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화군 (일제강점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화군은 1895년 춘천부 김화군으로 개편된 후 1896년 강원도에 속하게 되었다. 1914년 금성군과 통합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동안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쳤다. 1945년 광복 당시에는 1읍 11면으로 구성되었으나,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걸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원군 (남)의 역사 - 삭녕군
삭녕군은 고구려 소읍두현에서 시작하여 조선 시대 경기도에 속했던 군으로, 승녕현 편입, 안협현과의 합병 및 분리 과정을 거쳐 1895년 삭녕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폐지되어 연천군과 철원군에 편입되었고 한국 전쟁 이후 남북 분단으로 그 경계가 변화한 분단과 전쟁의 역사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이다. - 철원군 (남)의 역사 - 저격능선 전투
한국전쟁 중 철의 삼각지대 내 저격능선에서 벌어진 저격능선 전투는 국군 제2사단이 중국인민지원군과의 치열한 고지 쟁탈전 끝에 승리하여 유엔군이 휴전 회담을 유리하게 이끄는 데 기여했다. - 철원군 (남)의 지리 - 명성산
명성산은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방문할 수 있으며, 의정부역이나 운천터미널에서 버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 철원군 (남)의 지리 - 말고개
김화군 (일제강점기) | |
---|---|
지도 | |
일반 정보 | |
국가 | 일제강점기 조선 |
도 | 강원도 |
면적 | 753.57 km² |
폐지일 | 1945년 8월 15일 |
역사 | |
1895년 | 23부 시행으로 춘천부 김화군으로 개편 |
1896년 | 13도제 시행으로 강원도 김화군으로 개편 |
1914년 | 김화군 축소 (금성군 통합) |
1945년 | 해방 |
행정 구역 (1914년) | |
군청 소재지 | 김화면 |
면 | 김화면 서면 근동면 원남면 원동면 창도면 |
통계 (1945년 해방 당시) | |
인구 | 약 5만 명 |
2. 역사
1917년 군내면이 김화면으로 개칭되었다. 1939년 기오면이 창도면으로 개칭되었다. 1941년 10월 1일 김화면이 김화읍으로 승격하였다.[11] 1945년 광복 당시 김화군은 1읍 11면 ( 김화읍, 서면, 근남면, 근북면, 근동면,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 금성면, 원북면, 창도면, 통구면) 96개 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1895년 음력 윤5월 1일 춘천부 김화군으로 개편되었다.[6]1896년 8월 4일 강원도 김화군으로 개편되었다.[7]
면 |
---|
초동면(初東面), 이동면(二東面), 초북면(初北面), 원북면(遠北面), 군내면(郡內面), 서면(西面), 남면(南面) |
1914년 4월 1일 김화군과 금성군이 김화군으로 통합되었다. 옛 김화군의 남·북·동면은 첫머리에 근(近)을, 옛 금성군의 남·북·동면에는 첫머리에 원(遠)을 붙였다.[8]
금성군 (9면) |
---|
통구면(通口面), 오산면(梧山面), 기성면(岐城面), 북면(北面), 서면(西面), 군내면(郡內面), 임남면(任南面), 동면(東面), 남면(南面) |
금성군 군내면+서면=금성면(金城面), 기성면+오산면=기오면(岐梧面)
김화군 초동면+이동면=근동면[9], 초북면+원북면=근북면[10]
2. 2. 일제강점기
1895년 음력 윤5월 1일 춘천부 김화군으로 개편되었다.[6]1896년 8월 4일 강원도 김화군으로 개편되었다.[7] (초동면(初東面), 이동면(二東面), 초북면(初北面), 원북면(遠北面), 군내면(郡內面), 서면(西面), 남면(南面))
1914년 4월 1일 : 김화군과 금성군(金城郡)이 김화군으로 통합되었다. 옛 김화군의 남·북·동면은 첫머리에 근(近)을, 옛 금성군의 남·북·동면에는 첫머리에 원(遠)을 붙였다.[8] (통구면(通口面), 오산면(梧山面), 기성면(岐城面), 북면(北面), 서면(西面), 군내면(郡內面), 임남면(任南面), 동면(東面), 남면(南面))
1917년 : 군내면이 김화면으로 개칭되었다.
1939년 : 기오면이 창도면으로 개칭되었다.
1941년 10월 1일 : 김화면이 김화읍으로 승격하였다.[11]
1945년 광복 당시에는 1읍·11면(김화읍, 서면, 근남면, 근북면, 근동면,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 금성면, 원북면, 창도면, 통구면) 96리(里)로 구성되어 있었다.
2. 3. 광복 이후 ~ 한국 전쟁
1945년 광복 당시 김화군은 1읍 11면(김화읍, 서면, 근남면, 근북면, 근동면,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 금성면, 원북면, 창도면, 통구면) 96개 리로 구성되어 있었다.2. 4. 분단 이후
1945년 광복 당시 김화군은 1읍 11면 ( 김화읍, 서면, 근남면, 근북면, 근동면,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 금성면, 원북면, 창도면, 통구면) 96개 리로 구성되어 있었다.3. 행정 구역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김화군의 면과 리가 조정되었다.[12] 광복 당시 김화군은 1읍 2면(김화읍, 근남면, 서면)은 완전히 대한민국 관할이었고, 5개 면(근동면, 근북면,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은 남북으로 분단되었으며, 4개 면(금성면, 원북면, 창도면, 통구면)은 전체가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었다.[12]
아래 표는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와 현재의 행정구역을 비교한 것이다. 하위 섹션("1914년 행정구역 개편", "광복 당시 행정구역 (1945년)", "현재 행정구역")과 중복되는 내용은 표로 간략하게 나타내었다.
1914년 | 현재 | ||
---|---|---|---|
면 | 리 | 읍·면 | 리 |
군내면[13] | 읍내리, 생창리, 암정리, 운장리, 용양리, 학사리, 감봉리 | 철원군 김화읍 | 읍내리, 생창리, 암정리, 운장리, 용양리, 학사리, 감봉리 |
근남면[14] | 풍암리, 양지리, 사곡리, 육단리, 잠곡리, 마현리 | 철원군 근남면 | 풍암리, 양지리, 사곡리, 육단리, 잠곡리, 마현리 |
근동면[15] | 광삼리 대부분, 방통리 대부분 | 철원군 근동면 | 광삼리, 방통리 |
하소리, 교전리, 광삼리 일부 | 김화군 | 근동리 | |
수태리, 아침리 | 수태리 | ||
방통리 일부 | 김화군 | 구봉리 일부 | |
근북면[16] | 유곡리, 율목리, 백덕리, 금곡리 | 철원군 근북면 | 유곡리, 율목리, 백덕리, 금곡리 |
건천리, 두촌리 | 김화군 | 건천리 | |
산현리, 성암리 | 성산리 | ||
서면 | 자등리, 와수리 | 철원군 서면 | 자등리, 와수리 |
청양리, 도창리 | 철원군 김화읍 | 청양리, 도창리 | |
금성면[17] | 매회리, 탑거리 | 평강군 | 탑거리 |
경파리, 방충리, 상리, 후천리, 원동리 | 김화군 | 김화읍 | |
초서리, 별양리, 어천리 | 초서리 | ||
원남면[18] | 주파리, 진현리 일부, 죽대리 일부, 노동리 일부 | 철원군 원남면 | 주파리, 진현리, 죽대리, 노동리 |
경상리, 개야리, 남둔리, 노동리 일부, 죽대리 일부 | 김화군 | 원남리 | |
구룡리, 월봉리, 풍동리, 진현리 일부 | 구봉리 | ||
백양리 | 평강군 | 수태리 일부 | |
원동면[19] | 세현리 일부, 등대리 일부 | 철원군 원동면 | 세현리, 등대리 |
장연리 | 김화군 | 김화읍 일부 | |
용연리, 송실리, 세현리 일부, 등대리 일부 | 룡현리 | ||
방평리, 율사리 | 원동리 | ||
원북면[20] | 추의리 , 법수현리 | 김화군 | 신풍리, 법수리 |
고대리, 탄감리 | 신창리 | ||
당현리, 감천리 일부 | 당현리 | ||
고직리, 감천리 일부 | 원북리 | ||
임남면 | 수동리 일부 | 철원군 임남면 | 수동리 |
달전리, 상판리, 좌패리, 두목리, 노남리, 사천리 | 김화군 | 상판리 | |
과호리, 어운리, 수동리 일부 | 어호리 | ||
봉잔리, 면천리 | 금강군 | 오천리 일부 | |
기오면[21] | 유창리, 창도리, 득사리 | 김화군 | 창도리 |
학방리 | 학방로동자구 | ||
성현리 일부 | 회양군 | 송포리 일부 | |
도성리, 성현리 일부, 기성리 일부 | 창도군 | 성도리 | |
대백리 일부, 방성리 | 판교리 | ||
대백리 일부, 회현리, 성현리 일부 | 대백리 | ||
기성리 일부 | 신성리 | ||
통구면 | 통현리, 장안리, 화평리, 화사리 일부, 도파리 | 장현리 | |
당평리, 보막리, 삼태리, 현리, 화사리 일부, 북둔리 | 당산리 |
3. 1. 1914년 행정구역 개편
1914년 일제는 행정구역 개편을 실시하여, 김화군의 행정구역을 조정하였다.[12]1914년 | 현재 | ||
---|---|---|---|
면 | 리 | 읍·면 | 리 |
군내면[13] | 읍내리, 생창리, 암정리, 운장리, 용양리, 학사리, 감봉리 | 철원군 김화읍 | 읍내리, 생창리, 암정리, 운장리, 용양리, 학사리, 감봉리 |
근남면[14] | 풍암리, 양지리, 사곡리, 육단리, 잠곡리, 마현리 | 철원군 근남면 | 풍암리, 양지리, 사곡리, 육단리, 잠곡리, 마현리 |
근동면[15] | 광삼리 대부분, 방통리 대부분 | 철원군 근동면 | 광삼리, 방통리 |
하소리, 교전리, 광삼리 일부 | 김화군 | 근동리 | |
수태리, 아침리 | 수태리 | ||
방통리 일부 | 김화군 | 구봉리 일부 | |
근북면[16] | 유곡리, 율목리, 백덕리, 금곡리 | 철원군 근북면 | 유곡리, 율목리, 백덕리, 금곡리 |
건천리, 두촌리 | 김화군 | 건천리 | |
산현리, 성암리 | 성산리 | ||
서면 | 자등리, 와수리 | 철원군 서면 | 자등리, 와수리 |
청양리, 도창리 | 철원군 김화읍 | 청양리, 도창리 | |
금성면[17] | 매회리, 탑거리 | 평강군 | 탑거리 |
경파리, 방충리, 상리, 후천리, 원동리 | 김화군 | 김화읍 | |
초서리, 별양리, 어천리 | 초서리 | ||
원남면[18] | 주파리, 진현리 일부, 죽대리 일부, 노동리 일부 | 철원군 원남면 | 주파리, 진현리, 죽대리, 노동리 |
경상리, 개야리, 남둔리, 노동리 일부, 죽대리 일부 | 김화군 | 원남리 | |
구룡리, 월봉리, 풍동리, 진현리 일부 | 구봉리 | ||
백양리 | 평강군 | 수태리 일부 | |
원동면[19] | 세현리 일부, 등대리 일부 | 철원군 원동면 | 세현리, 등대리 |
장연리 | 김화군 | 김화읍 일부 | |
용연리, 송실리, 세현리 일부, 등대리 일부 | 룡현리 | ||
방평리, 율사리 | 원동리 | ||
원북면[20] | 추의리 , 법수현리 | 김화군 | 신풍리, 법수리 |
고대리, 탄감리 | 신창리 | ||
당현리, 감천리 일부 | 당현리 | ||
고직리, 감천리 일부 | 원북리 | ||
임남면 | 수동리 일부 | 철원군 임남면 | 수동리 |
달전리, 상판리, 좌패리, 두목리, 노남리, 사천리 | 김화군 | 상판리 | |
과호리, 어운리, 수동리 일부 | 어호리 | ||
봉잔리, 면천리 | 금강군 | 오천리 일부 | |
기오면[21] | 유창리, 창도리, 득사리 | 김화군 | 창도리 |
학방리 | 학방로동자구 | ||
성현리 일부 | 회양군 | 송포리 일부 | |
도성리, 성현리 일부, 기성리 일부 | 창도군 | 성도리 | |
대백리 일부, 방성리 | 판교리 | ||
대백리 일부, 회현리, 성현리 일부 | 대백리 | ||
기성리 일부 | 신성리 | ||
통구면 | 통현리, 장안리, 화평리, 화사리 일부, 도파리 | 장현리 | |
당평리, 보막리, 삼태리, 현리, 화사리 일부, 북둔리 | 당산리 |
3. 2. 광복 당시 행정구역 (1945년)
1945년 광복 당시 김화군은 1읍 2면(김화읍, 근남면, 서면)은 완전히 대한민국 관할이었고, 5개 면(근동면, 근북면,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은 남북으로 분단되었으며, 4개 면(금성면, 원북면, 창도면, 통구면)은 전체가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었다.[12]읍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
김화읍 | 48.02km2 | 7 | 읍내, 암정, 생창, 운장, 용양, 학사, 감봉 |
근남면 | 23.79km2 | 6 | 사곡, 육단, 잠곡, 마현, 풍암, 양지 |
근동면 | 94.8km2 | 6 | 교전, 광삼, 방통, 하소, 아침, 수태 |
근북면 | 98.72km2 | 8 | 두촌, 금곡, 백덕, 유곡, 율목, 건천, 성암, 산현 |
금성면 | 112.24km2 | 9 | 방충, 상, 후천, 경파, 초서, 어천, 탑거, 별양, 매회 |
서면 | 121.93km2 | 4 | 청양, 와수, 자등, 도창 |
원남면 | 163.76km2 | 11 | 개야, 경상, 주파, 죽대, 남둔, 노동, 풍동, 진현, 월봉, 백양, 구룡 |
원동면 | 155.71km2 | 7 | 장연, 방평, 용연, 율사, 송실, 세현, 등대 |
원북면 | 180.55km2 | 7 | 추의, 고대, 법수원, 당현, 감천, 고직, 탄감 |
임남면 | 197.39km2 | 11 | 사천, 노남, 봉잔, 좌패, 면천, 두목, 상판, 달전, 과호, 어운, 수동 |
창도면 | 131.9km2 | 10 | 창도, 유창, 득사, 학방, 방성, 기성, 도성, 성현, 회현, 태백 |
통구면 | 124.61km2 | 10 | 현, 화사, 도파, 화평, 통현, 장안, 북둔, 보막, 당평, 삼대 |
3. 3. 현재 행정구역
1914년 | 현재 | ||
---|---|---|---|
면 | 리 | 읍·면 | 리 |
군내면[13] | 읍내리, 생창리, 암정리, 운장리, 용양리, 학사리, 감봉리 | 철원군 김화읍 | 읍내리, 생창리, 암정리, 운장리, 용양리, 학사리, 감봉리 |
근남면[14] | 풍암리, 양지리, 사곡리, 육단리, 잠곡리, 마현리 | 철원군 근남면 | 풍암리, 양지리, 사곡리, 육단리, 잠곡리, 마현리 |
근동면[15] | 광삼리 대부분, 방통리 대부분 | 철원군 근동면 | 광삼리, 방통리 |
하소리, 교전리, 광삼리 일부 | 김화군 | 근동리 | |
수태리, 아침리 | 수태리 | ||
방통리 일부 | 김화군 | 구봉리 일부 | |
근북면[16] | 유곡리, 율목리, 백덕리, 금곡리 | 철원군 근북면 | 유곡리, 율목리, 백덕리, 금곡리 |
건천리, 두촌리 | 김화군 | 건천리 | |
산현리, 성암리 | 성산리 | ||
서면 | 자등리, 와수리 | 철원군 서면 | 자등리, 와수리 |
청양리, 도창리 | 철원군 김화읍 | 청양리, 도창리 | |
금성면[17] | 매회리, 탑거리 | 평강군 | 탑거리 |
경파리, 방충리, 상리, 후천리, 원동리 | 김화군 | 김화읍 | |
초서리, 별양리, 어천리 | 초서리 | ||
원남면[18] | 주파리, 진현리 일부, 죽대리 일부, 노동리 일부 | 철원군 원남면 | 주파리, 진현리, 죽대리, 노동리 |
경상리, 개야리, 남둔리, 노동리 일부, 죽대리 일부 | 김화군 | 원남리 | |
구룡리, 월봉리, 풍동리, 진현리 일부 | 구봉리 | ||
백양리 | 평강군 | 수태리 일부 | |
원동면[19] | 세현리 일부, 등대리 일부 | 철원군 원동면 | 세현리, 등대리 |
장연리 | 김화군 | 김화읍 일부 | |
용연리, 송실리, 세현리 일부, 등대리 일부 | 룡현리 | ||
방평리, 율사리 | 원동리 | ||
원북면[20] | 추의리, 법수현리 | 김화군 | 신풍리, 법수리 |
고대리, 탄감리 | 신창리 | ||
당현리, 감천리 일부 | 당현리 | ||
고직리, 감천리 일부 | 원북리 | ||
임남면 | 수동리 일부 | 철원군 임남면 | 수동리 |
달전리, 상판리, 좌패리, 두목리, 노남리, 사천리 | 김화군 | 상판리 | |
과호리, 어운리, 수동리 일부 | 어호리 | ||
봉잔리, 면천리 | 금강군 | 오천리 일부 | |
기오면[21] | 유창리, 창도리, 득사리 | 김화군 | 창도리 |
학방리 | 학방로동자구 | ||
성현리 일부 | 회양군 | 송포리 일부 | |
도성리, 성현리 일부, 기성리 일부 | 창도군 | 성도리 | |
대백리 일부, 방성리 | 판교리 | ||
대백리 일부, 회현리, 성현리 일부 | 대백리 | ||
기성리 일부 | 신성리 | ||
통구면 | 통현리, 장안리, 화평리, 화사리 일부, 도파리 | 장현리 | |
당평리, 보막리, 삼태리, 현리, 화사리 일부, 북둔리 | 당산리 | ||
참조
[1]
관보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https://ko.wikisourc[...]
wikisource
1895-07-18 #음력 5월 26일을 양력으로 변환
[2]
관보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3]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조선총독부
1913-12-29
[4]
문서
[5]
웹사이트
https://dprktoday.co[...]
[6]
관보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https://ko.wikisourc[...]
1895-07-18 #음력 5월 26일을 양력으로 변환
[7]
관보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8]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조선총독부
1913-12-29
[9]
문서
[10]
문서
[11]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53호 읍면및읍면장에관한규정
조선총독부
1941-09-29
[12]
서적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