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수준은 일본에서 태어나 일본기원 소속으로 활동한 바둑 기사이다. 1996년 입단하여 2018년 9단으로 승단했으며, 2005년 신인왕전에서 우승하여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 기성전 2단전 우승, NEC배 준영전 준우승 등의 경력이 있으며, 저서로는 '10집 이득을 보는 '부드러운' 공격법 바둑관을 바꾸는 6가지 법칙'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바둑 기사 - 요다 노리모토
요다 노리모토는 1980년 프로 입단 후 1100승을 달성하고 명인전 4연패, 삼성화재배 우승 등 국내외에서 활약하며 일본 바둑계에 큰 족적을 남긴 최정상급 프로 바둑 기사이다. - 일본의 바둑 기사 - 오청원
중국 출신 바둑 기사 오청원은 20세기 최고의 기사 중 한 명으로, 신포석 창안, 십번기 압승, 본인방 슈사이와의 명승부 등 바둑사에 큰 족적을 남겼으며 그의 이론과 철학은 현대 바둑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요코하마시 출신 - 안토니오 이노키
안토니오 이노키는 일본 프로레슬링의 황금기를 이끈 프로레슬러이자 정치인, 격투기 프로모터로, 역도산의 제자로 프로레슬링에 입문하여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설립하고 무하마드 알리와의 격투기 이벤트, 스포츠 평화당 창당 및 참의원 당선 등의 활동을 펼치며 프로레슬링계에 큰 공헌을 남겼다. - 요코하마시 출신 - 이노우에 마오
이노우에 마오는 1992년 드라마로 데뷔하여 《키즈 워》, 《꽃보다 남자》 시리즈 등에 출연하며 인기를 얻고 영화 《8일째 매미》로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일본의 배우이다. - 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진중권
대한민국의 미학자이자 작가, 평론가, 대학교수인 진중권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학, 예술, 정치, 사회에 대한 저술 및 번역 활동과 진보 정당 활동을 해왔다. - 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윤석중
윤석중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아동문학 운동을 이끌고 수많은 동요와 동시집을 발표하며 한국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김수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김수준 |
| 원어 이름 | 金秀俊 (김수준) |
| 로마자 표기 | Gim Su-jun |
| 출생일 | 1979년 1월 24일 |
| 출생지 | 대한민국 |
| 거주지 | 일본 |
| 소속 | 일본기원 도쿄본원 |
| 바둑 기사 정보 | |
| 스승 | 조치훈 |
| 입단 | 1996년 |
| 기력 | 9단 |
2. 약력
| 연도 | 내용 |
|---|---|
| 1979년 1월 24일 | 일본 요코하마 출생 후 한국 국적 취득[1] |
| 1996년 | 조치훈 9단의 문하생으로 입단, 같은 해 2단(二段) 승단[1] |
| 1997년 | 3단(三段) 승단 |
| 1998년 | 4단(四段) 승단 |
| 1999년 | 5단(五段) 승단 |
| 2000년 | 6단(六段) 승단 |
| 2002년 | 7단(七段) 승단 |
| 2007년 | 8단(八段) 승단[2] |
| 2018년 | 9단(九段) 승단[2] |
김수준은 1979년 1월 24일 일본 요코하마시에서 태어나 아버지의 직장 때문에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살았다. 8세 무렵 아버지에게 바둑을 배우고, 중학교 1학년 때 한국에서 조상연 문하에서 1년간 배운 뒤 1992년 김광식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조치훈의 내제자가 되어 일본기원 원생이 되었다. 1996년에 프로에 입단하였다.[1]
3. 경력
1996년 조치훈 9단의 문하생으로 입단, 같은 해 2단(二段)으로 승단했다. 이후 승단 내역은 다음과 같다.단 연도 1단 1996년 2단 1996년 3단 1997년 4단 1998년 5단 1999년 6단 2000년 7단 2002년 8단 2007년 9단 2018년 3. 1. 주요 기전 경력
| 연도 | 대회 | 결과 | 상대 | 비고 |
|---|---|---|---|---|
| 1996년 | 조치훈 9단의 문하생으로 입단, 2단(二段) 승단 | |||
| 1997년 | 3단(三段) 승단 | |||
| 1997년 | 제22기 일본 기성전 2단전 | 우승 | ||
| 1997년 | 기성전 최고 기사 결정전 | 진출 | 린하이펑 | 1회전 패배 |
| 1998년 | 4단(四段) 승단 | |||
| 1999년 | 5단(五段) 승단 | |||
| 2000년 | 6단(六段) 승단 | |||
| 2001년 | 제16기 NEC전영 토너먼트 | 준우승 | 미조카미 도모치카 | |
| 2001년~2003년 | 제31,32,33회 일본 신예 토너먼트 | 준우승 | 3회 연속 | |
| 2002년 | 7단(七段) 승단 | |||
| 2004년 | 제30기 일본 천원전 도전자 결정전 | 진출 | 야마시타 케이고 | 조치훈 9단을 꺾고 진출했으나 패배 |
| 2005년 | 제30기 일본 신인왕전 | 우승 | 이야마 유타 | 2-0, 첫 타이틀 획득[1] |
| 2006년 | 통산 400승 달성 | [2] | ||
| 2007년 | 8단(八段) 승단 | |||
| 2018년 | 9단(九段) 승단 | 통산 200승 달성 |
3. 2. 기타 경력
| 연도 | 대회 | 결과 |
|---|---|---|
| 1997년 | 제22기 일본 기성전 2단전 | 우승 |
| 2001년 | 제16기 NEC전영 토너먼트 | 준우승 |
| 2001년~2003년 | 제31,32,33회 일본 신예 토너먼트 | 준우승 |
| 2004년 | 제30기 일본 천원전 | 도전자 결정전 진출 (상대: 야마시타 케이고) |
| 2005년 | 제30기 일본 신인왕전 | 우승 (상대: 이야마 유타, 2-0) |
| 2006년 |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 출전 |
| 2007년 | 일본 천원전 | 본선 4강 |
| 2008년 | 용성전 | 4강 |
| 2008년 | 토요타 & 덴소배 세계 바둑 왕좌전 | 출전 |
| 2009년 | 일본 천원전 | 4강 |
| 2010년 | 일본 천원전 | 도전자 결정전 진출 (상대: 유우키 사토시) |
| 2011년 | 제37기 명인전 | 리그 진출 |
4. 저서
참조
[1]
웹사이트
GoBase.org - Kin Hidetoshi - Biography
http://gobase.org/in[...]
[2]
웹사이트
金 秀俊|財団法人日本棋院
http://www.nihonki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