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함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해함대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함대 중 하나로, 1955년에 창설되었다. 1974년 파라셀 해전에서 승리했으며, 2008년 소말리아 해적 퇴치 작전에 처음으로 참여했다. 사령부는 광둥성 잔장에 위치하며, 싼야와 광저우에 기지를 두고 있다. 남해함대는 구축함, 호위함, 잠수함, 상륙함, 보급함 등 다양한 함정을 운용하며, 남중국해를 관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함대 - 동해함대
동해함대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함대로, 타이완 해협, 동중국해, 황해 방어 및 상륙 작전 지원을 주요 임무로 하며, 닝보에 사령부를 두고 다양한 함정을 운용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함대 - 북해함대
북해함대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소속으로 칭다오에 사령부를 두고 황해 및 발해만 지역을 관할하며 냉전 시대 소련 해군의 전략적 요충지였고 현재는 러시아 해군이 계승하여 전력 현대화를 추진 중인 중국 해군력의 핵심 전력이다. - 광저우시 - 공행
공행은 18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청나라 광저우에서 서양 상인과의 무역을 중개하며 관세 징수와 무역 독점 역할을 하던 상인 조직이다. - 광저우시 - 광저우 봉기
광저우 봉기는 1927년 중국 공산당이 코민테른의 지시와 지원으로 광저우에서 소비에트 정권 수립을 목표로 일으킨 무장 봉기였으나 국민혁명군의 반격으로 실패하고 많은 공산주의자들이 희생되었으며, 조선인 공산주의자들도 참여했다. - 남중국해 - 홍콩
홍콩은 중국 남부 해안에 위치한 특별행정구로서, 영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중국에 반환된 후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누리며 서구와 동양 문화가 융합된 경제, 금융, 항구 도시이지만, 중국 정부의 개입으로 사회정치적 갈등과 민주주의 후퇴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 남중국해 - 통킹만
통킹만은 베트남 북부와 중국 남부에 위치한 만으로, 1964년 통킹만 사건으로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해양 경계 분쟁이 있었으나 2000년 양국 간 협정을 통해 획정되었고, 2024년 중국의 선언에 베트남이 국제법 준수를 촉구하고 있다.
남해함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국가 | 중국 |
소속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
종류 | 해군 함대 |
별칭 | 남해함대 |
사령부 위치 | 광둥성잔장 시 |
지휘 구조 | 남부전구 |
창설일 | 1955년 |
관련 전투 | 파라셀 제도 전투 소말리아 해안의 해적 행위 |
지휘관 | |
사령관 | 취신춘 해군 제독 |
정치위원 | 양질량 해군 제독 |
명칭 | |
영어 | South Sea Fleet (SSF) |
영어 (남부전구 해군) | Southern Theater Command Navy |
2. 역사
1949년 12월, 제4야전군은 15군에서 인력을 차출하여 광둥 군구 수륙 방어 사령부를 창설했다.[5] 1950년 5월부터 8월까지 만산 열도 전역을 지휘했으며,[5] 같은 해 12월 제4야전군에 의해 창설된 화중남 군구 해군의 "핵심"이었다. 이 군구의 해군은 1955년 해군(PLAN)의 남해 함대가 되었다.[5]
현재 남해함대의 지휘부는 사령원 선진룽과 정치위원 류밍리이다.
설립 당시 함대의 대부분은 중국 인민 해방군으로 망명하거나 인민해방군에 의해 나포된 구 국민당군의 군함과 개인 소유 선박으로 구성되었다. 당시 임무는 광저우 시 및 주강 지역의 방어와 국민당 수중에 있던 섬을 획득하는 중국 인민 해방군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중국의 조선 공업은 대부분 북쪽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남해 함대의 발전은 늦었지만, 1970년대에 중국과 주변 국가 간에 시사 군도와 남중국해의 암초를 둘러싼 분쟁이 발생하면서 전력이 크게 증강되었다.
남해 함대는 1974년 파라셀 해전에서 남베트남을 상대로 승리했다.[5] 1974년 남해 함대는 남베트남으로부터 시사 군도를 점령하고 남베트남의 프리깃함 한 척을 격침시켰으며, 여러 척에 손상을 입혔다.(시사 해전) 1988년에는 베트남 해군 함대와 조우하여 베트남 군함 한 척을 격침시키고, 한 척에 손상을 입혔다.(추아다오 해전)
함대의 대부분 함선은 잔장 해군 기지에 주둔하며, 잠수함은 모두 하이난 섬의 율린 해군 기지에 주둔하고 있다. 함대는 그 외에 광저우, 하이커우, 싼야 등에 항구를 가지고 있다.
중국의 첫 소말리아 파견 해적 퇴치는 2008년 12월 남해 함대에서 시작되었다.[2] 2008년 12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소말리아 해역에서의 해적 대책 상선 호위 임무에 "우한", "하이커우"를, 2009년 4월부터 10월까지는 "선전", "황산"을 파견했다. 남해 함대 사령원(사령관에 상당)은 광저우 군구 부사령원을 겸임한다.
3. 지휘부
역대 지휘부는 다음과 같다.사령원 정치위원 팡창(1950.10-1953.01) 팡창(사령원 겸임) (1950.10-1953.01) 자오치민(1953.01-1955.10) 자오치민(사령원 겸임) (1953.01-1955.10)
3. 1. 사령관
남해함대 역대 사령관 | ||
---|---|---|
대수 | 사진 | 이름 |
중남군구 해군 시절 | ||
1 | -- | 팡창(1950.10~1953.01) |
2 | -- | 자오치민 (1953.01~1955.10) |
남해함대 개칭 후 | ||
1 | -- | 자오치민 (1955.10~1959.12) |
2 | -- | 우루이린(1960.01~1968.08) |
3 | 저우런제(1968.11~1970.03) | |
4 | 장위안페이(1970.03~1975.08) | |
5 | 탄즈겅 (1975.08~1978.11) | |
6 | 푸지쩌(1978.11~1981.03) | |
7 | 장차오중 (1982.01~1985.08) | |
8 | 천밍산 (1985.08~1988.01) | |
9 | 가오전자 (1988.01~1993.12) | |
10 | 허린중 (1993.12~1994.1) | |
11 | 왕용궈 (1994.11~2002.01) | |
12 | 우성리 (2002.01~2004.07) | |
13 | 구원건 (2004.07~2008.01) | |
14 | 쑤스량 (2008.01~2008.12) | |
15 | 쑤즈첸 (2009.01~2010.12) | |
16 | 장웨이리에 (2010.12~2014.12) | |
17 | -- | 선진룽 (2014.12~) |
3. 2. 정치위원
구 명칭(중남군구 해군) |
---|
현 명칭(남해 함대) |
4. 기지 및 조직
남해함대는 서사군도(파라셀 제도), 남사군도(스프래틀리 군도) 방어를 포함하여 대만 해협 남단의 서남방향 해역을 관할한다. 둥산부터 베트남과 경계가 되는 해안선 북위 23º30`까지 담당하며, 광저우 군구가 여기에 포함된다. 작전지역은 서사군도와 남사군도까지이다.[5]
함대 사령부는 잔장에 있으며, 싼야와 광저우에 기지를 두고 있다. 싼야의 기지에는 위린 해군 기지와 잠수함용 롱포 해군 기지가 있다.[3]
주요 기지는 잔장 기지, 광저우 기지, 위린 기지의 3개 군급편제(军级编制)의 해군기지로 이루어져 있다. 사령부는 잔장에 주둔하고 있으며, 주요 시설은 위린, 광저우, 잔장에 위치해 있다.[5]
- 廣州水警區 광저우 수경구
- 北海水警區 베이하이 수경구
- 위린 기지
- * 西沙水警區 시사 수경구
- * 南沙水警區 난사 수경구
- 싼야 종합보장기지
- 잠정 제2기지 "난텐먼 요새"
2016년에는 다음과 같은 예하 부대를 포함했다.
- 제2 구축함 지대[4]
- 제9 구축함 지대[4]
- 제11 고속정 전대[4]
- 미확인 고속정 지대[4]
- 작전 지원함 지대[4]
- 제8 항공 사단[4]
- 제9 항공 사단[4]
- 제1 해병 여단[4]
- 제164 해병 여단[4]
함대의 대부분의 함선은 잔장 해군 기지에 주둔하며, 잠수함은 모두 하이난 섬의 율린 해군 기지에 주둔하고 있다. 함대는 그 외에 광저우, 하이커우 시, 싼야 시 등에 항구를 가지고 있다.
해군 남해함대 사령부는 광둥 잔장에 위치하며, 남해함대 정치위원은 광저우 군구 부사령관과 광저우 군구 부정치위원을 겸임한다. 해군 남해함대 항공병은 하이난 하이커우에 위치한다.
- 해군 위린 지원기지(부군급)
- 해군 광저우 지원기지 (정사급)
- 해군 잔장 지원기지
- 해군 잠수함 제2기지
그 외에 소속 해군 항공대의 군사 공항이 여러 곳 있다.
5. 부대
6. 주요 함정
장후 I형 (053H1형)
장후 V형 (053H1G형)
장위 II형 (053H3형)
장카이 II형 (054A형)
(072II형)
(072III형)
(072III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