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글리제 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리제 1은 1885년 벤자민 앱솔프 굴드에 의해 발견된 항성이다. 분광형은 M1.5V에서 M4.0V 사이로 추정되며, 태양 질량의 약 33%, 반지름의 약 38% 크기이다. 지구로부터 약 14.2광년(4.36 파섹) 떨어져 있으며, 용자리 BY형 변광성이자 섬광성으로 의심받는다. 동반 천체나 행성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며, 높은 특이운동속도를 보이는 폭주성으로 큰부리새자리-시계자리 성협 또는 황새치자리 AB 성협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5년 발견한 천체 - 253 마틸데
    253 마틸데는 요한 팔리사가 발견한 C형 소행성으로, 어두운 표면, 특이한 내부 구조, 느린 자전 주기를 가지며 NEAR 슈메이커 우주선에 의해 크기와 질량이 정밀하게 측정되었다.
  • 1885년 발견한 천체 - 안드로메다자리 S
    1885년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발견된 안드로메다자리 S(SN 1885A)는 여러 천문학자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견되었고, 초기 관측에서 특이한 점을 보였으나 제1a형 초신성으로 분류되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새로운 하위 분류에 속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조각가자리 - 조각가자리 은하
    조각가자리에 위치한 막대 나선 은하인 조각가자리 은하(NGC 253)는 1783년 캐롤라인 허셜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조각가자리 은하군에서 가장 밝고, 우리 은하에서 비교적 가까워 관측이 용이하며, 중심부의 초대질량 블랙홀과 활발한 별 형성 활동이 특징이다.
  • 조각가자리 - NGC 300
    NGC 300은 조각가자리에 위치한 Sc형 나선 은하로, 국부 은하군 바깥 가장자리에 있으며 풀려 있는 나선팔, 밝은 성단, 활발한 별 형성 활동,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별들과 가스, 먼지, 성운, 성단 등의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고, NGC 300-OT와 SN 2010da를 비롯한 여러 신성과 초신성이 발견되었다.
  • 국부 거품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국부 거품 - 스트루베 2398
    스트루베 2398은 HD 173739(스트루베 2398 A, 글리제 725 A)와 HD 173740(스트루베 2398 B, 글리제 725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입니다.
글리제 1
기본 정보
글리제 1은 조각가자리에 위치함.
조각가자리 내 글리제 1의 위치
관측 정보
시대J2000
겉보기 등급8.57
별자리조각가자리
특징
분광형M2V
B-V 색지수+1.46
U-B 색지수+1.04
변광성용자리 BY형 변광성
측성학
시선 속도+23.6 ± 2 km/s
고유 운동 (적경)+5,633.95
고유 운동 (적위)−2,336.69
연주 시차230.0970
연주 시차 오차0.0362
절대 등급10.35
세부 사항
질량0.33 ± 0.07 M☉
반지름0.379 ± 0.002 R☉
광도0.015 +0.007-0.005 L☉
표면 온도3616 ± 14 K
금속 함량−0.26 ± 0.09
자전 주기60.1 ± 5.7 일
자전 속도4.8 km/s
표면 중력4.91
나이8.27 Gyr
식별 부호
명칭CD−37°15492
CPD−37°9435
G 267-025
GJ 1
GC 49
GCTP 5817.00
HD 225213
HIP 439
LHS 1
LTT 23
NLTT 134
NSV 15017
SAO 192348

2. 발견 역사

벤자민 앱솔프 굴드는 1885년에 이 별이 높은 수치의 고유운동을 보임을 최초로 발견하였다. 발견 당시 글리제 1에 부여된 식별자는 "코르도바 Z.C. 23h 1584"였다.[15] 역기점 1950 시기에 이 별은 적경 좌표의 시작점에 매우 가까이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글리제 인접항성목록》과 《루이텐 하프세컨드 성표》 두 곳에 첫 번째 항성으로 등재되었다.[16][17]

3. 물리적 특징

글리제 1은 여러 정보원에서 분광형이 M1.5V부터 M4.0V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18] 질량은 태양의 33~48%,[12] 반지름은 태양의 38~48% 정도이다.[13] 표면 온도는 3,405K로 추정된다.[4] 히파르코스 위성 관측에 따르면 연주시차는 229 밀리초로,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약 4.36 파섹 (14.2광년)이다.

태양(왼쪽)과 글리제 1(오른쪽)의 비교.


이 별의 대기층 온도가 측정된 바 있다.[22] 스펙클간섭계를 이용한 근적외선 영역 관측 결과, 주인별로부터 1 천문단위 거리에서 겉보기등급 10.5, 10 천문단위 거리에서 12.5 등급보다 밝은 동반천체는 없었다.[23] 시선속도 측정에서도 글리제 1의 동반천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탐색을 통해 글리제 1의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에서 지구 질량의 수 배 정도 행성이나 1 천문단위(혹은 그보다 안쪽) 거리에 목성과 비슷한 질량의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은 없음이 확인되었다. 20 m/s 미만 수준 정확도의 관측기구로 조사한 결과, 이 별의 시선속도에는 변동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우주속도 요소는 U = +77.2, V = -99.5, W = -35.6 km/s이다.[24] 글리제 1은 우리은하 안을 은하핵으로부터 3510 ~ 9150 파섹 거리를 두면서(이로부터 계산한 궤도이심률은 0.45이다.) 공전하고 있다. 참고로 태양은 은하 중심부로부터 약 8500 파섹 떨어져 있다.[25] 높은 특이운동속도를 보여주는 항성을 폭주성이라 한다. 글리제 1은 초당 111.3 킬로미터의 높은 특이운동속도를 보이며 속도벡터를 볼 때 큰부리새자리-시계자리 성협 및(또는) 황새치자리 AB 성협과 이 별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3. 1. 변광성 여부

글리제 1은 용자리 BY형 변광성으로 추정되며, 잠정적인 변광성 명칭 'NSV 15017'을 부여받았다.[19] 이 별은 섬광성으로 의심받기도 하며,[20] 다른 섬광성들과 마찬가지로 엑스선을 방출한다.[21] 변광의 진폭은 0.02등급으로 크지 않다.[2]

4. 동반천체 및 행성 탐색

스펙클간섭계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상 근적외선 영역을 관측한 결과, 주인별로부터 1 AU 거리에서 겉보기등급 10.5, 10 AU 거리에서 12.5 등급보다 밝은 동반천체는 발견되지 않았다.[23] 시선속도를 이용한 측정에서도 글리제 1을 공전하는 동반천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탐색 결과 글리제 1의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내 지구 질량의 수 배 정도 행성이나, 1 AU 이내 거리의 목성 질량 행성 존재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20 m/s 미만 수준 정확도의 관측 결과, 시선속도 변동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5. 운동학적 특징

글리제 1의 우주속도 요소는 U = +77.2, V = -99.5, W = -35.6 km/s이다.[24] 이 별은 우리은하 내에서 은하중심으로부터 3510 ~ 9150 파섹 거리를 두고 공전하며, 궤도이심률은 0.45이다.[25] 글리제 1은 초당 111.3 킬로미터의 높은 특이운동속도를 보이는 폭주성으로, 큰부리새자리-시계자리 성협 및(또는) 황새치자리 AB 성협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참조

[1] Gaia EDR3
[2] 웹사이트 Combined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http://webviz.u-stra[...] VizieR 2009-11-20
[3] 웹사이트 SIMBAD basic query result https://simbad.u-str[...] SIMBAD, CDS 2008-12-05
[4] 저널 Predicted infrared brightness of stars within 25 parsecs of the sun http://adsbit.harvar[...]
[5] 웹사이트 The 100 Nearest Star Systems http://www.recons.or[...] RECONS 2016-12-04
[6] paper A Jupiter-Like Planet Orbiting the Nearby M dwarf GJ 832 https://ui.adsabs.ha[...]
[7] 웹인용 NSV 15017 -- Flare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6-06-12
[8] 인용 The Hipparcos Catalogue 1997
[9] 저널 NEXXUS: A comprehensive ROSAT survey of coronal X-ray emission among nearby solar-like stars 2004-04
[10] 서적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Carnegie Institute of Washington D.C. 1953
[11] 저널 UBV Photometry of Some Southern Stars (Third List) 1973
[12] 웹인용 The One Hundred Nearest Star Systems http://www.astro.gsu[...] Georgia State University 2009-09-08
[13] 저널 Catalogue of Apparent Diameters and Absolute Radii of Stars (CADARS) - Third edition - Comments and statistics 2001-02
[14] 인용 Metallicity of M dwarfs. IV. A high-precision [Fe/H] and Teff technique from high-resolution optical spectra for M dwarfs 2014-08
[15] 저널 Star with large proper motion, in Sculptor 1885
[16] 저널 Catalogue of Nearby Stars 1969
[17] 서적 LHS (Luyten half-second) Catalogue. http://adsabs.harvar[...] University of Minnesota 2009-09-09
[18] 문서
[19] 웹인용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NSV 15017 http://www.sai.msu.s[...]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09-12-14
[20] 저널 Catalogue of Apparent Diameters and Absolute Radii of Stars (CADARS) - Third edition 1999-11
[21] 저널 The X-ray view of the low-mass stars in the solar neighborhood 1995-09
[22] 저널 The outer atmospheric layers of the early M dwarf Gliese 1 http://www.aanda.org[...] 2014-05-15
[23] 저널 A search for companions to nearby southern M dwarfs with near-infrared speckle interferometry 1997-09
[24] 저널 Distribution and Corrlation of Age, Abundance, and Motion of Lower Main Sequence Stars 1996-01
[25] 저널 An improved model of the galactic mass distribution for orbit computations 199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