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신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신교는 16세기 종교개혁에서 시작되어 로마 가톨릭교회와 구별되는 기독교의 한 분파이다. '개신교'는 종교개혁의 전통을 강조하는 한자어 표현이며, '프로테스탄트'는 1529년 독일 슈파이어에서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에 반대하는 이들을 지칭하며 사용된 용어이다. 개신교는 '오직 성경', '오직 믿음', '만인 제사장'을 주요 원칙으로 삼으며, 루터교, 장로교, 감리교, 침례교, 성결교, 오순절교, 성공회 등 다양한 교파로 나뉜다. 개신교 신학은 성경을 중심으로 하는 역사적 성경 해석을 강조하며, 삼위일체와 5대 종교개혁 원리를 따른다. 종교 개혁은 결혼, 교육, 경제,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에는 1885년 선교사들의 입국과 함께 전파되어 현재 인구의 약 20%가 개신교 신자이다. 개신교는 전 세계적으로 9억 명 이상의 신자를 보유한 주요 종교로,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신교 - 하나님
하나님은 종교에 따라 세상의 창조주를 지칭하는 말로, 유대교의 유일신 여호와, 개신교의 삼위일체, 한국 이슬람교의 '알라'를 의미하며, '엘로힘'에서 유래하여 '하느님'과 함께 사용되다 현대 한국어에서 '하나님'으로 주로 쓰이지만, 그 사용과 어원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개신교 - 자유 교회
자유 교회는 국가나 기존 교회의 권위에서 벗어나 자발적인 신앙 공동체를 지향하는 교회들을 의미하며, 왈덴스파와 재세례파 운동에서 기원하여 스코틀랜드에서 발원, 유럽과 미국으로 확산되어 각 국가 및 교파별로 다양한 형태를 띤다. - 그리스도의 교회 - 알렉산더 캠벨
아일랜드 태생의 미국 종교 지도자, 저술가, 교육자인 알렉산더 캠벨은 아버지 토마스 캠벨과 함께 복원 운동을 주도하고 그리스도의 제자회 설립에 기여했으며, 저널 편집 및 베서니 대학교 설립을 통해 교육에도 헌신했다. - 그리스도의 교회 - 그리스도의 교회 (무악기)
그리스도의 교회 (무악기)는 1906년 미국에서 악기 사용에 반대하여 분리된 교단으로, 성경을 유일한 권위로 삼고 아카펠라 찬양만을 고수하며, 세례를 구원의 필수적인 요소로 강조하는 복원 운동의 영향을 받은 교회이다. - 16세기 도입 - 베를리너 바이세
베를리너 바이세는 16세기 함부르크에서 유래된 신맛이 특징적인 독일 밀맥주 스타일로, 프로이센 왕가 장려와 나폴레옹 군대의 칭송으로 유명해졌으며, 라즈베리나 향기풀 시럽을 첨가하여 제공되기도 하고 독일 외 여러 나라에서 생산된다. - 16세기 도입 - 놈 (요정)
놈은 16세기 파라켈수스가 처음 사용한 단어로, 땅에 사는 요정을 의미하며 흙의 정령으로 분류되었고, 광산 관련 민간 전승에 등장하기도 하며, 현재는 대중문화와 정원 장식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개신교 | |
---|---|
개신교 | |
![]() | |
일반 정보 | |
주요 교파 | 루터교회 개혁교회 (장로교회, 회중교회) 성공회 침례교회 감리교회 오순절교회 재침례파 |
기원 | 16세기 종교개혁 |
창시자 | 마르틴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존 칼빈 외 다수 |
분리 | 로마 가톨릭교회 |
신학적 강조점 | 오직 성경 오직 은혜 오직 믿음 만인제사장설 |
신학 분류 | 기독교 |
성례 | 세례 성찬례 (교파에 따라 차이) |
예배 언어 | 지역 언어 |
발상지 | 독일 작센 주 비텐베르크 |
주요 분포 지역 | 유럽, 북미,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아시아 |
추정 신자 수 | 625,606,000명 (2024년) |
역사 | |
종교 개혁 | 1517년 마르틴 루터의 95개조 논제 발표 |
주요 사건 |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낭트 칙령 베스트팔렌 조약 |
조직 | |
세계 조직 | 세계교회협의회 (WCC) 세계 복음주의 연맹 (WEA) |
기타 | |
관련 항목 | 기독교 종교개혁 신학 교회 |
2. 개신교의 기원과 용어
16세기 서방교회의 사회, 정치적 문제로 인한 종교개혁 요구에 찬성하는 성직자들은 '개신교'로, 반대하는 성직자들은 '천주교회'로 나뉘었다. 이러한 분열은 루터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10세기 창부정치 비판, 12세기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의 교회 정화 운동, 14세기 아비뇽 유수 비판 등 서방교회 개혁 주장은 이전부터 계속되었다. 15, 16세기 서방교회의 심각한 문제로 인해 루터 전후 여러 지역에서 '복음' 중심의 개혁 운동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났다. 개신교는 초기에는 특정 교파보다는 '복음' 회복과 '복음' 중심의 교회 변혁을 추구하는 서방교회 내부 운동이었다.
유럽 대륙(독일, 프랑스, 스페인)에서는 교황 중심주의자들이 개혁 찬성파를 '복음주의'[319]라고 칭하며 비판했고, 현재도 유럽 대륙에서 '복음주의 교회'는 개신교 전체를 의미한다. 영국에서는 서방교회 개혁 반대파와 연계된 정치 제도에 '항의(Protest)'하는 모든 운동과 전통을 '프로테스탄트'(protestant)라고 칭했고, 현재 영어권에서 개신교 전체를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된다.
개신교는 종교개혁 과정에서 복음주의를 바탕으로 온건적 '개선주의'와 급진적 '재건주의' 신학으로 나뉘었다. 초대 교회와 공교회 전통을 따라 서방교회의 잘못을 개선하려는 '개선주의' 신학은 루터교회를 형성했다. 초대 교회와 공교회 전통을 강조하며 서방교회에서 벗어나려는 '재건주의' 신학은 츠빙글리, 칼뱅 등을 통해 '개혁교회'와 '재세례파 교회'를 형성했다.
이후 '''개선주의''' 신학 교단으로 루터교회, 성공회, 감리교회, 성결교회, 구세군, 오순절교회 등이, '''재건주의''' 신학 교단으로 개혁교회, 장로교회, 침례교회, 회중교회, 퀘이커 교회, 메노나이트 교회 등이 형성되었다. 청교도 운동, 경건주의, 오순절주의, 미국의 대각성 (운동) 등도 개신교 전통에 포함된다.[320] 정교회나 천주교에 비해 다양한 흐름이 공존하고 영향을 주고받으며 분류/합류되었기에 개신교 내 교파 분열 역사와 신학 논쟁은 복잡하다. 하지만 대체로 성경의 권위 존중, 이신칭의 교리 동의[321], 만인 제사장설에 따른 감독제(루터교회, 성공회, 감리교회 등)[322], 원로제(개혁교회 장로교회 등), 회중제(회중교회, 침례교회 등) 채택, 성서에 없는 성례전 반대(개신교는 성만찬, 세례만 인정) 등의 공통점을 갖는다.
개신교 신앙고백은 성서 속 복음에 대한 믿음 고백[323]이므로, 서방교회 신학과 보편교회 전통을 성서에 비추어 교리와 제도를 재조명하고, 성경에 따르지 않는 조항은 폐기했다. 초대교회와 보편교회 신앙고백, 개신교 신앙고백에 따라 조명된 교회 전통과 역할이 개신교 전통이다. 교회 구조, 성찬식 변화, 교회학교, 성경 연구, 사회운동 등이 포함된다.
교리의 중심인 사도신경은 천주교와 거의 같고, 독자적인 삼대 원리가 있다.
- 믿음으로만 의롭다 함을 받는다.
- 성서만이 신앙생활의 근거이다.
- 세례 받은 신자는 모두 제사장이다(만인제사장).
이단 판별 기준은 성서를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이고, 삼위일체 교리, 예수 부활 신앙, 예수 죽음을 통한 속죄 신앙, 주 예수가 구약 그리스도라는 신앙 확립 등이다.
2. 1. 프로테스탄트 (Protestant)
1529년 신성 로마 제국의 6명의 제후와 14개의 제국 자유 도시 통치자들이 스피어 의회의 칙령에 항의(반대) 성명을 발표하면서 최초로 프로테스탄트(Protestant)라 불리게 되었다.[16] 이 칙령은 3년 전 스피어 의회에서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의 승인을 얻어 루터교도들에게 허용되었던 특권을 철회한 것이었다. 초기에는 순전히 정치적인 성격을 띠었던 "프로테스탄트"라는 용어는 나중에 더 넓은 의미를 갖게 되어 주요 프로테스탄트 원칙을 따르는 서구 교회의 신자를 지칭하게 되었다.[16] 프로테스탄트는 종교 개혁 기간에 로마 가톨릭교회로부터 분리된 기독교 단체 또는 그 후손 그룹에 속한 신자를 말한다.[17]종교 개혁 당시 "프로테스탄트"라는 용어는 독일 정치권 밖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종교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은 "복음주의자"(evangelischde)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점차 "프로테스탄트"는 독일어권 지역에서 종교 개혁에 참여한 모든 신자를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다. 결국 루터교도들도 어느 정도 이 용어를 받아들였지만, 마르틴 루터 자신은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고백하는 사람들에게는 "그리스도인"이나 "복음주의자"만이 허용되는 이름이라고 주장했다. 프랑스와 스위스 프로테스탄트들은 대신 "개혁파"(réformé프랑스어)라는 단어를 선호했는데, 이는 칼뱅주의자들을 위한 대중적이고 중립적인 대안적인 이름이 되었다.
프로테스탄트라는 총칭은 그 신봉자들이 가톨릭교회에 항의(protestārī, 프로테스타리)한 데서 유래한다.[291] "프로테스탄트"는 해당하는 여러 교파의 총칭이며, 프로테스탄트 전체를 통괄하는 교단 연합 조직은 존재하지 않는다.
2. 2. 복음주의 (Evangelical)
"복음"(福音, evangelischde)을 의미하는 "복음주의"(Evangelical)는 1517년부터 시작된 독일어권 지역의 종교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을 가리키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18] "복음주의"는 여전히 유럽의 루터교, 칼뱅주의, 연합(루터교와 개혁교) 프로테스탄트 전통을 가진 일부 역사적인 프로테스탄트 교파들과 이들과 강한 유대감을 가진 교파들 사이에서 선호된다. 무엇보다도 이 용어는 독일어권 지역의 프로테스탄트 교단, 예를 들어 독일 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독일어 "evangelischde"는 프로테스탄트를 의미하지만, "evangelikalde"은 복음주의에 의해 형성된 교회들을 가리킨다. 영어 "evangelical"은 일반적으로 복음주의 프로테스탄트 교회들을 가리키므로, 프로테스탄트 전체가 아닌 프로테스탄트의 특정 부분을 가리킨다. 영어 단어는 영국에서 복음주의가 시작된 청교도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 후 미국으로 전해졌다.마르틴 루터는 "루터교"라는 용어를 싫어하고, "좋은 소식", 즉 "복음"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euangelion"에서 유래한 "복음주의"라는 용어를 선호했다.[19] 장 칼뱅, 울리히 츠빙글리 및 개혁주의 전통과 관련된 다른 신학자들도 그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두 복음주의 그룹을 구분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은 "복음주의 루터교"와 "복음주의 개혁교"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이 단어는 "복음주의 감리교"와 같은 다른 주류 그룹에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복음주의"라는 단어는 생략되었다. 루터교인들은 필립파인과 칼뱅주의자와 같은 다른 그룹과 자신들을 구별하기 위해 16세기 중반에 "루터교"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2. 3. 개혁 (Reformational)
독일어 단어 'reformatorischde'는 영어로 "개혁적인" 또는 "개혁하는"으로 대략 번역되며, 독일어에서 'evangelischde'(복음주의적인)의 대안으로 사용되지만, 영어의 'reformed' (reformiertde)와는 다르다. 'reformed'는 장 칼뱅, 울리히 츠빙글리 및 다른 개혁파 신학자들의 사상에 의해 형성된 교회들을 가리킨다. "종교 개혁"이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이 용어는 "복음주의적인"(1517년)과 "프로테스탄트"(1529년)라는 용어와 거의 같은 시기에 등장했다.프로테스탄트라는 총칭은 그 신봉자들이 가톨릭교회에 항의(protestārī, 프로테스타리)한 데서 유래한다.[291] "프로테스탄트"는 해당하는 여러 교파의 총칭이며, 프로테스탄트 전체를 통괄하는 교단 연합 조직은 존재하지 않는다. 중세 여러 교파의 형성 당시, 국교화된 가톨릭교회는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교황 중심주의에 항의하여 내부 분열(세크트)한 프로테스탄트 여러 교파에 대해서도 이단으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많은 교파는 가톨릭교회의 대응에 대해 항쟁이나 전쟁의 수단을 사용하여 새로운 체제적 교회를 건설하였다.
또한 새로운 정통의 기준을 확립한 프로테스탄트 여러 교회는 그 공적인 신앙의 기준에 반하는 것을 이단으로 여겼다.[292]
교리의 중심인 사도신경은 모태가 된 가톨릭교회와 거의 같게 설정되어 있다. 거기에 더하여 독자적인 원칙으로 삼대 원리도 설정되어 있다.
-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고 여겨지는 것은 행위나 제례가 아니라 "믿음"뿐이다.
- 성서는 하나님의 말씀이며, 신앙생활은 성서의 계시를 근거로 한다("성경만").
- 세례를 받은 신자는 모두 제사장이다("만인제사장").
이교 또는 이단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으로는, 성서 전체를 하나님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쓰여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전제로, 삼위일체의 교리가 확립되어 있는 것, 예수의 부활 신앙이 확립되어 있는 것, 나사렛 예수의 죽음을 통한 속죄 신앙이 확립되어 있는 것, 주 예수가 구약의 그리스도라는 신앙이 확립되어 있는 것 등이 규정되어 있다.
2013년 현재, 세계적으로 약 23억 명의 기독교 신자가 있으며, 그중 개신교 신자는 약 5억 명이다.[299]
3. 개신교의 역사
16세기 서방교회의 사회, 정치적 문제로 인해 종교개혁 요구가 일어났고, 이에 찬성하는 성직자들이 '개신교회'로, 반대하는 성직자들은 '천주교회'로 나뉘었다. 이러한 분열은 마르틴 루터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10세기 창부정치 비판, 12세기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의 정화 운동, 14세기 아비뇽 유수 비판 등 서방교회 개혁 주장이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15세기와 16세기 서방교회의 심각한 문제로 인해 루터 전후에 다양한 지역에서 '복음' 중심의 개혁 운동이 동시다발적으로 전개되었다. 초기 개신교는 특정 교파보다는 '복음' 회복과 '복음' 중심의 교회 변혁을 추구하는 서방교회 내부의 기독교 운동이었다.
유럽 지역에서 독일,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 본토에서는 교황 중심주의자들이 '복음주의'[319]로 개혁 찬성파들을 비판하며 '복음주의자'로 칭했고, 현재도 유럽 본토에서 '복음주의 교회'는 개신교회 전체를 의미한다. 영국 지역에서는 서방교회의 개혁 반대파와 연계된 정치 제도에 '항의(Protest)'하며 등장한 모든 운동과 전통을 '프로테스탄트'(protestant)로 칭했고, 영어권에서 현재 개신교회 전체를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한다.
개신교는 종교개혁 과정에서 복음주의를 바탕으로 온건적 개혁의 '개선주의' 신학과 급진적 개혁의 '재건주의' 신학으로 나뉘었다. 초대 교회와 공교회 전통을 따라 서방교회의 잘못을 개선하고자 하는 '개선주의' 신학으로 루터교회가 형성되었다. 초대 교회와 공교회 전통을 강조하며 서방교회 전통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재건주의' 신학에서 개혁교회와 재세례파 교회가 형성되었다.
이후 '''개선주의''' 신학적 교단으로 루터교회, 성공회, 감리교회, 성결교회, 구세군, 오순절교회 등이 형성되었고, '''재건주의''' 신학적 교단으로 개혁교회, 장로교회, 침례교회, 회중교회, 퀘이커, 메노나이트 등이 형성되었다. 오늘날 주요 교단 형성의 신학적 배경 외에도 청교도 운동, 경건주의, 오순절주의, 미국의 대각성 (운동) 같은 흐름들도 모두 개신교 전통에 포함된다.[320] 이처럼 정교회나 천주교에 비해 다양한 흐름들이 공존하고 서로 영향을 주며 분류/합류되는 과정을 거쳐왔다.
개신교는 성경의 권위 존중,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다는 이신칭의 교리에 대한 동의[321], 만인 제사장설을 따르는 성직 이해와 그에 따른 교회 제도인 감독제(루터교회, 성공회, 감리교회 등)[322]와 원로제(개혁교회, 장로교회 등), 회중제(회중교회, 침례교회 등)를 채택하였다. 성경에 나오지 않는 성례전에 대한 반대(천주교회는 7개, 개신교는 성만찬, 세례 2개) 등의 공통점을 갖고 있다.
개신교회의 신앙고백은 성경 안에 증언된 복음에 대한 믿음을 고백하는 방법이므로[323] 서방교회의 신학적 기반과 보편교회 신학적 전통을 성서에 비추어 올바른 교리와 제도를 재조명하였고 서방교회 전통 중 성경에 따르지 않는 조항은 폐기하였다. 초대교회와 보편교회의 신앙고백과 서방교회 전통 중 개신교 신앙고백에 따라 새롭게 조명된 교회 전통과 새롭게 형성된 교회의 역할을 개신교회의 전통으로 본다.
개신교회 성직자는 목사[328]이며, 만인제사장 정신에 따라 성도와 평등한 관계에서 시작되었다. 개신교회는 교회 내 계급적 관계를 반대하며, 목사는 동일한 성도로서 거룩한 사명을 수행하는 직분으로 인식한다.
1517년 이후, 마르틴 루터 등에 의해 가톨릭교회의 개혁을 요구하는 종교 개혁 운동이 일어났다. 1524년, 토마스 뮌처가 이끄는 무장 농민들이 봉기하여 독일 농민 전쟁이 발발했다. 1529년, 루터파 제후들과 도시들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에게 종교 개혁을 요구하는 “항의서(Protestatio)”를 보냈고, 이들은 “항의자(프로테스탄트)”라고 불리게 되었다.
마르틴 루터 등은 세례와 성찬식 이외의 교회의 여러 성사를 배척하고, 성서에 돌아가는 복음주의를 주창했으며, 서방 교회에서는 그때까지 거의 라틴어로만 행해지던 예배와 성서를 독일어로 번역했다. 루터파의 교리는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배척되었고, 그 결과 별개의 교파를 건설하게 되었다.
아우크스부르크 화의(1555년)로 프로테스탄트도 가톨릭교회와 마찬가지로 신앙의 자유를 보장받게 되었고, 루터파는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에서 국교가 되었다.
스위스의 종교 개혁 운동은 독일 개혁과 거의 동시에 일어났다. 울리히 츠빙글리는 “성서만”, “믿음만”이라는 교리를 전개했고, 그의 제자들로부터 재세례파가 생겨났다. 츠빙글리는 성찬론에서 루터파와 대립하게 된다.
장 칼뱅은 스위스에서 종교 개혁의 지도자가 되어 장로제를 주창했다. 대륙에서의 칼뱅파 교회가 개혁교회라고 불리며, 존 녹스의 스코틀랜드를 거친 영국계 칼뱅파 교회가 장로교회(그 후 미국으로 진출)라고 불린다. 칼뱅은 이중 예정설을 주창하여 칼뱅주의라고도 불린다. 칼뱅주의는 서방의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 미국으로 퍼져나갔다. 후에, 네덜란드 개혁파에서 칼뱅주의의 예정설에 반대하는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와 그의 계승자에 의해 렘브란트파(아르미니우스파)가 나타난다. 1610년, 개혁파는 도르트 회의에서 아르미니우스파를 이단으로 배척한다.
16세기 전반, 북유럽에서의 종교 개혁과 거의 동시에 영국에서도 종교 개혁이 시작되어, 가톨릭에서 분리·독립한 영국 국교회가 성립했다. 그러나 이 개혁은 국왕 헨리 8세의 이혼 문제로 시작되어 정치적인 것이었고, 교회 조직이 로마 교황을 부정하고 국왕을 수장으로 인정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한편, 이웃 나라 스코틀랜드에서는 존 녹스에 의해 종교 개혁이 주도되어, 칼뱅주의에 기초한 장로제를 갖춘 스코틀랜드 국교회가 확립되었다.
16세기 후반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 대륙의 개혁파 교회와 같은 수준의 개혁을 요구하여 영국에 나타난 것이 청교도이다. 로버트 브라운의 분리파(브라운파)는 아메리카 대륙에 이민하여 뉴잉글랜드 형성에 영향력을 가졌다(청교도). 찰스 1세 시대에 급진적인 회중제를 원했던 독립파(회중파)는 영국 내전(청교도 혁명)을 거쳐 국정의 실권을 잡고 국교회 개혁을 시도했다.
18세기, 영국의 존 웨슬레, 조지 화이트필드가 지도하는 그룹에서 시작된 운동이 영국 전역에 메소디스트라는 이름으로 퍼져나가게 되었다. 이 운동은 미국에 건너가 제1차 대각성에 이르렀다.
18세기, 미국에서 재림 운동이 일어나, 이 운동에 참가하는 신자는 재림파(어드벤티스트파)라고 불렸다. 19세기에 들어 재림 운동이 더욱 활발해지자 여러 재림파 계통 교파가 여기에서 분열, 조직화되었다. 그 중에서 엘렌 화이트 등이 활발히 활동하여, SDA(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가 출현했다. 이 교회는 프로테스탄트로 분류된다는 견해와 기독교계 신흥 종교로 분류된다는 견해가 모두 존재한다.[293][294][295]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로 시작되는 근대 신학, 자유주의 신학, 성서 고등 비평학의 프로테스탄트 교회로의 침투에 대항하여, 영국의 복음주의 동맹은 1846년, 9개조로 되는 복음주의 신앙의 기준을 고백했다. 20세기 초에 영미에서 기독교 근본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1948년에 자유주의 프로테스탄트와 로마 가톨릭을 중심으로 한 에큐메니칼 운동의 조직 세계 교회 협의회가 성립했지만, 그것에 대해 복음주의 동맹을 창립 회원으로 하여 1951년에 세계 복음 동맹이 결성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 두각을 나타낸 복음파는 에큐메니칼 운동에 대해 1974년, 로잔 세계 선교 회의를 개최하여, 로잔 서약이 발표되었다. 복음파는 신복음주의라고도 불리며, 복음 전도와 종교 개혁의 복음주의를 강조한다.
3. 1. 종교 개혁 이전
서방교회는 16세기까지 성경과 교회 전통에서 교회 전통을 강조하는 신학적 견해를 보였다. 교리와 칙령에 따라 규정된 규범을 따른 교회법이 뿌리를 두는 전통을 강조하였다. 공의회 등지에서 결의된 사안이었기에 초대교회부터 전해지는 역사적 성경해석은 교황의 해석과 그를 따르는 교회 학자의 해석과 교리를 따르는 알레고리 성경해석에 대부분 대체되었다.



다양한 종교 개혁가들이 받아들인 개별적인 사상들 중 상당수는 역사적인 선구자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을 '원시 종교 개혁가'라고 부르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종종 그들의 신학에는 후대의 프로테스탄트와 관련이 없는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거나, 일부 프로테스탄트에 의해 주장되었지만 다른 프로테스탄트에 의해 부정된 요소들이 있거나, 표면적으로만 유사한 요소들이 있기 때문이다.
프로테스탄트의 선구자로 칭송받는 가장 초기 인물 중 하나는 4세기 서기 시대에 살았던 요비니아누스이다. 그는 수도원 생활, 금욕주의를 비판했고, 구원받은 신자는 사탄에게 결코 굴복할 수 없다고 믿었다.[43]
9세기에는 신학자 오르베의 고트샬크가 가톨릭 교회에 의해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고트샬크는 예수의 구원은 제한적이며 그의 속죄는 선택받은 자들에게만 해당된다고 믿었다.[44] 고트샬크의 신학은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을 예견했다.[45][46] 라트람누스 역시 고트샬크의 신학을 옹호하고 성찬식에서 그리스도의 실재 현존을 부정했다. 그의 저술은 후대의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에도 영향을 미쳤다.[47] 9세기의 토리노의 클라우디우스는 오직 믿음으로만 구원받는다는 것과 베드로의 우월성을 거부하는 등 프로테스탄트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48]
1130년대 후반, 이탈리아의 정규회원이었던 브레시아의 아르놀도는 가톨릭 교회를 개혁하려 시도한 최초의 신학자 중 한 명이 되었다. 그의 사후, 사도적 가난에 대한 그의 가르침은 아르놀디스트들 사이에서, 그리고 나중에 왈덴스파와 영적 프란체스코파 사이에서 더 널리 퍼져나갔지만, 그의 공식적인 비난을 벗어난 그의 글은 남아있지 않다. 1170년대 초, 피터 월도는 왈덴스파를 창시했다. 그는 복음에 대한 해석을 주장했고, 이로 인해 가톨릭 교회와 갈등을 빚었다. 1215년까지 왈덴스파는 이단으로 선포되어 박해를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운동은 오늘날에도 이탈리아에서 더 넓은 개혁 전통의 일부로 존재하고 있다.
1370년대, 옥스포드의 신학자이자 사제였던 존 위클리프(후에 "개혁의 샛별"이라고 불림)는 잉글랜드 개혁가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세속 권력에 대한 교황의 권위를 거부했으며(죽을 죄를 지은 사람은 누구든 권위를 상실하고 저항받아야 한다는 것: 교황과 같은 소유물을 가진 사제는 그러한 심각한 죄를 지었다), 성경을 구어체 영어로 번역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반교회적이고 성경 중심적인 개혁을 설교했다. 성찬식 요소에서 실제 신성한 존재를 거부한 그의 견해는 16세기 울리히 츠빙글리의 유사한 사상을 예고했다. 위클리프의 추종자들은 "롤라르드파"로 알려지게 되었다.[49]
15세기 첫 10년 동안, 존 위클리프의 저술에 영향을 받은 가톨릭 사제이자 체코 개혁가이자 교수였던 얀 후스는 후스파 운동을 창시했다. 그는 자신의 개혁적인 보헤미아 종교 집단을 강력하게 옹호했다. 그는 파문을 당했고, 1415년 세속 당국에 의해 회개하지 않고 지속적인 이단으로 콘스탄츠 콘스탄츠 주교구에서 화형당했다. 그의 처형 후 봉기가 일어났다. 후스파는 교황이 선포한 5차례의 연속적인 십자군 원정을 물리쳤다.
후속 신학 논쟁으로 후스파 운동 내부에 분열이 일어났다. 영성체에서는 빵과 포도주 모두를 백성에게 나누어 주어야 한다고 주장한 우트라키스트파가 있었다. 또 다른 주요 파벌인 타보르파는 후스 전쟁 중 리파니 전투에서 우트라키스트파에 맞섰다. 후스파 내에는 온건파와 급진파 두 개의 별개의 세력이 있었다. 보헤미아의 다른 소규모 지역 후스파 지파로는 아담파, 오레비트파, 고아파, 그리고 프라구어들이 있었다.
후스 전쟁은 신성 로마 황제 지기스문트와 그의 가톨릭 동맹국들, 그리고 온건파 후스파의 승리와 급진파 후스파의 패배로 끝났다. 1620년 삼십년 전쟁이 보헤미아에 도달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 온건파와 급진파 후스파 모두 가톨릭교도와 신성 로마 황제의 군대에 의해 점점 더 박해를 받았다.
14세기에는 Gottesfreunde이라고 불리는 독일 신비주의 집단이 가톨릭 교회와 그 부패를 비판했다. 그들의 지도자 중 많은 수가 가톨릭 교회를 공격한 죄로 처형되었고, 그들은 하느님의 심판이 곧 교회에 임할 것이라고 믿었다. Gottesfreunde는 민주적인 평신도 운동이자 종교 개혁의 선구자였으며, 성스러움과 경건성을 강조했다.[50]
1475년부터 이탈리아 도미니크 수도사 지롤라모 사보나롤라는 기독교 갱신을 촉구했다. 나중에 마르틴 루터 자신도 이 수도사의 글을 읽고 그를 순교자이자 선구자로 칭찬했는데, 그의 믿음과 은총에 대한 사상은 루터 자신의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다고 하는 교리에 대한 예고였다.[51]
후스의 추종자들 중 일부는 형제 단일회("형제들의 연합")를 설립했는데, 이 단체는 삼십년 전쟁과 반종교개혁("가톨릭 개혁") 이후 거의 완전히 파괴된 후 1722년 헤르누트, 작센에서 니콜라우스 폰 친첸도르프 백작의 지휘 아래 재건되었다. 오늘날 이 단체는 일반적으로 영어로 모라비아 교회로, 독일어로 헤르누터 브뤼더게마인데로 불립니다.
15세기에는 세 명의 독일 신학자들이 종교 개혁을 예견했다. 베셀 간스포르트, 요한 루흐라트 폰 베젤, 그리고 요하네스 폰 고흐이다. 그들은 예정론, 오직 성경과 보이지 않는 교회와 같은 사상을 가지고 있었고, 가톨릭의 의롭다고 하는 견해와 교황의 권위를 부정했으며, 수도원 생활에도 의문을 제기했다.[52]
베셀 간스포르트는 또한 화체설을 부정했고,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다고 하는 루터의 견해를 예견했다.[53]
3. 2. 종교 개혁 (Reformation Proper)
마르틴 루터에 의한 종교개혁은 1517년에 시작되었다.[330] 1529년, 가톨릭 세력과 독일 제국의 일부 군주들이 슈파이어에 모여 제국 의회를 열고 루터주의자들의 활동을 금지하는 포고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제국회의의 지침에 반대한다는 의미로 '''프로테스탄트'''(Protestant, '항의자'라는 뜻)라고 불렸다.[330] 이는 신성로마제국 황제 샤를 5세(카를로스 5세) 치하에서였다. 슈파이어 의회(Diet of Speyer)는 명목상 튀르키예의 움직임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루터의 종교개혁 지지자나 추종자를 압박하기 위한 것이었다.[330]프로테스탄트는 종교개혁가들을 핍박하려는 시도에 맞서, 칼 5세에게 교황파(종교개혁 반대파)의 주장이 비성경적이라고 항의하는 과정에서 비롯되었다. 제국 의회는 루터의 종교개혁을 더 이상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공포하고, 명령을 어기면 황제의 처벌이 따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루터를 이단으로 정죄한 1521년 5월 ‘보름스 칙령’을 강행하였다. 이에 루터 추종자들은 제2차 슈파이어 제국의회 결의에 반대했다. 루터파 제후들은 성경에 근거하지 않은 권위에 복종할 수 없다고 선언하고, 루터파에게 종교의 자유를 허용했던 1526년 의회 결정을 유지하라고 촉구했다. 1529년 4월 25일, 이들은 칼 5세의 종교정책에 공식적으로 항의하는 문서를 의회에 제출했다. 이 항의는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나, 이들을 “'''Protestant”(항의하는 자)'''라고 불렀고, 이것이 현재 영어권과 한국의 '개신교'가 되었다. 당시 항의서에는 작센 선제후 요하네스, 헤센 영주 필립 등 5명의 군주들과 스트라스부르크, 뉘른베르크, 울름 등 독일 14개 제국 도시 대표들이 서명했다.[331]
개신교회 성직자는 목사이다.[328] 개신교는 만인제사장 정신에 따라 성직자와 성도의 평등한 관계를 강조한다. 목사는 성도와 계급적 관계가 아니라, 현대적 개념으로 면허나 직무 자격의 차이로 인식된다. 온건적 만인제사장 개념의 공교회주의 교단에서는 목사를 의사처럼 면허를 가진 존재로, 급진적 개혁주의 교단에서는 변호사처럼 전문 자격을 획득한 존재로 본다. 이는 신분제도를 거부하고 하나님 앞에서 누구나 동등함을 강조한다.
개신교회는 성경과 교회 전통에서 성경 중심의 역사적 성경해석을 발전시켰다. 복음을 강조하는 종교개혁 전통을 따르며, 성경 자체의 메시지를 찾기 위해 저자의 의도, 작성 시대, 배경, 구조 등을 연구한다. 이를 통해 구약신학과 신약신학이 발전했으며, 현대 성경 해석의 핵심 이론과 방법이 개신교에서 비롯되었다. 현대 천주교회와 정교회의 성경 연구 역시 개신교의 연구 기법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교파를 넘어 다양한 연구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개신교(改新敎)'는 종교개혁 전통을 강조한 한자어 표현이다. 개신교를 뜻하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는 '항의자'라는 의미를 가진다.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은 가톨릭교회 개혁 시도로 시작되었다. 1517년 10월 31일, 마르틴 루터는 95개조 논제를 만성절 교회 문에 못 박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여기에는 가톨릭교회의 교리 및 면죄부 판매 등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이 논제는 연옥, 특별 심판, 교황 권위에 대해 논의했다. 루터는 성모 마리아 헌신, 성인 중재, 성직자 독신, 수도원 생활, 교황 권위, 교회법, 파문, 세속 지배자의 종교 문제 역할, 기독교와 법 관계, 선행, 성례전 등에 반대하는 저술을 했다.[54]
종교 개혁은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인쇄술과 읽고 쓰는 능력의 발달과 함께 발전했다.[55] 루터의 독일어 성경 번역은 읽고 쓰는 능력 확산에 결정적이었으며, 종교 서적과 팸플릿 인쇄 및 배포를 촉진했다. 1517년 이후 종교 팸플릿이 유럽 대부분 지역에 범람했다.[57]
루터의 파문과 교황의 종교 개혁 비난 후, 장 칼뱅의 저술은 스위스, 스코틀랜드, 헝가리, 독일 등 여러 지역의 다양한 그룹 간 합의를 확립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1526년 주교 추방과 베른 개혁가 윌리엄 파렐의 실패 후, 칼뱅은 제네바를 단속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그의 ''1541년 법령''은 교회 문제와 시의회 및 교회 의회 협력을 통해 삶의 모든 영역에 도덕성을 가져오는 것을 포함했다. 1559년 제네바 아카데미 설립 후, 제네바는 프로테스탄트 운동의 비공식 수도가 되어 유럽 전역의 프로테스탄트 망명자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하고 칼뱅주의 선교사로 교육했다. 1563년 칼뱅 사후에도 신앙은 계속 확산되었다.
프로테스탄티즘은 독일에서 프랑스로 확산되었는데, 프랑스 프로테스탄트는 위그노라는 별명을 얻었다. 칼뱅은 제네바에서 프랑스 종교 문제에 계속 관심을 가졌다. 그는 목사를 훈련시켜 교회를 이끌게 했다. 심한 박해에도 개혁 전통은 국가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전을 이루었고, 가톨릭 기득권에 염증을 느낀 사람들에게 호소했다. 프랑스 프로테스탄티즘은 1550년대 귀족들의 개종으로 정치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이는 프랑스 종교 전쟁의 전제 조건이었다. 1559년 프랑스의 앙리 2세의 죽음으로 내전이 촉진되었다. 잔혹 행위는 그 시대의 특징이었고, 1572년 8월 성 바르톨로메오 학살에서 극심하게 나타났다. 당시 가톨릭 세력이 프랑스 전역에서 3만~10만 명의 위그노를 학살했다. 프랑스의 앙리 4세가 낭트 칙령을 발표하여 프로테스탄트 소수 민족에 대한 관용을 약속했지만, 제한적인 조건하에 전쟁이 종식되었다. 가톨릭은 국교로 남았고, 프랑스 프로테스탄트의 운명은 점차 쇠퇴하여 루이 14세의 퐁텐블로 칙령으로 낭트 칙령이 폐지되고 가톨릭이 유일한 합법 종교가 되었다. 이에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포츠담 칙령을 선포, 위그노 난민에게 자유 통행을 허락했다. 17세기 후반, 많은 위그노가 영국, 네덜란드, 프로이센, 스위스, 영국과 네덜란드 해외 식민지로 도망쳤다. 프랑스 세브네 지역에는 상당한 공동체가 남았다.
독일과 병행하여 울리히 츠빙글리의 지도 아래 스위스에서 운동이 시작되었다. 츠빙글리는 1518년 취리히로 이주한 학자이자 설교자였다. 두 운동은 신학 문제에 동의했지만, 차이점으로 분리되었다. 독일과 스위스 연방 간 반감은 츠빙글리가 루터교에 얼마나 많은 아이디어를 빚졌는지에 대한 논쟁으로 이어졌다. 독일 군주 헤세의 필립은 츠빙글리와 루터의 동맹 가능성을 보았다. 1529년 그의 성에서 마르부르크 종교 논쟁으로 알려진 회의가 열렸으나, 핵심 교리 논쟁으로 합의에 실패했다.
1534년, 교황이 아라곤의 카타리나와 결혼 무효화에 실패하자(신성 로마 제국 황제 관련 정치적 고려 때문),[59] 헨리 8세는 잉글랜드 내 모든 교황 관할권을 종식시켰다. 이는 종교 개혁 사상의 문을 열었다. 잉글랜드 교회 개혁가들은 가톨릭 전통과 개혁 원리 사이 공감대를 번갈아 가며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전통 사이 중도(''via mediala'')로 간주되는 전통으로 발전했다. 잉글랜드 종교 개혁은 헨리 8세의 정치적 필요에 의해 주도되었다. 헨리 왕은 잉글랜드 교회를 로마 권위에서 제거하기로 결정했다. 1534년 최고 권력 법은 헨리를 "지상 유일 잉글랜드 교회 최고 수장"으로 인정했다. 1535~1540년 토마스 크롬웰 지휘 아래 수도원 해산 정책이 시행되었다. 메리 1세 통치 기간 동안 짧은 가톨릭 복고 후, 엘리자베스 1세 통치 기간 동안 느슨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엘리자베스 종교 조정은 앵글리칸교를 독특한 교회 전통으로 형성했다. 타협은 불안정했고 극단적 칼뱅주의와 가톨릭교 사이를 오갔다. 17세기 청교도 혁명 또는 잉글랜드 내전까지 비교적 성공적이었다.
대륙의 반종교 개혁("가톨릭 개혁") 성공과 프로테스탄트 개혁에 전념하는 청교도 세력 성장은 엘리자베스 시대를 양극화시켰다. 초기 청교도 운동은 잉글랜드 교회 개혁 운동으로, 지지자들은 잉글랜드 교회가 유럽 프로테스탄트 교회, 특히 제네바 교회와 유사해지길 원했다. 후기 청교도 운동은 반체제파와 비국교도로 언급되며, 다양한 개혁파 교파 형성으로 이어졌다.
1560년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은 스코틀랜드 교회를 결정적으로 형성했다.[60]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은 교회적으로 개혁적 방식으로 교회가 설립되고 정치적으로 프랑스 영향력에 대한 영국 영향력 승리로 절정에 달했다. 존 녹스는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 지도자로 여겨진다. 1560년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 의회는 1560년 교황 관할권 법에 따라 교황 권위를 거부하고 미사를 금지하며 프로테스탄트 신앙 고백을 승인했다. 이는 딸을 대신해 스코틀랜드를 통치했던 섭정 메리 기즈 정권하 프랑스 패권에 대한 혁명으로 가능해졌다.
주요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가로는 야코뷔스 아르미니우스, 테오도르 베자, 마르틴 부체르, 안드레아스 폰 카를슈타트, 하인리히 불링거, 발타사르 후브마이어, 토마스 크랜머, 윌리엄 파렐, 토마스 뮌체르, 라우렌티우스 페트리, 올라우스 페트리, 필립 멜랑히톤, 멘노 시몬스, 루이 드 베르캥, 프리모즈 트루바르, 존 스미스 등이 있다.
종교적 격변 과정에서 1524~1525년 독일 농민 전쟁이 바이에른, 튀링겐, 슈바벤 공국을 휩쓸었다. 네덜란드 80년 전쟁과 프랑스 종교 전쟁 이후, 신성 로마 제국 국가들의 분열은 1618~1648년 30년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 전쟁은 독일의 많은 지역을 황폐화시켜 인구의 25~40%를 사망하게 했다.[61] 베스트팔렌 조약의 주요 원칙은 다음과 같다. 30년 전쟁을 종식시켰다.
- 모든 당사자는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를 인정, 각 군주는 자신의 국가 종교 결정 권리를 가지며, 선택지는 가톨릭, 루터교, 칼뱅교이다(''cuius regio, eius religio'' 원칙).
- 자신의 교파가 기득권 교회가 아닌 공국에 사는 기독교인들은 정해진 시간 동안 공개적, 사적으로 신앙 실천 권리를 보장받았다.
- 이 조약은 교황의 유럽 전역 정치 권력을 종식시켰다. 교황 인노켄티우스 10세는 ''Zelo Domus Deila''에서 조약을 "무효, 불법, 불의, 저주받은, 무의미하고 효력 없는 것"이라고 선언했다. 유럽 군주들은 가톨릭, 프로테스탄트 모두 그의 판결을 무시했다.[62]
3. 3. 종교 개혁 이후
개신교의 성직자는 목사[328]이다. 16세기 종교개혁 이전 서방교회에서 성직자는 귀족과 유사한 지위를 누렸으며, 성도와 성직자는 엄격한 계급적 관계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개신교에서는 만인제사장 정신에 따라 성직자인 목사를 성도와 평등한 관계에서 이해한다.개신교회는 교회 내 계급적 관계를 반대하며, 목사는 동일한 성도로서 거룩한 사명을 수행하는 직분으로 인식된다. 이 사명에 대한 관점은 교단마다 차이가 있지만, 성도와 목사는 계급적 관계가 아니라 면허나 직무 자격의 차이로 인식된다. 공교회주의를 따르는 교단에서는 목사를 병원의 의사처럼 면허를 지닌 존재로 보며, 개혁주의를 따르는 교단에서는 변호사와 같은 전문 자격을 획득한 존재로 인식한다.
이는 절대적 신분제도를 거부하는 평등적 관계를 전제로 하며, 하나님 앞에서 누구나 동등한 하나님의 성도이며, 똑같은 피조물임을 강조하는 성직자 이해이다.

대각성(Great Awakenings)은 영미권 종교사에서 급속하고 극적인 종교 부흥의 시기를 말한다.
- 제1차 대각성(First Great Awakening)은 1730년대와 1740년대에 프로테스탄트 유럽과 영국령 아메리카, 특히 13개 식민지(Thirteen Colonies)를 휩쓴 복음주의적이고 부흥적인 운동이었다.[63]
- 제2차 대각성(Second Great Awakening)은 1790년경에 시작되어 1800년까지는 그 기세가 강해졌고, 1840년대 후반에 절정기를 지났다.[64]
- 제3차 대각성(Third Great Awakening)은 1850년대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이어지는 종교적 활동 시기이다.[65]
- 제4차 대각성(Fourth Great Awakening)은 일부 학자들이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미국에서 일어났다고 주장하는 기독교 종교 부흥이지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68]
1814년에는 레베이(Réveil, Le Réveil)가 스위스와 프랑스의 칼뱅주의 지역을 휩쓸었다. 1904년에는 웨일스의 프로테스탄트 부흥(1904–1905 Welsh revival)이 현지 주민들에게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69]
20세기 프로테스탄트 기독교의 주목할 만한 발전은 현대 오순절 운동(Pentecostal movement)의 부상이다. 오순절 운동은 서구 기독교(Western Christianity)에서 중요한 세력으로 남아있다. 미국과 세계 다른 지역에서는 복음주의(Evangelicalism) 계열의 프로테스탄트 교파가 증가하고, 주류 자유주의 교회(Mainline Protestant)가 감소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유럽에서는 기독교 가르침에 대한 종교적 준수와 신앙에서 벗어나 세속주의(secularism)로 이동하는 일반적인 움직임이 있었다. 계몽(Enlightenment)은 세속주의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 일부 학자들은 프로테스탄티즘과 세속주의의 부상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논쟁한다.[70] 그러나 계몽의 초기 철학자들은 세계에 대한 기독교적 개념을 옹호했지만, 교회, 그 정치, 윤리, 세계관, 과학적 및 문화적 가정에 대한 강력하고 결정적인 비판과 함께 발전하여 제도화된 기독교의 모든 형태를 평가절하하는 결과를 가져왔다.[71]
1517년 이후, 마르틴 루터 등에 의해 가톨릭교회의 개혁을 요구하는 종교 개혁 운동이 일어났다. 1524년, 독일 농민들의 불만을 배경으로 급진파 토마스 뮌처가 이끄는 무장 농민들이 봉기하여, 독일 농민 전쟁이 발발했다. 1529년에 루터파 제후들과 도시들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에게 종교 개혁을 요구하는 “항의서(Protestatio)”를 보냈고, 이 파는 “항의자(프로테스탄트)”라고 불리게 되었다.
마르틴 루터 등은 세례와 성찬식 이외의 교회의 여러 성사를 배척하고, 성서에 돌아가는 복음주의를 주창하기 시작했으며, 서방 교회에서는 그때까지 거의 라틴어로만 행해지던 예배와 성서를 독일어로 번역했다. 루터는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교리를 주창한 자로 잘 알려져 있다. 루터파의 교리는 가톨릭교회의 트리엔트 공의회 등에 의해 배척되었고, 그 결과로 별개의 교파를 건설하게 되었다.
종교 항쟁은 정치 권력 항쟁과도 얽히면서 독일 지역의 내란 상태는 30년 동안 계속되었다. 아우크스부르크 화의(1555년)에 의해 프로테스탄트도 가톨릭교회와 마찬가지로 신앙의 자유를 보장받게 된다. 루터파는 북쪽으로 퍼져나가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에서 국교가 되었다.
당시 유럽 대륙은 스페인령이었던 네덜란드 17주의 앤트워프가 경제·무역의 중심지였지만, 1566년에는 플랑드르(현재 베네룩스 3국 및 프랑스 북부)에서도 프로테스탄트의 종교 개혁이 시작되어, 네덜란드의 스페인 합스부르크가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하는 80년 전쟁 및 이에 따른 30년 전쟁이 벌어졌다.
스위스의 종교 개혁 운동은 독일 개혁과 거의 동시에 일어났다. 가톨릭 사제 울리히 츠빙글리는 “성서만”, “믿음만”이라는 교리를 전개했고, 그의 제자들로부터 유아 세례를 부정하고 재세례를 인정하는 아나뱁티스트가 생겨났다. 츠빙글리는 성찬론에서 루터파와 대립하게 된다.
내란 상태 이후, 장 칼뱅이 등장하여 스위스에서 종교 개혁의 지도자가 된다. 칼뱅은 새로운 교회의 조직 제도로 장로제를 주창했다. 대륙에서의 칼뱅파 교회가 개혁파 교회라고 불리며, 존 녹스의 스코틀랜드를 거친 영국계 칼뱅파 교회가 장로교회(그 후 미국으로 진출)라고 불린다. 칼뱅은 이중 예정설을 주창하여 칼뱅주의라고도 불린다. 칼뱅파는 혼란에서 사회를 구하기 위해 종교와 정치, 교회와 국가를 명확하게 기능 구분하는 것을 주창한다. 또한 일반 시민의 신앙 생활에 대해 속세 직업을 천직(하나님의 부르심)으로 간주하고 힘쓰는 것, 생활은 검소하고 금욕적인 것 등을 설파하여, 이것이 흥성기 자본주의의 정신과 일치했다고 말해진다. 칼뱅주의는 서방의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 미국으로 퍼져나갔다. 후에, 네덜란드 개혁파에서 칼뱅주의의 예정설에 반대하는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와 그의 계승자에 의해 렘브란트파(아르미니우스파)가 나타난다. 1610년, 개혁파는 도르트 회의에서 아르미니우스파를 이단으로 배척한다. 이 아르미니우스파의 사상은 후에 메노나이트파, 제너럴 침례파, 메소디스트의 웨슬레파 등에 계승하게 된다.
16세기 전반, 북유럽에서의 종교 개혁과 거의 동시에 영국에서도 종교 개혁이 시작되어, 가톨릭에서 분리·독립한 영국 국교회가 성립했다. 그러나 이 개혁은 국왕 헨리 8세의 이혼 문제에 시작되는 정치적인 것이었고, 교회 조직이 로마 교황을 부정하고 국왕을 수장으로 인정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국왕 수장령). 이 때문에 루터나 칼뱅의 계보와는 다르지만 가톨릭의 권위를 부정한 종교 개혁으로 영국 국교회도 프로테스탄트라고 불린다. 이 종교 개혁은 그 후 엘리자베스 1세에게 계승되어 프로테스탄트 교회로서 확립된다. 그러나 동기가 정치적인 것이기 때문에, 국교회의 교리와 의례는 거의 가톨릭을 답습한 것이 되어 있고, 특히 칼뱅파가 부정한 감독제도 남아 있었다. 한편, 이웃 나라 스코틀랜드에서는 존 녹스에 의해 종교 개혁이 주도되어, 칼뱅주의에 기초한 장로제를 갖춘 스코틀랜드 국교회가 확립되었다.
16세기 후반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 대륙의 개혁파 교회와 같은 수준의 개혁을 요구하여 영국에 나타난 것이 퓨리탄(청교도)이다. 퓨리탄에서 먼저 힘을 가진 것이 칼뱅주의 장로파이다. 국교회와 손을 끊고 독자적인 교회 조직을 만들려고 했던 로버트 브라운의 분리파(브라운파)도 나타난다. 분리파는 퓨리탄 가운데 소수파였지만 아메리카 대륙에 이민하여 뉴잉글랜드의 형성에 영향력을 가진다(청교도). 찰스 1세 시대에 급진적인 회중제를 원했던 독립파(회중파)는 분리파의 흐름을 이으면서도 영국 내전(청교도 혁명)을 거쳐 국정의 실권을 잡고 국교회 개혁을 시도했다. 이외에도 교리 차이 등으로 영국의 프로테스탄트는 다양하게 분파하여, 국교회계로는 각 성공회와 메소디스트파, 분리파에서는 침례파, 퓨리탄 이외에도 퀘이커파 등이 탄생한다.
17세기는 대항해시대의 종반이었지만, 네덜란드의 동인도회사 상인은 1609년에 북아메리카를 발견하여 식민지를 건설하기 시작하여, 같은 해 에도와도 교역을 시작했다. 에도에서는 정치적인 사정으로 인해 전교는 행해지지 않고 란학이 널리 퍼지게 되었지만, 영란 전쟁도 일어나는 가운데 영국과 네덜란드 황금 시대는 아시아권에서 그때까지 지배적이었던 스페인이나 포르투갈 등 가톨릭의 세력을 배척하게 되었다.
18세기,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교 내에서 존 웨슬레, 조지 화이트필드가 지도하는 그룹에서 시작된 운동이 영국 전역에 메소디스트라는 이름으로 퍼져나가게 되었다. 이 운동은 미국에 건너가 제1차 대각성에 이르렀지만, 독립 전쟁이 시작될 때 일부 영국에 귀국하게 되었다. 1784년 미국에 남은 메소디스트 선교사들을 감독 교회로 인정하는 25개조의 메소디스트 헌장이 정해진다. 1845년, 미국의 특수 침례파는 노예 문제와 해외 전도 정책에 관한 견해 차이로 북부 침례 동맹(현재의 미국 침례 동맹)과 남부 침례 연맹으로 분열한다. 이 무렵, 미국 메소디스트 교회에도 유사한 분열이 일어나지만, 곧 분열은 종식된다. 19세기 후반 미국의 메소디스트 계통에서 홀리니스파가 일어나, 이것을 기반으로 오순절파가 일어난다. 더욱이 오순절파에 의한 오순절 운동은 다른 교파에 미쳐 성령파로 알려져 있다. 또한, 카리스마 운동은 오순절파로부터 일어나지만, 세계 교회 협의회(WCC)에 가맹함으로써 에큐메니즘에 반대하는 오순절파로부터 배척된다.
18세기, 미국에서 재림 운동이 일어나, 이 운동에 참가하는 신자는 재림파(어드벤티스트파)라고 불렸다. 19세기에 들어 재림 운동이 더욱 활발해지자 여러 재림파 계통 교파가 여기에서 분열, 조직화되었다. 그 중에서 엘렌 화이트 등이 활발히 활동하여, 일요일이 아닌, 예수가 당시 지켰던 날이 토요일이었다는 사실과 구약 율법대로 토요일을 예배일로 하는 SDA(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가 출현했다. 이 교회는 프로테스탄트로 분류된다는 견해와 기독교계 신흥 종교로 분류된다는 견해가 모두 존재한다.[293][294][295]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로 시작되는 근대 신학, 자유주의 신학, 성서 고등 비평학의 프로테스탄트 교회로의 침투에 대항하여, 영국의 복음주의 동맹은 1846년, 9개조로 되는 복음주의 신앙의 기준을 고백했다. 20세기 초에 영미에서 기독교 근본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1948년에 자유주의 프로테스탄트와 로마 가톨릭을 중심으로 한 에큐메니칼 운동의 조직 세계 교회 협의회가 성립했지만, 그것에 대해 복음주의 동맹을 창립 회원으로 하여 1951년에 세계 복음 동맹이 결성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 두각을 나타낸 복음파는 에큐메니칼 운동에 대해 1974년, 로잔 세계 선교 회의를 개최하여, 로잔 서약이 발표되었다. 복음파는 신복음주의라고도 불리며, 복음 전도와 종교 개혁의 복음주의를 강조한다. 복음파는 개인의 전도 활동, 빌리 그레이엄의 대규모 전도 활동 등에 의해 교세를 확대하고, 학문적으로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풀러 신학교, 휘튼 대학, 크리스처니티 투데이 등에 의해 큰 영향력을 주게 되었다.[296][297][298]
3. 4. 급진 종교 개혁 (Radical Reformation)

주류 루터교, 칼뱅주의, 츠빙글리파 운동과는 달리, 국가의 후원을 받지 않은 급진 종교 개혁은 일반적으로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를 구분하는 개념을 버렸다. 이는 국가가 승인한 프로테스탄트 반대 운동의 합리적인 연장선으로, 구성된 권위로부터의 독립이라는 가치를 한 단계 더 발전시켜 시민 영역에도 동일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급진 종교 개혁은 주류가 아니었지만,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의 일부 지역에서는 가톨릭과 관직 개신교 양쪽으로부터 극심한 박해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다수가 급진 종교 개혁에 공감하였다.[72]
초기 재세례파는 그들의 종교 개혁이 신학뿐만 아니라 특히 정치적, 사회적 관계를 포함한 그리스도인들의 실제 삶까지도 정화해야 한다고 믿었다.[73] 따라서 교회는 십일조와 세금, 혹은 무력 사용을 통해 국가의 지원을 받아서는 안 되며, 기독교는 개인적인 확신의 문제로, 누구에게도 강요될 수 없고 오히려 개인적인 결단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했다.[73] 후브마이어와 호프만과 같은 프로테스탄트 교회 지도자들은 세례는 회심 후에 따라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유아 세례의 무효성을 설파했다("신자 세례"). 이는 개혁가들에게 새로운 교리가 아니었고, 1147년 알비파와 같은 이전 집단에서도 가르쳤던 것이다. 대부분의 급진 종교 개혁가들은 재세례파였지만, 일부는 주류 재세례파 전통과 자신을 동일시하지 않았다. 토마스 뮌처는 독일 농민 전쟁에 참여했고, 안드레아스 칼슈타트는 율리히 츠빙글리와 마르틴 루터와 신학적으로 의견이 달랐으며, 비폭력을 가르치고 유아 세례를 거부하면서도 성인 신자들의 재세례는 거부했다.[74] 카스파어 슈벤크펠트와 제바스티안 프랑크는 독일 신비주의와 영적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급진 종교 개혁과 관련된 많은 사람들의 견해에 따르면, 관직 개혁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급진 종교 개혁가 안드레아스 폰 보덴슈타인 칼슈타트는 비텐베르크의 루터 신학자들을 "새로운 교황주의자들"이라고 불렀다.[75] "관직(Magister)"이라는 용어는 "교사"를 의미하기도 하므로, 관직 개혁은 교사의 권위를 강조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루터, 칼뱅, 츠빙글리가 각각의 사역 지역에서 개혁 운동의 지도자로서 두각을 나타낸 것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그들의 권위 때문에 그들은 종종 급진 종교 개혁가들로부터 로마 교황과 너무 닮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한스 후트의 사상과 행위에서 급진 종교 개혁의 보다 정치적인 측면을 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재세례파는 평화주의와 관련되어 있다.
아미시, 메노나이트, 후터파와 같은 다양한 분파의 형태를 띤 재세례파는 급진 종교 개혁에서 나왔다. 후대에 슈바르체나우 형제회와 사도적 그리스도교회가 재세례파 내에서 등장하였다.
4. 개신교의 주요 교파
개신교는 서방교회 내에서 다양한 교파를 탄생시켰다. 이는 계급적 획일성을 벗어나 다양성을 지닌 기독교 교회의 출현을 의미한다.
- 공교회 구조의 재조명: 로마 가톨릭 교회의 계급주의적 교회 구조에서 벗어나, 감독과 대감독이 임기제로 운영되는 연합 구조를 강조한다. 루터교회와 성공회는 전통적 공교회 제도를 수용하면서도 연합적인 공교회 구조로 돌아가고자 노력했다. 감리교회, 구세군, 오순절 교회 등도 초대교회 구조를 재현하고자 감독을 임기제로 선발하고 공교회 감독의 임무를 따르도록 했다.
- 새로운 교회 구조 (원로 구조): 장 칼뱅에 의해 형성되기 시작한 원로 구조는 원로나 장로를 선발하고, 그중 신학을 공부하고 소명이 있는 사람이 목사 역할을 하는 구조이다. 개혁교회, 장로교회, 성결교회, 오순절 교회 일부가 이 구조를 따른다.
- 회중 제도의 형성: 영국 성공회의 정부 중심 제도적 교회가 공교회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에서 회중 중심의 교회 제도가 시작되었다. 회중교회, 침례교회, 그리스도교회 등이 이 구조를 따른다.
종교 개혁 이후 현재까지 이어지는 주요 교파는 다음과 같다.
교파 | 특징 | 주요 내용 |
---|---|---|
루터교 | 마르틴 루터의 사상, 다섯 솔라 강조, 성만찬 중시, 로마 가톨릭 교회의 미사 전례와 유사,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 16세기 종교개혁 운동으로 가장 먼저 성립. 성서 외 다른 권위 부정. 오직 성서, 믿음, 은혜 강조. 평신도 설교 및 성만찬 참여 허용. 에큐메니컬 운동에 적극적. |
개혁교회 | 장 칼뱅의 종교 개혁, 칼뱅주의 기반, 도르트신조, 네덜란드 신앙고백,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 장로교와 유사, 교리 강조, 신앙고백 문서 적극 활용, 예배 모범 중시, 진정한 교회의 조건으로 순수한 복음 선포, 성례 시행, 권징 강조. |
장로교 | 장 칼뱅의 종교 개혁, 존 낙스에 의해 확립, 장로제, 칼뱅주의, 다섯 솔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 선출된 장로가 목사 보필. 대한민국 개신교 신자 중 가장 많은 수.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등. 박성춘 장로 등 사회변혁과 독립운동에 기여. |
성공회 | 영국에서 칼뱅주의 수용하며 국교회로 독립, 성공회 기도서, 주교제, 에큐메니컬 운동의 다리 역할, 대한성공회 | 전 세계 160여 개국, 38개 관구. 전례 중시. 성서, 이성, 전통 기반 신앙. 의회민주주의 전통. 토착화 노력, 사회선교 중시. |
침례교 | 재침례파 및 청교도 신앙 영향, 신앙인의 침례, 신약성경 근거, 지역 교회 자립, 복음주의 노선 | 1609년 존 스미스가 최초의 침례교회 설립. 칼빈주의 기반 개혁침례교와 알미니안주의 기반 일반침례교. 미국에서 대각성 운동 이후 성장. 남침례회가 가장 큰 교세. |
감리교 | 존 웨슬리의 복음주의 운동, 사회적 성화 강조, 알미니안주의, 감독제, 기독교대한감리회 | 성경, 이성, 전통, 체험 중시. 공교회주의. 알미니안주의 기반. 성결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오순절교, 구세군 등에 영향. 주시경 선생 등. |
성결교 | 존 웨슬리의 그리스도인의 완전 강조, 19세기 미국 감리교에서 형성, 4중복음 (중생, 성결, 신유, 재림) | 복음주의, 알미니안주의, 근본주의 영향. 1901년 카우만의 동양선교회 통해 한국 전파. 기독교대한성결교회와 예수교대한성결교회로 분리. |
오순절교 | 20세기 초 미국, 성령세례 체험과 방언 현상 강조, 성경 무오성, 신비주의 체험, 여의도 순복음교회,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 성결운동에서 독립. 성령세례와 방언 강조.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예수교대한하나님의성회 등. |
구세군 | 1865년 영국 감리교 목사 윌리엄 부스 창시, 군대식 조직, 전도와 사회봉사 | 성직자는 사관, 신학교는 사관학교, 교인은 병사 또는 군우. |
회중교회 | 회중주의적 교회 운영, 각 회중 독립/자율, 아도니람 저드슨 | 미국 문화, 사회, 정치 기초 형성. 하버드 대학교, 예일 대학교 등 설립. 미국 연합 그리스도의 교회 설립. |
재세례파 | 16세기 종교개혁 당시 근원적 개혁, 아미시파, 후터라이트, 메노나이트, 비폭력주의 | 유아세례 및 로마 가톨릭 교회 세례 무효 주장. 침례교와 유사하나 무효 주장 차이. 비폭력주의, 종교와 국가 분리, 평등과 사랑 실천 강조. |
5. 개신교 신학
개신교회의 신앙고백은 성서 안에 증언된 복음에 대한 믿음을 고백하는 것이기에,[323] 서방교회의 신학적 기반과 보편교회 신학적 전통을 성서에 비추어 올바른 교리와 제도를 재조명하였다. 서방교회 전통 중 성경에 따르지 않는 조항은 폐기하였다. 초대교회와 보편교회의 신앙고백, 그리고 개신교 신앙고백에 따라 새롭게 조명된 교회 전통과 새롭게 형성된 교회의 역할을 개신교회의 전통으로 본다.
서방교회를 개혁하기 위한 종교개혁 신학은 16세기에 나타났으며, 복음을 교회의 중심으로 해야 한다는 복음주의로 발전하였다. 이 복음주의적 개신교 신학은 '''개선주의'''와 '''재건주의'''라는 양대 축으로 형성되었다. 독일 지역을 중심으로 종교개혁 초기에 형성된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 신학은 서방교회를 위한 '개선주의' 신학이었고, 스위스 중심으로 형성된 츠빙글리와 칼뱅의 종교개혁 신학과 재세례파 신학은 서방교회를 위한 '재건주의' 신학으로 발전하였다.[324][325]
서방교회 개혁에 대한 신학적 개선주의는 서방교회 신학 전통에서 공교회(보편교회) 전통에서 벗어난 사항을 제거하고, 서방교회 전통에서 기독교적이지 않은 요소를 바르게 잡고자 하는 신학 전통으로,[326] 흔히 개신교 공교회주의(보편교회주의) 신학이라고도 한다. 신학적 재건주의는 11세기 이후 형성된 서방교회 신학 전통에 비기독교적 요소가 너무 많아서 개선보다는 초대교회와 7세기까지의 보편공의회를 따라 새로운 공동체로서 재형성하여 재건하고자 하는 신학 전통으로,[327] 흔히 '개혁주의' 신학이라고도 한다.
개선주의, 즉 개신교 공교회주의 신학의 영향은 루터교회에서 성공회, 감리교, 구세군, 성결교, 오순절교회 등의 교단으로 형성되었고, 재건주의, 즉 개혁주의 신학의 영향은 개혁교회, 장로교, 회중교회, 침례교, 퀘이커교, 메노나이트 교회 등의 교단으로 형성되었다. 서방교회는 16세기까지 성경과 교회 전통에서 교회 전통을 강조하는 신학적 견해를 보였다. 교리와 칙령에 따라 규정된 규범을 따르는 교회법이 뿌리를 두는 전통을 강조하였다. 공의회 등에서 결의된 사안이었기에 초대교회부터 전해지는 역사적 성경해석이 교황의 해석과 그를 따르는 교회 학자의 해석과 교리를 따르는 알레고리 성경해석으로 대부분 대체되었다.
개신교회는 성경과 교회 전통에서 성경을 중심으로 하는 역사적 성경해석을 발전시키고 이를 주축으로 하는 서방교회의 문을 열었다. 절대적인 것은 인간이 아니라 복음이라는 종교개혁의 전통적 복음주의 사상을 뿌리로 한다. 따라서 개신교회는 성경을 기존 교리신학, 즉 조직신학적 측면으로 접근하지 않고, 교리의 증빙자료 측면으로 접근하지 않았다. 성경 자체가 전하는 복음을 찾고자 성경 저자의 의도와 작성된 시대, 시대 배경, 본문의 구조 등을 연구하여 성경이 직접적으로 전하는 복음의 내용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로 교리신학의 일부였던 성경 연구가 구약신학과 신약신학으로 발전하였다. 문헌과 본문 연구, 역사적 배경, 문체, 구조를 연구하는 다양한 성경 연구 기법이 나타났으며, 깊이 있는 현대의 성경 해석, 성경 주석의 핵심적 이론과 방법이 개신교회의 성경 연구에서 비롯되었다.
현대의 천주교회의 일부 연구와 정교회의 대다수의 성경 연구 역시 개신교회가 형성한 성경 연구 기법을 바탕으로 이뤄지며, 다양한 연구 교류가 교파를 넘어 이뤄지고 있다. 프로테스탄트라는 총칭은 그 신봉자들이 가톨릭교회에 항의(protestārī, 프로테스타리)한 데서 유래한다.[291] "프로테스탄트"는 해당하는 여러 교파의 총칭이며, 프로테스탄트 전체를 통괄하는 교단 연합 조직은 존재하지 않는다.
많은 교파에서 공유할 수 있는 '''기본 신조'''로는 니케아 신조,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조, 칼케돈 신조, 사도신경 등이 있다. 프로테스탄트는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칼로 이분된다고 여겨진다.[301][302][303][304][305]
복음주의의 성경관은 무오류 영감설(plenary verbal inspiration)이다. 에큐메니칼 프로테스탄트의 성경관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신정통주의는 부분 영감설(partial inspiration)이다.
- 자유주의(리베랄파)는 영감설을 부정한다.
5. 1. 주요 원칙
개신교의 주요 교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원래 의도대로 회복하여 교회를 올바른 모습으로 만드는 신학적 배경을 갖는다. 기존의 왕권 중심 교회 구조가 아닌, 그리스도의 복음을 중심으로 하는 교회 구조를 따르며, 복음이 기록된 성경을 따라 하나님이 준 인간의 이성과 경험, 그리고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기독교회의 전통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회복된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하나님 나라를 경험하게 하고, 복음을 따르는 믿음, 사랑, 소망을 지닌, 그리스도를 닮은 인간을 형성하고자 한다.[20]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일반적인 견해에 따르면, 어떤 기독교 교파가 개신교로 간주되려면 다음 세 가지 기본 원칙을 인정해야 한다.[20]
- '''오직 성경(Sola scriptura)'''
마르틴 루터가 강조한, 성경이 교회의 최고 권위의 원천이라는 신앙이다. 종교 개혁 초기 교회들은 성경을 비판적이면서도 진지하게 읽고, 교회 전통보다 더 높은 권위의 원천으로 성경을 받아들였다. 감리교와 성공회는 prima scriptura를 가르치지만, "전통, 경험, 이성"이 성경과 조화되는 한 기독교 신앙을 키울 수 있다고 가르친다.[1][21]
- '''오직 믿음으로 의롭다 함(Sola fide)'''
믿는 자들이 칭의되거나, 즉 죄사함을 받는 것은 믿음과 선행의 결합이 아닌 오직 그리스도를 믿는다는 조건에 달려 있다는 신앙이다. 개신교도들에게 있어 선행은 칭의의 결과이지 원인이 아니다.[23] 장 칼뱅은 "그러므로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게 되지만, 의롭게 하는 믿음은 홀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마치 태양의 열기만으로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과 같지만, 태양 속에는 열기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라고 설명했다.[24]
- '''만인 제사장(Priesthood of all believers)'''
이는 그리스도인 평신도들이 성경을 구어로 읽을 권리와 의무뿐만 아니라 교회의 통치와 모든 공적 활동에 참여할 권리와 의무를 의미한다. 칼뱅(Calvin)은 만인 제사장을 신자와 그의 하나님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것으로 언급했는데, 여기에는 인간의 중재 없이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께 나아갈 그리스도인의 자유가 포함된다.[28]
프로테스탄트라는 총칭은 그 신봉자들이 가톨릭교회에 항의(protestārī, 프로테스타리)한 데서 유래한다.[291]
5. 2. 삼위일체
개신교도들은 니케아 신경에 따라 하나님이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위격으로 존재한다고 믿는다.
유니테리언교와 같이 개신교 개혁 시대에 등장했지만 개신교의 일부로 여겨지지 않는 운동들은 삼위일체를 부정한다. 유니테리언 유니버설리즘, 온니스 펜테코스타리즘 등이 이러한 이유로 개신교에서 배제되기도 한다. 유니테리언교는 트란실바니아, 영국, 미국 등지에 주로 존재한다.[26]
성서 전체를 하나님에게서 영감을 받아 쓰여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전제로, 삼위일체 교리, 예수의 부활 신앙, 나사렛 예수의 죽음을 통한 속죄 신앙, 주 예수가 구약의 그리스도라는 신앙 등이 확립되어 있는지를 기준으로 이교 또는 이단 여부를 판별한다.
5. 3. 5대 종교개혁 원리 (Five solae)
종교 개혁 당시 등장한 다섯 가지 라틴어 구절(또는 슬로건)은 개혁가들의 신학적 견해와 당시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 사이의 근본적인 차이점을 요약한 것이다.[1] 라틴어 ''sola''는 "오직", "단지", 또는 "하나뿐인"을 의미한다.이러한 구절들은 가르침의 요약으로 사용된 것은 종교 개혁 기간 동안 점진적으로 나타났으며, ''sola scriptura''(오직 성경)라는 루터교와 개혁파의 주요 원칙에 기반한다.[1]
- ''Solus Christus'': 오직 그리스도
: 프로테스탄트는 교황을 지상에서 그리스도의 대표자로 보는 교리와 그리스도에 의해 공로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행위 개념, 그리고 그리스도와 그의 성인들의 공로의 보물 창고라는 가톨릭의 생각을 그리스도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유일한'' 중재자라는 것을 부정하는 것으로 묘사한다.
- ''Sola Gratia'': 오직 은혜로
: 프로테스탄트는 가톨릭의 구원이 하나님의 은혜와 자신의 행위의 공로에 달려 있다고 인식했다. 개혁가들은 구원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으로 인해 성령에 의해 주어지는 하나님의 선물이라고 주장했다.
- ''Soli Deo Gloria'': 오직 하나님께 영광
: 구원은 오직 하나님의 뜻과 행위를 통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든 영광은 오직 하나님께만 돌아간다. 개혁가들은 인간 – 가톨릭 교회에 의해 시성된 성인들, 교황들, 그리고 교회의 위계질서조차도 – 은혜를 받을 만한 가치가 없다고 믿었다.
5. 4. 성찬론
개신교에서 성찬은 공교회 전통을 따라 매주 또는 매달 한 번 이상 행하는 중요한 예배 예전으로 회복되었다. 성찬은 성도의 모국어로 집례되며, 말씀의 성례와 함께 예배의 핵심 요소이다. 개신교의 성찬은 성직자와 신자가 동등하게 참여하여 빵과 포도주를 나누는 예전으로, 종교개혁 이전 천주교회의 성직자 중심 예식과는 차이를 보인다.[334]16세기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회는 성찬을 성직자와 성도가 함께 참여하는 형태로 변화시켰다. 성찬은 해당 지역 언어로 진행되었고, 성직자는 성도들을 향해 서서 성찬 예전과 축사를 진행했다. 이는 성찬 탁자에 십자가와 빵, 포도주가 놓이는 개신교 성찬대의 모습으로 이어졌다.
개신교회는 종교개혁 이후 성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 달에 한 번 이상, 또는 매주 성찬을 거행할 것을 요구하는 교단도 있다. 이는 예배의 변화를 가져왔고, 성도들이 요청하면 성직자는 언제든 성찬 예배를 드릴 수 있게 되었다.
천주교회는 이러한 개신교의 변화를 인식하고 수용하여, 19세기 1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매주 성찬을 교회법으로 정했다. 20세기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는 성도들을 바라보는 '군중을 향하는'(coram populo) 형식으로 변경하고, 라틴어가 아닌 모국어 사용을 허용했다.
16세기 중후반, 프로테스탄트 운동은 성찬에 대한 논쟁으로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초기 프로테스탄트들은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한다는 천주교의 화체설을 거부하고, 성찬에서 그리스도의 현존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했다.
- 루터교는 성찬에서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빵과 포도주의 형태로 "안에, 함께, 아래에" 현존한다고 믿는다. 이를 성례전적 연합이라고 부르며, 참여하는 모든 사람에게 죄 사함과 영원한 구원을 약속한다고 본다.[31][32][33][34][35][36][37][38]
- 개혁교회는 그리스도의 실제적인 영적 현존 또는 성례전적 현존을 강조하며, 성찬은 선택받은 신자가 그리스도를 취하는 성화의 은총이라고 본다. 칼뱅주의는 믿음을 통해 신자와 그리스도가 하나 됨을 강조하며, 성만찬은 이러한 믿음의 외적 표현이라고 본다.
- 성공회와 감리교는 현존을 정의하지 않고 신비로 남겨두는 것을 선호한다.[39] 빵과 포도주는 그리스도의 몸과 피의 외적 표징이자, 내적이고 영적인 은총으로 묘사된다.
- 재침례파는 성만찬을 참여자들의 공유된 신앙의 상징이자, 십자가 처형을 기념하고,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함께 서 있음을 상기시키는 것으로 본다.[40]

6. 개신교 문화
종교 개혁은 종교 운동이었지만, 결혼과 가정, 교육, 인문학과 과학, 정치 및 사회 질서, 경제, 예술을 포함한 삶의 다른 모든 측면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8] 프로테스탄트 교회는 독신 사제 제도라는 개념을 거부하므로 성직자가 결혼하는 것을 허용한다.[2] 많은 프로테스탄트 가정들이 각국의 지식인 엘리트 계층 발전에 기여했다.[166] 1950년경부터 대부분의 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 여성이 성직자가 되었고, 일부는 주교와 같은 주요 직책을 맡았다.
프로테스탄티즘은 특히 과학 혁명과 산업 혁명 이후 시기에 경제 성장과 기업가 정신을 촉진했다.[167][168] 학자들은 프로테스탄티즘의 부상과 인적 자본 형성,[169] 프로테스탄트적 직업 윤리,[170] 경제 개발,[171] 초기 실험 과학의 부상,[172][173][174] 그리고 국가 시스템의 발전 사이의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했다.
개혁가들은 교회의 모든 구성원이 성경을 읽을 수 있기를 원했기 때문에 모든 수준의 교육이 강력하게 장려되었다. 18세기 중반까지 영국의 문해율은 약 60퍼센트, 스코틀랜드는 65퍼센트, 스웨덴은 80퍼센트였다.[175] 하버드 대학교, 예일 대학교를 포함한 여러 대학교들이 설립되었다.[176][177] 펜실베이니아는 또한 학문의 중심지가 되었다.
주류 프로테스탄트 교파 구성원들은 정치, 사업, 과학, 예술, 교육을 포함한 미국의 삶의 여러 측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으며,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고등 교육 기관 대부분을 설립했다.[178]
개신교의 신과 인간에 대한 개념은 신앙인들이 이성의 능력을 포함한 모든 신이 부여한 능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창세기 2:15에 따라 신의 창조물을 탐구하고 책임감 있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인문학과 과학의 발전을 크게 촉진하는 문화적 분위기를 조성했다.[179] 개신교의 인간 이해에 따른 또 다른 결과는 신앙인들이 그리스도 안에서의 선택과 구원에 대한 감사로 하나님의 계명을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근면, 검소, 소명, 규율, 그리고 강한 책임감이 그들의 도덕 규범의 핵심이다.[180][181] 특히 칼뱅은 사치를 거부했다. 따라서 장인, 산업가 및 기타 사업가들은 과학 기술의 발전에 기반한 가장 효율적인 기계와 가장 현대적인 생산 방식에 이익의 대부분을 재투자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향상되어 이윤이 증가하고 고용주는 더 높은 임금을 지불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경제, 과학 및 기술은 서로를 강화했다. 기술 발명의 경제적 성공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발명가와 투자자 모두에게 강력한 동기가 되었다.[182][183][184][185] 프로테스탄트 윤리는 자본주의와 산업혁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계획되지 않고 조정되지 않은 대중 행동의 중요한 원동력이었다. 이러한 생각은 "프로테스탄트 윤리 논제"로도 알려져 있다.[186]
그러나 앙날 학파의 지도자였던 페르낭 브로델은 프로테스탄트 윤리 이론은 불확실하며, 북유럽 국가들은 지중해의 자본주의 중심지가 차지했던 자리를 가져갔지만 기술이나 사업 관리에서 아무것도 발명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87] 로드니 스타크는 경제 발전의 중요한 시기에 북유럽 자본주의 중심지는 프로테스탄트가 아닌 가톨릭이었다고 말한다.[188] 휴 트레버로퍼는 대규모 산업 자본주의가 종교 개혁 이전에는 이데올로기적으로 불가능했다는 생각은 그것이 존재했다는 사실에 의해 깨어졌다고 말했다.[189]
세계 가치관 조사 자료에 대한 요인 분석에서 부다페스트 코르비누스 대학교의 아르노 타우슈는 프로테스탄티즘이 종교와 자유주의 전통을 결합하는 것과 매우 가깝다는 것을 발견했다. 타우슈가 계산한 세계 가치관 발전 지수는 법치, 시장 경제, 성평등 지지 및 환경 운동 참여 등 여러가지 가치관에 의존한다.[190]
감리교도와 장로교도뿐만 아니라 다른 WASP들은 대부분의 다른 종교 집단보다 부유하고[191] 교육 수준이 높으며,[192] 미국 사업,[193] 법률 및 정치, 특히 공화당의 상층부에서 불균형적으로 대표된다.[194] 가장 부유하고 부유한 미국 가문인 반더빌트 가, 아스터 가, 록펠러 가, 뒤퐁 가, 루즈벨트 가, 포브스 가, 포드 가, 휘트니 가, 멜런 가, 모건 가와 해리먼 가문은 주류 개신교 가문이다.[191][195]
개신교는 과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머턴 명제에 따르면, 잉글랜드 청교도주의와 독일 경건주의의 부상과 초기 실험 과학 사이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196] 머턴 명제는 두 가지 부분으로 나뉜다. 첫째, 과학은 관찰의 축적과 실험 기술 및 방법론의 개선으로 인해 변화한다는 이론을 제시한다. 둘째, 17세기 잉글랜드에서 과학의 인기와 왕립 학회의 종교적 인구 통계학(당시 영국의 과학자들은 주로 청교도 또는 다른 개신교도였다)은 개신교와 과학적 가치 사이의 상관관계로 설명될 수 있다는 주장을 제기한다.[197] 머턴은 17세기와 18세기의 과학 혁명 발전에 잉글랜드 청교도주의와 독일 경건주의가 책임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종교적 신앙과 과학에 대한 관심 사이의 연관성은 금욕적인 개신교적 가치와 현대 과학의 가치 사이의 상당한 시너지 효과의 결과라고 설명했다.[198] 개신교적 가치는 과학이 세상—그의 창조—에 대한 신의 영향을 확인하고 과학 연구에 대한 종교적 정당성을 제공함으로써 과학 연구를 장려했다.[196]
해리엇 주커먼의 저서 ''Scientific Elite: Nobel Laureates in the United States''에 따르면, 1901년부터 1972년까지 수여된 미국의 노벨상을 검토한 결과, 미국 노벨상 수상자의 72%가 개신교 배경을 밝혔다.[199] 1901년부터 1972년까지 미국인에게 수여된 모든 노벨상 중 노벨 화학상의 84%,[199] 노벨 생리학 또는 의학상의 60%,[199] 그리고 노벨 물리학상의 59%[199]는 개신교도가 수상했다.
''100 Years of Nobel Prize (2005)''에 따르면, 1901년부터 2000년까지 수여된 노벨상을 검토한 결과, 노벨상 수상자의 65%가 다양한 형태의 기독교를 자신의 종교적 선호도로 밝혔다(423개의 상).[200] 다양한 형태의 개신교를 밝힌 수상자는 32%(208개의 상)였지만,[200] 개신교도는 세계 인구의 12%~13%에 불과하다.
마르틴 루터는 원칙적으로 종교 영역과 세속 영역을 분리했다(두 왕국 교리).[201] 신자들은 이성을 사용하여 세속 영역을 질서 있고 평화롭게 다스릴 의무가 있었다. 루터의 만인 사제설은 평신도의 교회 내 역할을 상당히 향상시켰다. 교인들은 목사를 선출할 권리가 있었고, 필요하다면 해임에 투표할 수도 있었다.[202] 칼뱅은 선출된 평신도(장로, 장로교)를 그의 대표 교회 정부에 포함시킴으로써 이 기본적으로 민주적인 접근 방식을 강화했다.[203] 위그노들은 칼뱅의 교회 자치 시스템에 지역 노회와 교회들이 선출한 회원들로 구성된 전국 노회를 추가했다. 이 시스템은 다른 개혁 교회들이 채택했고,[204] 17세기 율리히-클레베-베르그의 루터교도들을 시작으로 일부 루터교도들도 채택했다.
정치적으로 칼뱅은 귀족과 민주주의의 혼합을 선호했다. 그는 민주주의의 장점을 높이 평가하며 "만일 하나님이 백성에게 자신의 권위와 통치자를 자유롭게 선출할 수 있도록 허락하신다면, 그것은 매우 귀중한 선물입니다."라고 하였다.[205] 칼뱅은 또한 세속 통치자들이 하나님에 대항하여 일어설 때 신권을 상실하고 제거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일반 사람들의 권리를 더 잘 보호하기 위해 칼뱅은 견제와 균형 시스템에서 정치 권력을 분리하는 것을 제안했다(권력 분립). 따라서 그와 그의 추종자들은 정치적 절대주의에 저항하고 현대 민주주의의 부상을 위한 길을 열었다.[206] 영국 외에도 네덜란드는 칼뱅주의 지도 아래 17세기와 18세기에 유럽에서 가장 자유로운 국가였다. 그곳은 바뤼크 스피노자와 피에르 바이유와 같은 철학자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했다. 휘고 그로티우스는 그의 자연법 이론과 성경에 대한 비교적 자유로운 해석을 가르칠 수 있었다.[207]
칼뱅의 정치적 사상과 일치하게, 프로테스탄트들은 영국과 미국의 민주주의를 모두 만들었습니다. 17세기 영국에서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과 사건은 잉글랜드 내전, 올리버 크롬웰, 존 밀턴, 존 로크, 명예혁명, 영국 권리장전, 그리고 왕위 계승법이었다.[208] 나중에 영국인들은 호주, 뉴질랜드, 인도 등 식민지에 그들의 민주적 이상을 전파했다. 북미에서는 플리머스 식민지(청교도의 아버지; 1620)와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1628)가 민주적 자치와 권력 분립을 실천했다.[209][210][211][212] 이 회중 교회 신자들은 민주적인 정부 형태가 하나님의 뜻이라고 확신했다.[213] 메이플라워 협약은 사회 계약이었다.[214][215]
개신교도들 또한 종교의 자유를 옹호하는 데 앞장섰다. 1521년 웜스에서 열린 신성 로마 제국 국회에서 루터가 자신의 신앙을 철회하기를 거부한 이후로 양심의 자유는 신학적, 철학적, 정치적 의제에서 최우선순위를 차지했다.[216] 그의 견해에 따르면, 신앙은 성령의 자유로운 역사였으며, 따라서 사람에게 강요될 수 없었다.[217] 박해받던 재침례파와 위그노들은 양심의 자유를 요구했고, 정교분리를 실천했다.[218] 17세기 초, 존 스미스와 토마스 헬위스와 같은 침례교도들은 종교의 자유를 옹호하는 논문들을 출판했다.[219][220] 그들의 사상은 존 밀턴과 존 로크의 관용에 대한 입장에 영향을 미쳤다.[221] 침례교도 로저 윌리엄스, 청교도 토마스 후커, 퀘이커 윌리엄 펜의 지도 아래, 로드아일랜드, 코네티컷, 펜실베이니아는 각각 민주적인 헌법과 종교의 자유를 결합했다. 이 식민지들은 유대인을 포함한 박해받는 종교 소수자들을 위한 안전한 피난처가 되었다.[222][223]
미국 독립 선언, 미국 헌법, 그리고 기본적인 인권을 보장하는 미국의 권리장전은 이러한 전통에 법적, 정치적 틀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영구화했다.[224] 미국 개신교도의 대다수, 성직자와 평신도 모두 독립 운동을 강력하게 지지했다. 모든 주요 개신교 교회는 제1차와 제2차 대륙 회의에 대표를 파견했다.[225] 19세기와 20세기에 미국 민주주의는 전 세계 여러 국가와 지역(예: 라틴 아메리카, 일본, 독일)의 모범이 되었다. 미국과 프랑스 혁명 사이의 가장 강력한 연결 고리는 미국의 헌법 원칙을 열렬히 지지했던 라파예트 후작이었다. 프랑스의 인권과 시민의 권리 선언은 주로 라파예트가 작성한 초안을 바탕으로 했다.[226] 유엔 선언과 세계 인권 선언 또한 미국의 헌법 전통을 반영한다.[227][228][229]
민주주의, 사회계약론, 삼권분립, 종교의 자유, 정교분리—종교 개혁과 초기 개신교의 이러한 업적들은 계몽주의 사상가들에 의해 더욱 발전되고 대중화되었다. 영국, 스코틀랜드, 독일, 스위스 계몽주의의 일부 철학자들—토마스 홉스, 존 로크, 존 톨랜드, 데이비드 흄,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크리스티안 볼프, 임마누엘 칸트, 장 자크 루소—은 개신교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230] 예를 들어, 정치 사상이 "일련의 개신교적 가정"에 기반을 둔 존 로크는 창세기 1장 26-28절에서 모든 인간의 평등, 성별의 평등("아담과 이브")을 이끌어냈다.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자유롭게 창조되었기 때문에 모든 정부는 "피지배자의 동의"가 필요했다.[231][232]
또한, 다른 인권들도 일부 개신교도들에 의해 옹호되었다. 예를 들어, 고문은 1740년 프로이센에서, 노예 제도는 1834년 영국에서, 1865년 미국에서 폐지되었다(윌리엄 윌버포스, 해리엇 비처 스토우, 에이브라함 링컨—남부 개신교도에 대항하여).[233][234] 휴고 그로티우스와 사무엘 푸펜도르프는 국제법에 중요한 공헌을 한 최초의 사상가들 중에 속했다.[235][236] 인도주의적 국제법의 중요한 부분인 제네바 협약은 주로 개혁된 경건주의자인 앙리 뒤낭의 작품이었다. 그는 적십자를 설립하기도 했다.[237]
개신교는 병원, 장애인 또는 노인을 위한 시설, 교육기관, 개발도상국에 원조를 제공하는 단체 및 기타 사회복지 기관을 설립했다.[238][239][240] 19세기 영미권 전역에서 모든 개신교 교파의 많은 헌신적인 신자들이 노예제 폐지, 교도소 개혁 및 여성 참정권과 같은 사회 개혁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241][242][243] 19세기의 "사회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 비스마르크(Otto von Bismarck) 수상 시대의 독일에서는 복지 국가로 이어지는 사회보험 프로그램(건강보험, 산재보험, 장애보험, 노령 연금)을 도입했다. 비스마르크에게 이것은 "실용적인 기독교"였다.[244][245] 이러한 프로그램들 또한 특히 서구 세계의 많은 다른 국가에서 모방되었다.
YMCA는 젊은이들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동교회의 조지 윌리엄스에 의해 설립되었다.
개신교 신앙은 예술에 큰 영향을 주었다. 마르틴 루터, 파울 게르하르트, 조지 위더, 아이작 와츠, 찰스 웨슬리, 윌리엄 카우퍼 등의 작가와 작곡가들은 유명한 교회 찬송가를 작곡했다. 하인리히 쉬츠,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헨리 퍼셀, 요하네스 브람스, 필립 니콜라이, 펠릭스 멘델스존 등의 음악가들은 위대한 음악 작품들을 작곡했다. 개신교 배경을 가진 저명한 화가로는 알브레히트 뒤러, 한스 홀바인(젊은 쪽), 루카스 크라나흐(늙은 쪽), 루카스 크라나흐(젊은 쪽), 렘브란트, 빈센트 반 고흐 등이 있다. 세계 문학은 에드먼드 스펜서, 존 밀턴, 존 번연, 존 던, 존 드라이든, 다니엘 디포, 윌리엄 워즈워스, 조너선 스위프트,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프리드리히 실러,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에드거 앨런 포, 매슈 아놀드, 콘라트 페르디난트 마이어, 테오도어 폰탄, 워싱턴 어빙, 로버트 브라우닝, 에밀리 디킨슨, 에밀리 브론테, 찰스 디킨스, 내덜니얼 호손, T.S. 엘리엇, 존 골즈워디, 토마스 만, 윌리엄 포크너, 존 업다이크 등 많은 작가들의 작품들로 풍요로워졌다.
사회학 등에서 연구, 논의의 대상이 되는 유럽의 근대화는, 특히 초기에는 프로테스탄트 혁명에 의해 강력한 추진력을 얻었다는 견해가 있다.
그것의 가장 유명한 설은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전개된 것으로, 청교도 등 금욕적인 퓨리타니즘이 지배적인 국가에서 노동자가 합리적으로 효율성,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베버에 의하면, 프로테스탄트의 교리상, 즉 스스로에게 주어진 직업을 천직으로 여기는 루터의 사상과, 거기에 더해 칼뱅의 예정 교리(이중 예정설)에 의해, 빈곤은 신에 의한 영원한 멸망의 징조인 반면, 현세에서의 성공은 신의 가호의 증거로 여겨졌기 때문에, 프로테스탄트 신자, 특히 금욕적인 퓨리타니스트는, 자신이 멸망에 정해졌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자신의 일에 열중함으로써, 자신이 신에게 구원받는 자 중 한 명이라는 증거를 확인하려고 했다는 심리가 있다는 것이다.[314] 참고로, 사회심리학자 에리히 프롬도 『자유로부터의 도피』 제3장 「종교개혁 시대의 자유」에서 베버의 설을 활용하면서, 그러한 심리가 권위주의적인 것임을 분석하고, 파시즘과 유사한 권위주의적인 요소가 구 프로테스탄티즘에 이미 내포되어 있었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또한, 다니엘 벨은 『자본주의의 문화 모순』에서, 이러한 합리주의 정신이, 예술에서의 모더니즘 운동과 함께, 근대 사회의 모습을 규정한 주요 원인이었다고 한다. 또한, 1960년대 이후, 소비 사회와 결부된 모더니즘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프로테스탄티즘에 유래하는 근대의 합리주의를 위협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이러한 합리주의 때문에, 경제평화연구소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객관적으로 산출한 적극적 평화 지수에서는, 발트 3국 에스토니아를 제외하고, 잉글하트·웰젤 문화 지도에서 프로테스탄트 유럽으로 분류되는 국가: 북유럽 국가(스웨덴,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스위스, 네덜란드, 독일, 그리고 프로테스탄트 유럽과 매우 가까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는 일본과 함께 상위 13개국에 들어가는 것을 알 수 있다.[315][316]
프로테스탄트와 근대의 관계에 대해서는 또 하나, 다른 측면을 다룬 설이 있으며, 역시 널리 알려져 있다. 교회에 가서 다른 신자들과 함께 설교를 듣거나, 찬송가를 부르는 것으로 신앙을 실천했던 가톨릭과는 달리, 프로테스탄트는 처음에 개인이 성서를 읽는 것을 중시했다. 집단적으로 하는 의식에 비해 독서는 개인 중심적인 행동이기 때문에, 일부 논자는 이것을 근대 사회에 고유한 개인주의와 결부시켜 생각한다.[317]
7. 한국 개신교
1866년 제너럴셔먼호 사건 이후, 여러 외국 선교사들이 선교를 시도했지만 직접적인 선교는 불가능했다. 따라서 만주 지역에 있는 한국인을 중심으로 전도가 이루어졌다. 조선의 개신교는 신앙 공동체 형성 직후부터 성서 번역에 착수하여 1882년 함경도 방언으로 된 <예수성교 누가복음젼셔>를 출판했다. 따라서 한국의 개신교 전래는 선교사가 한국에 들어오기 전부터 시작되었다. 1883년 이수정이 일본에서 야스가와 목사에게서 세례를 받았다. 그는 한글 성경을 번역하기 시작해 1885년에는 〈마가의 전복음셔언해〉을 출판해 냈다. 성서를 한글로 옮긴 실천은 일본에서 체류하고 있던 서구 개신교 선교사들이 한국에서의 선교를 준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356] 이수정은 미국에 한국에 선교사를 보낼 것을 요청하였다.
1885년 4월 5일 같은 날 장로교의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선교사와 미국 북감리교의 아펜젤러 목사가 한국에 들어오게 된다. 언더우드 선교사는 광혜원을 설립하였고, 아펜젤러 목사는 배재학당(現 배재고등학교, 배재대학교)를 설립하였다. 그 밖에 침례교는 캐나다의 맬콤 팬윅에 의해 전래되었으며, 생명의말씀선교회는 1983년 권신찬 목사에 의해 설립되었고, 재림교회(또는 안식일교회, 안식교회)는 1904년 이응현, 손흥조가 하와이로 이민 도중 일본 고베에서 신앙을 받아들이고 한국으로 귀국하면서 들어왔다. 1905년 구세군교회도 구세군 사관 허가두 중령에 의해 들어왔다. 한국의 자생 개신교단으로 1935년에 설립된 기독교대한복음교회가 있다. 한국에서는 개신교와 기독교가 같은 뜻으로 쓰이고 있지만, 기독교는 그리스도교를 뜻하므로 개신교만을 뜻하지는 않는다.
'''평양 대부흥'''은 1907년에 평양에서 있었던 큰 교회 성장을 일컫는 말이다. 개신교의 세력이 강했던 조선 북쪽 지역의 개신교 신자, 선교사들이 자신들의 잘못을 공개적 고백한 사건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길선주 장로를 비롯, 신자들과 선교사들은 횡령 및 교우들에 대한 교만한 태도 등을 고백하고, 이를 돌려주는 절차 등을 밟았다. 이후로 개신교인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이 일어났다.[357]
1930년대 군국주의가 기승을 부린 일본 제국에서는 한국의 교단들을 통폐합하고 일본과 조선의 소위 미션스쿨과 개신교 교회들에 대해 신사참배를 강요한다. 이때 조선 개신교는 크게 세 가지 반응을 보였다: 적극 참여파 / 무관심한 소극파 / 적극 반대파. 주기철, 최상림처럼 하나님 앞에서 우상숭배를 할 수 없다는 종교적 이유에서 신사참배에 반대한 사람들과, 양주삼처럼 신사참배는 종교 행위가 아니라면서 찬성하는 부류로 나뉘었다. 당시 대다수의 장로교, 감리교는 이에 찬성하여 신사참배에 동참하였다. 하지만, 해방 이후 친일활동을 한 개신교 목사들이 교회에서 처벌받지 않고 오히려 총회장이나 노회장 등의 교단지도자를 역임했기 때문에, 교회사학자들은 친일파 청산을 한국 개신교가 사실상 하지 못했다고 비평한다. 이로 인해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고신(고려)파가 분리되었다.[358] 그러나 최근들어 민족적 신사참배에 대한 교회적이고 민족적인 회개운동이 전개 되어, 장로교회에서 주기철 목사를 복권시키는 등의 조치가 취해지고 있다.
광복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개신교가 크게 성장하였다. 미국에서 발간되는《크리스천 월드(Christian World)》가 1993년에 발표한 세계 대형 교회의 순위를 보면, 세계 10대 대형 교회 안에 한국 교회가 1위와 2위를 포함하여 5개가 포함되어 있으며, 20위 안에는 10개, 그리고 발표된 50위 안에는 23개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359] 개신교가 한국에 들어온 것이 1885년, 진정한 개신교 선교의 시작 시점이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라는 점에 비추어 볼 때 대한민국의 개신교는 불과 50여 년 정도 만에 세계 선교의 역사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난 속도의 성장을 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대한민국 인구의 약 20% 정도가 개신교 신자이다. 하지만 성직자 수급 불균형 문제, 대형교회의 목사 장로 등의 지나친 정치참여, 중대형교회들의 교인 독점, 교회의 상업화, 십일조 문제, 세금 문제, 타 종교 배척, 기존 역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현실 역사에 대해 제대로 알려고 하지 않는 회피적인 태도, 지나치게 자의적인 성경해석으로 인한 수많은 분파 설립 등이 문제화 되고 있다. 2007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은 1997년에 비교하여 개신교 신도 수가 1.6% 감소하였으며, 코로나 19 범유행, 오미크론 변이, 이에 관한 방역수칙 위반 등을 계기로 개신교를 혐오하는 사례가 더욱 증가하였다.[360][361][362][363]
참조
[1]
웹사이트
Methodist Beliefs: In what ways are Lutherans different from United Methodists?
http://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4-05-22
[2]
서적
Mothering the Fatherland: A Protestant Sisterhood Repents for the Holocaus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6-27
[3]
웹사이트
Pope Leo X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0
[4]
서적
Protestants: A History from Wittenberg to Pennsylvania 1517–1740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06-27
[5]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Lutheranism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1-06-27
[7]
서적
Calvinism
https://books.google[...]
Primedia E-launch LLC
1899-06-27
[8]
서적
Kompendium der Kirchengeschichte
Tübingen (Germany)
[9]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
서적
Teologins Historia
Concordia Publishing House
[11]
웹사이트
Pewforum: Grobal Christianity
http://www.pewforum.[...]
2011-12-19
[12]
웹사이트
World Council of Churches: Evangelical churches
http://www.oikoumene[...]
[13]
서적
Religion in Global Civil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1-08
[14]
웹사이트
Status of Global Christianity, 2024, in the Context of 1900–2050
https://www.gordonco[...]
Center for the Study of Global Christianity,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
[15]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16]
웹사이트
protestant – Origin and meaning of protestant
http://www.etymonlin[...]
[17]
웹사이트
Definition of Protestant
https://www.dictiona[...]
[18]
서적
The Reformation: A History
Penguin
[19]
서적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Liturgical Press
[20]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21]
서적
Scripture and Tradition
Baker Books
[22]
서적
Christianity: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The New Schaff-Herzog Encyclopedia of Religious Knowledge
https://books.google[...]
[24]
서적
Justification by Faith in Catholic-Protestant Dialogue
T & T Clark
[25]
웹사이트
Methodism
https://web.archive.[...]
Lutheran Church Missouri Synod
[26]
서적
American Unitarianism and the Protestant Dilemma: The Conundrum of Biblical Authority
Lexington Books
[27]
서적
Spiritual Theology: A Systematic Study of the Christian Life
IVP Academic
[28]
서적
The Church in the Theology of the Reformers
Wipf and Stock Publishers
[29]
성경
[30]
성경
[31]
성경
[32]
서적
Popular Symbolics
https://archive.org/[...]
Concordia Publishing House
[33]
웹사이트
The Solid Declaration of the Formula of Concord, Article 8, The Holy Supper
https://web.archive.[...]
Bookofconcord.com
[34]
성경
[35]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s://web.archive.[...]
Concordia Publishing House
[36]
성경
마태복음 26:28
[37]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s://web.archive.[...]
Concordia Publishing House
[38]
서적
Outlines of Doctrinal Theology
https://web.archive.[...]
Concordia Publishing House
[39]
서적
Sacramental Theology and the Christian Life
WestBow Press
[40]
서적
Protestantism in America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41]
서적
The Sacramental Mystery
Gracewing Publishing
[42]
서적
Protestants: A History from Wittenberg to Pennsylvania 1517–1740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
[43]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III: Nicene and Post-Nicene Christianity. A.D. 311–600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44]
웹사이트
Gottschalk Of Orbais Roman Catholic theologian Britannica
https://www.britanni[...]
[45]
웹사이트
Reformation parallels: the case of Gottschalk of Orbais
https://doinghistory[...]
2017-07-18
[46]
웹사이트
Gottschalk "Fulgentius" of Orbais
https://www.academia[...]
[47]
웹사이트
Ratramnus Benedictine theologian Britannica
https://www.britanni[...]
[48]
서적
The History of the Church of Christ Volume 3
[49]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 the first three thousand years
http://worldcat.org/[...]
[50]
웹사이트
Friends of God religious group Britannica
https://www.britanni[...]
[51]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I: The Middle Ages. A.D. 1294–1517
https://ccel.org/cce[...]
[52]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I: The Middle Ages. A.D. 1294–1517
https://ccel.org/cce[...]
[53]
학술지
The forms of communication employed by the Protestant Reformers and especially Luther and Calvin
http://www.pharosjot[...]
2016
[54]
서적
Martin Luther
[55]
서적
European Reformation
[56]
서적
Reformation World
[57]
서적
Printing, Propaganda, and Martin Luther
[58]
학술지
Reformation and the Book
[59]
서적
The History of Anglicanism I
SPCK
[60]
문서
Articles Declaratory of the Constitution of the Church of Scotland
[61]
웹사이트
History of Europe – Demographics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62]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63]
서적
The Great Awakening: The Roots of Evangelical Christianity in Colonial America
[64]
학술지
Young Women in the Great Awakening in New England
1975-09
[65]
서적
Revivals Awakenings and Reform
[66]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67]
서적
The Fourth Great Awakening and the Future of Egalitarianism
[68]
서적
The Fourth Great Awakening & the Future of Egalitarianism
[69]
서적
Fire on the Altar: A History and Evaluation of the 1904–05 Welsh Revival
Bryntirion Press
2005
[70]
웹사이트
Has Lutheranism caused secularism?
http://www.patheos.c[...]
2012-03-22
[71]
서적
Chapitre 6 – Les Lumières, ou la sécularisation de l'État
https://www.cairn.in[...]
Cairn.info
2016
[72]
서적
Mennonites in Europe
Herald Press
1995
[73]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74]
웹사이트
Karlstadt, Andreas Rudolff-Bodenstein von (1486–1541)
http://gameo.org/ind[...]
[75]
웹사이트
The Magisterial Reformation
http://www.reformati[...]
[76]
서적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1996–1997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1996
[77]
웹사이트
An Orthodox Response to the Recent Roman Catholic Declaration on the Nature of the Church
http://www.antiochia[...]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78]
서적
The Lutheran Manual
https://books.google[...]
Boschen & Wefer Company
1893
[79]
서적
Is One Church as Good as Another?
The Lutheran Witness
[80]
웹사이트
ICL > Denmark > Constitution
http://www.servat.un[...]
[81]
웹사이트
Føroyska kirkjan
http://www.folkakirk[...]
[8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Iceland
http://www.governmen[...]
[83]
웹사이트
Løsere bånd, men fortsatt statskirke
http://www.abcnyhete[...]
ABC Nyheter
[84]
웹사이트
Staten skal ikke lenger ansette biskoper
http://www.nrk.no/ny[...]
NRK
[85]
웹사이트
Ingen avskaffelse: Slik blir den nye statskirkeordningen
http://fritanke.no/i[...]
2012-05-15
[86]
웹사이트
Address data base of Reformed churches and institutions
http://www.reformier[...]
[87]
서적
Church and State in Western Society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88]
서적
A World Survey of Religion and the Stat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9]
서적
Sociology: A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90]
웹사이트
ICL > Finland > Constitution
http://servat.unibe.[...]
[91]
웹사이트
Maarit Jänterä-Jareborg: Religion and the Secular State in Sweden
http://www.iclrs.org[...]
[92]
웹사이트
Staatlicher Dirigismus und neue Gläubigkeit (Die Kirche im Herzogtum Nassau)
http://www.nassau-in[...]
Nassau-info.de
[93]
서적
America's Alternative Religion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94]
성경
[95]
간행물
Handbook of Denominations in the United States
Abingdon Press
[96]
웹사이트
CBC 4 me
http://www.cbc4me.or[...]
[97]
웹사이트
The Anabaptists and the Reformation
[98]
웹사이트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
http://www.etymonlin[...]
[99]
문서
Münster Rebellion followers of Thomas Müntzer and Balthasar Hubmaier
[100]
웹사이트
What it means to be an Anglican
http://www.cofe.angl[...]
Church of England
[101]
웹사이트
The Anglican Communion official website – homepage
http://www.anglicanc[...]
[102]
웹사이트
Member Churches
http://www.anglicanc[...]
[103]
서적
Chasing the Sun: Dictionary Makers and the Dictionaries They Made
Henry Holt
[104]
서적
Thomas Cranmer: A Life
Yale University Press
1996
[105]
웹사이트
Baptist Origins
http://teachinghisto[...]
[106]
웹사이트
Turning Points in Baptist History
http://www.centerfor[...]
The Center for Baptist Studies, Mercer University
2010-01-16
[107]
간행물
A Very Brief Introduction to Baptist History, Then and Now
[108]
웹사이트
Baptist
http://www.britannic[...]
[109]
웹사이트
Member Body Statistics
http://www.bwanet.or[...]
Baptist World Alliance
2008-05-30
[110]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111]
웹사이트
SBC: Giving increases while baptisms continue decline
http://www.bpnews.ne[...]
Baptist Press
2019-05-23
[112]
웹사이트
Appendix B: Classification of Protestant Denominations
http://www.pewforum.[...]
2015-05-12
[113]
웹사이트
Theology and Communion
http://wcrc.ch/theol[...]
[114]
웹사이트
Member Churches
http://wcrc.ch/wcrc-[...]
[115]
서적
The Czechoslovak heresy and schism: the emergence of a national Czechoslovak church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16]
문서
Canons and Decrees of the Council of Trent
Fourth Session, Decree on Sacred Scripture
[117]
서적
The Story of Christian Theology: Twenty Centuries of Tradition & Reform
https://archive.org/[...]
InterVarsity Press
1999
[118]
서적
The Ecumenical Councils of the Catholic Church: A History
Liturgical Press
[119]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lutheran.[...]
[120]
웹사이트
Member Churches – The Lutheran World Federation
http://www.lutheranw[...]
2013-05-19
[121]
웹사이트
Survey Shows 70.5 Million Members in LWF-Affiliated Churches
http://www.lutheranw[...]
[122]
웹사이트
Member Churches
http://worldmethodis[...]
World Methodist Council
[123]
서적
A Collection of Hymns, for the use of the people called Methodists
https://books.google[...]
T. Blanshard
[124]
웹사이트
Holiness churches
http://www.oikoumene[...]
[125]
서적
From the Margins: A Celebration of the Theological Work of Donald W. Dayton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7
[126]
웹사이트
Global Christianity: A Report on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World's Christian Population
http://www.pewforum.[...]
Pew Forum on Religion and Public Life
2011-12-19
[127]
웹사이트
What is the history of the 'Brethren'?
http://brethrenonlin[...]
2006-06
[128]
서적
Assembly Distinctives
https://archive.org/[...]
Everyday Publications
[129]
웹사이트
Quaker Faith & Practice
http://qfp.quakerweb[...]
Britain Yearly Meeting
[130]
웹사이트
Baltimore Yearly Meeting Faith & Practice 2011 draft
http://www.bym-rsf.o[...]
[131]
웹사이트
The Trouble With "Ministers"
http://www.quaker.or[...]
2014-04-25
[132]
문서
The Reformation: A History
[133]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Protestant Denominations
http://religions.pew[...]
Pew Forum on Religion & Public Life / U.S. Religious Landscape Survey
[134]
웹사이트
Unitarianism: Unitarianism at a glance
http://www.bbc.co.uk[...]
BBC – Religions
[135]
웹사이트
Unitarian Christianity
http://www.americanu[...]
[136]
저널
Spiritual Christianity and Sectarianism in Russia
http://www.berdyaev.[...]
1999
[137]
서적
Spirit Wrestlers: Doukhobor Pioneers' Strategies for Living
Legas
[138]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139]
웹사이트
Redirect
http://www.secularhu[...]
[140]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41]
웹사이트
Operation World
http://www.operation[...]
2015-06-04
[142]
웹사이트
How Many Evangelicals Are There?
https://web.archive.[...]
Institute for the Study of American Evangelicals
[143]
서적
Encyclopedia of Evangelicalism: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Baylor
[144]
서적
Charismatic Phenomenon
https://archive.org/[...]
Wakeman
1988
[145]
서적
Healing Epidemic
Wakeman Trust
1988
[146]
웹사이트
Reformed and Presbyterian Denominations: A Primer
https://web.archive.[...]
2014-02-15
[147]
웹사이트
Early Adventist worship, Ellen White and the Holy Spirit: Preliminary Historical Perspectives
http://www.sdanet.or[...]
SDAnet AtIssue
1999-10-25
[148]
웹사이트
Later Adventist Worship, Ellen White and the Holy Spirit: Further Historical Perspectives
http://www.sdanet.or[...]
SDAnet AtIssue
1999-08-27
[149]
서적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Pentecostal and Charismatic Movements
Zondervan
[150]
서적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Pentecostal and Charismatic Movements
Zondervan
[151]
서적
Chambers Biographical Dictionary
Chamb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2]
서적
A Theology for the Church
B&H Academic
[153]
서적
A History of the Baptists
[154]
서적
The Story of Christianity, Vol. Two: The Reformation to the Present Day
Harpercollins Publishers
[155]
문서
In places, such as parts of England and America, where Pietism was frequently juxtaposed with Catholicism, Catholics also became naturally influenced by Pietism, helping to foster a stronger tradition of congregational hymn-singing, including among Pietists who converted to Catholicism and brought their pietistic inclination with them, such as Frederick William Faber.
[156]
서적
The Origin of the Schwarzenau Brethren
Brethren Encyclopedia
[157]
문서
Calvinist Puritans believed that government was ordained by God to enforce Christian behavior upon the world; pietists see the government as a part of the world, and believers were called to voluntarily live faithful lives independent of government.
[158]
웹사이트
Latimer's Pulpit
https://www.50treasu[...]
[159]
웹사이트
Despite Cambridge's Protestant history, Catholic students are at home here
https://catholichera[...]
2020-06-25
[160]
서적
Pym Letters. Caribbeana: Being Miscellaneous papers Relating to the History. Genealogy, Topography, and Antiquities of the British West Indies. Volume II.
Mitchell Hughes and Clarke, 140 Wardour Street, W
1912
[161]
서적
Memorials of the Discovery and Early Settlement of the Bermudas or Somers Islands 1515-1685, Volume I
The Bermuda Historical Society and The Bermuda National Trust (the first edition having been published in 1877, with funds provided by the Government of Bermuda), printed in Canada by Th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81
[162]
웹사이트
Eleuthera Island: History Notes
http://www.eleuthera[...]
[163]
뉴스
The Perfect New England Town
https://www.nytimes.[...]
1989-05-14
[164]
서적
Christian Theology: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65]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Twentieth-Century Philosopher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66]
서적
Kompendium der Kirchengeschichte
[167]
논문
The Economic Effects of the Protestant Reformation: Testing the Weber Hypothesis in the German Lands
https://www.jstor.or[...]
2015
[168]
서적
Max Weber: An Intellectual Portrai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9]
논문
Protestantism and Education: Reading (the Bible) and Other Skills
https://www.cesifo-g[...]
2014-04-01
[170]
논문
Work ethic, Protestantism, and human capital
https://eprints.qut.[...]
2010-05-01
[171]
논문
The Protestant Ethic Reexamined: Calvinism and Industrialization
2019-11-01
[172]
서적
Puritanism and the rise of modern science: the Merton thesis
Rutgers University Press
[173]
서적
The scientific revolution: a historiographical inqui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4]
서적
Science and religion: a historical introduc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75]
서적
Geschichte des Westens. Von den Anfängen in der Antike bis zum 20. Jahrhundert
[176]
서적
History of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Prentice-Hall
[177]
간행물
Kongregationalismus
[178]
간행물
Mainline Protestantism 2000
[179]
서적
The Religious Factor: A Sociological Study of Religion's Impact on Politics, Economics, and Family Life
A Doubleday Anchor Book
[180]
서적
The Glorious Cause: The American Revolution, 1763–1789
Oxford University Press
[181]
간행물
Soziallehre des Calvinismus
[182]
간행물
Kapitalismus
[183]
간행물
Technik
[184]
간행물
Naturwissenschaft und Christentum
[185]
간행물
Technik. Geschichtlich
[186]
웹사이트
Max Weber
http://plato.stanfor[...]
Metaphysics Research Lab, CSLI, Stanford University
2008-09-01
[187]
서적
Afterthoughts on Material Civilization and Capitalism
Johns Hopskins University Press
[188]
웹사이트
Protestant Modernity
http://www.catholice[...]
2017-01-31
[189]
서적
The Crisis of the Seventeenth Century
Liberty Fund
[190]
간행물
Towards new maps of global human values, based on World Values Survey (6) data
https://ideas.repec.[...]
2015-03-31
[191]
뉴스
The Episcopalians: An American Elite with Roots Going Back To Jamestown
https://www.nytimes.[...]
2011-12-19
[192]
간행물
WASP – From Sociological Concept to Epithet
[193]
간행물
Liberal Democracy and Social Control
[194]
서적
The Protestant Establishment
https://archive.org/[...]
New York, Random House
[195]
서적
Religion, Art, and Money: Episcopalians and American Culture from the Civil War to the Great Depress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6]
웹사이트
[Extract from] the Blackwell ... Social Theorists
Wiley
2003
[197]
course handout
Lecture 14
http://www.ucl.ac.uk[...]
[198]
간행물
The Merton thesis: Oetinger and German Pietism, a significant negative case
1992-12-01
[199]
서적
Scientific Elite: Nobel Laureates in the United States
New York, The Free Press
[200]
서적
100 Years of Nobel Prizes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201]
간행물
Toleranz. In der Geschichte des Christentums
[202]
문서
Dass eine christliche Versammlung oder Gemeine Recht und Macht habe, alle Lehre zu beurteilen und Lehrer zu berufen, ein- und abzusetzen: Grund und Ursach aus der Schrift
[203]
서적
History of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204]
서적
Kompendium der Kirchengeschichte
[205]
간행물
Calvin
[206]
서적
History of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207]
서적
Kompendium der Kirchengeschichte
[208]
간행물
England. Kirchengeschichte
[209]
서적
Mayflower: A Story of Courage, Community, and War
Penguin Group
[210]
서적
History of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211]
웹사이트
Plymouth Colony Legal Structure
http://www.histarch.[...]
2020-11-01
[212]
웹사이트
The Massachusetts Body of Liberties (1641)
http://history.hanov[...]
2013-03-13
[213]
서적
Pilgerväter
1961
[214]
문서
Plymouth Colony Legal Structure
[215]
서적
The Story of America: Freedom and Crisis from Settlement to Superpower
DK Publishing, Inc.
2002
[216]
서적
History of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217]
서적
Toleranz. In der Geschichte des Christentums
1962
[218]
서적
Baptisten
[219]
서적
Milton, John
[220]
서적
Kompendium der Kirchengeschichte
[221]
서적
History of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222]
서적
Liberty of Conscience: Roger Williams in America
Judson Press
1999
[223]
서적
William Penn: Apostle of Dissent
William Morrow & Co.
1974
[224]
서적
The Glorious Cause: The American Revolution, 1763–1789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25]
서적
History of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226]
서적
Frankreich. Kirchengeschichte
1958
[227]
서적
American Life and Institutions
Ernst Klett Verlag
1987
[228]
서적
Vereinte Nationen
[229]
서적
Völkerrecht
[230]
서적
Kompendium der Kirchengeschichte
[231]
서적
God, Locke, and Equality: Christian Foundations in Locke's Politic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32]
서적
God, Locke, and Equality
[233]
서적
The Story of America
[234]
서적
Kompendium der Kirchengeschichte
[235]
서적
Grotius, Hugo
[236]
서적
Pufendorf, Samuel
[237]
서적
Schweiz. Seit der Reformation
1961
[238]
서적
History of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239]
서적
Diakonie
[240]
서적
Anglikanische Kirche
[241]
서적
History of Religion in the United States
[242]
서적
The Story of America
[243]
서적
Kongregationalismus
[244]
서적
Bismarck, Otto von
[245]
서적
Sozialversicherung
[246]
간행물
Responses to Some Questions Regarding Certain Aspects of the Doctrine on the Church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2007-06-29
[247]
서적
A Faraway Ancient Country
https://books.google[...]
Gardners Books
2019-12-30
[248]
웹사이트
Bishop Hilarion of Vienna and Austria: The Vatican Document Brings Nothing New
http://orthodoxeurop[...]
Orthodoxeurope.org
2014-05-14
[249]
웹사이트
'The Canadian Reformed Magazine', 18 (20–27 September, 4–11 October, 18, 1, 8 November 1969)
http://spindleworks.[...]
2007-05-15
[250]
웹사이트
History – World Council of Churches
http://www.oikoumene[...]
2014-07-30
[251]
웹사이트
Orthodox Church: text – IntraText CT
http://www.intratext[...]
Intratext.com
2010-11-19
[252]
웹사이트
Justification
https://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6-07-26
[253]
웹사이트
News Archives
http://www.umc.org/s[...]
UMC.org
2010-11-19
[254]
웹사이트
CNS Story: Methodists adopt Catholic-Lutheran declaration on justification
http://www.catholicn[...]
Catholicnews.com
2010-11-19
[255]
서적
The World's Religions: Continuities and Transformation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5-06-27
[256]
서적
Protestant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5-06-27
[257]
서적
Protestant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6-27
[258]
서적
World Religions and Democracy
https://books.google[...]
2020-05-23
[259]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6-27
[260]
웹사이트
World
https://www.cia.gov/[...]
CIA world facts
2021-01-24
[261]
웹사이트
Global Christianity
http://www.pewforum.[...]
Pewforum.org
2012-08-17
[262]
웹사이트
Protestant Demographics and Fragmentations
http://www.fsmitha.c[...]
2015-03-18
[263]
웹사이트
Religious Populations in England
http://www.statistic[...]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1-04-08
[264]
서적
The Pearson General Knowledge Manual 2012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2015-06-27
[265]
웹사이트
Protestantism in Bohemia and Moravia (Czech Republic) – Musée virtuel du Protestantisme
http://www.museeprot[...]
2014-07-24
[266]
웹사이트
Tab 7.1 Population by religious belief and by municipality size groups
http://www.czso.cz/s[...]
Czso.cz
2013-11-19
[267]
웹사이트
Tab 7.2 Population by religious belief and by regions
http://www.czso.cz/s[...]
Czso.cz
2013-11-19
[268]
서적
Frommer's Prague & the Best of the Czech Republic
https://books.google[...]
Wiley
2015-06-27
[269]
뉴스
Europe and the legend of secularizati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02-12
[270]
간행물
Discrimination in the EU in 2019
https://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20-05-15
[271]
서적
The Teachings of Modern Protestantism on Law, Politics, and Human Natur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5-06-27
[272]
웹사이트
Study: Christianity grows exponentially in Africa
http://usatoday30.us[...]
2014-07-23
[273]
잡지
The Battle for Latin America's Soul
http://content.time.[...]
2014-07-23
[274]
웹사이트
In China, Protestantism's Simplicity Yields More Converts Than Catholicism
http://www.ibtimes.c[...]
2014-07-23
[275]
웹사이트
Evangelicals rise in Latin America
http://www.aljazeera[...]
2014-07-23
[276]
웹사이트
America's Changing Religious Landscape
http://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15-05-12
[277]
서적
Religion in a Secularizing Society: The Europeans' Religion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https://books.google[...]
Brill
2015-06-27
[278]
서적
Religious Newcomers and the Nation State: Political Culture and Organized Religion in France and the Netherlands
https://books.google[...]
Eburon Uitgeverij B.V.
2015-06-27
[279]
웹사이트
Moscow Church Spearheads Russia Revival
http://www.cbn.com/c[...]
2015-02-14
[280]
웹사이트
Protestantism in Postsoviet Russia: An Unacknowledged Triumph
http://biblicalstudi[...]
2014-07-23
[281]
웹사이트
Growing Protestants, Catholics Draw Ire
http://www.christian[...]
2002-06-10
[282]
웹사이트
"Nones" on the Rise: One-in-Five Adults Have No Religious Affiliation
https://web.archive.[...]
Pew Research Center (The Pew Forum on Religion & Public Life)
2012-10-09
[283]
뉴스
US Protestants no longer majority
https://www.bbc.co.u[...]
2012-10-10
[284]
웹사이트
Mainline Churches: The Real Reason for Decline
http://www.leaderu.c[...]
[285]
서적
The Future of the Global Church: History, Trends and Possibilities
https://web.archive.[...]
[286]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87]
서적
キリスト教
東京大学出版会
[288]
서적
キリスト教
https://kotobank.jp/[...]
小学館
[289]
문서
「御父」
[290]
문서
「御子」
[291]
웹사이트
protestant
http://dictionary.re[...]
[292]
서적
岩波キリスト教辞典
[293]
서적
カルトの諸相 キリスト教の場合
岩波書店
[294]
서적
異端の歴史
教文館
[295]
서적
Encyclopedic Handbook of Cults in America
Garland
[296]
서적
現代福音主義神学
いのちのことば社
[297]
서적
キリスト教の将来
教文館
[298]
서적
激動するアメリカ教会
ヨルダン社
[299]
문서
キリスト教#信徒数
[300]
웹사이트
世界のキリスト教徒
https://web.archive.[...]
ピュー研究所
[301]
서적
福音主義キリスト教と福音派
[302]
서적
クリスチャンの和解と一致
地引網出版
[303]
서적
宣教ハンドブック
共立基督教研究所
[304]
서적
日本の福音派
日本福音同盟
[305]
서적
宣教のめざす道-エキュメニカルと福音派の間-
いのちのことば社
[306]
서적
聖書の教理
羊群社
[307]
서적
アジア伝道史
いのちのことば社
[308]
서적
日本開国とプロテスタント宣教150年
日本伝道会議
[309]
서적
スコットランドにおける教会と国家
すぐ書房
[310]
서적
基督教全史
聖書図書刊行会
[311]
웹사이트
カナダ合同教会に歓迎!
http://www.united-ch[...]
[312]
웹사이트
合同教会について
https://www.oikoumen[...]
[313]
웹사이트
日本聖公会大阪教区
http://www.nskk.org/[...]
[314]
서적
ヴェーバー学のすすめ
未来社
[315]
웹사이트
WVS Database
https://www.worldval[...]
2022-03-19
[316]
웹사이트
POSITIVE PEACE REPORT Analysing the factors that build, predict and sustain peace.
https://www.visionof[...]
2022-01-31
[317]
문서
루이·듀몽 (1993)
[318]
웹인용
Protestant - Definition of Protestant in English by Oxford Dictionaries
http://www.oxforddic[...]
2018-03-08
[319]
문서
복음을 회복하려는 종교개혁의 정신은 복음주의로 불리었다. 이 개신교회의 중심적 사상으로 모든 개신교회가 따르는 성경중심주의의 핵심이다. 하지만 19세기가 들어서며 신복음주의, 즉 개신교 보수주의의 자칭으로 복음주의자 부르면서, 이 단어는 영어권에서는 보수주의 개신교회를 일컫는 단어가 되었다. 하지만 종교개혁의 전통적 복음주의와 19세기 신복음주의(영어권의 복음주의)는 엄연히 다른 사상을 가리킨다.
[320]
문서
성공회의 경우 루터, 칼뱅의 종교개혁과 달리 영국 정부가 성공회기도서(1549년)발행 등으로써 주도한 잉글랜드 종교개혁으로 교황제도와 분리되었으므로 개신교라고 말하기는 하지만, 개신교와 천주교의 중도(Via Media)로 이해하는 경우도 있다.
[321]
문서
개신교 신학자 정승우의 《인류의 영원한 고전 신약성서》(아이세움)에 따르면, 천주교도 1549년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이신칭의를 고백했기 때문에 이신칭의 교리가 기독교 전반의 교리이지만, 개신교에서 특히 강조하는 특징을 지닌다.
[322]
문서
주교제라고도 함
[323]
서적
조직신학: 판넨베르크 1
새물결플러스
2015
[324]
서적
그리스도교: 본질과 역사
분도출판사
2002
[325]
서적
폴 틸리히의 그리스도교 사상사
한국신학연구소
2001
[326]
서적
마틴 루터의 신학: 역사적 조직신학적 연구
한국신학연구소
2002
[327]
서적
교회의 신학자 칼뱅
대한기독교서회
2009
[328]
문서
국가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기도 하다. 대한민국 개신교회 중 하나인 대한성공회는 신부라 한다. 일본의 성공회는 목사라 한다.
[329]
문서
19세기 보수적 교단이 자신들이 개신교 정통이며, 개신교회의 중도 및 진보적 성향의 교단둘은 개신교의 16세기 복음주의를 따르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하였다.
[330]
웹사이트
‘프로테스탄트’의 탄생
http://www.sedaily.c[...]
[331]
웹사이트
김현배 , 루터와 츠빙글리의 성만찬 논쟁
http://www.newspower[...]
[332]
서적
이야기교회사
살림
[333]
서적
이야기 교회사
살림
[334]
문서
에큐메니컬 운동을 반대하는 보수적 입장의 개신교인의 모임으로 자신들의 주장을 진정한 개신교 전통이라 주장하여 자신들을 '복음주의'로 칭함, 전통적 개신교 전체를 의미하는 전통적 복음주의와 구분하기 위해 신복음주의로 구분함. 복음주의는 유럽에서는 개신교 전반을 이르는 의미이나 영어권인 영국이나 미국에서는 주로 신복음주의 사상 중 온건사상을 의미한다. 급진적 신복음자들은 주로 근본주의자로 지칭되나 이들은 자신들을 항상 '복음주의'라고 자칭한다.
[335]
문서
단일 교파의 국가별 교단의 숫자를 포함하였으므로, 교파의 숫자는 아니다.
[336]
서적
World Christian Encyclopedia (2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337]
웹인용
새길개혁교회
http://www.nprchurch[...]
2015-10-04
[338]
웹사이트
개혁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http://www.christian[...]
[339]
웹인용
백정 박성춘과 곤당골 교회
https://seungdong.or[...]
[340]
웹사이트
세계감리교협의회
http://worldmethodis[...]
[341]
문서
ανα(/아나/, again) + βαπτιζω(/밥티조/, baptize) = re-baptizers
[342]
웹사이트
한겨레 2005년 11월 16일자, 자생적인 재침례파 교회인 춘천 예수촌 교회 기사
http://www.hani.co.k[...]
2005-11-16
[343]
성경
사도행전 2:38
[344]
성경
마가복음 16:16
[345]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
Abingdon Press
1975
[346]
서적
《5시간만에 읽는 쉽고 재미있는 교회사》
작은행복
[347]
웹사이트
한겨레신문 2003년 4월 10일자 "평화교회 재세례파(재침례파)는‥"
http://www.hani.co.k[...]
2003-04-10
[34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cia.gov/[...]
2016-02-01
[349]
웹사이트
http://www.pewforum.[...]
[350]
웹사이트
http://www.anglicanc[...]
[351]
웹사이트
http://www.pewforum.[...]
[352]
웹사이트
http://www.pewforum.[...]
[353]
웹사이트
세계감리교협의회
http://worldmethodis[...]
[354]
문서
미국의 흑인 중심 감리교 교단
[35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4-10-26
[356]
웹인용
대한성서공회
https://web.archive.[...]
2007-07-06
[357]
뉴스
100년 전 그 날 평양에선… 교인들의 회개가 줄을 이어
https://web.archive.[...]
조선일보
2006-01-12
[358]
서적
일본 개신교회사
홍성사
[359]
뉴스
조선일보
1993-02-08
[360]
뉴스
한국 개신교 쇠퇴기 들어섰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09-10
[361]
뉴스
한국교회의 상황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12-08-12
[362]
뉴스
한국교회, 파시즘 요소 청산하지 않으면 생사 위기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7-08
[363]
웹사이트
http://mnews.imaeil.[...]
[364]
뉴스
선교지가 된 유럽, 평균 개신교 출석교인은 3%
http://www.christian[...]
2010-03-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오늘의 날씨]2025년 8월 26일 여름의 끝을 적시는 빗줄기
‘사회적 합의’라는 무능과 무책임의 알리바이 [뉴스룸에서]
다시 소환된 ‘신천지’와 국민의힘 [유레카]
교계로 뻗친 ‘임성근 구명 로비’ 의혹···복수 경로로 구명 시도했나
Neo-liberal anxieties and the Korean occult boom
서울시 “포궁→자궁, 연애→이성교제” 성소수자 용어 제한 지침 논란
[단독] ‘임성근 구명로비’에 개신교계 거물 연루 정황…김장환·이영훈 목사 압수수색
충북지역 4대 종단 한 자리에…종교화합 문화프로그램 만든다
민주주의 교과서 ‘12·3 빛의 혁명' [.txt]
신자유주의적 불안에 맞춤하다…오컬트물이 흥하는 이유
이 대통령, 종교계 만나 “분열된 사회 걱정…국민 화합 힘써달라”
이재명 대통령 “분열·대립 심각…봉합 중이나 정국 바뀌면…” | JTBC 뉴스
[기자메모] 김민석은 안창호와 달라야 한다
하정우 내레이션 다큐 '무명 無名', 역주행 끝에 5만 돌파 눈앞
[Column] Korea’s far right problem is bigger than just young men
단지 이대남의 문제가 아니다 [신진욱의 시선]
“이재명 유죄” “국부 이승만”···교육과 설교 사이, 기독대안학교의 위험한 밸런스 게임
‘저출생 극복’ 앞세워 ‘돌봄 공백’ 파고드는 개신교···교회의 ‘선’은 어디까지인가
‘차별금지법요?’ 김민석에게 질문도 없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