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긴코악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긴코악어는 매우 길고 가느다란 주둥이를 가진 악어의 일종으로, 물고기와 작은 수생 무척추동물을 잡아먹는 데 특화되어 있다.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에 걸쳐 분포하며, 성체 수컷은 일반적으로 3~4m, 최대 4.5m까지 자란다. 1996년 자료 부족으로 평가되었으나, 2014년 심각한 위기종으로 변경되었다. 서식지 파괴, 사냥, 먹이 고갈, 불법 소비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보존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5년 기재된 파충류 - 바다이구아나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는 바다이구아나는 육지 이구아나와 가까운 종으로 해조류를 섭취하며 염분샘을 통해 염분을 배출하고 국립공원에서 보호받는 다양한 아종으로 나뉜다.
  • 1825년 기재된 파충류 - 검은카이만
    검은카이만은 아마존 지역에 서식하며 어두운 피부와 큰 눈을 가진 악어의 일종으로, 야행성이며 다양한 동물을 섭취하는 최상위 포식자이다.
  • 아프리카의 파충류 - 검은맘바
    검은맘바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긴 독사 중 하나로, 다양한 체색을 띠며 입 안쪽이 검은색이고, 신경독과 심장독을 가진 치명적인 뱀이다.
  • 아프리카의 파충류 - 우단도마뱀붙이속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4종의 도마뱀붙이로 이루어진 우단도마뱀붙이속은 도마뱀붙이목에 속하며, 각 종은 명명자에 따라 학명이 부여되고 일부 철자가 수정되었다.
  • 크로커다일과 - 크로커다일속
    크로커다일속은 1768년에 명명된 악어 속으로, 현존하는 13~14종과 멸종된 5종을 포함하며,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육식 생활을 한다.
  • 크로커다일과 - 오리노코악어
    오리노코악어는 남아메리카 오리노코 강 유역에 서식하는 대형 악어로, 한때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현재는 보호를 받고 있으며 서식지 파괴, 오염, 먹이 경쟁 등의 위협에도 직면하여 개체 수 회복을 위한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긴코악어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파리 포르트 도레 수족관에 있는 서아프리카가비알악어
파리, 프랑스의 포르트 도레 수족관에 있는 서아프리카가비알악어
상태CR (위급)
상태 기준IUCN 3.1
CITES부록 I
긴코악어속 (Mecistops)
긴코악어 (M. cataphractus)
학명Mecistops cataphractus
학명 명명자(Cuvier, 1825)
이명Crocodylus cataphractus Cuvier, 1825
Mecistops bennettii Gray, 1844
분포
긴코악어 분포
긴코악어의 분포 (초록색)
생물학적 정보
화석 범위마이오세 – 최근

2. 어원

속명 ''Mecistops''는 "가장 긴"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 μήκιστ(mēkist)와 "외관"을 의미하는 ὄψις(ópsis)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종명 ''cataphractus''는 "갑옷을 입은" 또는 "보호된"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κατάφρακτος(katáphraktos)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5]

3. 형태

긴코악어는 근연종인 서아프리카가늘코악어와 마찬가지로 물고기와 작은 수생 무척추동물을 잡는 데 사용하는 매우 길고 가느다란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7] 모든 악어류와 마찬가지로, 더 큰 동물은 기회가 되면 더 큰 먹이를 잡아먹을 수 있다.[7] 이들은 비교적 중간 크기이지만, 큰 수컷은 다른 몇몇 악어류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세 개체의 물기 힘은 1704N에서 2447N 범위였다.[8] 성체 수컷은 일반적으로 3m에서 4m 사이의 길이를 가진다.[9][10] 큰 수컷은 최대 4.5m까지 자랄 수 있다고 한다.[11] 일반적으로 무게는 125kg에서 325kg 사이이다.[12] 가장 큰 수컷의 체중은 최대 667kg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3]

4. 분포 및 서식지

서아프리카긴코악어는 서아프리카(베냉, 부르키나파소, 남부 세네갈, 감비아, 가나, 기니, 기니비사우, 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 남부 말리, 나이지리아, 시에라리온, 토고)에 널리 분포하며, 중앙아프리카의 카메룬까지 서식한다.[14] 이들은 인간 정착지에서 멀리 떨어진, 밀생된 수생 식물이 있는 곳에 서식하는 것을 선호한다.[14] 현재는 드론 감시[18]와 미리 녹음된 소리를 사용하여 그들의 분포를 모니터링하고 있다.[19]

5. 보존 상태

이 종은 야생 개체군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어 비교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1996년 IUCN에 의해 자료 부족으로 평가되었다. 2014년 검토 결과, 심각한 위기종으로 변경되었으며, 여기에는 중앙 아프리카와 서 아프리카 종이 모두 포함된다.[2] 개체수 감소는 서식지 손실, 사냥, 먹이 고갈,[14] 그리고 부시미트 시장을 통한 불법 소비로 인한 것으로 여겨진다.[15] 이 종은 이전에 존재했던 여러 국가에서 완전히 지역 멸종된 것으로 보이며 다른 지역에서도 감소했다.[2] 최근 보존 노력으로는 프로젝트 포 가비알(project faux gavial)이 가늘코악어의 사냥과 거래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5] 원산지에서는 극도로 희귀하며 멸종 직전에 놓여 있다.[6] 가늘코악어의 주요 서식지 중 하나인 가나에는 이 종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 야생 동물 보호 구역이 시행되었지만, 대체로 효과가 없었다.[14] 2015년 연구에서 미국 동물원 6곳(AZA 동물원에 있는 가늘코악어의 50% 이상)의 사육 가늘코악어 24마리를 포함한 결과, 모두 서아프리카 기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 종의 보존에 사육이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16] 현재 아비장 동물원에서 사육을 하고 있으며, 이미 3~4세 정도가 되면 사육 개체를 방사하기 시작했다.[17]

참조

[1]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of a new morphological dataset elucidates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rocodylia and resolves the long-standing gharial problem 2021-09-06
[2] 간행물 Mecistops cataphractus 2021-11-19
[3]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4] 논문 A giant crocodile from the Plio-Pleistocene of Kenya,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Neogene African crocodylines, and the antiquity of Crocodylus in Africa
[5] 논문 Systematic revision of the living African Slender-snouted Crocodiles (Mecistops Gray, 1844) https://biotaxa.org/[...] 2018-10-24
[6] 논문 Rigorous approaches to species delimitation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African crocodilian systematics and conservation
[7] 웹사이트 Crocodilian Species - Slender-snouted Crocodile (Mecistops cataphractus, Crocodylus cataphractus) https://crocodilian.[...]
[8] 논문 Insights into the Ecology and Evolutionary Success of Crocodilians Revealed through Bite-Force and Tooth-Pressure Experimentation 2012-03-14
[9] 웹사이트 Slender-snouted Crocodile {{!}} San Diego Zoo Animals & Plants https://animals.sand[...]
[10] 웹사이트 West African Slender-snouted Crocodile http://www.edgeofexi[...]
[11] 서적 Interspecific variation in tracks and trackways from extant crocodylians https://www.research[...]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Bulletin 2010
[12] 웹사이트 African Slender-snouted Crocodile https://www.maryland[...]
[13] 서적 Quantitative studies in green and conservation criminology : the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harm and crim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9
[14] 문서 Amoah et al. A Survival Blueprint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West African slender-snouted crocodile, Mecistops cataphractus in the Jimi River (Obuasi) and Tano River (Tanoso), Ghana. An output from the EDGE of Existence fellowship,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2019.
[15] 문서 Arrowood, H., & Mvele, C. (2017). Projet Faux Gavial reduces commerce of slender-snouted crocodile in Gabon. Oryx, 51(1), 13-14. doi:10.1017/S003060531600140X
[16] 논문 Genetic barcoding facilitates captive and wild management of three cryptic African crocodile species complexes
[17] 논문 HEALTH SURVEY INCLUDING SELECTED BLOOD PARAMETERS IN THE AFRICAN SLENDER SNOUTED CROCODILE (MECISTOPS CATAPHRACTUS) AT THE ABIDJAN ZOO IN CÔTE D'IVOIRE https://www.jstor.or[...] 2017
[18] 논문 Evaluation of the use of drones to monitor a diverse crocodylian assemblage in West Africa https://www.publish.[...] 2021-06-17
[19] 학위논문 Acoustic Communication of Rare and Threatened Crocodilians and Its Use for Population Monitoring https://www.proquest[...] University of Bristol (United Kingdom)
[20] 문서 McAliley, Willis, Ray, White, Brochu & Densmore (2006). Are crocodiles really monophyletic?—Evidence for subdivisions from sequence and morphological data.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39: 16–32.
[21] 저널 A New Horned Crocodile from the Plio-Pleistocene Hominid Sites at Olduvai Gorge, Tanzania
[22] 저널 A phylogenetic hypothesis for Crocodylus (Crocodylia) based on mitochondrial DNA: Evidence for a trans-Atlantic voyage from Africa to the New World
[23] 저널 A giant crocodile from the Plio-Pleistocene of Kenya,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Neogene African crocodylines, and the antiquity of Crocodylus in Africa
[24] 저널 Rigorous approaches to species delimitation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African crocodilian systematics and conserv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