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린 (디자이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린은 대한민국의 디자이너로, 디자인그룹메카, 이화여자대학교 색채디자인연구소 등에서 활동했으며, 1인 출판사 서울할머니를 운영했다. 현재 동양미래대학교 시각디자인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여성 디자이너 정책 연구 모임(WOO) 대표를 역임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한국, 여성, 그래픽 디자이너 11》 기획, 여성 디자이너들의 작업을 조명하는 전시 《W쇼-그래픽 디자이너 리스트》 참여, 페미니즘 도서를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 '책장 동기화하기' 등이 있다. 또한, 디자인 관련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그래픽 디자이너 - 민희진
민희진은 SM엔터테인먼트에서 다수 아이돌 그룹의 비주얼 브랜딩을 총괄하며 '콘셉트 장인'으로 불렸고, 이후 하이브 자회사 어도어를 설립하여 뉴진스를 데뷔시켰으나, 하이브와의 경영권 분쟁과 여러 논란 끝에 어도어 대표직에서 해임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이자 기업인이다. - 대한민국의 그래픽 디자이너 - 조영제 (디자이너)
조영제는 1935년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를 졸업하고 모교 교수로 36년간 재직하며 한국 디자인 교육과 발전에 기여했으며, OB맥주 레이블 리뉴얼, 제일모직, 신세계백화점 등의 CI 디자인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1988 서울 올림픽 디자인을 총괄하며 한국 디자인계의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디자이너 - 손혜원
손혜원은 대한민국의 디자이너이자 정치인으로, 크로스포인트를 공동 설립하여 '처음처럼', '참이슬' 등 유명 브랜드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나전칠기 수집가로서 전통 공예 현대화에 힘썼고,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부동산 투기 의혹 등으로 더불어민주당을 탈당 후 열린민주당을 거쳐 녹색당 창당에 참여했다. - 대한민국의 디자이너 - 석금호
석금호는 한국 타이포그래피 전문가이자 산돌의 설립자로, 다수의 폰트 개발과 한글티움 설립 등 한국 폰트 산업 발전과 한글 문화 확산에 기여했다.
| 김린 (디자이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김린 |
| 한자 표기 | 金璘 |
| 영문 표기 | Lynn Kim |
| 출생일 | 1982년 2월 25일 |
| 출생지 | 대한민국 |
| 국적 | 대한민국 |
| 직업 | |
| 직업 | 그래픽 디자이너, 교수 |
| 소속 | 동양미래대학교 |
| 학력 | |
|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학부 박사 런던예술대학교(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Camberwell College of Art) 그래픽디자인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시각디자인 학사 |
2. 학력 및 경력
김린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서 "한국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와 프랙티스 분석: 1990-2018"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2017년부터 동양미래대학교 시각디자인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같은 해 여성 디자이너 정책 연구 모임 (WOO) 대표를 역임했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는 1인 출판사 겸 디자인 스튜디오 서울할머니를 운영했다.
2. 1.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박사 (논문: 한국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와 프랙티스 분석: 1990-2018)[1]2. 2. 경력
| 연도 | 경력 |
|---|---|
| 2017년~현재 | 동양미래대학교 시각디자인과 부교수 |
| 2017년 | 여성 디자이너 정책 연구 모임 (WOO) 대표 |
| 2013년~2017년 | 1인 출판사 겸 디자인 스튜디오 서울할머니 운영 |
| 2011년~2015년 | 홍윤지 디자이너와 더썸띵북(The Something Book) 공동 출판 활동 |
| 2010년~2011년 | 이화여자대학교 색채디자인연구소 디자이너 |
| 2008년~2009년 | 디자인그룹메카 디자이너 |
김린은 6699프레스의 이재영과 함께 《한국, 여성, 그래픽 디자이너 11》을 공동 기획하고,[1] 여성 디자이너 정책 연구 모임 (WOO)의 대표를 맡는 등[3][2] 여성 그래픽 디자이너의 활동을 지원하고 তাদের 업적을 조명하는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2017년부터 2018년까지 SeMA 창고에서 열린 《W쇼-그래픽 디자이너 리스트》 전시에 참여했으며,[3] 2018년부터는 페미니즘 도서를 중심으로 한 '책장 동기화하기'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운영하고 있다.[4]
3. 주요 디자인 활동
3. 1. 《한국, 여성, 그래픽 디자이너 11》 (2016)
《한국, 여성, 그래픽 디자이너 11》은 6699프레스의 이재영과 김린이 공동 기획한 책이다.[1] 11명의 여성 그래픽 디자이너와 그들이 초대한 디자이너들의 대화를 담았다. 20대부터 5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 여성 디자이너들의 삶과 작업을 조명하며, 디자인계 내 성 불평등 문제를 드러냈다. 참여 디자이너는 최슬기, 워크스, 전가경, 이나미, 김소미, 박수진, 유연주, 박연미, 구자은, 김영나, 신해옥, 양상미, 맛깔손, 이정혜, 우유니게, 오진경, 이재원, 오새날, 안지미, 김현미, 유지원, 박연주이다.
3. 2. 여성 디자이너 정책 연구 모임 (WOO) (2017)
김린은 여성 디자이너 정책 연구 모임 (WOO)의 대표였다. 여성 디자이너 정책 연구 모임 (WOO)은 2016년 11월 27일 문화예술계 내에서 수면 위로 떠오른 젠더 문제에 대응하고 여성들이 본인의 역량을 펼치며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1년의 시간을 두고 생성된 모임이다.[3][2] 《한국, 여성, 그래픽 디자이너 11》 멤버들을 중심으로 기획되었으며, 2017년 5월 20일 탈영역 우정국에서 첫 번째 대외 행사인 ‘WOO WHO: Women Talk Graphic Design’을 개최하여 여성 디자이너들의 작업을 조명하고 여성 디자이너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강연을 진행하였다. 2017년 12월 SeMA 창고에서 진행된 ‘여성’과 ‘그래픽 디자인’에 관한 전시 《W쇼-그래픽 디자이너 리스트》의 전시 도록 출간 기념회(2017년 12월 29일)를 끝으로 활동을 종료했다.
3. 3. 《W쇼-그래픽 디자이너 리스트》 (2017-2018)
《W쇼-그래픽 디자이너 리스트》는 ‘여성’과 ‘그래픽 디자인’을 주제로 한 전시이다. 지난 30여 년간 중요한 성취를 거둔 여성 디자이너의 작업을 되돌아보고, 성취에 비해 알려지지 않은 여성 디자이너의 활동을 재조명하는 전시다.[3] 남성 중심 사회에 의해 가려진 여성들의 업적을 재조명하는 이 전시는 2017년 12월 8일부터 2018년 1월 12일까지 SeMA 창고에서 진행되었다. 박연주, 박이랑 등 91명의 여성 그래픽 디자이너가 참여하였으며, 김린이 대표인 여성 디자이너 정책 모임 우(WOO)의 스터디 그룹 ‘우! 스쿨(WOO SCHOOL)’의 페미니즘 도서 열람 프로젝트가 함께 진행되었다.
3. 4. 책장 동기화하기 (2018~)
책장 동기화하기는 김린이 2018년에 기획한 프로젝트이다. 여성 디자이너 정책 연구 모임 내 스터디팀 ‘우!스쿨’이 기획한 ‘우! 북 클럽 WOO! BOOK CLUB’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으며, 페미니즘 도서 120여 권을 모아 작은 서재 겸 열람실을 만들었다. 이후 《W쇼-그래픽 디자이너 리스트》에 한 달간 전시되었다.[4] 전시 종료 후에는 홍대에 위치한 whatreallymatters(마포디자인출판지원센터)에서 공간과 비용을 지원받아 '책장 동기화하기'를 기획했다.[4]
책장에는 바퀴가 달려 이동이 가능한 형식으로, 원하는 곳이 있으면 출장을 간다.[4] 페미니즘과 디자인을 키워드로 선별한 200여 권의 책을 열람할 수 있으며, 대구 영남대학교, 파주타이포그라피학교, 황두진건축사사무소 등 6곳에서 워크숍을 진행했다.[4] 출장을 가지 않을 때는 wrm.에서 책장을 볼 수 있다.[4] 2021년에는 ‘책장 동기화하기’ 토크 연계형 워크숍: 읽고×디자인하기 READ×DESIGN〉을 주최하여 교차성 페미니즘, LGBTQ, 장애가 교차하는 지점을 탐구하는 토크와 워크숍을 열었다.[4]
4. 저술 및 강연
김린은 디자인계 내 페미니즘 관련 활동을 하며, 이에 대한 기록을 여러 매체의 기고문과 연구 논문으로 남겼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한국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와 프랙티스 분석: 1990-2018’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2017년 여성문화예술연합에서 '문화예술계 성폭력의 특수성'(성폭력 피해자 지원시설 종사자 대상 교육) 강연을 진행했다.[1] 같은 해 김린, 김소미, 박신우, 박이랑, 김민정, 권아주, 이유진, 정희연, 신인아가 함께 'WOOWHO' ("Women Talk Graphic Design" 강연)을 진행했다.[2] 2019년 황두진건축사무소에서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의 계보 동기화하기'(2019년 영추포럼 대주제 "온다!" 시리즈 #2) 강연을 진행했다.[3] 2021년에는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문과 특강에서 '일상 속 타이포그래피',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 전공 시각디자인현장이슈 특강에서 '디자인과 여성',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Graphic Design and Feminism in Korea After 2016'(Modernization and Design: A South Korean Case Study),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학부 대학원 특강에서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 강연을 진행했다.[4]
4. 1. 저술
김린은 디자인계 내 페미니즘 관련 활동을 하며 이에 대한 기록을 여러 매체의 기고문과 연구 논문으로 남겼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한국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와 프랙티스 분석: 1990-2018’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제목 | 발행처 | 발행년도 |
|---|---|---|
| 〈텍스트를 구출하라〉 | 《글짜씨》,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 2015 |
| 〈그래픽 디자인 업계 종사자들에게 묻습니다〉 | 월간 《디자인》, 디자인하우스 | 2016 |
| 〈서울단상사용법〉 | 월간 《문화, 서울》, 서울문화재단 | 2016 |
| 〈그 많던 디자인과 여학생들은 어디로 갔을까〉 | 《여성신문》 | 2017 |
| 〈지금, 한국 디자인계는 균형을 바로잡는 중〉 | 월간 《디자인》, 디자인하우스 | 2017 |
| 〈제2의 글리프, 해시태그, #〉 | 계간 타이포그래피 저널 《the T》 | 2017 |
| 〈[37호] 조금은 불편하고 때로는 아름답지 않은, 도시의 해부학도판〉 | 문화연대 웹진 《문화빵》 15호 | 2018 |
| 〈페미니스트이기를 주저하는 디자이너들에게〉 | 《세상을 바꾼 벽보: 녹색당 신지예와 선거 포스터》, 프로파간다 | 2018 |
| 〈Open Recent Gujo Dopyo〉 | 《Open Recent Graphic Design 2018》, 프레스룸 | 2018 |
| 〈[지금 여기 그리스도인 들여다보기(1)] 딸들의 언어로 새 기독교를 말하다〉 | 《새가정》 2018년 1월호(제65권 통권 제706호) | 2018 |
| 〈[지금 여기 그리스도인 들여다보기(2)] 말씀으로 해석되는 ‘과거의 오늘’ 타임라인〉 | 《새가정》 2018년 1월호(제65권 통권 제707호) | 2018 |
| 〈[지금 여기 그리스도인 들여다보기(3)] 광고를 보며 기도합니다〉 | 《새가정》 2018년 1월호(제65권 통권 제708호) | 2018 |
| 〈[지금 여기 그리스도인 들여다보기(4)] 엮고 모은 조각의 틈〉 | 《새가정》 2018년 2월호(제65권 통권 제707호) | 2018 |
| 〈[지금 여기 그리스도인 들여다보기(5)] 규칙과 힌트] 매끈한 교회 VS 투명한 교회〉 | 《새가정》 2018년 1월호(제65권 통권 제709호) | 2018 |
| 〈[지금 여기 그리스도인 들여다보기(6)] 매끈한 교회 VS 투명한 교회〉 | 《새가정》 2018년 2월호(제65권 통권 제710호) | 2018 |
| 〈[지금 여기 그리스도인 들여다보기(7)] 아빠육아〉 | 《새가정》 2018년 1월호(제65권 통권 제711호) | 2018 |
| 〈[지금 여기 그리스도인 들여다보기(8)] 걸어보지 못한 길을 다시 걷게 된다면〉 | 《새가정》 2018년 2월호(제65권 통권 제713호) | 2018 |
| 〈[지금 여기 그리스도인 들여다보기(9)] 아이의 물욕에 ‘바운더리’를〉 | 《새가정》 2018년 1월호(제65권 통권 제714호) | 2018 |
| 〈[지금 여기 그리스도인 들여다보기(10)] 책장 동기화하기〉 | 《새가정》 2018년 1월호(제65권 통권 제715호) | 2018 |
| 〈[지금 여기 그리스도인 들여다보기(11)] 사회적 모성과 밈〉 | 《새가정》 2018년 12월호(제65권 통권 제716호) | 2018 |
| 〈연대: 동일시를 넘어〉 | 디자인하우스 (월간 《디자인》, 2021년 4월호) | 2021 |
4. 2. 강연
- 2017년 여성문화예술연합에서 '문화예술계 성폭력의 특수성'(성폭력 피해자 지원시설 종사자 대상 교육) 강연을 진행했다.[1]
- 2017년 김린, 김소미, 박신우, 박이랑, 김민정, 권아주, 이유진, 정희연, 신인아가 함께 'WOOWHO' ("Women Talk Graphic Design" 강연)을 진행했다.[2]
- 2019년 황두진건축사무소에서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의 계보 동기화하기'(2019년 영추포럼 대주제 "온다!" 시리즈 #2) 강연을 진행했다.[3]
- 2021년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문과 특강에서 '일상 속 타이포그래피' 강연을 진행했다.[4]
- 2021년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 전공 시각디자인현장이슈 특강에서 '디자인과 여성' 강연을 진행했다.
- 2021년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Graphic Design and Feminism in Korea After 2016'(Modernization and Design: A South Korean Case Study) 강연을 진행했다.
- 2021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학부 대학원 특강에서 '페미니스트 디자인 연구' 강연을 진행했다.
5. 전시
김린은 개인전 및 그룹전을 통해 다양한 작품을 선보였다. 2016년 6월에는 땡스북스에서 개인전 《팝니다, 드립니다, 대여합니다》를 열었다.[1]
| 연도 | 전시명 | 장소 |
|---|---|---|
| 2012 | UAL, 캠버웰 칼리지 오브 아트 | |
| 2015 | <서울할머니> | KCDF 갤러리 |
| 2016 | 구하 갤러리 | |
| 2016 | <서울 누빔 지도> | 서울문화재단 |
| 2016 | <한 잔의 서울> | 갤러리 플라스크 |
| 2017 | 영어> | Gallery O |
| 2020 | <쏜살문고 북디자인 프로젝트> | DDP |
| 2021 | <오늘의 명언> | 마루아트센터 |
5. 1. 개인전
2016년 6월 22일부터 6월 30일까지 마포구에 위치한 땡스북스에서 개인전 《팝니다, 드립니다, 대여합니다》를 선보였다.[1] 이 작업은 이후 《W쇼-그래픽 디자이너 리스트》에서 다시 한번 발표했다.[1] 《팝니다, 드립니다, 대여합니다》는 사물에 관한 이야기를 매개로 물건을 낙점할 인물을 공개 모집하고, 낙점자는 자신의 이야기를 지불하고 거래하는 방식이다.[1] 전시가 끝날 때 사물을 포함한 전시장 파티션과 그래픽 포스터들은 새 주인을 찾아 사라졌다.[1]5. 2. 그룹전
| 연도 | 전시명 | 장소 |
|---|---|---|
| 2012 | UAL, 캠버웰 칼리지 오브 아트 | |
| 2015 | <서울할머니> | KCDF 갤러리 |
| 2016 | 구하 갤러리 | |
| 2016 | <서울 누빔 지도> | 서울문화재단 |
| 2016 | <한 잔의 서울> | 갤러리 플라스크 |
| 2017 | 영어> | Gallery O |
| 2020 | <쏜살문고 북디자인 프로젝트> | DDP |
| 2021 | <오늘의 명언> | 마루아트센터 |
6. 기타 활동
김린은 도서 출판 분야에서 다양한 기획, 편집, 디자인 활동을 펼쳤다.
| 구분 | 내용 |
|---|---|
| 출판 기획 | |
| 편집 | |
| 디자인 |
참조
[1]
간행물
"<한국, 여성, 그래픽 디자이너 11>에 관한 수다 혹은 대화"
http://mdesign.desig[...]
월간디자인
2017-02
[2]
뉴스
"[디자인 북 리뷰] 여성 디자이너들의 연대, WOOWHO"
https://magazine.not[...]
노트폴리오 매거진
2018-04-30
[3]
웹인용
W쇼
http://www.womennews[...]
2021-11-12
[4]
웹사이트
whatreallymatters
http://wrmatters.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