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군 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해군 을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김해시 일부 지역을 관할하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김해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어 김해군 선거구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조규갑, 이종수, 서정원이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해시의 정치 - 김해시 갑
김해시 갑은 2008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여러 차례 선거구 조정을 거쳤으며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민홍철 의원이 4선에 성공했다. - 김해시의 정치 - 김해시 을
김해시 을은 2004년 김해시 선거구 분구로 신설되어 주촌면, 진례면, 내외동 등을 관할했으며, 최철국, 김태호, 김경수, 김정호가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창원시 을
창원시 을은 1992년 신설되어 2012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 등이 당선되었으며 보수와 진보 세력의 경쟁을 나타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울산시·울주군 (1978년 선거구)
울산시·울주군 선거구는 1973년 동래군 폐지로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울산시 분구 및 울주군 분리로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김해군 을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김해군 을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경상남도 |
연도 | 1948년 |
폐지 | 1963년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김해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김해군의 일부 지역(현재의 김해시 일부)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김해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어 김해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이후 김해군 을에서는 여러 정당과 무소속 후보들이 경쟁했다. 한국 전쟁 직전의 혼란, 4.19 혁명, 5.16 군사정변 등 굵직한 사건들을 겪으며 다양한 선거 결과가 나타났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당선인 정당 득표율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조규갑 무소속 33.11%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이종수 무소속 18.73%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이종수 무소속 52.41%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이종수 자유당 31.5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서정원 무소속 24.18%
4.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조규갑 후보가 33.1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조규갑 | 무소속 | 10,605 | 33.11 |
노재건 | 무소속 | 7,142 | 22.29 |
최신시 | 무소속 | 5,775 | 18.03 |
김봉근 | 무소속 | 5,148 | 16.07 |
배종진 | 무소속 | 1,738 | 5.42 |
김상규 | 조선민족청년단 | 1,619 | 5.05 |
합계 | 32,027 |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는 한국 전쟁 발발 직전의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에서 치러졌다. 김해군 을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종수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종수 | 무소속 | 6,102 | 18.73% |
조규갑 | 무소속 | 4,254 | 13.06% |
최필호 | 무소속 | 4,088 | 12.55% |
박태현 | 무소속 | 3,646 | 11.19% |
조용환 | 무소속 | 3,298 | 10.12% |
김도현 | 무소속 | 2,616 | 8.03% |
엄귀현 | 무소속 | 2,468 | 7.57% |
안창득 | 무소속 | 1,962 | 6.02% |
송기대 | 무소속 | 1,874 | 5.75% |
이철민 | 무소속 | 1,432 | 4.39% |
김정실 | 무소속 | 822 | 2.52% |
노해용 | 무소속 | 0 | 0% |
노재건 | 무소속 | 0 | 0% |
송세우 | 무소속 | 0 | 0% |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이종수 후보가 재선되었다. 이승만 정권의 자유당이 강세를 보였으나, 김해군 을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4. 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는 자유당의 독주 속에서 치러졌으며, 김해군 을 선거구에서는 자유당 이종수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이종수 | 자유당 | 11,109 | 31.55 |
서정원 | 무소속 | 10,968 | 31.15 |
조용환 | 민주당 | 8,291 | 23.55 |
김환기 | 무소속 | 4,404 | 12.51 |
이종대 | 무소속 | 428 | 1.21 |
합계 | 35,200 | 100 |
4. 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서정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4.19 혁명 이후 민주당의 집권과 함께 치러진 선거였으나, 김해군 을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는 이변을 보였다. 서정원 후보는 5.16 군사정변 이후 민주공화당에 합류, 박정희 정권에서 활동한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서정원 | 무소속 | 8,788 | 24.18 |
이상순 | 무소속 | 4,902 | 13.48 |
김정만 | 무소속 | 4,735 | 13.02 |
김신도 | 무소속 | 4,621 | 12.71 |
김인화 | 무소속 | 3,202 | 8.81 |
조희두 | 무소속 | 2,929 | 8.05 |
강무갑 | 사회대중당 | 2,901 | 7.98 |
송용우 | 민주당 | 2,779 | 7.64 |
신사현 | 무소속 | 1,487 | 4.09 |
합계 | 36,344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