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다큐멘터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로벌 다큐멘터리는 KBS에서 제작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주제의 고품질 다큐멘터리를 통해 시청자들에게 지식과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했다. 2012년부터 2020년까지 KBS 1TV에서 방송되었으며, 자연, 과학, 역사, 문명, 사회, 문화 등 다채로운 분야의 다큐멘터리를 선보였다. 주요 방영작으로는 프로즌 플래닛, 아프리카, 블루 플래닛 2, 우주의 기적, 생명, 인간과 우주, 더 플래닛스, 인류 우리 모두의 이야기, 시대의 아이콘, 네트워크가 지배하는 세상, 기후 변화에 관한 사실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프로그램 - 다큐극장
《다큐극장》은 2013년 KBS 1TV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으로,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인물과 사건, 시대적 배경 등을 다루었으며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재연, 인터뷰, 자료 화면 등을 활용하여 제작되었으나, 기획 초기 단계에서 박정희 정권 미화 논란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프로그램 - 한국기행
EBS 1TV에서 방영되는 《한국기행》은 2009년 8월 24일 첫 방송 이후 매주 평일 밤 9시 35분과 토요일 저녁 6시 30분에 방영되는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며, 미디어길과 박앤박 미디어가 격주로 제작하고 박형준의 '한국기행 TITLE'이 배경음악으로 사용된다. - 2012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김국진의 현장박치기
김국진, 장성규, 유세윤 등이 출연하는 예능 프로그램 `김국진의 현장박치기`는 세 출연자의 조합이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 2012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추적자 THE CHASER
《추적자 THE CHASER》는 딸의 죽음에 얽힌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대통령 후보에게 복수하는 형사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이다. - 2020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정치합시다
정치합시다는 KBS 1TV에서 방송된 시사 프로그램으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두 시즌 동안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주제를 '지식다방'과 '민심포차' 코너를 통해 다루며, 특히 '민심포차'에서는 각 지역 민심을 청취했다. - 2020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이태원 클라쓰 (드라마)
박새로이가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위해 이태원에 포차 '단밤'을 열고 장가 그룹에 맞서 사업을 키워나가는 이야기인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는 등장인물들의 복잡한 관계와 사회적 소수자 이야기, 그리고 원작 웹툰과는 다른 드라마만의 독창적인 스토리로 2020년 높은 시청률과 인기를 얻었다.
| 글로벌 다큐멘터리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 프로그램 정보 | |
| 방송명 | 글로벌 다큐멘터리 |
| 시청 등급 | ALL |
| 장르 | 다큐멘터리 |
| 방송 시간 | 역대 방송시간 참조 |
| 방송 기간 | 2012년 5월 5일 ~ 2020년 6월 28일 |
| 방송 채널 | KBS 1TV |
| 기획 | KBS 편성 기획부 |
| 제작 | BBC일부회차제외 |
| 음성 | 1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
| 해설 | 백승주 外(내레이션) |
| 자막 |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
| 관련 프로그램 | 해외걸작 다큐 |
| 외부 링크 | KBS 1TV 글로벌 다큐멘터리 홈페이지 |
| 비고 | 화면 해설 방송 (다시보기 참조) 다시보기 서비스는 저작권 관계로 인해 방송 후 7일간만 제공 |
2. 기획 의도
KBS에서 제작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다. 고품질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폭넓은 지식과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고자 했다.
3. 방송 시간
KBS 1TV에서 2012년 5월 5일부터 2020년 6월 28일까지 다양한 시간대에 방송되었다.[2]방송 기간 방송 시간 2012년 5월 5일 ~ 2014년 10월 5일
2015년 8월 22일 ~ 2015년 10월 10일매주 주말 밤 9시 40분 ~ 10시 20분 2016년 1월 6일 ~ 2016년 10월 1일
2017년 1월 7일 ~ 2017년 3월 18일매주 토요일 밤 8시 10분 ~ 9시 2016년 10월 7일 ~ 2016년 10월 21일 매주 금요일 밤 11시 40분 ~ 12시 30분 2016년 10월 29일 ~ 2016년 11월 5일 매주 토요일 밤 10시 30분 ~ 11시 20분 2016년 12월 4일 ~ 2016년 12월 25일 매주 일요일 아침 9시 10분 ~ 10시 2017년 3월 26일 ~ 2017년 11월 12일
2017년 12월 24일 ~ 2018년 8월 19일매주 일요일 밤 8시 10분 ~ 9시 2017년 11월 19일 ~ 2017년 12월 17일 매주 일요일 저녁 7시 10분 ~ 8시 2018년 9월 9일 ~ 2018년 12월 2일
2018년 12월 16일 ~ 2018년 12월 30일매주 일요일 밤 11시 20분 ~ 12시 10분 2018년 12월 9일 일요일 밤 11시 20분 ~ 12시 20분 2019년 1월 6일 ~ 2019년 1월 13일 매주 일요일 밤 11시 30분 ~ 12시 20분 2019년 1월 20일 ~ 2019년 9월 15일 매주 일요일 밤 11시 25분 ~ 12시 15분 2019년 9월 22일 ~ 2020년 6월 28일 매주 일요일 밤 10시 35분 ~ 11시 25분
4. 방송 회차
4. 1. 2012년
2012년에는 다양한 주제의 다큐멘터리가 방영되었다. 5월 5일부터 5월 20일까지는 《프로즌플래닛》(Frozen Planet)이 6부작으로 방영되어 지구 극지의 환경과 생태계를 조명했다. 이어서 5월 27일부터 6월 10일까지는 《대산호초》(Great Barrier Reef) 3부작이 방영되어 오스트레일리아 북동부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산호초 지대의 신비로움을 담았다. 6월 16일부터 7월 1일까지는 《지구대비행》(Earthflight) 6부작이 방영되어 철새들의 이동 경로를 따라 지구 곳곳의 아름다운 풍경을 보여주었다.
7월 7일부터 7월 21일까지는 《공룡의 땅》(Planet dinosaur)이 방영되었고, 7월 8일과 7월 15일에는 《대영박물관》이 2부작으로 방영되었다.[3] 7월 28일부터 8월 11일까지는 《미러클 보디》(Miracle Body)가 3부작으로 방영되어 스포츠 선수들의 놀라운 신체 능력을 탐구했다.[3]
11월 10일에는 《매머드의 귀환》(Woolly Mammoth)이, 11월 11일부터 11월 18일까지는 《기적의 생태계》(How Nature Works) 3부작이 방영되었다.
4. 2. 2013년
2013년에는 다양한 주제의 다큐멘터리가 방영되었다.
2013년 1월에는 '세상 끝으로의 여행'이 1편 바다, 2편 하늘로 나뉘어 방영되었다. 4월에는 '유성의 습격, 러시아에 떨어진 운석'과 '상아를 쫓는 사람들'이 방영되었다.
6월부터 7월까지는 아프리카 대륙의 다양한 모습을 담은 '아프리카'가 총 7부에 걸쳐 방영되었다. 칼라하리, 사바나, 콩고, 남아프리카, 사하라 등 아프리카의 다양한 지역과 그곳에서 살아가는 생명체들의 이야기가 소개되었다.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는 펭귄의 생태를 담은 '스파이 펭귄'이 3부작으로 방영되었다. 1부에서는 가족의 탄생, 2부에서는 세상 밖으로, 3부에서는 홀로서기 과정을 다루었다.
8월부터 10월까지는 인류 역사를 다룬 '인류, 우리 모두의 이야기'가 총 12부에 걸쳐 방영되었다. 발명, 철, 제국, 전쟁, 역병, 신세계, 보물, 혁명, 속도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인류의 발자취를 조명했다. 10월에는 '미래 경쟁력의 핵심, 빅 데이터'가 방영되었다.
4. 3. 2014년
2014년에는 다양한 주제의 다큐멘터리가 방영되었다.
1월에는 아라비아의 야생을 다룬 《와일드 아라비아》가 3부에 걸쳐 방영되었는데, 1부에서는 모래, 바람, 별을, 2부에서는 숨겨진 낙원을, 3부에서는 예측할 수 없는 미래를 다루었다. 같은 달, 《우주의 기적, 생명》이 5부작으로 방영되어 생명의 기원과 진화를 탐구했다. 3월에는 《밀착취재! 알래스카 회색곰 이야기》 2부작이 방영되어 회색곰의 생태를 조명했다.
5월에는 란탐보르의 여왕호랑이 마츨리의 일대기를 다룬 《란탐보르의 여왕호랑이, 마츨리》가 방영되었고, 《스파이 돌고래》 2부작이 방영되어 돌고래의 영리한 사냥술과 은밀한 사생활을 공개했다.
5월 말에는 《기상천외 동물 커플》, 과일을 찾아 떠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 《과일원정대》 2부작이 연이어 방영되었다. 8월에는 예고 없이 찾아오는 공포, 싱크홀에 대한 다큐멘터리가 방영되었다.
8월 말부터는 작은 생물들의 세계를 다룬 《히든 킹덤》 3부작이, 9월 말부터는 원숭이의 생태를 다룬 《안녕, 원숭이》 3부작이 방영되었다.
4. 4. 2015년
2015년에는 다양한 주제의 다큐멘터리가 방영되었다. 《몬순(Lands Of the Monsoon)》은 몬순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기후 현상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생명체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1부 '목마른 기다림'에서는 몬순을 기다리는 생명체들의 모습을, 2부 '몬순의 시작'에서는 몬순의 본격적인 도래를 다룬다. 3부 '몬순의 두 얼굴, 가뭄'에서는 몬순으로 인한 가뭄을, 4부 '열대 우림'에서는 몬순이 만들어낸 열대 우림을 조명한다. 마지막 5부 '몬순과 인간'에서는 몬순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라이프 스토리(Life Story)》는 생명체들의 탄생과 성장, 그리고 번식에 이르기까지의 여정을 담았다. 1부 '여정의 시작'은 탄생의 순간을, 2부 '홀로 서기'는 성장 과정을 다룬다. 3부 '보금자리', 4부 '권력투쟁', 5부 '사랑', 6부 '부모 되기'에서는 생존과 번식을 위한 노력들을 보여준다. 마지막 7부 '제작기-라이프스토리 다이어리'에서는 제작 과정을 공개한다.
이 외에도 4월 19일에는 《과학의 달 특선 글로벌 다큐 여성의 뇌, 남성의 뇌》, 5월 5일에는 《어린이날 특선 다큐 - 아름다운 비행》, 7월 23일에는 《방학 특선 글로벌 다큐 - 세계의 명문, 이튼스쿨》, 7월 27일부터 8월 17일까지는 《[방학특선 글로벌 다큐멘터리] 인간과 우주(Human Universe)》, 11월 7일 및 12월 12일에는 《프랑스판 국산으로만 살아보기》가 방영되었다.
4. 5. 2016년
2016년에는 다양한 주제의 다큐멘터리가 방영되었다. 1월에는 《헌트》, 《임신 10개월의 비밀》이 방영되었다. 4월에는 《야생의 바다, 대서양》이, 4월에서 5월까지는 《비행의 비밀, 하늘의 세계》가 방송되었다. 5월에는 《경이로운 자연, 그리고 인간》이, 6월에는 《우리가 모르는 쌍둥이의 비밀》, 《태양계의 바다와 외계 생명체》가 방영되었다. 7월에는 《푸른 바다 몬터레이만》, 《와일드 브라질》이 방송되었다. 8월과 9월에는 《샤크》, 9월에는 《자연의 힘》이 방영되었다. 가을에는 《와일드 뉴질랜드》, 12월에는 《남극의 귀염둥이, 황제펭귄 이야기》가 방영되었다.
4. 6. 2017년
2017년에는 다양한 다큐멘터리가 방영되었다. 《살아있는 지구 2(Planet Earth II)》는 섬, 산, 밀림, 사막, 초원, 도시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생명체들의 모습을 담아냈으며, 제작 과정을 공개하였다. 《야생의 스파이(Spy in the Wild)》는 로봇 스파이 동물들을 활용하여 동물들의 사랑, 지능, 우정, 장난 등 흥미로운 생태를 관찰하고 제작기를 보여주었다. 《와일드 멕시코(Wild Mexico)》는 산, 마야의 숲, 북부 지역 등 멕시코의 다채로운 자연환경과 생물들을 소개했다.
4. 7. 2018년
2018년에는 다양한 주제의 다큐멘터리가 방영되었다.
1월 5일부터 1월 26일까지는 《블루 플래닛 2》(Blue Planet Ⅱ)가 방영되어, 하나의 대양, 심해, 산호초, 푸른 바다, 녹색바다, 해안, 바다의 미래, 그리고 4년간의 여정을 다루었다. 3월에는 《빅 캣(Big cats)》이 방영되어 고양이과 동물들의 은밀하고 날렵한 세상, 정복자들, 그리고 은밀한 세계를 조명했다.
9월에는 《아시아의 아마존, 아무르강(AMUR: ASIA’S AMAZON)》이 방영되어 극동, 흑룡강, 비밀의 샘 등 아무르강 유역의 다양한 모습을 담았다.
4. 8. 2019년
2019년에는 침팬지, 황제펭귄, 사자, 아프리카 호랑이, 들개 등의 이야기를 다룬 《다이너스티 야생의 지배자들》(설날 특선)이 방영되었다.[14] 2월 2일부터 2월 6일까지 5부작으로 방영되었으며, 2월 9일에는 4년간의 제작기가 방영되었다.[14] 《위대한 강(Earth's Great Rivers)》에서는 아마존, 나일, 미시시피 강을 다루었다. 4월 28일부터는 《우주에서 본 지구(Earth from Space)》가 방영되어 새로운 시선, 지구의 패턴, 오색의 지구 등 우주에서 내려다본 지구의 모습을 담았다.
4. 9. 2020년
2020년에 방영된 《글로벌 다큐멘터리》는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시대의 아이콘(ICONS)"은 20세기 주요 인물들을 다룬 시리즈로, 역사를 바꾼 투사들, 한계를 뛰어넘은 운동선수들, 예술과 문학을 이끈 선구자들을 조명했다.[16] 또한, 시청자 투표를 통해 20세기 최고의 인물을 선정하는 시간을 가졌다.[16]
"기후 변화에 관한 사실들(Climate Change-The Facts)"은 기후 변화의 심각성과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2부작 다큐멘터리였다.[17] 1부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위기를, 2부에서는 늦기 전에 해야 할 일들을 다루었다.[17]
"다시 찾은 바다, 블루 플래닛(Blue Planet Revisited)"은 바하마와 호주 대산호초의 해양 생태계를 탐사하는 내용을 담았다.[18]
"네트워크가 지배하는 세상(Niall Ferguson's Networld)"은 네트워크의 발전과 그 양면성, 그리고 네트워크 전쟁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3부작 다큐멘터리였다.
5. 주요 방영작
wikitext
- '''자연 다큐멘터리'''
2012년 5월 5일부터 5월 20일까지 6부작으로 방송된 《프로즌 플래닛》은 지구 극지의 아름다움과 생태, 그리고 그곳에 정착한 사람들의 모습을 담았다. 이후, 6월 15일부터 7월 14일까지 7부작으로 방송된 《아프리카》는 칼라하리, 사바나, 콩고, 남아프리카, 사하라 등 아프리카 대륙의 다양한 환경과 생명체, 그리고 미래를 위한 노력을 조명했다. 2018년 1월 5일부터 1월 26일까지는 《블루 플래닛》의 후속작인 《블루 플래닛 2》가 8부작으로 방송되어, 하나의 대양, 심해, 산호초, 푸른 바다, 녹색 바다, 해안 등 다양한 바다 환경과 그곳에 서식하는 생물들, 그리고 바다의 미래를 위한 노력을 보여주었다. 이들 다큐멘터리는 지구 환경의 아름다움과 그 보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과학 다큐멘터리'''
2014년에 방영된 《우주의 기적, 생명》(Wonders Of Life)은 생명의 기원과 진화를 탐구하는 과학 다큐멘터리이다.[4] 1화 '크기의 법칙'에서는 생명체의 크기가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2화 '생명이란 무엇인가?'에서는 생명의 정의와 특성을 다룬다.[4] 3화 '팽창하는 우주'에서는 우주의 팽창과 생명 탄생의 연관성을, 4화 '살아 있는 행성'에서는 지구의 독특한 환경 조건을 조명한다.[4] 마지막 5화 '진화의 힘'에서는 진화의 메커니즘과 생명 다양성을 설명한다.[4]
2015년에 방영된 《인간과 우주》(Human Universe)는 인류의 기원과 우주 속 인류의 위치를 탐구하는 다큐멘터리이다.[10] 1편 '원시인에서 우주인으로'와 2편 '우주와 인간의 기원'에서는 인류 진화 과정과 우주 탄생의 비밀을 다룬다.[10] 3편 '외계인을 찾아서'에서는 외계 생명체 탐색 노력을, 4편 '우리가 서 있는 자리'와 5편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에서는 우주 속 인류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한다.[10]
2019년에는 태양계 행성들의 생성과 진화를 다룬 《더 플래닛스》(The Planets)가 방영되었다.[15] 1편 '태양의 시간 지구형 행성들'에서는 수성, 금성 등 지구형 행성들의 특징을 살펴본다.[15] 2편 '두 자매 행성 - 지구와 화성'에서는 지구와 화성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한다.[15] 3편 '대부행성 목성'과 4편 '태양 너머의 삶, 토성'에서는 목성과 토성의 역할과 중요성을 다룬다.[15] 마지막 5편 '어둠 속으로 – 얼음 행성들'에서는 천왕성, 해왕성 등 얼음 행성들의 신비를 탐구한다.[15]
- '''역사/문명 다큐멘터리'''
2013년 8월부터 10월까지 방영된 "인류 우리 모두의 이야기(Mankind, The Story Of All Of Us)"는 인류 역사의 발자취와 문명 발달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이다.[3] 12부작으로 구성되어 발명, 철기, 제국, 전쟁, 역병, 신세계, 보물, 개척, 혁명, 속도, 새로운 변경 등의 주제를 다룬다.[3]
2019년에는 "시대의 아이콘(ICONS)" 1~4부가 방영되어 세기의 리더십, 탐험가, 과학자, 연예인을 조명했다.[16] 2020년에는 "시대의 아이콘(ICONS)" 5~8부가 방영되어 역사를 바꾼 투사들, 한계를 뛰어넘은 운동선수들, 예술과 문학을 이끈 선구자들, 그리고 대중의 선택을 받은 20세기 최고의 인물을 다루었다.[16]
- '''사회/문화 다큐멘터리'''
2020년 방영된 《네트워크가 지배하는 세상》(Niall Ferguson's Networld)은 3부작으로 구성되어, 네트워크 사회의 분열, 양면성, 그리고 네트워크 전쟁을 다룬다. 같은 해, 《기후 변화에 관한 사실들》(Climate Change-The Facts)은 2부작으로 방영되어, 현재 진행 중인 기후 위기와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5. 1. 자연 다큐멘터리
2012년 5월 5일부터 5월 20일까지 6부작으로 방송된 《프로즌 플래닛》은 지구 극지의 아름다움과 생태, 그리고 그곳에 정착한 사람들의 모습을 담았다. 이후, 6월 15일부터 7월 14일까지 7부작으로 방송된 《아프리카》는 칼라하리, 사바나, 콩고, 남아프리카, 사하라 등 아프리카 대륙의 다양한 환경과 생명체, 그리고 미래를 위한 노력을 조명했다. 2018년 1월 5일부터 1월 26일까지는 《블루 플래닛》의 후속작인 《블루 플래닛 2》가 8부작으로 방송되어, 하나의 대양, 심해, 산호초, 푸른 바다, 녹색 바다, 해안 등 다양한 바다 환경과 그곳에 서식하는 생물들, 그리고 바다의 미래를 위한 노력을 보여주었다. 이들 다큐멘터리는 지구 환경의 아름다움과 그 보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5. 2. 과학 다큐멘터리
2014년에 방영된 《우주의 기적, 생명》(Wonders Of Life)은 생명의 기원과 진화를 탐구하는 과학 다큐멘터리이다.[4] 1화 '크기의 법칙'에서는 생명체의 크기가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2화 '생명이란 무엇인가?'에서는 생명의 정의와 특성을 다룬다.[4] 3화 '팽창하는 우주'에서는 우주의 팽창과 생명 탄생의 연관성을, 4화 '살아 있는 행성'에서는 지구의 독특한 환경 조건을 조명한다.[4] 마지막 5화 '진화의 힘'에서는 진화의 메커니즘과 생명 다양성을 설명한다.[4]2015년에 방영된 《인간과 우주》(Human Universe)는 인류의 기원과 우주 속 인류의 위치를 탐구하는 다큐멘터리이다.[10] 1편 '원시인에서 우주인으로'와 2편 '우주와 인간의 기원'에서는 인류 진화 과정과 우주 탄생의 비밀을 다룬다.[10] 3편 '외계인을 찾아서'에서는 외계 생명체 탐색 노력을, 4편 '우리가 서 있는 자리'와 5편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에서는 우주 속 인류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한다.[10]
2019년에는 태양계 행성들의 생성과 진화를 다룬 《더 플래닛스》(The Planets)가 방영되었다.[15] 1편 '태양의 시간 지구형 행성들'에서는 수성, 금성 등 지구형 행성들의 특징을 살펴본다.[15] 2편 '두 자매 행성 - 지구와 화성'에서는 지구와 화성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한다.[15] 3편 '대부행성 목성'과 4편 '태양 너머의 삶, 토성'에서는 목성과 토성의 역할과 중요성을 다룬다.[15] 마지막 5편 '어둠 속으로 – 얼음 행성들'에서는 천왕성, 해왕성 등 얼음 행성들의 신비를 탐구한다.[15]
5. 3. 역사/문명 다큐멘터리
2013년 8월부터 10월까지 방영된 "인류 우리 모두의 이야기(Mankind, The Story Of All Of Us)"는 인류 역사의 발자취와 문명 발달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이다.[3] 12부작으로 구성되어 발명, 철기, 제국, 전쟁, 역병, 신세계, 보물, 개척, 혁명, 속도, 새로운 변경 등의 주제를 다룬다.[3]2019년에는 "시대의 아이콘(ICONS)" 1~4부가 방영되어 세기의 리더십, 탐험가, 과학자, 연예인을 조명했다.[16] 2020년에는 "시대의 아이콘(ICONS)" 5~8부가 방영되어 역사를 바꾼 투사들, 한계를 뛰어넘은 운동선수들, 예술과 문학을 이끈 선구자들, 그리고 대중의 선택을 받은 20세기 최고의 인물을 다루었다.[16]
5. 4. 사회/문화 다큐멘터리
2020년 방영된 《네트워크가 지배하는 세상》(Niall Ferguson's Networld)은 3부작으로 구성되어, 네트워크 사회의 분열, 양면성, 그리고 네트워크 전쟁을 다룬다. 같은 해, 《기후 변화에 관한 사실들》(Climate Change-The Facts)은 2부작으로 방영되어, 현재 진행 중인 기후 위기와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참조
[1]
정보
[2]
정보
[3]
정보
[4]
정보
[5]
정보
[6]
정보
[7]
정보
[8]
정보
[9]
정보
[10]
정보
[11]
정보
[12]
정보
[13]
정보
[14]
정보
[15]
정보
[16]
정보
[17]
정보
[18]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