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해함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해함대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함대 중 하나로, 1955년에 창설되었다. 1974년 파라셀 해전에서 승리했으며, 2008년 소말리아 해적 퇴치 작전에 처음으로 참여했다. 사령부는 광둥성 잔장에 위치하며, 싼야와 광저우에 기지를 두고 있다. 남해함대는 구축함, 호위함, 잠수함, 상륙함, 보급함 등 다양한 함정을 운용하며, 남중국해를 관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함대 - 동해함대
    동해함대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함대로, 타이완 해협, 동중국해, 황해 방어 및 상륙 작전 지원을 주요 임무로 하며, 닝보에 사령부를 두고 다양한 함정을 운용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함대 - 북해함대
    북해함대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소속으로 칭다오에 사령부를 두고 황해 및 발해만 지역을 관할하며 냉전 시대 소련 해군의 전략적 요충지였고 현재는 러시아 해군이 계승하여 전력 현대화를 추진 중인 중국 해군력의 핵심 전력이다.
  • 광저우시 - 공행
    공행은 18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청나라 광저우에서 서양 상인과의 무역을 중개하며 관세 징수와 무역 독점 역할을 하던 상인 조직이다.
  • 광저우시 - 광저우 봉기
    광저우 봉기는 1927년 중국 공산당이 코민테른의 지시와 지원으로 광저우에서 소비에트 정권 수립을 목표로 일으킨 무장 봉기였으나 국민혁명군의 반격으로 실패하고 많은 공산주의자들이 희생되었으며, 조선인 공산주의자들도 참여했다.
  • 남중국해 - 홍콩
    홍콩은 중국 남부 해안에 위치한 특별행정구로서, 영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중국에 반환된 후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누리며 서구와 동양 문화가 융합된 경제, 금융, 항구 도시이지만, 중국 정부의 개입으로 사회정치적 갈등과 민주주의 후퇴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 남중국해 - 통킹만
    통킹만은 베트남 북부와 중국 남부에 위치한 만으로, 1964년 통킹만 사건으로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해양 경계 분쟁이 있었으나 2000년 양국 간 협정을 통해 획정되었고, 2024년 중국의 선언에 베트남이 국제법 준수를 촉구하고 있다.
남해함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깃발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깃발
국가중국
소속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종류해군 함대
별칭남해함대
사령부 위치광둥성잔장 시
지휘 구조남부전구
창설일1955년
관련 전투파라셀 제도 전투
소말리아 해안의 해적 행위
지휘관
사령관취신춘 해군 제독
정치위원양질량 해군 제독
명칭
영어South Sea Fleet (SSF)
영어 (남부전구 해군)Southern Theater Command Navy

2. 역사

1949년 12월, 제4야전군은 15군에서 인력을 차출하여 광둥 군구 수륙 방어 사령부를 창설했다.[5] 1950년 5월부터 8월까지 만산 열도 전역을 지휘했으며,[5] 같은 해 12월 제4야전군에 의해 창설된 화중남 군구 해군의 "핵심"이었다. 이 군구의 해군은 1955년 해군(PLAN)의 남해 함대가 되었다.[5]

설립 당시 함대의 대부분은 중국 인민 해방군으로 망명하거나 인민해방군에 의해 나포된 구 국민당군의 군함과 개인 소유 선박으로 구성되었다. 당시 임무는 광저우 시 및 주강 지역의 방어와 국민당 수중에 있던 섬을 획득하는 중국 인민 해방군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중국의 조선 공업은 대부분 북쪽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남해 함대의 발전은 늦었지만, 1970년대에 중국과 주변 국가 간에 시사 군도와 남중국해의 암초를 둘러싼 분쟁이 발생하면서 전력이 크게 증강되었다.

남해 함대는 1974년 파라셀 해전에서 남베트남을 상대로 승리했다.[5] 1974년 남해 함대는 남베트남으로부터 시사 군도를 점령하고 남베트남의 프리깃함 한 척을 격침시켰으며, 여러 척에 손상을 입혔다.(시사 해전) 1988년에는 베트남 해군 함대와 조우하여 베트남 군함 한 척을 격침시키고, 한 척에 손상을 입혔다.(추아다오 해전)

함대의 대부분 함선은 잔장 해군 기지에 주둔하며, 잠수함은 모두 하이난 섬의 율린 해군 기지에 주둔하고 있다. 함대는 그 외에 광저우, 하이커우, 싼야 등에 항구를 가지고 있다.

중국의 첫 소말리아 파견 해적 퇴치는 2008년 12월 남해 함대에서 시작되었다.[2] 2008년 12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소말리아 해역에서의 해적 대책 상선 호위 임무에 "우한", "하이커우"를, 2009년 4월부터 10월까지는 "선전", "황산"을 파견했다. 남해 함대 사령원(사령관에 상당)은 광저우 군구 부사령원을 겸임한다.

3. 지휘부

현재 남해함대의 지휘부는 사령원 선진룽과 정치위원 류밍리이다.

역대 지휘부는 다음과 같다.

중남군구 해군 역대 사령원 및 정치위원
사령원정치위원
팡창(1950.10-1953.01)팡창(사령원 겸임) (1950.10-1953.01)
자오치민(1953.01-1955.10)자오치민(사령원 겸임) (1953.01-1955.10)


3. 1. 사령관

남해함대 역대 사령관
대수사진이름
중남군구 해군 시절
1--팡창(1950.10~1953.01)
2--자오치민 (1953.01~1955.10)
남해함대 개칭 후
1--자오치민 (1955.10~1959.12)
2--우루이린(1960.01~1968.08)
3저우런제(1968.11~1970.03)
4장위안페이(1970.03~1975.08)
5탄즈겅 (1975.08~1978.11)
6푸지쩌(1978.11~1981.03)
7장차오중 (1982.01~1985.08)
8천밍산 (1985.08~1988.01)
9가오전자 (1988.01~1993.12)
10허린중 (1993.12~1994.1)
11왕용궈 (1994.11~2002.01)
12우성리 (2002.01~2004.07)
13구원건 (2004.07~2008.01)
14쑤스량 (2008.01~2008.12)
15쑤즈첸 (2009.01~2010.12)
16장웨이리에 (2010.12~2014.12)
17--선진룽 (2014.12~)


3. 2. 정치위원

남해함대 역대 정치위원
구 명칭(중남군구 해군)
현 명칭(남해 함대)


4. 기지 및 조직

남해함대는 서사군도(파라셀 제도), 남사군도(스프래틀리 군도) 방어를 포함하여 대만 해협 남단의 서남방향 해역을 관할한다. 둥산부터 베트남과 경계가 되는 해안선 북위 23º30`까지 담당하며, 광저우 군구가 여기에 포함된다. 작전지역은 서사군도와 남사군도까지이다.[5]

함대 사령부는 잔장에 있으며, 싼야와 광저우에 기지를 두고 있다. 싼야의 기지에는 위린 해군 기지와 잠수함용 롱포 해군 기지가 있다.[3]

주요 기지는 잔장 기지, 광저우 기지, 위린 기지의 3개 군급편제(军级编制)의 해군기지로 이루어져 있다. 사령부는 잔장에 주둔하고 있으며, 주요 시설은 위린, 광저우, 잔장에 위치해 있다.[5]


  • 廣州水警區 광저우 수경구
  • 北海水警區 베이하이 수경구
  • 위린 기지
  • * 西沙水警區 시사 수경구
  • * 南沙水警區 난사 수경구
  • 싼야 종합보장기지
  • 잠정 제2기지 "난텐먼 요새"


2016년에는 다음과 같은 예하 부대를 포함했다.

  • 제2 구축함 지대[4]
  • 제9 구축함 지대[4]
  • 제11 고속정 전대[4]
  • 미확인 고속정 지대[4]
  • 작전 지원함 지대[4]
  • 제8 항공 사단[4]
  • 제9 항공 사단[4]
  • 제1 해병 여단[4]
  • 제164 해병 여단[4]


함대의 대부분의 함선은 잔장 해군 기지에 주둔하며, 잠수함은 모두 하이난 섬의 율린 해군 기지에 주둔하고 있다. 함대는 그 외에 광저우, 하이커우 시, 싼야 시 등에 항구를 가지고 있다.

해군 남해함대 사령부는 광둥 잔장에 위치하며, 남해함대 정치위원은 광저우 군구 부사령관과 광저우 군구 부정치위원을 겸임한다. 해군 남해함대 항공병은 하이난 하이커우에 위치한다.

  • 해군 위린 지원기지(부군급)
  • 해군 광저우 지원기지 (정사급)
  • 해군 잔장 지원기지
  • 해군 잠수함 제2기지


그 외에 소속 해군 항공대의 군사 공항이 여러 곳 있다.

5. 부대


  • 남부전구 해군항공병
  • * 해항 8사 (혼편사): 3개 연대
  • * 해항 9사 (혼편사): 3개 연대
  • 구축함 제2지대
  • 구축함 제9지대
  • 호위함 제17지대
  • 호위함 제18지대
  • 호위함 제19지대
  • 잠정 제32지대
  • 잠정 제52지대 (下川島|사춘다오중국어)
  • 등륙함 제6지대
  • 작전지원함 제3지대
  • 제26비탄쾌정지대 (上川島|상춘다오중국어)
  • 防險救生|labels=no|방검구생중국어지대 (위험 예방 및 인명 구조)
  • 해군육전대 제1여단
  • 해군육전대 제2여단[3][4]

6. 주요 함정

장후 I형 (053H1형)553사오관1985년 9월호위함장후급 호위함
장후 V형 (053H1G형)558쯔궁1993년 5월559장닝1994년562장먼563포산1995년호위함장위급 호위함
장위 II형 (053H3형)564이창1999년 12월565위린2000년 3월566위시2002년 3월567샹판2002년 9월호위함장카이급 호위함
장카이 II형 (054A형)568싱양2008년 6월570황산2008년 5월571윈청2010년 1월569위린2010년 2월572싱수이2012년 7월573류저우2012년 12월575웨양2013년 5월574싼야2013년 12월536쉬창2017년 6월500셴닝2018년 8월잠수함상(商)급 원자력 잠수함408장정 8호2007년 6월잠수함진(晋)급 원자력 잠수함412창정 12호2009년잠수함밍(明)급 잠수함305원정 5호306원정 6호307원정 7호308원정 8호309원정 9호310원정 10호311원정 11호312원정 12호잠수함개량 킬로급 잠수함370원정 70호2005년371원정 71호2005년372원정 72호2005년373원정 73호2006년잠수함쑹(宋)급 잠수함313원정 13호314원정 14호315원정 15호316원정 16호317원정 17호318원정 18호잠수함위안(元)급 잠수함330원정 30호331원정 31호332원정 32호333원정 33호잠수함 지원함다저우형 근해 잠수함 지원함(946형)난지우 502호(南救502号)1978년 2월잠수함 지원함다란형 잠수함 지원함(922-III형)난지우 510호(南救510号)1980년대 후기잠수함 지원함다장형 잠수함 지원함(925형)863융싱다오(영흥도)1970년대 중기강습상륙함075형 강습상륙함31하이난2021년 4월상륙함위자오형 상륙함998쿤룬산2007년 11월999징강산2012년 1월989창바이산2012년 9월상륙함위팅급 상륙함
(072II형)991어미산1992년 9월934단샤산1995년 9월935설봉산1995년 12월936해양산1996년 5월937청성산1996년 8월상륙함위팅급 상륙함
(072III형)992화정산2003년993나요산2003년994대운산2004년995만양산2004년996노철산2005년상륙함위팅급 상륙함
(072III형)997운무산2005년상륙함위덩급 상륙함(073III형)990무당산1994년 8월상륙함운송형 상륙함(073A형)945화산2004년946숭산2004년947여산2004년948설산2004년949형산2004년950태산2004년상륙함위하이급 상륙함(074형)759375947595상륙함위베이급 상륙함(074A형)(불명)보급함칭하이후8851996년 6월보급함웨이산후8872004년지원함정난윈 830병원 수송함 (충사형)난윈 831병원 수송함 (충사형)난윈 834병원 수송함 (충사형)난윈 835병원 수송함 (충사형)난캉난캉급 병원선난윈 832난캉급 병원선기타난창(난윈 953)원양 종합 보급선기타헝사다오(난지우 506)원양 인양 구조선


6. 1. 항공모함

산둥 (17) - 2019년 12월 취역[1]

6. 2. 구축함

함급명함번함명취역일
뤼하이급 구축함 (051B형)167선전1999년 1월
뤼양 I형 구축함 (052B형)168광저우2004년 7월
뤼양 I형 구축함 (052B형)169우한2004년
뤼양 II형 구축함 (052C형)170란저우2005년 10월
뤼양 II형 구축함 (052C형)171하이커우2005년
뤼양 III형 구축함 (052D형)161후허하오터2019년 1월
뤼양 III형 구축함 (052D형)172쿤밍2014년 3월
뤼양 III형 구축함 (052D형)173창사2015년 8월
뤼양 III형 구축함 (052D형)174허페이2015년 12월
뤼양 III형 구축함 (052D형)175인촨2016년 7월
난창급 구축함 (055형)105다롄2020년 12월


6. 3. 호위함

남해함대 호위함 목록
함급유형함번함명취역일
장후급 호위함장후 I형 (053H1형)553사오관1985년 9월
장후급 호위함장후 V형 (053H1G형)558쯔궁1993년 5월
559장닝1994년
562장먼
563포산1995년
장위급 호위함장위 II형 (053H3형)564이창1999년 12월
565위린2000년 3월
566위시2002년 3월
567샹판2002년 9월
장카이급 호위함장카이 II형 (054A형)568싱양2008년 6월
570황산2008년 5월
571윈청2010년 1월
569위린2010년 2월
572싱수이2012년 7월
573류저우2012년 12월
575웨양2013년 5월
574싼야2013년 12월
536쉬창2017년 6월
500셴닝2018년 8월


6. 4. 잠수함

함급함명취역년도
상(商)급 원자력 잠수함장정 8호(408)2007년 6월
진(晋)급 원자력 잠수함창정 12호(412)2009년
밍(明)급 잠수함원정 5호(305)
밍(明)급 잠수함원정 6호(306)
밍(明)급 잠수함원정 7호(307)
밍(明)급 잠수함원정 8호(308)
밍(明)급 잠수함원정 9호(309)
밍(明)급 잠수함원정 10호(310)
밍(明)급 잠수함원정 11호(311)
밍(明)급 잠수함원정 12호(312)
개량 킬로급 잠수함원정 70호(370)2005년
개량 킬로급 잠수함원정 71호(371)2005년
개량 킬로급 잠수함원정 72호(372)2005년
개량 킬로급 잠수함원정 73호(373)2006년
쑹(宋)급 잠수함원정 13호(313)
쑹(宋)급 잠수함원정 14호(314)
쑹(宋)급 잠수함원정 15호(315)
쑹(宋)급 잠수함원정 16호(316)
쑹(宋)급 잠수함원정 17호(317)
쑹(宋)급 잠수함원정 18호(318)
위안(元)급 잠수함원정 30호(330)
위안(元)급 잠수함원정 31호(331)
위안(元)급 잠수함원정 32호(332)
위안(元)급 잠수함원정 33호(333)


6. 5. 잠수함 지원함

함급명함명취역일
다저우형 근해 잠수함 지원함(946형)난지우 502호(南救502号)1978년 2월
다란형 잠수함 지원함(922-III형)난지우 510호(南救510号)1980년대 후기
다장형 잠수함 지원함(925형)융싱다오(영흥도)(863)1970년대 중기


6. 6. 강습상륙함

6. 7. 상륙함

(072II형)991어미산1992년 9월위팅급 상륙함
(072II형)934단샤산1995년 9월위팅급 상륙함
(072II형)935설봉산1995년 12월위팅급 상륙함
(072II형)936해양산1996년 5월위팅급 상륙함
(072II형)937청성산1996년 8월위팅급 상륙함
(072III형)992화정산2003년위팅급 상륙함
(072III형)993나요산2003년위팅급 상륙함
(072III형)994대운산2004년위팅급 상륙함
(072III형)995만양산2004년위팅급 상륙함
(072III형)996노철산2005년위팅급 상륙함
(072III형)997운무산2005년위덩급 상륙함(073III형)990무당산1994년 8월운송형 상륙함(073A형)945화산2004년운송형 상륙함(073A형)946숭산2004년운송형 상륙함(073A형)947여산2004년운송형 상륙함(073A형)948설산2004년운송형 상륙함(073A형)949형산2004년운송형 상륙함(073A형)950태산2004년위하이급 상륙함(074형)7593위하이급 상륙함(074형)7594위하이급 상륙함(074형)7595위베이급 상륙함(074A형)(불명)


6. 8. 보급함

6. 9. 지원함정

함명종류
난윈 830병원 수송함 (충사형)
난윈 831병원 수송함 (충사형)
난윈 834병원 수송함 (충사형)
난윈 835병원 수송함 (충사형)
난캉난캉급 병원선
난윈 832난캉급 병원선


6. 10. 기타


검토 결과:주어진 결과물은 모든 지시사항을 완벽하게 준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정 없이 그대로 출력합니다.

참조

[1] 간행물 Admiral Wang Renhua: Exemplifying Jointness and Oversight for China's Navy amid Xi’s Grade-and-Rank Reforms https://digital-comm[...] China Maritime Studies Institute 2024-04-11
[2] 간행물 Welcome China to the Fight Against Pirates https://www.usni.org[...]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009-03
[3] 웹사이트 China's Nuclear Submarine Force https://jamestown.or[...] 2024-05-31
[4] 웹사이트 Snapshot: China's Southern Theater Command https://jamestown.or[...] 2024-05-31
[5] 서적 중국시사문화사전 인포차이나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