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극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큐극장은 2013년에 방영된 KBS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다.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한중 수교, IMF 극복까지 대한민국 현대사의 주요 사건들을 다루었다. 프로그램 기획 단계에서 '그때 그 순간' 또는 '격동의 세월'이라는 제목으로 논란이 있었으며, 박정희 정권 미화 논란으로 제작 중단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외주 제작사 선정 과정에서도 과거 허위·과장 묘사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프로그램 - 한국기행
EBS 1TV에서 방영되는 《한국기행》은 2009년 8월 24일 첫 방송 이후 매주 평일 밤 9시 35분과 토요일 저녁 6시 30분에 방영되는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며, 미디어길과 박앤박 미디어가 격주로 제작하고 박형준의 '한국기행 TITLE'이 배경음악으로 사용된다. -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프로그램 - 다큐멘터리 3일
다큐멘터리 3일은 KBS에서 방송되는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으로, 일상의 다양한 장소에서 72시간 동안 벌어지는 이야기를 시간 순서대로 생생하게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춘다. - 한국방송공사의 시사교양 프로그램 - 아침마당
《아침마당》은 1991년부터 KBS 1TV에서 평일 오전에 방송되는 교양 프로그램으로, 이웃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요일별 특화된 주제로 전달하며 감동, 재미, 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한국방송공사의 시사교양 프로그램 - KBS 중계석
KBS 중계석은 KBS 1TV에서 2008년 4월 15일 첫 방송을 시작한 프로그램으로, 방송 시간은 여러 차례 변경되어 현재는 목요일과 금요일 새벽 시간대에 유동적으로 방송된다.
다큐극장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방송명 | 다큐극장 |
장르 | 다큐멘터리 |
방송 시간 | 매주 토요일 밤 8시 ~ 9시 |
방송 기간 | 2013년 4월 27일 ~ 2013년 10월 19일 |
방송 횟수 | 24부작 |
방송 채널 | KBS 1TV |
제작 | 인스토리, 미디어소풍, 와이드프로 |
책임 프로듀서 | 조인석 |
연출 | 이성진, 류충래, 박상욱, 박동덕, 이상익, 김동국 |
조연출 | 오윤식 |
작가 | 홍영아, 리진아, 김보경, 최정민 |
진행자 | 한상권 |
음성 | 2채널 돌비 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실시 |
고화질 방송 여부 | HDTV 제작 · 방송 |
외부 링크 | KBS 다큐극장 홈페이지 |
2. 방영 목록
회차 | 방송일 | 부제 |
---|---|---|
2013년 방영 목록은 하위 문단을 참조. |
2. 1. 2013년
회차 | 방송일 | 부제 |
---|---|---|
1회 | 4월 27일 | 88 서울올림픽 - 신(神)이 내린 한 수 |
2회 | 5월 4일 | 글뤽아우프[1] - 독일로 간 경제역군들 |
3회 | 5월 11일 | 아웅산 그리고 2013 |
4회 | 5월 18일 | 광주 33년 5 · 18의 기억 |
5회 | 5월 25일 | 최초의 해외파병 - 베트남 전(戰) |
6회 | 6월 1일 | 포니 - 신화를 쓰다 |
7회 | 6월 8일 | 우리를 바꾼 청년 - 전태일 |
8회 | 6월 15일 | 수출 100억 불 - 한강의 기적을 이루다 |
9회 | 6월 29일 | 6월 항쟁과 6·29 선언 |
10회 | 7월 6일 | 그 때 대한민국이 울었다 - 생방송 이산가족 찾기 |
11회 | 7월 13일 | 428km의 땀과 눈물 - 경부고속도로 |
12회 | 7월 20일 | 64K D램 - 반도체 신화를 열다 |
13회 | 7월 27일 | 고도성장의 아이콘 - 강남 개발사 |
14회 | 8월 3일 | 민둥산의 기적 - 산림녹화 |
15회 | 8월 10일 | 평화통일을 향한 큰 걸음 - 7·4 남북 공동 성명 |
16회 | 8월 17일 | 잘 살아보세 - 새마을 운동 |
17회 | 8월 24일 | 적에서 동반자로 - 한중수교 21년 |
18회 | 8월 31일 | 날아간 7조원 - 이철희 · 장영자 사건 |
19회 | 9월 7일 | 투명 경제를 위한 대개혁 - 금융실명제 |
20회 | 9월 14일 | 황구지에서 일군 쇳물 - 포철 신화 |
21회 | 9월 28일 | 30년만의 귀향 - 조총련 재일동포 모국방문 |
22회 | 10월 5일 | 녹색혁명으로 세상을 바꾸다 - 기적의 볍씨 통일벼 |
23회 | 10월 12일 | 사막에서 금을 캐다 - 중동 특수 40년 |
24회 | 10월 19일 | 하나되어 이룬 기적 - IMF 국난 극복기 |
프로그램 기획 당시 《'''그때 그 순간'''》 또는 《'''격동의 세월'''》이라는 제목과 관련한 논란, 제작 중단 주장과 외주제작사 선정 문제 등이 있었다. 이 프로그램을 제작하게 될 외주제작사는 2005년에 방영한 《수요기획》에서 허위 · 과장된 사실을 묘사하여 문제가 되어 해당 프로그램과 《사랑의 가족》의 제작 금지 처분을 받은 적이 있었다.[4] 결국, 해당 외주제작사가 제작을 포기하기로 결정하면서 방영 일정을 맞추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7]
3. 제작 과정 및 논란
3. 1. 기획 및 제목 논란
이 프로그램은 《'''그때 그 순간'''》 또는 《'''격동의 세월'''》이라는 제목으로 기획되었다. 하지만 민주통합당 최민희 의원은 박정희 정권을 미화한다는 이유로 다큐멘터리 제작 중단을 주장하였다.[2] 전국언론노동조합과 한국방송공사프로듀서협회도 이 프로그램 편성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여 갈등이 고조되었다.[3] 전국언론노조는 이 프로그램 소재에 박정희 정권 당시 추진된 사업 및 사건 · 사고를 다루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4] KBS는 특정 정권을 홍보할 의도가 없음을 해명했지만,[5] 이사회에서도 프로그램 제목과 관련하여 큰 우려를 표명하였다.[6]
3. 2. 제작 중단 주장 및 반박
민주통합당의 최민희 의원은 박정희 정권을 미화한다는 이유로 다큐멘터리 제작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2] 전국언론노동조합과 한국방송공사프로듀서협회에서도 이 프로그램의 편성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여 갈등이 고조되었다.[3] 전국언론노조는 이 프로그램의 소재에 박정희 정권 당시에 추진된 사업 및 같은 시기에 일어난 사건 · 사고를 다루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4] KBS에서는 특정 정권을 홍보할 의도가 없음을 해명하였지만,[5] 이사회에서도 프로그램의 제목과 관련하여 큰 우려를 표명하였다.[6]
2013년 4월 6일에 진행된 봄개편 설명회에서 김성주 외주제작국장은 이 프로그램이 정치적인 의도로 제작하지 않을 거라면서 세대간의 소통에 초점을 맞췄음을 강조하였다. 이에 앞서 KBS에서는 일부에서 우려하는 특정 이데올로기나 시각은 배제할 방침이며 2030세대에게는 미처 알지 못했던 현대사의 이면과 과정, 사실 등을 일깨워 자부심과 반면교사의 계기로 삼게 하고, 40대 이상의 세대에게는 그 날 그 순간의 감동, 아픔, 공감 등을 되새기며 세대 간 대화와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8]
3. 3. 외주제작사 선정 문제
이 프로그램은 《'''그때 그 순간'''》 또는 《'''격동의 세월'''》이라는 제목으로 기획되었다. 하지만, 프로그램을 제작하게 될 외주제작사가 2005년에 방영한 《수요기획》에서 허위·과장된 사실을 묘사하여 문제가 된 적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해당 프로그램과 《사랑의 가족》의 제작 금지 처분을 받은 바 있었다.[4] 결국, 해당 외주제작사가 제작을 포기하기로 결정하면서 방영 일정을 맞추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7]
4. 정치적, 사회적 영향
주어진 원본 소스에 정치적, 사회적 영향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1. 부정적 영향
이 프로그램은 박정희 정권 미화 논란으로 인해 민주통합당 최민희 의원이 다큐멘터리 제작 중단을 주장하였다.[2] 전국언론노동조합과 한국방송공사프로듀서협회도 프로그램 편성에 반대하여 갈등이 커졌다.[3] 전국언론노조는 프로그램 소재로 박정희 정권 당시 추진된 사업 및 사건 · 사고를 다루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4]5. 평가 및 비판
은 초기 기획 단계에서부터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프로그램 제목과 박정희 정권 미화 여부를 둘러싸고 갈등이 빚어졌다.[2][3][4][5][6]
5. 1. 비판적 시각
이 프로그램은 《'''그때 그 순간'''》 또는 《'''격동의 세월'''》이라는 제목으로 기획되었다. 하지만, 민주통합당의 최민희 의원은 박정희 정권을 미화한다는 이유로 다큐멘터리 제작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2] 전국언론노동조합과 한국방송공사프로듀서협회에서도 이 프로그램의 편성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여 갈등이 고조되었다.[3] 전국언론노조는 이 프로그램의 소재에 박정희 정권 당시에 추진된 사업 및 같은 시기에 일어난 사건 · 사고를 다루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4] KBS에서는 특정 정권을 홍보할 의도가 없음을 해명하였지만,[5] 이사회에서도 프로그램의 제목과 관련하여 큰 우려를 표명하였다.[6]참조
[1]
text
[2]
뉴스
민주당 최민희 “KBS, 박근혜 대통령 헌정 다큐 제작 중단하라”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3-03-06
[3]
뉴스
KBS 내부, ‘박정희 미화’ 우려 다큐 두고 전면전 양상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3-03-07
[4]
뉴스
KBS다큐, 유신미화 이어 부적절 외주사 ‘논란’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3-03-19
[5]
뉴스
[6]
뉴스
한국방송 이사회도 ‘그때 그 순간’ 우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3-03-14
[7]
뉴스
KBS ‘박정희 미화 다큐’ 외주사, 논란 끝에 ‘하차’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013-04-01
[8]
뉴스
KBS 측 "'다큐극장' 정치적 의도 NO…세대 간 소통 위해 제작"
http://xportsnews.ha[...]
엑스포츠뉴스
2013-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