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사우바일부르크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사우바일부르크가는 나사우 가문의 분가로, 1344년부터 1866년까지 백작령, 공국, 룩셈부르크 대공국을 통치했다. 종교 개혁과 30년 전쟁을 거치며 가톨릭으로 개종하기도 했으며, 1816년 나사우 공국을 거쳐 1890년부터 룩셈부르크 대공국을 통치하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주요 통치자로는 요한 1세, 아돌프, 빌헬름 4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룩셈부르크의 역사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는 1482년부터 1795년까지 현재의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부르고뉴 공작령 상속으로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나 스페인의 가톨릭 박해와 전제정치로 80년 전쟁을 겪으며 북부 7개 주는 독립하고 남부 지역은 합스부르크의 지배를 받았다.
  • 룩셈부르크의 역사 - 나사우 공국
    나사우 공국은 1806년 나사우-우징겐 공국과 나사우-바일부르크 공국이 합쳐져 형성되었으나,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 편에 섰다가 프로이센에 합병되어 소멸되었고, 공작 아돌프는 룩셈부르크 대공으로 추대되어 그의 자손이 현재까지 대공위를 계승하고 있다.
  • 유럽의 왕가 - 스포르차가
    스포르차 가문은 15세기 중반부터 16세기 중반까지 밀라노 공국을 지배한 이탈리아 귀족 가문으로, 용병대장 무치오 스포르차를 시조로 하여 르네상스 문화를 후원하고 유럽 왕족과 혼인 관계를 맺었으나 권력 투쟁과 이탈리아 전쟁으로 몰락했다.
  • 유럽의 왕가 - 오스만 왕조
    오스만 왕조는 1299년 오스만 1세가 건국한 술탄 통치 튀르크계 왕조로, 600년 이상 존속하며 넓은 영토를 지배했으나 1922년 멸망 후 오스만 가문은 튀르키예에서 추방되었고 장자 상속 제도를 유지하며 가계를 이어오고 있다.
  • 나사우바일부르크가 - 샤를로트 (룩셈부르크)
    샤를로트는 룩셈부르크 대공 빌헬름 4세의 딸로, 언니의 퇴위 후 대공이 되어 국민투표를 통해 군주제를 확립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 생활을 거쳐 국제 무대에서 룩셈부르크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아들에게 양위했다.
  • 나사우바일부르크가 - 아돌프 (룩셈부르크)
    아돌프 폰 나사우는 나사우 공국의 공작이었으며, 1890년부터 1905년까지 룩셈부르크의 대공으로, 나사우 가문 협약에 따라 룩셈부르크 대공위를 계승하였다.
나사우바일부르크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씨나사우바일부르크 가
문장[[File:Blason_Nassau-Weilbourg.svg|120px|나사우바일부르크 가 문장]]
모가나사우 가문
영지룩셈부르크 대공궁
콜마르베르크 베르크 성
피슈바흐 피슈바흐 성
작위룩셈부르크 대공
나사우바일부르크 공자
나사우 공작
나사우바일부르크 백작
경칭전하
설립자요한 1세
마지막 통치자(정보 없음)
현재 수장앙리 (인지적 계열)
해체1985년 (부계 계열)
폐위(정보 없음)
국적(정보 없음)
분가(정보 없음)
가계 정보
설립자(정보 없음)
현재 수장앙리
분가(정보 없음)
기타
둘러보기 상자유럽의 왕가

2. 역사

나사우바일부르크가는 1344년 나사우 백작령이 분할되면서 시작되었다. 1366년 신성 로마 제국의 백작령이 되었고, 1688년 백작이 제후로 승격되었다. 1816년 나사우 공국에 합병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초대 룩셈부르크 대공인 아돌프와 기욤 4세는 개신교 신자였지만, 기욤 4세가 마리아 안나 드 브라간사와 결혼한 후 왕가는 가톨릭교로 바뀌었다.[2] 1890년부터 룩셈부르크 대공국을 통치하기 시작했다.

2. 1. 나사우바일부르크 백작령 (1344년 ~ 1816년)

Grafschaft Nassau-Weilburgde는 1344년 나사우 백작령이 분할되면서 생성되었다. 1366년 신성 로마 제국의 백작령이 되었고, 1688년 백작이 제후로 승격되었다. 1816년 나사우 공국에 합병되어 소멸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2. 1. 1. 종교 개혁과 30년 전쟁

초대 룩셈부르크 대공인 아돌프와 기욤 4세는 개신교 신자였지만, 기욤 4세가 마리아 안나 드 브라간사와 결혼한 후 왕가는 가톨릭교로 바뀌었다.[2]

2. 2. 룩셈부르크 대공국 (1890년 ~ 현재)


  • 1890년 ~ 1905년: 아돌프
  • 1905년 ~ 1912년: 빌헬름 4세
  • 1912년 ~ 1919년: 마리 아델라이드
  • 1919년 ~ 1964년: 샤를로트
  • 1964년 ~ 2000년: 장
  • 2000년 ~ 현재: 앙리

3.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의 통치자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은 나사우 가문에서 분가되어 나와 여러 지역을 통치했다.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의 통치자
재위 기간이름
1344년 ~ 1371년요한 1세
1371년 ~ 1429년필리프 1세
1429년 ~ 1442년필리프 2세, 요한 2세
1442년 ~ 1492년필리프 2세
1492년 ~ 1523년루이 1세
1523년 ~ 1559년필리프 3세
1559년 ~ 1593년알브레히트
1559년 ~ 1602년필리프 4세
1593년 ~ 1625년루이 2세
1625년 ~ 1629년빌헬름 루이, 요한 4세, 에른스트 카시미르
1629년 ~ 1655년에른스트 카시미르
1655년 ~ 1675년프리드리히
1675년 ~ 1688년요한 에른스트
1688년 ~ 1719년요한 에른스트
1719년 ~ 1753년카를 아우구스트
1753년 ~ 1788년카를 크리스티안
1788년 ~ 1816년프리드리히 빌헬름
1816년빌헬름
1816년 ~ 1839년빌헬름
1839년 ~ 1866년아돌프



1815년 빈 회의 결과, 룩셈부르크 대공국은 네덜란드 연합왕국빌럼 1세가 다스리는 동군연합 형태로 독립하면서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이 룩셈부르크를 통치하게 되었다. 1890년 네덜란드의 빌헬미나 여왕 즉위 후, 살리카 법에 따라 여성이 룩셈부르크 대공위를 계승할 수 없게 되자, 아돌프가 룩셈부르크 대공으로 즉위하며 동군연합이 해소되었다.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의 룩셈부르크 대공
대공재위 기간출생일사망일
아돌프1890년 11월 23일 ~ 1905년 11월 17일1817년 7월 24일1905년 11월 17일
빌헬름 4세1905년 11월 17일 ~ 1912년 2월 25일1852년 4월 22일1912년 2월 25일
마리 아델라이드1912년 2월 25일 ~ 1919년 1월 14일1894년 6월 14일1924년 1월 24일
샤를로트1919년 1월 14일 ~ 1964년 11월 12일1896년 1월 23일1985년 7월 9일
1964년 11월 12일 ~ 2000년 10월 7일1921년 1월 5일2019년 4월 23일
앙리2000년 10월 7일 ~ 현재1955년 4월 16일-


3. 1. 나사우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은 나사우 가문을 형성했다.

재위 기간이름
1344년 ~ 1371년요한 1세
1371년 ~ 1429년필리프 1세
1429년 ~ 1442년필리프 2세, 요한 2세
1442년 ~ 1492년필리프 2세
1492년 ~ 1523년루이 1세
1523년 ~ 1559년필리프 3세
1559년 ~ 1593년알브레히트
1559년 ~ 1602년필리프 4세
1593년 ~ 1625년루이 2세
1625년 ~ 1629년빌헬름 루이, 요한 4세, 에른스트 카시미르
1629년 ~ 1655년에른스트 카시미르
1655년 ~ 1675년프리드리히
1675년 ~ 1688년요한 에른스트
1688년 ~ 1719년요한 에른스트
1719년 ~ 1753년카를 아우구스트
1753년 ~ 1788년카를 크리스티안
1788년 ~ 1816년프리드리히 빌헬름
1816년빌헬름
1816년 ~ 1839년빌헬름
1839년 ~ 1866년아돌프


3. 1. 1. 나사우바일부르크 백작

재위 기간이름
1344년 ~ 1371년요한 1세
1371년 ~ 1429년필리프 1세
1429년 ~ 1442년필리프 2세, 요한 2세
1442년 ~ 1492년필리프 2세
1492년 ~ 1523년루이 1세
1523년 ~ 1559년필리프 3세
1559년 ~ 1593년알브레히트
1559년 ~ 1602년필리프 4세
1593년 ~ 1625년루이 2세
1625년 ~ 1629년빌헬름 루이, 요한 4세, 에른스트 카시미르
1629년 ~ 1655년에른스트 카시미르
1655년 ~ 1675년프리드리히
1675년 ~ 1688년요한 에른스트


3. 1. 2. 나사우바일부르크 공작


  • 1688년~1719년: 요한 에른스트
  • 1719년~1753년: 카를 아우구스트
  • 1753년~1788년: 카를 크리스티안
  • 1788년~1816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 1816년: 빌헬름

3. 1. 3. 나사우 공작


  • 1816년 ~ 1839년: 빌헬름
  • 1839년 ~ 1866년: 아돌프

3. 2. 룩셈부르크

1815년 빈 회의 결과 룩셈부르크 대공국은 네덜란드 연합왕국빌럼 1세가 다스리는 동군연합 형태로 독립하면서, 나사우바일부르크가는 룩셈부르크를 통치하게 되었다. 그러나 1890년 네덜란드의 빌헬미나 여왕이 즉위하면서 살리카 법에 따라 여성이 룩셈부르크 대공위를 계승할 수 없게 되자,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의 아돌프가 룩셈부르크 대공으로 즉위하며 동군연합은 해소되었다.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의 룩셈부르크 대공
대공재위 기간출생일사망일
아돌프1890년 11월 23일 ~ 1905년 11월 17일1817년 7월 24일1905년 11월 17일
빌헬름 4세1905년 11월 17일 ~ 1912년 2월 25일1852년 4월 22일1912년 2월 25일
마리 아델라이드1912년 2월 25일 ~ 1919년 1월 14일1894년 6월 14일1924년 1월 24일
샤를로트1919년 1월 14일 ~ 1964년 11월 12일1896년 1월 23일1985년 7월 9일
1964년 11월 12일 ~ 2000년 10월 7일1921년 1월 5일2019년 4월 23일
앙리2000년 10월 7일 ~ 현재1955년 4월 16일-


3. 2. 1. 룩셈부르크 대공


  • 1890년–1905년: 아돌프
  • 1905년–1912년: 빌헬름 4세
  • 1912년–1919년: 마리 아델라이드
  • 1919년–1964년: 샤를로트
  • 1964년–2000년: 장
  • 2000년–현재: 앙리

4. 가계도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의 조상에 대해서는 나사우 가문#가계도를 참조하십시오.''[3][4]

이름초상화비고
요한 3세
(1441–1480)

나사우-바일부르크 백작
루이 1세
(1473–1523)
--나사우-바일부르크 백작
필리프 3세
(1504–1559)
--나사우-바일부르크 백작
알브레히트
(1537–1593)
--나사우-바일부르크 백작
필리프 4세
(1542–1602)
--
--
나사우-자르브뤼켄 백작
루이 2세
(1565–1627)
--나사우-바일부르크 백작
빌헬름
(1570–1597)
--나사우-바일부르크 백작
요한 카시미르
(1577–1602)
--나사우-바일부르크 백작
빌헬름 루이
(1590–1640)
--
나사우-자르브뤼켄 백작
요한
(1603–1677)
--나사우-이츠슈타인 백작
나사우-이츠슈타인 가문
1721년 멸절
에른스트 카시미르
(1607–1655)
--나사우-바일부르크 백작
요한 루이
(1625–1690)
--나사우-오트바일러 백작
1728년 멸절
구스타프 아돌프
(1632–1677)
--나사우-자르브뤼켄 백작
1723년 멸절
발라드
(1635–1702)
나사우-우징겐 백작 및 공작
1816년 멸절
프리드리히
(1640–1675)
--나사우-바일부르크 백작
요한 에른스트
(1664–1719)
--나사우-바일부르크 백작 및 공작
카를 아우구스트
(1685–1753)
--나사우-바일부르크 공자
카를 에른스트
(1689–1709)
--나사우-바일부르크 공자
카를 크리스티안
(1735–1788)
--나사우-바일부르크 공자
오라녜-나사우의 카롤리나 공주
(1743–1787)
프리드리히 빌헬름
(1768–1816)
--나사우-바일부르크 공자
빌헬름
(1792–1839)

나사우 공작
아돌프
(1817–1905)

나사우 공작 1839–1866
룩셈부르크 대공
1890–1905
룩셈부르크 대공 가문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Inoformation of the reigning House of Nassau-Weilburg http://luxembourg.pu[...] 2019-11-03
[2] 웹사이트 Inoformation of the reigning House of Nassau-Weilburg which explicitly states the House of Nassau as its parent house https://sip.gouverne[...]
[3] 서적 Heraldry of the Royal Families of Europe Clarkson N. Potter, Inc. 1988-12-12
[4] 간행물 The House of Nassau between France and Independence, 1795–1814: Lesser Powers, Strategies of Conflict Resolution, Dynastic Networks https://www.academia[...] 2016-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