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노 도모노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노 도모노리는 9세기 말부터 10세기 초에 활동한 일본의 시인으로, 와카에 능숙하여 많은 우타아와세에 참여했다. 그는 40세가 넘어 관직에 나아가, 도사 권수, 소내기, 다이나이키를 역임했다. 키노 쓰라유키, 미부노 타다미네와 함께 『고킨와카슈』의 편찬에 참여했으나 완성 전에 사망했으며, 그의 시는 『고킨와카슈』를 비롯한 여러 칙찬와카슈에 수록되었다. 대표작으로는 "오랜 햇살이 따사로운 봄날에, 어찌 마음 없이 벚꽃은 흩날리는가"가 있으며, 이 시는 백인일수에 수록되고 국어 교과서에도 실릴 정도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씨 (황별) - 기노 쓰라유키
    기노 쓰라유키는 866년 또는 872년에 태어난 일본의 시인으로, 《고킨와카슈》의 편집자이자 가나 서문을 작성했으며, 36가선 중 한 명으로 꼽히며, 《도사 일기》를 저술했다.
  • 기씨 (황별) - 히로하시 주시
    히로하시 주시는 일본 남북조 시대 고코곤 천황의 텐지로서, 고엔유 천황을 비롯한 여러 왕자를 낳고 왕실 내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스겐몬인이라는 원호를 받은 인물이다.
  • 840년대 출생 - 아르파드
    아르파드는 9세기 말 마자르족을 이끌고 카르파티아 분지로 이동하여 정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마자르족 연합체의 첫 번째 수장으로, 도나우강 중류 지역으로 이주 및 세력 확장, 그리고 헝가리의 민족적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840년대 출생 - 애설레드 1세
    애설레드 1세는 에델울프 왕의 아들이자 865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웨섹스의 왕으로, 대 이교도 군대의 침략에 맞서 싸웠으며 머시아 왕국과의 통화 동맹을 통해 경제적 이해관계를 혼합하는 데 기여했다.
  • 907년 사망 - 보리스 1세
    보리스 1세는 9세기에 불가리아를 기독교 국가로 만들고 슬라브 문화를 발전시킨 군주이며, 불가리아 정교회의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907년 사망 - 아르파드
    아르파드는 9세기 말 마자르족을 이끌고 카르파티아 분지로 이동하여 정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마자르족 연합체의 첫 번째 수장으로, 도나우강 중류 지역으로 이주 및 세력 확장, 그리고 헝가리의 민족적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기노 도모노리
기본 정보
씨명기씨
시대헤이안 시대 전기
생년조와 12년 (845년경)?
몰년엔기 7년 (907년)
관위종6위, 대내기
주군우다 천황 → 다이고 천황
부모아버지: 기노 아리토모
자녀기요마사, 후사노리
기타 사항고킨 와카슈 편찬에 참여

2. 생애

기노 도모노리는 와카에 능숙하여 여러 우타아와세에 참여했다. 40세가 넘도록 관직이 없었으나, 간표 9년(897년) 도사국의 율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쇼타이 원년(898년)에는 소내기, 엔기 4년(904년)에는 대내기에 임명되었다.[2] 기노 쓰라유키(사촌), 미부노 다다미네와 함께 『고킨와카슈』의 센자(撰者: 편찬자)가 되었으나, 완성을 보지 못하고 사망했다. 『고킨와카슈』 권16에는 쓰라유키와 다다미네가 도모노리의 죽음을 애도하는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2]

2. 1. 관직 생활

40세가 넘도록 관직이 없었으나, 와카에 능숙하여 여러 우타아와세에 참여했다. 간표 9년(897년)에 도사국의 율령관으로 임명되었고, 쇼타이 원년(898년)에는 소내기, 엔기 4년(904년)에는 대내기에 임명되었다.[2]

『고금와가지 목록』에 따른다.

날짜관직
간표 9년(897년) 정월 11일도사 권수
간표 10년(898년) 정월 29일소내기
엔기 4년(904년) 정월 25일대내기


2. 2. 《고킨와카슈》 편찬

기노 쓰라유키(사촌), 미부노 다다미네와 함께 『고킨와카슈』의 센자(撰者: 편찬자)가 되었으나, 완성을 보지 못하고 사망했다. 『고킨와카슈』 권16에는 쓰라유키와 다다미네가 도모노리의 죽음을 애도하는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2]

3. 작품 세계

기노 도모노리는 와카를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과 덧없음, 인간의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했다. 그의 작품은 고킨와카슈 등 여러 시가집에 수록되었으며, 벚꽃기러기를 소재로 한 시들이 널리 알려져 있다.

3. 1. 대표작


  • ひさかたの光のどけき春の日にしづ心なく花の散るらむ|히사카타노히카리노도케키하루노히니시즈코코로나쿠하나노치루라무일본어 "오랜 햇살이 따사로운 봄날에, 어찌 마음 없이 벚꽃은 흩날리는가" (『고킨와카슈』)[3]
  • : 이 시는 국어 교과서에 널리 채택되었으며, 백인일수에서 가장 유명한 시 중 하나이다.
  • "봄 안개에 희미하게 날아가던 기러기 소리는 지금 들려오네, 가을 안개 위에서"
  • : 간표 연간에 궁중에서 열린 노래 시합에서 기노 도모노리가 읊은 시이다.

3. 2. 와카 목록 (일부)

히사카타노 빛이 은은한 봄날에, 어찌 꽃잎은 차분한 마음 없이 흩날리는가[1] (ひさかたの光のどけき春の日にしづ心なく花の散るらむ일본어)[1]

  • 고금와카집에 실린 시로, 국어 교과서에 널리 채택되었으며 백인일수에서 가장 유명한 시 중 하나이다.[1]

4. 일화

간표 연간 궁중에서 열린 노래 시합에서 도모노리는 "초기러기"를 주제로 와카를 읊었다. "봄 안개에 희미하게 날아가던 기러기 소리는 지금 들려오네, 가을 안개 위에서"라는 와카를 읊자, 사람들은 처음에는 계절이 맞지 않는다고 비웃었지만, 곧 와카의 뛰어남에 감탄하며 침묵했다. 이 일은 도모노리가 출세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3] 이 와카는 훗날 『고금와카집』에 "주제 미상, 지은 이 미상"으로 실렸다.

5. 가계


  • 아버지: 기노 아리토모
  • 어머니: 불명
  • 생모 불명의 자녀
  • * 장남: 기노 기요마사
  • * 차남: 기노 후사노리

6. 관력


  • 간표 9년(897년) 정월 11일: 도사곤노스케
  • 간표 10년(898년) 정월 29일: 쇼나이키
  • 엔기 4년(904년) 정월 25일: 다이나이키

참조

[1] 간행물 Alfred Publishing Co., Inc. 2009
[2] 서적 勅撰作者部類
[3] 서적 古今著聞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