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시립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시립대학교는 1918년 경성공립농업학교로 개교하여, 여러 차례 교명 변경과 종합대학 승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된 대한민국의 시립대학교이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위치하며, 도시과학 분야 특성화 대학으로 발전해왔다.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등록금 반값 정책 시행으로 교육 경쟁력을 높였다. 사회봉사, 서울시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 사회에 기여하며, 다양한 국내외 평가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시립대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은 근현대사, 고미술, 학교사 관련 유물 전시와 특별 기획전을 통해 서울의 역사와 문화를 조명하며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내에 위치하고 관람료는 무료이다.
  • 서울시립대학교 - 서울시립대광장
    서울시립대광장은 서울시립대학교 학생들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로, 다양한 게시판과 기능을 통해 학교 관련 정보 공유 및 소통을 지원한다.
  • 서울 동대문구의 학교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학원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통합 및 분리 독립 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갖춘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 서울 동대문구의 학교 - 경희사이버대학교
    경희사이버대학교는 2001년 경희대학교 시스템에서 설립된 온라인 교육기관으로, 여러 학부·학과와 대학원을 운영하며 다양한 부속 기관 및 해외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폭넓은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많은 연예인들이 재학하거나 졸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서울총장포럼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는 1906년 명진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며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하고 특성화된 학과와 부속 기관을 갖춘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서울총장포럼 -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는 1946년 설립된 조선정치학관을 모체로 하여 1959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서울과 충주에 캠퍼스를 두고 13개 학부와 13개 대학원, 7개 학부와 4개 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 혁신을 위해 노력한다.
서울시립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서울시립대학교
로마자 표기Seoul Sirip Daehakgyo
한자 표기서울市立大學校
영어 표기University of Seoul
약칭시립대 (Siripdae)
모토진리·창조·봉사 (眞理·創造·奉仕)
모토 (영어)Truth, Creation, Public Service
설립일1918년 5월 1일
학교 종류공립
설립자서울특별시
총장원용걸
위치서울특별시
국가대한민국
캠퍼스도심 (66.87 에이커)
교색파란색
마스코트
교훈의리
상징장산곶매, 개나리꽃
소속AALAU
웹사이트영문 웹사이트
학교 현황 (2022년)
교수진448명
행정 직원265명
전체 학생 수11,613명
학부생8,674명
대학원생2,939명
학교 현황 (2019년 4월 1일)
전체 학생 수11,764명
학부생9,059명
대학원생2,705명
교직원 수523명
대학 정보
학부법정대학, 경상대학, 공과대학, 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도시과학대학, 예체능대학
대학원일반대학원, 세무대학원, 도시과학대학원, 경영대학원, 교육대학원, 디자인대학원, 산업대학원
규모학부 7개, 학과 28개, 대학원 전공 97개
기타 정보
학술 제휴OCUC

2. 역사

경농관


서울시립대학교는 1918년 5월 1일 경성공립농업학교로 설립되어, 1987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 1937년 4월 - 현재의 전농동 캠퍼스로 이전.
  • 1950년 6월 - 서울농업초급대학 설립 인가. 한국 전쟁 발발로 일시 휴교.
  • 1954년 4월 - 2년제 서울농업초급대학 개교.
  • 1975년 1월 - 서울시교육위원회에서 서울특별시로 이관.
  • 1982년 3월 - 도시행정대학원 설치.

2. 1. 일제강점기

1918년 5월 1일 '''경성공립농업학교'''로 개교하였다.[15] 1937년 4월 현재의 전농동 캠퍼스로 이전하였다.

2. 2. 해방 이후


  • 1956년: 서울농업대학(4년제 정규 일반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5]
  • 1973년: 정부의 전국 수의학과 통·폐합 정책에 따라 수의학과가 폐과되었다.[15]
  • 1974년: 서울특별시 정책에 따라 도시 관련 학과와 공학 계열 학과 위주로 개편되면서 공학과 도시학에 중점을 둔 서울산업대학(일반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5]
  • 1981년: 서울시립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 1987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 1996년: 도시과학대학을 설립하였다.
  • 1997년: 영문교명을 The University of Seoul로 변경하고, 교육인적자원부에 의해 도시과특성화대학에 선정되었다.
  • 1998년: 도시과학연구소를 설립하였다.
  • 2003년, 2004년: 교육인적자원부에 의해 도시과학 특성화 대학에 선정되었다.
  • 2009년: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을 개원하였다.
  • 2013년: 국제도시과학대학원을 개원하였다.
  • 2018년: 대한민국 최초 공공의료 보건전문대학원인 도시보건대학원을 설립하였다.
  • 2019년: 5월 개교 100주년 기념관을 건립하였다.
  • 2020년: 서울시립대 서울 제 2 캠퍼스 건립안이 확정되었다.
  • 2020년: 인공지능학과, 융합응용화학과를 신설하였다.
  • 2020년 6월: 「도시 과학 빅데이터‧AI연구소」를 설립하였다.
  • 2012년: 박원순 서울특별시장은 취임 직후 공약이었던 '등록금 반값' 정책을 서울시립대학교부터 시행하여 다른 대학교들의 등록금 인하를 유도하였다.[2]
  • 2013년: 당시 서울시립대학교의 학기당 등록금은 915USD에서 1441USD였다.(1년 2학기, 2013년 환율 1,117.3원/달러) 높은 교육 수준과 저렴한 등록금으로 인해 서울시립대학교의 입시 경쟁률은 더욱 높아졌다.[3]

3. 캠퍼스

서울시립대학교는 교정이 아름다워 드라마, 영화, 광고 촬영지로 자주 이용된다.[16] 캠퍼스에는 1988년 개교 70주년을 기념하여 건립된 장산곶매 동문탑과 2010년 세워진 시대탑 등 상징적인 조형물도 있다.[19]

3. 1. 위치 및 시설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에 있다.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에서 정문까지의 거리는 약 1km이고 회기역에서 후문까지의 거리는 약 800m이다. 후문쪽 길은 주택가를 통과해 복잡한 편이다. 서울 지하철 5호선 마장역에서 버스를 이용하면 12~13분 내외로 올 수 있다. 캠퍼스 크기는 약 426799m2로 서울 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대학들 중에서도 큰 규모를 자랑한다. 시설로는 대운동장, 하늘못(연못), 자동화 온실, 국내 최고 수준의 실내 테니스장을 비롯한 여러 실내체육관, 최근 건립된 국내 최고 수준의 음향 시설을 갖춘 음악관 등이 있다. 주요 건물로는 과학기술관, 본관, 제1공학관, 제2공학관, 배봉관, 미래관, 중앙도서관, 생활관, 국제학사, 인문학관, 정보기술관, 학생회관, 대강당, 자연과학관, 21세기관, 박물관, 전농관, 건설공학관, 조형관, 음악학관, 법학관, 종합교육연구동, 100주년 기념관 등이 있다. 교정 동쪽에 배봉산이 있다.

서울시립대학교 '시대탑'


교정이 아름답기로 유명해 드라마와 영화, 광고 등의 촬영 장소로도 각광을 받는다.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지금은 연애중》, 《여름향기》, 《사랑해, 울지마》, 《마이 프린세스》, 《첫사랑》, 《젊은이의 양지》, 《》, 《내일은 사랑》, 《3일의 약속》, 《연애소설》, 《국화꽃 향기》, 《번지점프를 하다》, 《선재업고튀어》 등 이루 셀 수 없이 많은 영화와 드라마들이 서울시립대에서 촬영되었다.

서울시립대학교 '동문탑'


장산곶매 동문탑은 1988년 개교 70주년을 기념해 총동창회가 1.55억의 동문 성금으로 건립했다. 장산곶매는 1989년 10월 설문조사를 통해 선정된 상징 동물이다. 장산곶매를 받치고 있는 탑의 전체적인 모습은 연필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배움을 상징한다. 1937년 건립된 교문은 폭이 6m였고, 1991년 개축한 교문은 기둥 2개, 문 3개 형태로 폭은 23m였다. 교문은 서울 시민들에게 열린 대학이라는 의미로 개방형으로 바뀌었으며 2010년 12월 9일 정문 진입로에 시대탑이 세워졌다. 시대탑은 서울의 ㅅ, 사람 人을 형상화했고, 걷는 모양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고 끊임없이 발전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19]

3. 2. 건물 번호

번호건물명번호건물명번호건물명
1전농관2제1공학관3건설공학관
4창공관5인문학관6배봉관
7대학본부8자연과학관9 
10경농관11제2공학관12학생회관
13학군단14과학기술관1521세기관
16조형관17 18자작마루
19정보기술관20법학관21중앙도서관
22생활관23건축구조실험동24토목구조실험동
25미디어관26 27대강당
28운동장29박물관30정문
31후문32웰니스센터33미래관
34국제학사35음악관36어린이집
37100주년 기념관41테니스장81자동화온실


3. 3. 촬영 명소

서울시립대학교 교정은 아름답기로 유명하여 드라마, 영화, 광고 등의 촬영 장소로도 각광받는다.[16]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지금은 연애중》, 《여름향기》, 《사랑해, 울지마》, 《마이 프린세스》, 《첫사랑》, 《젊은이의 양지》, 《》, 《내일은 사랑》, 《3일의 약속》, 《연애소설》, 《국화꽃 향기》, 《번지점프를 하다》, 《선재업고튀어》 등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가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촬영되었다.

3. 4. 상징물



1988년 개교 70주년을 기념해 총동창회가 1.5억의 동문 성금으로 장산곶매 동문탑을 건립했다. 장산곶매는 1989년 10월 설문조사를 통해 선정된 상징 동물이다. 장산곶매를 받치고 있는 탑의 전체적인 모습은 연필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배움을 상징한다.[17] 1937년 건립된 교문은 폭이 6m였고, 1991년 개축한 교문은 기둥 2개, 문 3개 형태로 폭은 23m였다.[18] 교문은 서울 시민들에게 열린 대학이라는 의미로 개방형으로 바뀌었으며 2010년 12월 9일 정문 진입로에 시대탑이 세워졌다. 시대탑은 서울의 ㅅ, 사람 人을 형상화했고, 걷는 모양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고 끊임없이 발전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19]

4. 학과 및 대학원

2011년 기준으로 서울시립대학교에는 학부와 대학원 과정이 모두 개설되어 있었다. 학부에는 정경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 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도시과학대학, 예술체육대학, 자유전공학부가 있었고, 대학원에는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세무전문대학원, 디자인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도시과학대학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경영대학원, 산업대학원, 교육대학원)이 있었다.

2012년 서울시립대학교의 사회 봉사 활동 참여자 수는 3,105명이었으며, 이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4][5] 같은 해 신입생 등록률은 96%였고, 자퇴율은 0.97%로 서울의 다른 대학교들과 비교했을 때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6]

4. 1. 학부

2011년 기준으로 정경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 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도시과학대학, 예술체육대학, 자유전공학부, 총 8개의 단과대학 학부 과정이 개설되어 있었다. 2024년 기준으로는 1개의 독립학부가 설치되어 있다.

학부학과
정경대학행정학과, 국제관계학과, 경제학과, 사회복지학과, 세무학과
경영대학경영학부
공과대학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화학공학과, 기계정보공학과, 신소재공학과, 토목공학과, 컴퓨터과학부, 인공지능학과
인문대학영어영문학과, 국어국문학과, 국사학과, 철학과, 중국어문화학과
자연과학대학환경원예학과, 통계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생명과학과, 융합응용화학과
도시과학대학도시행정학과, 도시사회학과, 건축학부(건축공학과, 건축학과), 도시공학과, 교통공학과, 조경학과, 환경공학부, 공간정보공학과
예술체육대학음악학과, 산업디자인학과, 환경조각학과, 스포츠과학과
기타교양학부, 융합학부, 교양교육학부




4. 2. 대학원

2011년 기준으로 일반대학원에는 석사학위과정 33개 학과와 박사학위과정 30개 학과가 개설되어 있었고, 5개의 특수대학원(도시과학대학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경영대학원, 교육대학원, 산업대학원)과 3개의 전문대학원(세무전문대학원, 디자인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이 개설되어 있었다.

이후 석사과정 40개, 박사과정 37개의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특수 대학원이 있다.

  • 세무학과 대학원
  • 디자인대학원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도시과학대학원
  • 경영대학원
  • 과학기술대학원
  • 교육대학원
  • 국제도시과학대학원
  • 도시보건대학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은 2009년 설립되어 한국의 초기 법학전문대학원 중 하나이며,[7] 3년제 J.D. 프로그램의 각 학년에 약 50명의 학생이 재학하는 비교적 소규모 대학원이다.

5. 연구소

서울시립대학교에는 다음과 같은 연구소가 있다.


  • 도시과학연구원
  • 산업경영연구소
  • 법학연구소
  • 사회과학연구소
  • 도시인문학연구소
  • 산업기술연구소
  • 정보기술연구소
  • 자연과학연구소
  • 서울학연구소
  • 반부패시스템연구소
  • 도시방재안전연구소
  • 조세재정연구소
  • 양자정보처리연구단
  • 서울녹색환경지원센터
  • 법률행정연구소
  • 인문과학연구소
  • 전자정부연구소
  • 지방세연구소

6. 부속 기관

서울시립대학교 박물관


국제교육원은 어학연수, 교환학생, 국제여름학교, 선진도시탐방, 글로벌인턴십 프로그램 등을 주관하고 학생들이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곳이다. 학생들의 외국어 실습을 위해 인문학관 부속 건물에서 S카페와 어학실습실을 운영하고 있다. 교내 어학 강좌로 YBM 시사영어사의 영어, 중국어, 일본어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시립대학교종합사회복지관은 서울 중랑구 신내동 영구임대단지 지역에서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가 수탁 운영하며, 지역사회 복지 구현을 목표로 한다.

박물관은 1984년 9월 4일 개관하여 문화유산을 조사, 수집, 보관하고,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지원하며, 문화 감상의 기회를 제공한다. 각종 근현대사 자료를 소장, 전시하고 있으며, 관람료는 무료이고 평일과 토요일에 개방한다.[1]

7. 학생 활동

서울시립대학교는 서울시의 지원을 받는 국립대학교로서, 학생들은 사회 봉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있다. 2012년에는 3,105명의 학생이 사회 봉사 활동에 참여했으며, 이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4][5] 학생 만족도는 높은 편이며, 신입생 등록률은 96%, 자퇴율은 0.97%로 매우 낮다.[6]

7. 1. 학생회

학생회관


총학생회는 재학생들의 투표로 선출되는 중앙학생자치기구이다. 학생총회, 대동제, 전농문화체전, 농활, 새내기 새로배움터, 봉사활동 등을 주최한다. 단과대와 학과에도 학생회가 있고, 학과 행사를 여는 역할을 한다. 총학생회는 1956년 4년제 대학이 된 이후 시작되었다. 1975년 학생회가 폐지되고 학장을 단장으로 하는 학도 호국단이 창설됐다. 학도호국단은 각 학년을 중대로, 각 학과를 소대로 편성하고 안보 교육과 군사 훈련을 하는 군대식 조직이었다. 1980년 3월 학생 대표들은 ‘학생회 부활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4월 15일 총학생회 선거를 실시했지만 신군부의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로 보름 만에 해산됐다. 1985년 2월 문교부가 학도 호국단 폐지를 결정하면서 4월 11일 총학생회 선거가 실시됐고 제21대 총학생회가 10년 만에 건설됐다.[24] 역대 총학생회는 2008년 제44대 Change Up, 2009년 제45대 시대공감, 2010년 제46대 2010 총학생회 등이 있었다. 제46대 2010 총학생회는 아이티 지진 피해 복구 모금, 남아공 월드컵 응원 콘서트, 6월 지방 선거 부재자 투표소 설치 등을 이끌었다.[25][26] 2011년 제47대 동고동락 총학생회는 서울시의 등록금 부당 사용을 비판했고,[27] 학생총회에서 국공립대 법인화 반대를 의결했다.[28]

7. 2. 동아리

서울시립대학교의 중앙동아리는 학과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동아리연합회라는 학생자치기구를 구성한다. 중앙동아리는 공연, 학술사회, 학술인문, 체육, 교양문화, 종교의 6개 분과로 나뉘며, 2009년 기준으로 49개가 있다. 중앙동아리실은 학생회관에 있다.[1]

동아리연합회는 중앙동아리 및 가등록 동아리의 관리와 지원을 담당하는 학생자치기구이다. 매년 11월에 선거를 통해 구성되며, 각 중앙동아리별로 8명의 선거인단을 선임하여 투표를 진행한다. 가등록 동아리는 선거인단을 구성할 수 없다. 동아리 대표자 회의는 동아리연합회 총회 다음가는 최고 의결 기구인데, 총회가 거의 열리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동아리 대표자 회의가 최고 의결 기구라고 할 수 있다. 가등록 동아리 대표도 회의에 참석할 수는 있지만, 의결권은 없다. 동아리연합회는 각 분과장과 집행부로 구성되는 상임위원회를 두고 있다.[1]

각 학과에는 중앙동아리와 별개로 소모임이 운영된다. 소모임은 학과의 지원을 받아 학과 관련 학술 활동이나 축구, 농구 등 체육 활동을 한다.[1]

8. 사회 기여

서울시립대학교는 서울시와 서울 시민을 위해 다양한 사회 기여 활동을 펼쳐왔다. 특히, 지방 및 국가 공무원, 공공 부문 전문가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왔다. 1997년부터는 흥인지문 근처에 서울시립대학교 개방대학교를 설립하여 서울 시민들에게 평생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개방대학교에서는 언어, 기술, 서울학 등 폭넓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평생교육원을 통해 매년 5,000명 이상의 서울 시민들에게 직업 및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사회복지센터를 통해 연간 10만 명 이상의 노인과 장애인에게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8. 1. 사회봉사

시대인들은 정부로부터 많은 혜택을 받기에 이를 사회에 환원하기 위해 많은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시대인들은 가난한 이웃에 연탄을 배달하고,[38] 김장 김치를 직접 담가 전달[39]하는 등 봉사활동도 활발하다. 그리고 서울시의 위탁으로 희망의 인문학을 열어 사람들의 정신적 빈곤을 치유하고 자존감을 회복시키는 행사도 진행했다.[40][41] 서울시립대학교 종합사회복지관을 통해서 서울시민들에게 복지와 행복을 주는 각종 사업으로 봉사하고 있다. 2012년 교내의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의 숫자는 3105명이고 이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42]

서울시립대학교 학생들은 서울시로부터 많은 재정적, 교육적 혜택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회 봉사 활동에 참여할 의무감을 느낀다. 2012년 사회 봉사 활동 참여자 수는 3,105명이었으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4][5]

8. 2. 서울시 협력

시대인들은 정부로부터 많은 혜택을 받기에 이를 사회에 환원하기 위해 많은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시대인들은 가난한 이웃에 연탄을 배달하고,[38] 김장 김치를 직접 담가 전달[39]하는 등 봉사활동도 활발하다. 서울시의 위탁으로 희망의 인문학을 열어 사람들의 정신적 빈곤을 치유하고 자존감을 회복시키는 행사도 진행했다.[40][41] 서울시립대학교 종합사회복지관을 통해서 서울시민들에게 복지와 행복을 주는 각종 사업으로 봉사하고 있다. 2012년 교내의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의 숫자는 3105명이고 이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42]

서울시가 연간 예산의 70%를 지원하기 때문에 서울시립대학교는 최고의 가치를 지닌 국립대학교 중 하나이다. 많은 서울시립대학교 학생들은 서울시로부터 많은 재정적, 교육적 혜택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회 봉사 활동에 참여할 의무감을 느낀다. 2012년 사회 봉사 활동 참여자 수는 3,105명이었으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4][5]

서울시립대학교는 오랫동안 서울과 서울 시민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특히, 서울시립대학교는 지방 공무원, 국가 공무원, 그리고 공공 부문 전문가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1997년부터 서울시립대학교는 서울 중심부의 흥인지문 근처에 위치한 서울시립대학교 개방대학교를 통해 서울 시민들에게 평생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서울시립대학교 개방대학교는 언어, 기술, 서울학, 그리고 다양한 문화 활동을 포함한 광범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서울시립대학교는 평생교육원에서 매년 5,000명 이상의 서울 시민들에게 직업 및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교에 위치한 사회복지센터는 연간 10만 명 이상의 노인과 장애인들에게 광범위한 사회 서비스를 제공한다.

9. 평가

서울시립대학교는 도시과학 분야를 특성화하여 1997년 최초 선정 이후 2003년부터 2008년까지 6년 연속 특성화 대학으로 선정되었고, 국토교통부 주관 해외건설분야 특성화 대학원으로도 선정되었다.[29] 우수한 교육 환경과 높은 장학금 수혜율을 제공하며, 2015년 기준 68개국 495개 대학과 교류협정을 맺고 국제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32] 졸업생들은 정부 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활약하며, 환경공학[33], 세무학과[34], 도시행정학과[35]는 국내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의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되었고,[36][37] 2015년 재선정 및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에도 선정되었다. 경향신문의 대학지속가능지수 조사에서 학생생활만족지표 3위, 등록금 효용과 애교심 부문 1위를 기록했으며,[43] 2012년에는 서강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와 함께 의대 없는 최고 3개 대학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44] 동아일보 주관 청년드림대학평가, 기업 관점 산학협력평가에서 최우수대학, 2014년 국공립대 청렴도 평가에서 1등급을 받는 등 여러 분야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32]

9. 1. 국내 평가

서울시립대학교는 1997년 처음 선정된 이후 2003년부터 2008년까지 6년 연속 도시과학 특성화 대학으로 선정되었다.[29] 2012년에는 해외건설 및 도시개발전문가 양성을 위해 국내 최초로 국제도시과학대학원을 설립하였고, 2014년에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해외건설분야 특성화 대학원으로 선정되었다.[29] 건축, 도시공학, 조경, 환경공학, 교통공학, 세무학, 도시행정학 등의 도시과학분야와 행정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2010년 전임교원 확보율은 87.2%, 전임교원 1인당 학생수는 27.5명으로 대한민국 대학 중 우수한 교육환경과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30] 2015년 기준 한 학기 등록금은 단과대학에 따라 102만(인문대학)에서 161만(음악대학) 범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1인당 평균 장학금 지급액은 약 137만이고, 2010년 기준 장학금 수혜율은 58.4%이다.[31] 2015년 10월 기준 68개국 495개 대학과 교류협정을 맺고 교환학생프로그램, 글로벌인턴십, 해외어학연수 등의 국제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장학금 수혜율은 약 54%로 국내 최고 수준이다.[32] 국공립대 최초로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ACE)사업에 선정되었고 2015년 재선정되어 2018년까지 지원받게 되었다.

많은 동문들이 정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으로 활약하고 있으며, 특성화 대학인 도시과학대학과 여러 부설 연구소를 통해 서울시의 도시문제에 대한 심도있는 Think-tank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서울시립대의 환경공학[33], 세무학과[34], 도시행정학과[35]는 한국에서 탁월한 경쟁력을 자랑하는 학과이다. 2010년 6월 잘 가르치는 대학으로 평가받아 교육과학기술부의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됐고[36][37] 2015년 재선정되었다. 또한, 2015년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에도 선정되었다.

경향신문2010년 대학지속가능지수 학생생활만족지표에서 3위, 등록금 효용과 애교심 부문에서는 1위를 기록했다.[43] 2012년 서강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더불어 대한민국의 의대 없는 최고 3개 대학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44] 기업 관점에서 본 산학협력평가에서 최우수대학에 2년 연속(2013년~2014년) 선정되었고 2015년 우수대학에 선정되었다. 동아일보 주관 청년드림대학평가에서 최우수대학에 2년 연속(2013년~2014년) 선정되었고 2015년 우수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014년 국공립대 청렴도 평가에서 1등급평가를 받았다.[32] 2015년 영국 The Times Higher Education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 전체 대학 중 7위, 아시아 전체 대학 중 49위, 아시아 중간 규모 대학 평가에서는 14위에 랭크되는 등 높은 내실을 갖추고 있다.[45] 2015년 동아일보가 공개한 고교생이 본 대학의 미래 성장가능성 설문조사에서는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에 이어 서울시립대가 3위를 차지하였다.[46] 2015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종합 10위,[47] 행정고시에서는 8위를 기록했다.[48]

9. 2. 국제 평가

서울시립대학교는 2012년 의과대학이 없는 대학교 중 대한민국 상위 3개 대학 안에 들었다.[44] 2015년 영국 타임즈 고등교육(The Times Higher Education)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 전체 대학 중 7위, 아시아 전체 대학 중 49위에 올랐으며, 아시아 중형 대학 평가에서는 14위를 기록했다.[45] 같은 해 동아일보가 공개한 고교생 대상 설문조사에서는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에 이어 서울시립대학교가 미래 성장가능성 부문 3위를 차지했다.[46] 2015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는 종합 10위,[47] 행정고시에서는 8위를 기록했다.[48]

10. 등록금 및 장학금

등록금은 학칙 제86조에 따라 등록금심의위원회와 교무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총장이 정하고, 기성회비는 두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기성회이사회가 정한다. 서울시립대학교는 서울시의 지원으로 학생 1인당 재정 투자가 높고, 낮은 학생-교수 비율과 높은 장학금 수혜율을 자랑한다. 많은 서울시립대학교 학생들은 이러한 혜택을 바탕으로 사회 봉사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2012년에는 3,105명이 참여했다.[4][5] 학생 만족도는 비교적 매우 높으며, 2012년 신입생 등록률은 96%, 자퇴율은 0.97%로 매우 낮았다.[6]

10. 1. 반값 등록금

반값등록금은 2012년 당시 박원순 서울특별시[51]의 지시로 등록금이 50% 삭감되어 대한민국 대학 최초로 달성되었다. 입학금을 제외한 학부생의 한 학기 등록금은 학과에 따라 100만원 초반에서 100만원 중반이다.

2010년 1월 22일 개정된 고등교육법 제11조와 2010년 12월 2일 개정된 “대학 등록금에 관한 규칙” 제2조에 따르면 각 대학은 등록금심의위원회를 설치해야 한다. 서울시립대는 2010년 10월 28일 총장과의 대화에서 2010 총학생회가 등록금심의위원회에 관한 사항을 요구했었다.[49] 대학본부와 동고동락 총학생회의 논의를 거치며 2011년 1월 20일 등록금심의위원회가 구성되었다.[50] 서울시립대 등록금심의위원회 운영규정에 따르면 위원회는 학생처장, 기획연구처장, 사무처장, 교수, 총학생회 정·부회장, 단과대학 학생회장 대표 2명, 총장 추천 전문가, 총학 추천 동문, 이렇게 총 10명으로 구성한다. 등록금심의위원회는 의결권이 없지만 학생이 등록금 책정 과정에 정식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2016학년도 학부생 등록금[52]
인문사회 계열[53]1022000KRW
수학 계열[54]1126500KRW
이학 계열[55]1228500KRW
공학 계열[56]1350500KRW
체육 계열[57]1371000KRW
미술 계열[58]1444000KRW
음악 계열[59]1610500KRW


10. 2. 장학금

서울시가 연간 예산의 70%를 지원하기 때문에 서울시립대학교는 학생 1인당 재정 투자와 장학금 수혜율이 높다.[4][5]

11. 일본 대학과의 교류

홋카이도 대학, 후쿠시마 대학, 아이즈 대학, 칸다외국어대학, 지바 대학, 와요여자대학, 세이죠 대학, 도쿄학예대학, 도쿄도립대학, 도쿄이과대학, 호세이 대학, 가쿠슈인 대학, 메이지가쿠인 대학, 릿쿄 대학, 요코하마 국립대학, 가나자와세이료 대학, 나고야 대학, 킨키 대학, 오사카시립대학, 도시샤 대학, 리쓰메이칸 대학, 간사이 가쿠인 대학, 히로시마 현립대학, 야마구치 대학, 큐슈 대학, 쿠마모토 대학, 쿠마모토 현립대학, 미야자키 국제대학, 류큐 대학과 교류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숫자로보는 UOS https://www.uos.ac.k[...] University of Seoul 2022-11-19
[2] 웹사이트 '반값등록금' 서울시립대, 2013년도 등록금 동결 https://www.news1.kr[...] 2013-01-10
[3] 웹사이트 서울시립대 수리논술 응시자 평균 31점 “논술 경쟁률 100대 1 … 어려워야 변별력 https://archive.toda[...]
[4] 뉴스 서울시립대 반값 등록금 시행 1년… 학생 사회봉사 갑절로 늘었다 http://news.khan.co.[...]
[5] 웹사이트 한국해비타트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 2023-08-08
[6] 웹사이트 대학등록률 서울은 상승, 지방은 저조 https://www.ohmynews[...] 2001-02-05
[7] 웹사이트 Law School to Open in 2009 https://www.koreatim[...] 2024-05-16
[8] 웹사이트 [2012 아시아 대학평가] 醫大없는 대학, 서강대·한국외대·서울시립대 등 강세 https://www.chosun.c[...] 2020-07-30
[9] 웹사이트 성균관대·서울시립대·이대…아시아 대학 순위 '껑충' https://www.hankyung[...] 2015-06-11
[10] 웹사이트 미주중앙일보 - 미주 최대 한인 뉴스 미디어 https://news.koreada[...] 2023-08-08
[11] 웹사이트 [2014 아시아 대학평가] 醫大 없는 '强小大' 포스텍·서강대·한국외대 강세 https://www.chosun.c[...] 2020-07-27
[12] 웹사이트 [2010 대학지속가능지수]'학업·소통·성장·교류' 대학생활 만족도 평균 48.6점 그쳐 https://www.khan.co.[...] 2010-09-12
[13] 뉴스 2010 대학지속가능지수 http://news.khan.co.[...]
[14] 웹사이트 이상 서울시립대학교 대학현황 https://www.uos.ac.k[...]
[15] 문서 서울시립대와 서울과학기술대의 관계 설명
[16] 뉴스 아름다운 캠퍼스, 최고의 교육환경, 학비부담도 적어 http://press.uos.ac.[...] 서울시립대신문 2002-10-28
[17] 뉴스 〈그때 그 시대〉 시대인 화합의 상징, 동문탑 http://press.uos.ac.[...] 서울시립대신문 2006-09-25
[18] 뉴스 ‘서울시립대’ 하면 떠오르는 것? http://press.uos.ac.[...] 서울시립대신문 2008-06-10
[19] 뉴스 우리대학 상징물 제막식과 대운동장 개장식 열려 http://press.uos.ac.[...] 서울시립대신문 2011-03-02
[20] 뉴스 우리대학 강촌수련원 개원 http://press.uos.ac.[...] 서울시립대신문 2010-10-11
[21] 뉴스 시대와 함께, 지성과 함께 한 〈서울시립대신문〉 39년의 역사 http://press.uos.ac.[...] 서울시립대신문 2003-08-19
[22] 뉴스 변화하는 ‘시대’, 진화하는 ‘서울시립대신문’ http://press.uos.ac.[...] 서울시립대신문 2009-11-23
[23] 뉴스 서울시립대신문의 도약을 기대하며 http://press.uos.ac.[...] 서울시립대신문 2010-03-03
[24] 뉴스 장산곶매, 날개를 펴다 http://press.uos.ac.[...] 서울시립대신문 2008-05-27
[25] 웹사이트 2010총학생회 1학기 활동보고 http://cafe.daum.net[...] 2010-08-27
[26] 웹사이트 제46대 2010총학생회 공약정리 http://cafe.daum.net[...] 2010-12-10
[27] 뉴스 서울시립대 총학 “등록금으로 서울시 공무원 보너스 안돼” http://www.vop.co.kr[...] 민중의소리 2010-12-22
[28] 뉴스 학생총회, 학생들과 소통을 꾀하다 http://press.uos.ac.[...] 서울시립대신문 2011-04-11
[29] 웹사이트 국제도시과학대학원 신문기사 http://www.cine21.co[...]
[30] 뉴스 경향신문2011 http://news.khan.co.[...]
[31] 뉴스 뉴시스2011, 한국대학신문2011 http://media.daum.ne[...]
[32] 웹인용 2015~2016 홍보브로슈어 http://www.uos.ac.kr[...] 2015-11-02
[33] 뉴스 서울시립·경북대 환경공학 대학원급 교육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0-09-30
[34] 뉴스 서울시립대 세무학과가 인기 끄는 이유는 http://www.dhnews.co[...] 대학저널 2010-09-28
[35] 뉴스 〈주목! 이 학과〉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09-08-27
[36] 뉴스 잘 가르치는 대학 11곳 선정, 올해 300억원 지원 http://view.asiae.co[...] 아시아경제 2010-06-09
[37] 뉴스 〈‘잘 가르치는 대학’ 비결 엿보기〉 교육과정 인증제 앞장 서울시립대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0-07-20
[38] 뉴스 시민과 함께하는 ‘사랑의 연탄 나눔 봉사활동’ http://press.uos.ac.[...] 서울시립대신문 2009-03-02
[39] 뉴스 서울시립대 '김치 2000포기' 어려운 이웃에 전달 http://media.daum.ne[...] 뉴시스 2010-11-23
[40] 뉴스 서울시립대 '희망의 인문학 과정', 노숙인 등 273명 수료 http://www.dhnews.co[...] 대학저널 2010-11-19
[41] 뉴스 희망의 인문학, 대학의 비판적 정신과 실천적 삶 http://www.nahnews.n[...]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2009-08-10
[42] 뉴스 서울시립대 반값 등록금 시행 1년… 학생 사회봉사 갑절로 늘었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3-01-11
[43] 뉴스 경향신문2011 http://news.khan.co.[...]
[44] 뉴스 2012 대학평가, 서강대·서울시립대 등 강세 http://news.chosun.c[...]
[45] 뉴스 성균관대·서울시립대…아시아 대학 순위 '껑충' http://www.hankyung.[...]
[46] 뉴스 「고교생연구소」 고교생이 본 대학 이미지 http://edu.donga.com[...]
[47] 웹인용 2015 중앙일보 대학평가 https://web.archive.[...] 2015-11-28
[48] 웹인용 신문기사 https://web.archive.[...] 2016-03-23
[49] 뉴스 등록금심의위원회, 등록금 책정 위한 의견수렴의 장돼야 http://press.uos.ac.[...] 서울시립대신문 2010-11-08
[50] 뉴스 우리대학 등록금 3년 연속 동결 http://press.uos.ac.[...] 서울시립대신문 2011-03-02
[51] 문서 당연직 운영위원장이기도 하다.
[52] 웹사이트 학사공지 http://www.uos.ac.kr[...]
[53] 문서 경영학부, 경제학부, 국사학과, 국어국문, 국제관계, 도시사회, 도시행정, 법학부, 사회복지, 세무학과, 영어영문, 중국어문화, 자유전공, 철학과, 행정학과
[54] 문서 수학과
[55] 문서 환경원예학과, 통계학과, 물리학과, 생명과학과
[56] 문서 건축학부, 공간정보, 교통공학, 기계정보, 도시공학, 신소재, 조경학과, 컴퓨터과학, 전자전기컴퓨터, 토목공학, 화학공학, 환경공학
[57] 문서 스포츠과학과
[58] 문서 산업디자인학과, 환경조각학과
[59] 문서 음악학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