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김해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김해시는 경상남도에 위치한 도시로, 야요이 시대부터 가야,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역사를 이어왔다. 1931년 김해읍으로 승격되었고, 1981년 김해시로 분리되었다. 1995년 김해시와 김해군이 통합되었으며, 2011년 부산-김해 경전철이 개통되었다. 김해시는 해양성 기후로, 김해평야를 중심으로 1읍, 6면, 12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유적으로 수로왕릉, 대성동 고분군 등이 있으며, 김해국립박물관, 김해문화의전당 등의 문화 시설과 가야문화축제 등의 지역 축제가 열린다. 김해시는 남해고속도로, 경전선, 김해국제공항 등 교통망을 갖추고 있으며, 가야대학교, 인제대학교 등 교육 시설과 홈플러스,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 등 쇼핑 시설이 있다. 또한, 남해군, 고양시, 무나카타시 등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으며, 노무현, 송강호 등 유명 인물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해시 - 김해기적의도서관
    김해기적의도서관은 2011년 11월 30일 개관하여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이용 가능한 김해시에 위치한 도서관으로, 매월 마지막 월요일, 법정 공휴일 및 선거일, 관장이 지정한 날에 휴관한다.
  • 김해시 - 장유문화센터
    장유문화센터는 1999년 장유도서관 건물 착공을 시작으로 2002년 개관하여, 시설 확충 및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
  • 김해시의 행정 구역 - 진례면
    진례면은 가락국 수로왕 때 왕자가 봉해지고 조선 예종 때 부서 진례촌으로 기록되었으며, 갑오경장 이후 개칭되어 김해시에 속하는 면으로, 도예 공예와 쌀 농업이 이루어지고, 김해 시례 염수당 고문서와 김해 시례리 염수당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김해시의 행정 구역 - 북부동 (김해시)
    김해시 북부동은 대성동, 구산동, 삼계동으로 이루어진 동으로, 김해시청과 김해문화의전당 등 주요 시설과 김해 대성동 고분군, 구지봉, 김해향교 등의 문화재, 그리고 가야대학교를 포함한 교육 기관들이 위치한 김해 시민의 생활 중심지이다.
  • 경상남도의 도시 - 진주시
    진주시는 경상남도 서부 내륙에 위치한 오랜 역사의 도농복합시로, 진주성 전투, 진주유등축제 등 문화 관광 자원과 진주실크, 진주비빔밥 등의 특산물이 유명하며, 교육 도시로서의 면모도 갖추고 있다.
  • 경상남도의 도시 - 거제시
    거제시는 경상남도 남쪽 해안에 위치한 도농복합시로, 고대부터 해상 교통 요충지이자 왜구 방어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임진왜란과 한국전쟁의 역사적 배경을 지니고 1970년대 이후 조선업 발전과 교통 인프라 확충을 통해 성장해왔고, 김영삼, 문재인 전 대통령을 배출한 곳이다.
김해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김해시 위치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김해시
한글 표기김해시
한자 표기金海市
로마자 표기Gimhae-si
McCune–Reischauer 표기Kimhae-si
위치경상남도
지역영남
방언경상남도 방언
면적463.45 km²
인구 (2024년 9월)531,966명
인구 밀도1188명/km²
행정 구역1읍, 7면, 9동, 0구
상징
김해시 엠블럼
김해시 엠블럼
시의 꽃은행나무
김해시 깃발
김해시 깃발
시의 나무이팝나무
시의 꽃매화
시의 새기러기
마스코트토더기
정치 및 행정
시장홍태용(국민의힘)
국회의원 (갑)민홍철(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을)김정호(더불어민주당)
시청 소재지김해시 김해대로 2401 (부원동 623)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김해시청

2. 역사

가락국(김관가야)의 옛 터이며, 한국 최대의 성씨인 김해 김씨본관 발상지이다. 다도 등에 사용하는 다완도 생산하며, 김해 지역에서 구워낸 다완은 일본어 읽기로 "긴카이"라고 읽는다(이 경우 한국어 표기는 긴까이한국어이다).


  • 1998년 9월 12일: 칠산동과 서부동을 칠산서부동으로 통합하였다.[32]
  • 2005년 3월 25일: 장유면에 장유출장소를 설치하였다.[34]
  • 2008년 10월 6일: 장유면의 인구가 10만 명을 돌파하였다.[35]
  • 2010년 10월 4일: 김해시의 인구가 50만 명을 돌파하였다.[36]
  • 2011년 9월 16일: 부산-김해 경전철이 정식 개통하였다.
  • 2013년 7월 1일: 장유면이 장유1동·장유2동·장유3동으로 분리·전환되었다. 당시(2013년 6월 말) 장유면의 인구는 부산광역시 강서구(68,009명)의 2배인 134,481명이었다.[37]


2017년 4월 말 기준 김해시 인구는 53만 121명[10]으로 창원시에 이어 경상남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시청은 부원동에 있으며, 1읍 6면 12행정동을 관할하고 있다.

김해국제공항1976년 개항 당시에는 김해군(김해시의 전신 중 하나)에 있었지만, 1978년에 부산직할시(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었기 때문에, 현재 김해국제공항은 김해시에 없다.

2. 1. 고대

후에 가야(金官国) 그리고 임나가 된 지역은, 야요이 시대 중기(기원전 4, 3세기)에 접어들면서 기존의 토기와는 완전히 다른 양식의 야요이 토기가 급증하기 시작하는데, 이는 후의 임나로 이어지는 지역에 왜인이 진출한 결과로 보인다.[11]

광개토왕비 일본군 왜곡설이 부정되고, 또한 많은 일본 고유의 전방후원분이 한반도 남부에서 발견되기 시작한 것 등으로 미루어, 최근 야마토 조정(朝廷) 그 자체 또는 깊은 관련을 가진 집단에 의한 이 지역의 통치권, 군사 통괄권 및 조세권의 존재를 인정하는 다양한 견해가 발표되고 있다.

2. 2. 김해군


  • 1931년 11월 1일: 김해군 김해면이 김해읍으로 승격하였다.[29]
  • 1978년 2월 15일: 대저읍, 명지면과 가락면 일부(현 부산광역시 강서구 강동동)가 부산시로 편입되었다.[30]
  • 1981년 7월 1일: 김해군 김해읍이 김해시로 분리, 승격되었다.[31]
  • 1989년 1월 1일: 가락면, 녹산면이 부산시로 편입되었다.[32]
  • 1995년 5월 10일: 김해시와 김해군이 김해시로 통합되었다.[33]

2. 3. 김해시

1931년 11월 1일 : 김해군 김해면이 김해읍으로 승격하였다.[29]

1978년 2월 15일 : 대저읍, 명지면과 가락면 일부(현 부산시 강서구 강동동)가 부산시로 편입되었다.[30]

1981년 7월 1일 : 김해군 김해읍을 김해시로 분리, 승격하였다.[31]

1989년 1월 1일 : 가락면, 녹산면이 부산시로 편입되었다.[32]

1995년 5월 10일 : 김해시와 김해군이 김해시로 통합하였다.[33]

1998년 9월 12일 : 칠산동과 서부동을 칠산서부동으로 통합하였다.[32]

2005년 3월 25일 : 장유면에 장유출장소를 설치하였다.[34]

2008년 10월 6일 : 장유면의 인구가 10만 명을 돌파하였다.[35]

2010년 10월 4일 : 김해시의 인구가 50만 명을 돌파하였다.[36]

2011년 9월 16일 : 부산-김해 경전철이 정식 개통하였다.

2013년 7월 1일 : 장유면이 장유1동·장유2동·장유3동으로 분리·전환되었다. 당시(2013년 6월 말) 장유면의 인구는 부산광역시 강서구(68,009명)의 2배인 134,481명이었다.[37]

고대 가락국(김관가야)의 옛 터이며, 한국 최대의 성씨인 김해김씨의 본관 발상지이기도 하다.

다도 등에 사용하는 다완도 생산하며, 김해 지역에서 구워낸 다완은 일본어 읽기로 "긴카이"라고 읽는다(이 경우 한국어 표기는 긴까이한국어〈キンッカイ〉이다).

2010년 10월에 인구가 50만 명을 돌파했고, 2017년 4월 말 기준 인구는 53만 121명[10]으로 창원시에 이어 경상남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시청은 부원동에 있으며, 1읍 6면 12행정동을 관할하고 있다.

김해국제공항1976년 개항 당시에는 김해군(김해시의 전신 중 하나)에 있었지만, 1978년에 부산직할시(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었기 때문에, 현재 동 공항은 김해시에 존재하지 않는다.

3. 지리

김해시는 남쪽으로 부산광역시 강서구, 창원시 진해구와 접하고 있고, 북쪽으로는 밀양시, 양산시, 동쪽으로는 부산광역시 북구, 서쪽으로는 창원시 성산구, 의창구와 접하고 있다. 북동쪽과 남서쪽을 제외하면 대체로 편평하며 시내에 있는 임호산과 분성산 등도 그리 높지 않다. 김해평야와 진영평야가 펼쳐져 있다.

김해(金海)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본래 바다에 접하던 지역이었으나, 1989년 녹산면과 가락면(현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과 가락동)이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면서 내륙 지역이 되었다. 부산 편입 지역 중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은 김해 시내와 인접하여 주민들의 생활권이 김해시에 속하고 부산과는 서낙동강으로 인해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 주민들이 김해시 재편입을 바라고 있다.[28]

3. 1. 기후

김해시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창원시 진해구 등 해안 도시와 접하고 있어 바다가 가까워 해양성 기후에 속한다. 해양성 온대 기후 지역으로 사계절 구분이 뚜렷하고, 남해의 영향을 많이 받아 전국에서 가장 온화한 편이어서 겨울에 거의 눈이 내리지 않는다. 연평균 기온은 15도 내외이고, 평균 강수량은 1200mm로 대한민국 평균 강수량과 비슷하고 세계 평균 강수량보다 많은 편이다.

김해는 매우 더운 여름과 춥지 않은 겨울을 가진 온난 습윤 기후(쾨펜: ''Cwa'', ''Cfa''와 경계)를 가지고 있다. 해안 기후의 영향으로 김해는 한국에서 가장 온화한 지역이다. 연평균 기온은 약 15 °C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200mm로 한국 평균인 1274mm와 매우 유사하다.[3]

최고 기온 기록 (°C)최고 기온 (°C)평균 기온 (°C)최저 기온 (°C)최저 기온 기록 (°C)강수량 (mm)강수일 수 (0.1 mm)습도 (%)일조시간
1월18.47.4°C2.1°C-2.2°C-13.926.4mm4.346.1211.3
2월22.310.4°C5.1°C0.5°C-12.452.1mm6.050.8185.6
3월24.414.9°C9.3°C4.4°C-3.784.6mm8.255.3216.2
4월28.919.9°C14.2°C9.4°C1.7128.4mm9.857.8222.4
5월33.625.2°C19.5°C14.9°C6.1110.6mm8.462.2247.0
6월35.327.7°C22.7°C19°C11.4140.8mm9.671.8196.0
7월37.830.2°C26°C23°C16.6291.1mm14.879.0174.7
8월39.231.9°C27.3°C24.1°C17.1188mm12.675.4203.3
9월35.627.8°C22.7°C19°C10.8184.9mm10.073.2173.7
10월31.423.1°C17.4°C13.1°C3.389.8mm5.464.3208.4
11월26.616.5°C11°C6.5°C-4.647mm6.358.7188.9
12월21.49.1°C4°C-0.4°C-9.932.1mm4.849.6206.6
39.220.3°C15.1°C10.9°C-13.91375.8mm62.02434.1

[4][5]

4. 행정 구역

김해시의 행정 구역은 1, 6, 12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2022년 9월 초 주민등록 기준으로 김해시의 인구는 53만 6065명, 22만 8031 가구[27]이며, 경남 전체의 14.4%에 해당한다. 면적은 463.3km2로 경남의 4.4%이다. 김해시는 인구가 50만 명을 초과하여 행정구 설치 요건을 갖추고 있으나, 행정구는 설치하지 않고 있다. 1991년부터 1995년까지 한국토지공사가 김해내외지구 신도시(58만 평 규모)를 개발하였고, 1998년부터는 '장유신도시'가 개발되었다.

김해시 행정구역도


김해시는 고대 가락국(김관가야)의 옛 터이자, 김해 김씨 (본관 발상지)이다.

김해 지역에서는 다완을 생산하며, 김해에서 구워낸 다완은 일본어 읽기로 "긴카이"(한국어 표기: 긴까이한국어)라고 읽는다.

2010년 10월 김해시 인구는 50만 명을 돌파했고, 2017년 4월 말 기준 53만 121명[10]으로 창원시에 이어 경상남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다. 시청은 부원동에 있다.

김해국제공항1976년 개항 당시에는 김해군(김해시의 전신 중 하나)에 있었지만, 1978년 부산광역시(부산직할시)에 편입되어 현재 김해시에 존재하지 않는다.

4. 1. 읍·면

김해시의 행정 구역은 1, 6, 12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27] 읍, 면 지역의 인구와 면적은 아래 표와 같다.

읍·면한자면적 (km2)인구세대
진영읍進永邑39.67km255,96823,462
주촌면酒村面31.29km216,1436,347
진례면進禮面44.82km26,7753,549
한림면翰林面59.51km27,9694,219
생림면生林面50.18km23,8742,198
상동면上東面70.51km23,3041,683
대동면大東面48.63km26,4593,230



각 면의 법정리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

읍·면법정리
진영읍내룡리, 방동리, 본산리, 설창리, 사산리, 신룡리, 여래리, 우동리, 의전리, 사곤리, 죽곡리, 진영리, 하계리
한림면명동리, 퇴래리, 병동리, 신천리, 용덕리, 안곡리, 안하리, 장방리, 시산리, 가동리, 가산리, 금곡리
생림면나전리, 요대리, 마사리, 봉림리, 사촌리, 생림리, 생철리, 안양리
상동면감로리, 대감리, 매리, 묵방리, 여차리, 우계리
대동면괴정리, 대감리, 덕산리, 수안리, 예안리, 월촌리, 조눌리, 주동리, 주중리, 초정리
주촌면농소리, 원지리, 덕암리, 천곡리, 양동리, 내삼리, 선지리, 망덕리
진례면청천리, 시례리, 송정리, 조전리, 신안리, 신월리, 산본리, 송현리, 담안리, 고무리


4. 2. 행정동

김해시의 행정 구역은 1, 6, 12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27] 2022년 9월 초 주민등록 기준으로 김해시의 인구는 53만 6065명, 22만 8031 가구이다.[27]

읍·면·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세대
동상동東上洞1.8010,2194,830
회현동會峴洞1.149,8014,550
부원동府院洞2.0610,2394,735
내외동內外洞5.3375,63530,749
북부동北部洞13.9480,64329,793
칠산서부동七山西部洞20.049,6434,301
활천동活川洞5.8841,98117,460
삼안동三安洞11.2934,97115,351
불암동佛岩洞2.598,0213,176
장유1동長有1洞13.5156,66220,720
장유2동長有2洞19.7037,03414,035
장유3동長有3洞21.9767,11422,840



행정동법정동
동상동동상동
회현동봉황동, 서상동
부원동부원동
내외동내동, 외동
북부동구산동, 대성동, 삼계동
칠산서부동풍류동, 명법동, 이동, 화목동, 흥동, 전하동, 강동
활천동삼정동, 어방동
삼안동삼방동, 안동
불암동불암동, 지내동
장유1동유하동, 내덕동, 부곡동, 무계동, 신문동
장유2동삼문동, 대청동
장유3동관동동, 율하동, 장유동, 응달동, 수가동


5. 인구

김해시의 인구는 2022년 9월 초 주민등록을 기준으로 '''53만 6065명''', 22만 8031 가구[27]로 경남 전체의 14.4%에 해당한다. 1991년부터 1995년까지 한국토지공사가 58만 평 규모의 김해내외지구 신도시를 개발하였고, 1998년부터 '장유신도시'가 개발되었다.

2010년 10월 인구가 50만 명을 돌파했고, 2017년 4월 말 기준 53만 121명[10]으로 창원시에 이어 경상남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1996년 286,805명이었던 인구는 2001년 353,768명, 2006년 453,728명으로 증가하여 2010년에는 50만 명을 돌파(503,348명)하였다. 시 중심부 외에도 서부와 북서부의 진영읍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읍·면·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세대
진영읍進永邑39.67km255,96823,462
주촌면酒村面31.29km216,1436,347
진례면進禮面44.82km26,7753,549
한림면翰林面59.51km27,9694,219
생림면生林面50.18km23,8742,198
상동면上東面70.51km23,3041,683
대동면大東面48.63km26,4593,230
동상동東上洞1.8km210,2194,830
회현동會峴洞1.14km29,8014,550
부원동府院洞2.06km210,2394,735
내외동內外洞5.33km275,63530,749
북부동北部洞13.94km280,64329,793
칠산서부동七山西部洞20.04km29,6434,301
활천동活川洞5.88km241,98117,460
삼안동三安洞11.29km234,97115,351
불암동佛岩洞2.59km28,0213,176
장유1동長有1洞13.51km256,66220,720
장유2동長有2洞19.7km237,03414,035
장유3동長有3洞21.97km267,11422,840


  • 인구·세대는 2019년 12월 31일 기준

6. 교육

김해시에는 유치원(공립 45개교, 사립 41개교), 초등학교(공립 58개교), 중학교(공립 27개교, 사립 4개교), 고등학교(공립 18개교, 사립 2개교), 학력인증학교(사립 경남애니메이션고등학교) 및 특수학교(1개교)를 비롯하여, 도서관 및 체육관 등의 소속기관까지 총 198개 교육기관이 있다.[1] 공립 유치원과 사립 유치원의 수는 비슷한 비율로 분포한다.

6. 1. 대학교

대학교 목록
구분명칭
사립대학교(4년제)가야대학교 김해 캠퍼스
사립대학교(4년제)인제대학교 김해 캠퍼스(본 캠퍼스)
사립대학교(4년제)부산장신대학교
사립전문대학(2~3년제)김해대학


6. 2. 고등학교

김해시에는 공립 고등학교 18개교, 사립 고등학교 2개교, 학력인증학교(사립 경남애니메이션고등학교) 1개교, 특수학교 1개교가 있다.[1]

공립사립


6. 3. 중학교

김해시에는 공립 중학교 27개교, 사립 중학교 4개교가 있다.

공립사립


6. 4. 초등학교

김해시에는 공립 초등학교 58개교가 있다.


6. 5. 도서관

공공도서관대학도서관작은도서관


7. 문화·관광

수로왕릉


노무현 전 대통령 생가, 봉하마을


옛 가락국의 도읍으로서 가야의 유적과 문화재가 많이 남아있다. 김해는 한국 최대 성씨인 김해 김씨본관 발상지이기도 하다. 다도에 사용되는 다완도 생산하며, 김해 지역에서 구워낸 다완은 일본어로 "긴카이"라고 읽는다(긴까이한국어〈キンッカイ〉).

김해시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화·관광 시설 및 장소가 있다.

구분내용
공원장유동 용지봉, 장유대청계곡, 관동공원, 율하유적공원, 내외동 연지공원, 거북공원, 삼안동 신어산, 활천동 분성산, 북부동 화정공원, 생림면 무척산, 상동면 장척계곡, 장유동 바위공원, 부산광역시 강서구 범방동 렛츠런파크 부산경남(장유3동과 인접)
체육 시설가야컨트리클럽, 시민체육공원, 장유스포츠센터, 해동이국민체육센터, 동부스포츠센터, 김해문화체육관, 김해문화체육센터, 장유체육공원, 김해하키경기장, 김해운동장, 진영운동장, 인조잔디축구장, 김해 롯데 워터파크, 상동 야구장(롯데 자이언츠 2군 홈구장), 대동생태공원
문화 시설김해문화의전당, 내외문화의집, 김해문화의집, 진영문화의집, 안동문화의집, 가야의거리, 예술창작스튜디오, 김해문화원, 칠암문화센터, 장유문화센터, 김해서부문화센터, 자동차전용극장
영화관CGV김해, CGV김해장유, CGV김해율하, 롯데시네마 김해 (장유동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 안에 위치), 롯데시네마 부원 (부원역 아이스퀘어몰 안에 위치)
마을진영읍 봉하마을, 생림면 도요마을, 대동면 예안리
기타활천동 가야역사테마파크 (2015년 5월 22일 개관)[40]



김해시의 대표적인 관광지는 김해 수로왕릉이며, 그 밖에 김해천문대와 장유계곡 등이 있다.

7. 1. 주요 유적지

옛 가락국의 도읍으로서 가야의 유적, 문화재가 많이 남아있다.

7. 2. 박물관·미술관

옛 가락국의 도읍으로서 가야의 유적, 문화재가 많이 남아있다.
국립김해박물관

7. 3. 기타 관광지



옛 가락국의 도읍으로서 가야의 유적, 문화재가 많이 남아있다. 김해시의 대표적인 관광지는 김해 수로왕릉이며, 그 밖에 김해천문대와 장유계곡 등이 있다.

  • 장유동 용지봉
  • 장유동 장유대청계곡
  • 장유동 관동공원
  • 장유동 율하유적공원
  • 내외동 연지공원
  • 내외동 거북공원
  • 삼안동 신어산
  • 활천동 분성산
  • 북부동 화정공원
  • 생림면 무척산
  • 상동면 장척계곡
  • 장유동 바위공원
  • 진영읍 봉하마을
  • 생림면 도요마을
  • 대동면 예안리

7. 4. 지역 축제


김해시에서 가장 큰 규모의 지역 문화 행사이다. 수많은 부대 및 연계행사를 동반하여 거행되고 있다. 1962년부터 매년 3~4월 중에 개최되고 있다. 대성동 일대를 주 개최지로 한다.

  • 도요마을 강변축제

김해시 생림면 도요리에 위치한 도요창작스튜디오, 도요강변 문화공원에서 2012년 8월 18일~8월 19일 처음 개최되었다. 도요창작스튜디오가 주관하였다.

  • 김해국제음악제(Gimhae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GIMF)

2008년부터 특정 날짜를 정하고 않고 수시로 개최된다. 김해국제음악제 조직위원회, 인제대학교가 주관한다.

  • 김해분청도자기축제

김해시에서 주최하고 주관처가 매년 바뀌었던 김해분청도자기축제는 1996년부터 매년 10월 김해분청도자관에서 개최되었다.

  • 김해평생학습축제

2007년부터 매년 10월 내외동, 대성동 일원에서 개최되었다. 2009년에는 개최되지 않았다.

  • 김해 청소년 길거리 농구대회
  • 김해 청소년 인문학읽기 전국대회
  • 김해 청소년 과학탐구대회
  • 김해 청소년 교향악축제
  • 김해 청소년 영화제

8. 교통

김해시는 부산-김해 경전철, 시외버스, 고속버스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갖추고 있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부산-김해 경전철김해국제공항을 경유하여 부산과 김해를 연결하며, 대저역에서 부산 도시철도 3호선과, 사상역에서 2호선과 연결된다.

김해여객터미널에서는 대구 북부시외버스터미널, 울산광역시, 포항행 시외버스와 서울고속버스터미널행 고속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8. 1. 도로

김해에는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남해고속도로제3지선, 대구부산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지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경유한다.

김해에는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58호선이 경유한다. 기존 구간(삼계동~전하교~김해시청~김해교)을 잇던 국도 제14호선의 일부는 자동차전용도로인 김해시내를 우회하는 도로(동서대로, 진영~주촌~식만교차로)로 이설되었다.

김해에는 지방도 제1020호선, 지방도 제1042호선이 경유하며, 국가지원지방도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이 경유한다.

김해에는 금관대로, 김해대로, 동서대로, 생림대로, 진산대로 총 5개 대로가 있다. 김해대로는 국도 제14호선, 금관대로는 장유IC 이전은 지방도 제1020호선, 이후는 국도 제58호선, 생림대로는 국도 제58호선, 진산대로는 국도 제25호선의 시계내 구간의 명칭이다.

  • 동서축
  • * 분성로 (구: 동서간선로, 활천고개 경유)
  • * 내외로
  • * 경원로
  • * 구지로

  • 기타
  • * 삼계로
  • * 활천로
  • * 불암로
  • * 율하로

  • 남해고속도로 제2지선(104호선)
  • * 냉정 분기점 - 장유휴게소(부산 방향만) - 장유 나들목

8. 2. 철도

진영역


경전선진영읍, 한림면, 생림면을 지나가며 진례역, 진영역, 한림정역이 있다. 특히, 한림정역은 벌크시멘트 수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이다. 2010년 12월 15일부터 진영역에서 KTX가 평일 왕복 4회, 주말 왕복 6회씩 운행을 시작하여, 진영역에서도 KTX를 이용할 수 있다. 같은 날, 경전선부산신항선이 분기하는 진례역 또한 신설되어 일부 무궁화호 열차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부산-김해 경전철2009년 12월에 시운전을 시작해 2011년 4월 말에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시운전 중의 탈선 사고 발생과 소음 문제,[41] 김해시의회의 관련 조례 처리 보류 등으로 여러 차례 개통이 연기되다가 2011년 9월 16일에 정식 개통했다. 건설 당시에는 가야대역을 삼계중학교와 푸르지오 아파트 근처에 지어 주민들의 반발이 있었으며, 김해대학역과 인제대역은 이들 역에서 해당 학교들이 꽤 떨어져 있기 때문에 역명이 일부 변경되었다.[42]

  • 김해대학역 → 안동역·김해대입구
  • 인제대역 → 활천역·인제대입구
  • 장신대역 → 화정역·장신대입구
  • 가야대역 → 삼계역·가야대입구


김해에는 경전선한림정역진영역 두 개의 역이 있다. 2011년 9월에 개통된 부산-김해 경전철김해국제공항을 경유하여 부산과 김해를 연결한다. 대저역(대저한국어)에서 부산 도시철도 3호선과, 사상역(사상한국어)에서 2호선과 연결된다. 김해에서 가장 가까운 KTX 역은 부산의 구포역이다.

;한국철도공사(KORAIL)

;부산-김해 경전철

8. 3. 항공

김해국제공항은 김해시 동쪽에 있으며, 연간 이용객 수는 이다. 장애인을 위한 편의 시설 등 다양한 편의 시설이 단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6] 김해국제공항부산광역시에 속하지만 김해시에서의 접근성도 좋다.

9. 산업

김해는 넓은 꽃밭을 가지고 있으며, 부산과 인근 도시들은 많은 양의 꽃을 수출해 왔다.[7] 김해 농업센터는 스프레이(Spray)라는 독자적인 한국산 장미를 개발하는 데 활용되었다.[7]

9. 1. 화훼 산업

김해에는 넓은 꽃밭이 있다. 부산과 인근 도시들은 많은 양의 꽃을 수출해 왔다.

김해 농업센터는 스프레이(Spray)라는 독자적인 한국산 장미를 개발하기 위해 활용되었다.[7]

9. 2. 쇼핑

대형할인점 및 아울렛은 김해시내에 3개(홈플러스 김해점, 동김해점(폐점), 메가마트 김해점, 롯데마트 김해점), 장유동에 3개(롯데마트 장유점,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 김해점, 농협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가 있다. 이 외에 시내에 많은 기업형 슈퍼마켓이 자리잡고 있다. 현 김해시외버스터미널 자리에 신세계에서 시공한 민자 터미널이 완공되어 2015년 2월 개관하여 이용중에 있으며, 이 곳에 신세계백화점 등 쇼핑몰이 2016년 6월에 입점하였다. 여기엔 이마트도 함께 입점하였다. 또한 부원역사개발지구에는 아이스퀘어몰이 입점하였다. 그리고 주촌선천도시개발지구에는 2022년코스트코 김해점이 입점했다.

김해시에는 예로부터 전통적으로 내려온 많은 시장들이 있다. 특히 부원역 2번 출구에 맞닿은 새벽시장은 옛 김해버스터미널의 위치가 이설되면서 그 부지에 자연스럽게 형성된 시장으로서 유명하며, 지도상에 공식적으로 명확히 표기되지도 않은 장터이다. 새벽시장이라는 이름은 새벽녘에 가장 활발한 시장으로서 자리매김하여 관습적으로 불리는 명칭이다. 이 시장은 최근 주상복합건물 공사가 시작됨에 따라 부원시가지 안쪽으로 이전하였다. 최근에는 대도시로 진입하는 김해시의 정책 덕분에 몇몇 시장들은 리모델링 및 내부 수리를 거치는 등 이전보다 더 환경이 현대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김해시의 전통시장은 다음과 같다.

시장 이름
김해재래시장 (동상시장)
내외동종합시장
삼방시장
새벽시장 (관습적 명칭, 부원동 시가지 내)
안동재래시장
어방종합시장
장유재래시장
진례재래시장
진영시장
진영재래시장 (진영상설시장)
활천시장


10. 자매 도시

김해시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8]


11.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뉴스 김해시청 축구단 창단 '초읽기' Newsmaker
[3] 웹사이트 Welcome To GimHae: Home > Gimhae Travel Guide > Introducing Gimhae http://engtour.gimha[...] 2017-10-01
[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5]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6] 웹사이트 Welcome To GimHae : Home > Gimhae Travel Guide > Transportation http://engtour.gimha[...] 2017-10-01
[7] 뉴스 온실속 만개한 국산 장미 연합뉴스 2008-01-24
[8] 웹사이트 자매도시 http://www.gimhae.go[...] Gimhae 2020-04-15
[9]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0] 웹사이트 김해현황 - 인구와 세대 http://www.gimhae.go[...] 김해시 홈페이지 2017-05-07
[11] 논문 朝鮮半島出土弥生系土器から復元する日韓交渉 : 勒島遺跡・原ノ辻遺跡出土事例を中心に https://doi.org/10.1[...] 東京大学大学院人文社会系研究科・文学部考古学研究室 2011-03-01
[12] 뉴스 김해 장유면 3개 분동 시의회 통과…행정절차 완료 http://media.daum.ne[...] CBS노컷뉴스 2012-09-17
[13] 법률 勅令第98号 地方制度改正件
[14] 법률 勅令第36号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5] 법률 勅令第49号 지방구역 정리 건
[16] 웹사이트 釜山江西区大渚1洞・2洞は1906年まで現在の釜山北区の区域とともに梁山郡に所属し、1906年に大上面(現・大渚1洞)と大下面(現・大渚2洞)は金海郡に、左耳面(現・釜山北区)は東萊郡に編入された。 1906-01-01
[17] 법률 慶尚南道令第2号 1928-01-28
[18]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32号 1931-10-20
[19] 법률 朝鮮総督府令第243号 1942-09-30
[20] 법률 朝鮮総督府令第7号 1943-01-18
[21] 법률 大統領令第6543号 邑設置に関する規定 1973-03-12
[22] 법률 法律第3014号 亀尾市設置及び釜山市・慶尚南道間の管轄区域調整に関する法律 1977-12-19
[23] 법률 法律第3425号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04-13
[24] 웹사이트 釜山直轄市北区のうち、1978年に金海郡から編入された部分)と合併 1978-01-01
[25] 법률 法律第4051号 부산직할시강서구설치및시·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26] 법률 法律第4948号 경기도평택시와 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05-10
[2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행정안전부 2020-09-13
[28] 뉴스 김해시의회 부산 강서와 통합안 https://news.v.daum.[...] YTN 2008-11-11
[29]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32호 1931-10-20
[30] 법률 법률 제3014호 구미시설치및부산시·경상남도간관할구역조정에관한법률 1977-12-19
[31] 법률 법률 제3425호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04-13
[32] 웹사이트 김해시청-김해역사 http://www.gimhae.go[...] 2013-02-06
[33] 법률 법률 제4948호 경기도 평택시 등 5개도농복합형태의 시 설치 등에 관한 법률 1995-05-10
[34] 법률 김해시 조례 제541호 행정기구설치조례 2005-03-25
[35] 뉴스 김해 장유 인구 10만명 돌파 http://www.ynnews.kr[...] 시사영남매일 2008-10-06
[36] 웹사이트 김해시, 인구 50만 대도시로 새롭게 태어나다 http://www.gimhae.go[...] 2010-10-12
[37] 뉴스 김해 장유면 3개 분동 시의회 통과…행정절차 완료 https://news.v.daum.[...] CBS노컷뉴스 2012-09-17
[38] 웹인용 이제 '가야왕도 김해'로 불러주세요 http://www.idomin.co[...] 2022-11-02
[39] 웹인용 꿈이 이루어지는 따뜻한 행복도시, 김해 https://www.asiatoda[...] 2022-11-02
[40] 웹사이트 가야테마파크 http://tour.gimhae.g[...] 2016-02-12
[41] 뉴스 자금 끊기고, 소음 대책도 막막 경전철 시행사 골머리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11-08-02
[42] 뉴스 부산~김해 경전철… 대학교명 딴 역사, 지역명으로 바꿔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1-07-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