88 : 지역 역사 박물관 및 관광 안내소, 캠프시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81–82 : 프레데릭스 하우스, 잼베루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82–84 : 매그니 하우스, 빙기 빙기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86–90 : 매그니 하우스,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88–91 : 돈 하우스,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88–92 : 미거 하우스, 보우럴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92 : 라힌 (프랫 패밀리 윙 추가), 키우 (빅토리아 주)
- 1989–94 : 심슨-리 하우스, 마운트 윌슨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91–94 : 마리카-알더튼 하우스, 동부 아넘랜드 (노던 준주)의 이르칼라 커뮤니티
- 1992 : 머컷 게스트 스튜디오, 캠프시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92–94 : 보왈리 방문자 정보 센터, 카카두 국립공원 (노던 준주), Troppo Architects와 공동 작업
- 1994 - 97: 디킨스/벡위스 하우스, 울라라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94–96 : 슈나크슬 하우스, 뉴포트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96–98 : 플레처-페이지 하우스, 캥거루 밸리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95–96 : 더글라스 앤 루스 머컷 하우스, 우드사이드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 1996–99 : 아서 보이드 아트 센터, 리버데일, 웨스트 캠베와라 (뉴사우스웨일스 주), 레그 라크 및 웬디 루윈과 공동 작업
- 1997–2001 : 캥갈룬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주택
- 2000–03 : 머컷/루윈 하우스 앤 스튜디오, 모스만 (뉴사우스웨일스 주) 웬디 루윈과 공동 작업
- 2001–05 : 왈시 하우스, 캥거루 밸리 (뉴사우스웨일스 주)
- 2002–03 : 레리다 에스테이트 와이너리, 호수 조지 (뉴사우스웨일스 주)
- 2006–07 : 모스 베일 교육 센터 (울런공 대학교), 모스 베일 (뉴사우스웨일스 주), 웬디 루윈과 공동 작업
- 2006–16 : 호주 이슬람 센터, 뉴포트 (빅토리아 주)
- 2019: MPavilion, 멜버른
- 2016–2022: 코바 사운드 채플, 코바 (뉴사우스웨일스 주)
3. 1. 주택
글렌 머컷은 주택 건축 분야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보였다. 1974-75년에 캠프시에 마리 쇼트 하우스를 지었다. 1981-83년에는 글레노리에 볼-이스테이 하우스를 건설했다. 1982-84년에는 빙기 빙기에 매그니 하우스를 지었으며, 1986-90년에는 시드니에 또 다른 매그니 하우스를 건축했다. 1988-91년에는 시드니에 돈 하우스를 지었다. 1989-94년에는 마운트 윌슨에 심슨-리 하우스를 건설했다.1991-94년에는 동부 아넘랜드의 이르칼라 커뮤니티에 마리카-알더튼 하우스를 지었다. 1994-96년에는 뉴포트에 슈나크슬 하우스를 건설했으며, 1996-98년에는 캥거루 밸리에 플레처-페이지 하우스를 지었다. 1995-96년에는 우드사이드에 더글라스 앤 루스 머컷 하우스를 건설했다.
3. 2. 공공건축물
글렌 머컷은 주택 건축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공 건축물 설계에도 참여했다. 1982년 뉴사우스웨일스 주 캠프시에 방문자 정보 센터를 설계했으며, 1976년부터 1988년까지 캠프시 지역 역사 박물관 및 관광 안내소를 설계했다. 1992년부터 1994년까지는 Troppo Architects와 공동으로 카카두 국립공원의 보왈리 방문자 정보 센터를 설계했다. 이 건물의 외관은 슬레이트(slats)형태로 디자인 되었다.1996년부터 1999년까지는 레그 라크 및 웬디 루윈과 공동으로 뉴사우스웨일스 주 웨스트 캠베와라의 리버데일에 위치한 아서 보이드 아트 센터를 설계했다. 2006년부터 2016년까지는 빅토리아 주 뉴포트에서 호주 이슬람 센터를 설계했으며, 2019년에는 멜버른에 MPavilion을 건설했다. 2016년에서 2022년사이에는 뉴사우스웨일스 주 코바에 코바 사운드 채플을 건설하였다.
3. 3. 종교 시설
글렌 머컷은 종교 시설 건축에도 참여했다. 2006년부터 2016년까지 뉴포트(빅토리아 주)에 위치한 호주 이슬람 센터를 설계했으며, 2016년부터 2022년까지는 코바(뉴사우스웨일스 주)에 코바 사운드 채플을 건설했다.3. 4. 기타
글렌 머컷은 오스트레일리아의 건축가로, 그의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1972–74 : 로리 쇼트 하우스,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74–75 : 마리 쇼트 하우스, 캠프시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76–83 : 베로라 워터스 인, 베로라 워터스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77–78: 오켄스 하우스, 크로머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77–80 : 니콜라스 하우스, 마운트 어빈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77–80 : 캐루더스 하우스, 마운트 어빈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82 : 캠프시 방문자 정보 센터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81–83 : 볼-이스테이 하우스, 글레노리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76–88 : 지역 역사 박물관 및 관광 안내소, 캠프시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81–82 : 프레데릭스 하우스, 잼베루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82–84 : 매그니 하우스, 빙기 빙기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86–90 : 매그니 하우스,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88–91 : 돈 하우스,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88–92 : 미거 하우스, 보우럴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92 : 라힌 (프랫 패밀리 윙 추가), 키우 (빅토리아 주)
- 1989–94 : 심슨-리 하우스, 마운트 윌슨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91–94 : 마리카-알더튼 하우스, 동부 아넘랜드 (노던 준주)의 이르칼라 커뮤니티
- 1992 : 머컷 게스트 스튜디오, 캠프시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92–94 : 보왈리 방문자 정보 센터, 카카두 국립공원 (노던 준주), Troppo Architects와 공동 작업
- 1994 - 97: 디킨스/벡위스 하우스, 울라라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94–96 : 슈나크슬 하우스, 뉴포트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96–98 : 플레처-페이지 하우스, 캥거루 밸리 (뉴사우스웨일스 주)
- 1995–96 : 더글라스 앤 루스 머컷 하우스, 우드사이드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 1996–99 : 아서 보이드 아트 센터, 리버데일, 웨스트 캠베와라 (뉴사우스웨일스 주), 레그 라크 및 웬디 루윈과 공동 작업
- 1997–2001 : 캥갈룬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주택
- 2000–03 : 머컷/루윈 하우스 앤 스튜디오, 모스만 (뉴사우스웨일스 주) 웬디 루윈과 공동 작업
- 2001–05 : 왈시 하우스, 캥거루 밸리 (뉴사우스웨일스 주)
- 2002–03 : 레리다 에스테이트 와이너리, 호수 조지 (뉴사우스웨일스 주)
- 2006–07 : 모스 베일 교육 센터 (울런공 대학교), 모스 베일 (뉴사우스웨일스 주), 웬디 루윈과 공동 작업
- 2006–16 : 호주 이슬람 센터, 뉴포트 (빅토리아 주)
- 2019: MPavilion, 멜버른
- 2016–2022: 코바 사운드 채플, 코바 (뉴사우스웨일스 주)
4. 수상 경력
글렌 머컷은 호주 왕립 건축가 협회 금메달(1992년), 알바 알토 메달(1992년), 호주 훈장 장교(1996년), 리처드 노이트라 교육상(1998년)[13], 덴마크 왕립 건축 아카데미 '그린 핀' 상(1999년), 토마스 제퍼슨 건축 메달(2001년), 프리츠커상(2002년), 케네스 F. 브라운 아시아 태평양 문화 및 건축상(2003년), AIA 금메달(2009년), 프라에미움 임페리얼(2021년) 등 다수의 상을 수상하였다.
그는 미국 건축가 협회(AIA) 명예 회원, 영국 왕립 건축가 협회(RIBA) 국제 회원, 캐나다 왕립 건축 연구소 명예 회원, 핀란드 건축가 협회 명예 회원이며, 대만, 스코틀랜드 및 싱가포르 건축 연구소의 명예 회원이기도 하다. 2008년에는 미국 예술 문학 아카데미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2010년에는 디자인 퓨처스 카운슬의 선임 연구원으로 임명되었다.[14] 호주 건축 협회의 창립 회장이었으며, 건축 재단 호주 (연례 머컷 국제 마스터 클래스)의 의장을 맡고 있다.[15]
5. 사회적 기여 및 평가
글렌 머컷은 1992년 호주 왕립 건축가 협회 금메달, 알바 알토 메달을 수상하였다.[13] 1996년에는 호주 훈장 장교로 임명되었다.[13] 1998년에는 리처드 노이트라 교육상을 수상하였다.[13] 2002년에는 프리츠커상을, 2009년에는 AIA 금메달을 수상하였다.[13][14]
그는 미국 건축가 협회(AIA) 명예 회원, 영국 왕립 건축가 협회(RIBA) 국제 회원, 캐나다 왕립 건축 연구소 명예 회원, 핀란드 건축가 협회 명예 회원이며, 대만, 스코틀랜드 및 싱가포르 건축 연구소의 명예 회원이기도 하다.[14] 2008년에는 미국 예술 문학 아카데미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4] 2010년에는 디자인 퓨처스 카운슬의 선임 연구원으로 임명되었으며,[14] 호주 건축 협회의 창립 회장이자 건축 재단 호주 (연례 머컷 국제 마스터 클래스)의 의장을 맡고 있다.[15]
참조
[1]
웹사이트
Glenn Murcutt – Profile
http://www.ozetectur[...]
2017-08-13
[2]
서적
El Croquis 163-164: Glenn Murcutt Feathers Of Metal
https://www.amazon.c[...]
El Croquis
2016-04-15
[3]
웹사이트
State Library of NSW Search – Manuscripts, Oral History, and Pictures Catalogue
Acms.sl.nsw.gov.au
2011-03-28
[4]
웹사이트
So last century – Property – Domain
smh.com.au
2006-04-13
[5]
웹사이트
Pritzker Prize Announcement
http://www.pritzkerp[...]
2009-06-28
[6]
웹사이트
Review
Sydney Morning Herald
2016-12-01
[7]
웹사이트
Glenn Murcutt on mosque without minarets, and architecture designed to transform
https://www.smh.com.[...]
2016-12-02
[8]
웹사이트
Steve Dow, Journalist
Stevedow.com.au
2011-03-28
[9]
뉴스
Sunset serenade for Cobar Sound Chapel's official opening Cobar Sound – The Cobar Weekly
https://cobarweekly.[...]
2022-05-02
[10]
웹사이트
Archibald Prize Archibald 2022 work: Glenn Murcutt by Fiona Lowry
https://www.artgalle[...]
2022-05-06
[11]
뉴스
Architect designs 'contemporary' mosque for Muslim community in Melbourne's west
http://www.abc.net.a[...]
2016-08-08
[12]
웹사이트
Soundscape in a weathered water tank rocks outback NSW
https://www.afr.com/[...]
2021-11-18
[13]
웹사이트
Cal Poly Pomona | Dept. Of Architecture
https://web.archive.[...]
2014-10-12
[14]
웹사이트
Design Futures Council Senior Fellows
https://archive.toda[...]
[15]
웹사이트
Home
2008-11-19
[16]
웹사이트
世界文化賞建築部門受賞のマーカット氏にメダル伝達 キャンベラ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21-12-14
[17]
웹인용
Glenn Murcutt - Profile
https://www.ozetectu[...]
2021-04-09
[18]
웹인용
Adlib Internet Server 5 Details
https://archival.sl.[...]
2021-04-09
[19]
웹인용
So last century
https://www.smh.com.[...]
2006-04-13
[20]
웹인용
OZ.E.TECTURE
https://www.ozetectu[...]
2021-04-09
[21]
웹인용
Pritzker Prize Announcement
http://www.pritzker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