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말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말리아는 아프리카의 뿔에 위치한 국가로, 고대부터 상업의 중심지였으며, 푼트 왕국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슬람교가 국교이며, 수니파가 다수를 차지한다. 1960년 영국령 소말릴란드와 이탈리아령 소말리아가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1969년 군사 쿠데타로 소말리아 민주 공화국으로 변경되었다. 1991년 내전으로 정부가 붕괴된 후, 소말릴란드가 독립을 선언했으나 국제적인 인정을 받지 못했다. 과도 정부를 거쳐 2012년 연방 공화국으로 출범했으며, 현재 의원내각제 공화국 형태를 띠고 있다. 경제는 가축, 송금업체, 통신을 기반으로 하며, 농업이 가장 중요한 부문이다. 소말리아는 세계에서 기아가 심각한 국가 중 하나이며, 여성 할례 등 사회적 문제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소말릴란드는 아프리카의 뿔 북서부에 위치한 국제적인 승인을 받지 못한 국가로, 1991년 소말리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독자적인 정부와 군대를 운영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치안을 유지하고 있지만 소말리아 정부는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 근현대 잔존국 - 예멘
    아라비아 반도 남서부에 위치한 예멘은 고대 왕국들의 번성, 이슬람 왕조의 지배, 오스만 제국 점령, 분단과 통일을 거쳐 현재는 내전과 정치적 불안정, 경제적 어려움, 심각한 빈곤에 직면한 공화국이다.
  • 근현대 잔존국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은 2004년 헌법 공포 이후 2021년 탈레반 재집권으로 붕괴되기 전까지 존재했던 대통령 중심의 공화국으로, 2001년 미국의 군사 개입 이후 민주적인 선거를 통해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부패, 여성 인권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었다.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소말릴란드는 아프리카의 뿔 북서부에 위치한 국제적인 승인을 받지 못한 국가로, 1991년 소말리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독자적인 정부와 군대를 운영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치안을 유지하고 있지만 소말리아 정부는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 소말리아 - 오스마냐 문자
    소말리아의 오스만 유수프 케나디드가 소말리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라틴 문자, 아랍 문자, 에티오피아 문자의 영향을 받아 고안한 오스마냐 문자는 소말리아에서 일정 기간 사용되었으나 라틴 문자가 공식 문자로 채택되면서 쇠퇴하였고 현재는 유니코드에 등록되어 있다.
소말리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소말리아 정사영 지도
소말리아 영토 (초록색) 및 소말릴란드 (연두색)
소말리아 지도
소말리아 위치 지도 (2011년)
기본 정보
정식 명칭소말리아 연방 공화국
현지 이름소말리어:
아랍어:
통용 명칭소말리아
소말리아 국기
소말리아 국기
소말리아 국장
소말리아 국장
국가"모든 국가는 자신의 국기를 가지고 있다"
수도모가디슈
최대 도시모가디슈
공용어소말리어
아랍어
국어없음
종교수니파 이슬람교 (국교)
데모님소말리인
정부 형태연방 의회 공화국
정치
대통령하산 셰이크 모하무드
총리함자 압디 바레
상원 의장압디 하시 압둘라히
하원 의장아덴 마도베
입법부연방 의회
상원상원
하원하원
역사
고대 국가푼트 (기원전 2350년)
마크로비아 (기원전 980년)
바르바리아 (기원전 100년)
중세 국가아달 술탄국 (9세기)
모가디슈 술탄국 (10세기)
이파트 술탄국 (13세기)
아주란 술탄국 (13세기)
히라브 이마메이트 (16세기)
근대 국가겔레디 술탄국 (1695년–1911년)
마제르틴 술탄국 (1648년–1927년)
호비오 술탄국 (1878년–1927년)
이사크 술탄국 (1749년–1884년)
식민 시대영국령 소말릴란드 (1884년)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 (1889년)
독립 및 통합1960년 7월 1일 소말릴란드국과 통합
현재 헌법2012년 8월 1일
지리
면적637,657 km²
면적 순위43위
수역 비율1.6%
해안선 길이3,333 km
인구
인구 추정치18,143,378명 (2023년)
인구 순위78위
인구 밀도27.2명/km²
인구 밀도 순위199위
민족 구성소말리인: 85%
기타: 15%
민족 구성 년도2021년
경제
GDP (PPP)$340.3억 (2024년)
GDP (PPP) 순위145위
1인당 GDP (PPP)$2,060 (2024년)
1인당 GDP (PPP) 순위181위
명목 GDP$128억 (2023년)
명목 GDP 순위142위
1인당 명목 GDP$775 (2023년)
1인당 명목 GDP 순위179위
지니 계수36.8 (2017년)
인간 개발 지수 (HDI)0.380 (2022년)
HDI 순위193위
통화소말리아 실링
통화 코드SOS
기타 정보
시간대동아프리카 시간 (EAT)
UTC 오프셋+3
차량 통행 방향오른쪽
국제전화 코드+252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so
유엔 가입1960년 9월 20일
아랍 연맹 가입1974년 2월 14일
아프리카 연합 가입1963년 5월 25일
비동맹 운동 가입1961년
동아프리카 공동체 가입2023년 11월 24일
이슬람 협력 기구 가입1969년

2. 역사

소말리아는 오랜 역사를 가진 나라이다.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는 아라비아 반도 남부에서 유목민인 소말리아인들이 이주해왔으며, 이들은 아랍인 및 페르시아인과 무역을 했다.

소말리아인들은 원래 여섯 부족으로 나뉘어 각 부족에 대한 소속 의식을 가지고 생활하였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영국군이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점령하고, 에티오피아도 1941년 황제군이 탈환하면서 오가덴 지역은 영국이 잠정 통치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케냐 북동부를 포함한 소말리아인 거주 지역이 영국 지배 아래 통일되었다. 이 과정에서 1943년 소말리아 청년 클럽(후에 소말리아 청년 연맹(SYL)으로 개칭)이 결성되었고, 독립 직전에는 이탈리아령에서는 SYL이, 영국령에서도 SYL의 영향을 받은 소말릴란드 민족 연맹(SNL)이 제1당이 되었다.[375]

1960년 4월, 이탈리아령과 영국령 양측 지도자들이 회담하여 통합을 선언했고, SYL의 아덴 압둘라 오스만(Aden Abdullah Osman)이 대통령에, SNL의 이브라힘 에갈(Ibrahim Egal)이 수상에 취임했다. 그러나 에갈은 보름도 채 되지 않아 국방장관으로 강등되었고, 식민지 시대의 의석 수를 이어받은 의회는 인구 비율에서도 남부가 우세하여 남부에 유리한 정치가 행해졌다.[376]


  • 1886년 영국이 북부를 영국령 소말릴란드로 영유하였다. 이 시기 남부는 이탈리아의 보호령이었다.
  • 1908년까지 이탈리아가 남부를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로 영유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한때 이탈리아가 전 지역을 점령하여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의 일부가 되었으나, 이후 영국의 통치하에 놓였다.
  • 1948년 북부가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 1950년 남부가 이탈리아 신탁통치령 소말리아가 되었다.
  • 1960년 6월 26일 영국령이 소말릴란드로 독립했다. 5일 후인 7월 1일에는 이탈리아령도 독립하여 남북 통합으로 소말리아 공화국이 출범했다.
  • 1969년 10월, 쿠데타로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Mohamed Siad Barre) 소장이 실권을 장악하고, 국호를 소말리아 민주 공화국으로 변경했다.
  • 1970년 10월, 사회주의 국가를 선포하고, 소말리아 사회주의 혁명당의 일당 독재 체제가 되었다.
  • 1977년 에티오피아의 소말리아족에 의한 오가덴(Ogaden) 주 분리 독립 운동을 계기로 에티오피아와의 사이에 오가덴 전쟁이 발발했다. (1988년 양국의 휴전 합의까지 지속).
  • 1977년 10월, 루프트한자 181편 납치 사건 발생.
  • 1980년 1월, 인민 의회는 바레를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 1982년 바레 반대파의 반정부 무장 투쟁이 표면화되었다.
  • 1988년 소말리아 내전 발발.
  • 1991년 1월, 반정부 세력 소말리아 통일회의(USC)가 수도를 장악하고 바레를 축출했다. (바레 정권 붕괴). 잠정 대통령에 알리 마흐디 무함마드가 취임했다.
  • USC 내부에서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 장군파가 알리 마흐디 잠정 대통령파와 대립하면서, 각 세력의 내부 항쟁으로 남북은 다시 분열되었다.
  • 1991년 6월, 북부의 구 영국령 지역이 「소말릴란드」로서 독립 선언. 바레 전 대통령은 나이지리아 라고스로 망명했다.
  • 1991년 아이디드 장군 세력에 의해 수도에서 쫓겨난 알리 마흐디 임시 대통령이 유엔에 PKO 부대 파병을 요청했다.
  • 1992년 6월, 아이디드 장군이 여러 군벌을 통합하여 (SNA)을 결성했다.
  • 1992년 12월, 유엔 PKO 부대, 다국적군 파병.
  • 1993년 5월, 무력 행사를 승인한 제2차 유엔 소말리아 활동 전개. 아이디드 장군이 유엔에 선전포고했다.
  • 1993년 10월, 모가디슈 전투.
  • 1994년 3월, 미국 소말리아 철군.
  • 1995년 3월, 유엔 PKO 부대 철수. SNA의 아이디드파가 파와 내분.
  • 1995년 12월, 나이지리아로 망명했던 바레 전 대통령이 라고스에서 사망.
  • 1996년 8월, 아이디드 장군 사망.
  • 1998년 7월, 소말리아 북동부 부족이 자치 선언을 하고 갈카요를 수도로 하는 자치 정부인 푼트랜드 공화국을 수립.
  • 2000년 5월, 압디카심 살라흐 하산 임시 정부 수립. 아이디드파와 소말리랜드 등 독립 세력을 배제했기에 내전은 계속되고 국가 분열이 더욱 심화되었다. 이후로 부족, 군벌, 종파 등 다양한 세력이 대립하는 혼란 상태가 지속되었다.
  • 2002년 라한웨인이 베이주바콜주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 바이도아를 수도로 하는 국가 "남서 소말리아"(2002년 - 2006년)로 독립 선언.
  • 2004년 초 히즈브 알-샤밥(알-샤바브의 전신)이 결성되고, 2004년 중반 알-샤바브가 결성되었다.
  • 2006년 6월, 이슬람 법정 회의(ICU)가 수도 모가디슈를 점령했다.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종교 갈등으로 인해 대외 전쟁의 빌미가 되었다.
  • 2006년 12월, 에티오피아군이 침공하여 소말리아를 제압. 임시 정부가 국가 권력을 장악.
  • 2007년 1월, 미군이 에티오피아군 지원을 위해 공습을 감행. 임시 정부는 법정 회의에 대한 승리 선언. 이슬람 법정 회의(ICU)는 케냐 국경 부근으로 도주하고, 국내 잔당과 연계하여 이후 데모와 테러의 근원이 되었다. PKO 재파병이 결정되었으나 아프리카 연합(AU) 중심으로 참가 국가 수와 내용 모두 저조한 결과에 그쳤다.
  • 2008년 8월, 이슬람 법정 세력과의 휴전 협정.
  • 2008년 12월, 압둘라히 유수프 대통령 사임.
  • 2009년 1월, 이슬람 법정 회의의 계보를 잇는 (ARS)의 온건파 지도자인 셰이크 샤리프 셰이크 아흐마드가 대통령으로 선출되고, 오마르 아브디라시드 알리 셜마르케를 총리로 하는 내각을 발족.
  • 2010년 7월 20일 유엔은 소말리아 남서부의 두 지역(셰벨레주 하부, 바코르주)에서 기근이 발생했다고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 2011년 11월, 유엔은 주바 강, 베쿠르 강, 셰벨레 강 하류의 세 지역(베이주, 바코르주, 셰벨레주 하부)에 대한 기근 지역 지정을 해제했다.
  • 2012년 8월, 잠정 헌법을 채택하고 연방 의회를 소집했다. 8월 20일, 잠정 정부의 통치 기간이 예정대로 종료되었다.
  • 2012년 9월, 2012년 소말리아 대통령 선거를 실시하여 온건파인 하산 셰이크 모하무드(Hassan Sheikh Mohamud)가 당선되었다.[377]
  • 2012년 10월, 아브디 파라 쉬르돈(Abdi Farah Shirdon)이 총리에 취임했다.
  • 2012년 11월, 쉬르돈 총리가 각료를 지명하고 새로운 내각이 발족했다.
  • 2013년 4월, 국제통화기금(IMF)이 22년 만에 소말리아 연방 정부를 승인했다. 이로써 IMF의 소말리아 지원의 길이 열렸다.[378]
  • 2017년 2월, 2017년 소말리아 대통령 선거를 통해 모하메드 아브둘라히 모하메드(Mohamed Abdullahi Mohamed)가 대통령에 취임했다. 과격파 알-샤바브(Al-Shabaab) 대책에 주력하게 되었다.[379]
  • 2018년 9월 5일 - 에리트레아 수도 아스마라에서 소말리아,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3개국이 "포괄적 협력 협정"에 서명했다.[380]
  • 2020년 12월 -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은 2021년 1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주둔 미군 700명의 철수를 발표했다.[381]

2. 1. 고대

예로부터 소말리아는 고대 세계의 상업 중심지였다. 고대 이집트, 페니키아, 미케네에서 유향, 몰약, 향신료는 귀중품으로 여겨졌는데, 소말리아의 선원과 상인들은 교역을 통하여 이를 공급하였다.[412][413] 대부분의 학자들은 고대 소말리아 땅에 고대 푼트 왕국이 있었다고 한다.[414][415][416][417] 고대 푼트인들은 파라오 사후레하트셉수트 시대에 이집트와 밀접한 관련을 맺었다. 소말리아에 있는 피라미드 건물, 신전, 돌로 지은 가옥도 이 시대의 것이라고 한다.[418]

라스 게엘 유적지의 신석기 시대 암각화, 긴 뿔을 가진 소 묘사


레크미레의 무덤에 있는 푼트의 사람들이 선물을 나르는 모습


고대 피라미드 구조물, 능묘, 폐허가 된 도시와 워르가아데 성벽과 같은 돌담은 한때 소말리아 반도에서 번영했던 고대 문명의 증거이다.[71][72] 이 문명은 기원전 2천년부터 고대 이집트와 미케네 그리스와 무역 관계를 맺었으며, 소말리아 또는 인접 지역이 고대 푼트의 위치라는 가설을 뒷받침한다.[71][73] 푼트 지역 원주민들은 무역항을 통해 이집트인, 페니키아인, 바빌로니아인, 인도인, 중국인, 로마인과 몰약, 향신료, 금, 흑단, 짧은 뿔 소, 상아, 유향을 거래했다. 18왕조의 여왕 핫셉수트가 푼트로 파견한 이집트 탐험대는 푼트의 왕 파라후와 왕비 아티의 통치 시대에 데이르 엘 바하리의 사원 부조에 기록되어 있다.[71]

고전 시대에는 소말리아인의 조상일 가능성이 있는 마크로비아인들이 강력한 왕국을 건설하여 현대 소말리아의 광대한 지역을 지배했다. 그들은 장수와 부로 유명했으며, "모든 사람 중에서 가장 키가 크고 잘생긴" 사람들이라고 일컬어졌다.[74]

베덴은 빠르고 고대 소말리아의 1개 또는 2개의 돛대를 가진 해상 선박이다.


고전 시대 동안 바바리아의 도시 국가인 모실론, 오포네, 문두스, 이시스, 말라오, 아발리테스, 에시나, 니콘, 사라피온은 수익성 있는 무역 네트워크를 발전시켜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 고대 그리스, 페니키아, 파르티아 페르시아, 사바, 나바테아 왕국, 로마 제국의 상인들과 연결되었다. 그들은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베덴''으로 알려진 고대 소말리아 해상 선박을 사용했다.

나바테아 제국의 로마 정복과 해적을 억제하기 위한 아덴의 로마 해군 주둔 이후, 아랍과 소말리아 상인들은 로마인들과 합의하여 인도 선박이 아라비아 반도의 자유 항구 도시에서 무역하는 것을 금지했다.[77] 이는 홍해와 지중해 사이의 수익성 있는 무역에서 소말리아와 아랍 상인들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다.[78] 그러나 인도 상인들은 로마의 간섭을 받지 않는 소말리아 반도의 항구 도시에서 계속 무역을 했다.[79] 수세기 동안 인도 상인들은 실론과 향신료 제도에서 소말리아와 아라비아로 대량의 계피를 가져왔다. 계피와 다른 향신료의 원산지는 아랍과 소말리아 상인들이 로마와 그리스 세계와의 무역에서 가장 잘 지켜온 비밀이었다고 한다. 로마인과 그리스인들은 그 원산지가 소말리아 반도라고 믿었다.[80] 소말리아와 아랍 상인들 사이의 공모는 북아프리카, 근동, 유럽에서 인도와 중국 계피의 가격을 인상시켰고, 특히 소말리아 상인들에게 계피 무역을 매우 수익성 있는 수입원으로 만들었다.[78]

푼트와 이집트의 교역 기록
시기이집트 왕조왕/여왕푼트에서 헌상된 물품비고
기원전 26세기제4왕조쿠푸황금
기원전 25세기제5왕조사후레몰약, 백단향
기원전 21세기제11왕조멘투호테프 2세-상단 파견
기원전 15세기제18왕조하트셉수트유향, 몰약
기원전 1500년경---향료 산지로 이집트와 주변 국가들에 알려짐
기원전 1070년경제20왕조--이집트 제20왕조 멸망, 푼트와 이집트 교역 중단, 고대 오리엔트 세계와 교류 단절


2. 2. 중세

홍해 건너 아랍에서 이슬람이 발흥하면서 아라비아 반도에 살던 소말리아 상인, 선원, 거류민들은 점차 교역 상대인 아랍인 무슬림을 통하여 새 종교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이슬람 발생 이후 수백 년 동안 이슬람 세계에서 소말리아로 무슬림이 이주하고, 이후 소말리아의 무슬림 학자가 소말리아 사람을 평화적으로 개종시키면서, 고대 도시국가는 이슬람화되어 베르베리(Berberi) 문명의 일부를 이룬 모가디슈, 베르베라, 제일라, 바라와, 메르카가 되었다. 모가디슈 시는 "이슬람의 도시"로 알려지게 되었으며,[420] 수백 년간 동아프리카의 황금 무역을 장악하였다.[421] 중세 시대에 여러 강력한 소말리아 제국들은 지역 교역을 지배하였는데, 수로 공학과 요새 건축이 뛰어났던 아주란 왕국(Ajuuraan State)[422], 아흐메드 구레이(Ahmed Gurey) 장군이 에티오피아 제국을 정복하면서 아프리카에서 처음으로 대포를 쓴 압달 술탄국[423], 소말리아인 술탄 아흐메드 유수프에 공물을 바쳐 라무(Lamu) 시 북쪽 오마니 제국을 군사적으로 지배한 겔레디 술탄국[424] 등이 바로 그러하였다.

겔레디 술탄국의 3번째 술탄이었던 유수프 마하무드 이브라힘은 술탄국의 황금기를 열었다. 그는 지하드를 펼쳐 소말리아 지방을 통합하였고, 해안을 통한 상아 무역을 다시 안전하게 재활성화시켰다. 그는 이웃 오만, 위투, 에멘의 술탄국들에게서도 많은 친선 우호용 선물들을 받으며 국력을 과시하기도 하였다.

이브라힘 술탄의 아들인 아흐메드 유수프는 그의 뒤를 이었고, 19세기 동아프리카에서 가장 주요한 인물들 중 하나로 떠올랐다. 그는 오만에서부터 공물을 받았으며, 동아프리카 해안 지역의 무슬림 가문들과 연합을 맺으며 세력을 강화하였다. 한편 소말리아 북부에서는 예멘과 페르시아 지방과 활발히 무역을 벌이고 있었으며, 바리 왕조의 상인들과 경쟁하였다. 이들은 웅장한 궁전과 요새들을 지었으며, 근동의 여러 제국들과도 밀접하게 우호를 다졌다.

무함마드 압둘라 하산


중국에서 남유럽, 아라비아, 소말리아, 이집트, 페르시아, 인도, 자바로 이어지는 실크로드


초기 메카의 첫 번째 무슬림들이 히즈라(Hegira) 기간 동안 박해를 피해 이 지역으로 들어오면서 이슬람이 전파되었다. 제일라(Zeila)에 있는 마스지드 알 키블라타인(Masjid al-Qiblatayn) 사원은 메카(Mecca)를 향한 키블라(Qibla)가 정해지기 전에 건설된 것으로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 중 하나이다.[81] 9세기 후반, 알야쿠비(Al-Yaqubi)는 소말리아 북부 해안선을 따라 무슬림들이 살고 있었다고 기록했다.[82] 그는 또한 아달 술탄국(Adal Kingdom)의 수도가 그 도시에 있었다고 언급했다.[82][83] 레오 아프리카누스(Leo Africanus)에 따르면, 아달 술탄국(Adal Sultanate)은 현지 소말리아인(Somali) 왕조에 의해 통치되었고, 그 영토는 바브엘만데브(Bab el Mandeb)와 가르다후이 곶(Cape Guardafui) 사이의 지역을 포함했다. 따라서 남쪽으로는 아주란 제국(Ajuran Empire), 서쪽으로는 아비시니아 제국(Abyssinian Empire)과 접해 있었다.[84]

중세 전반에 걸쳐 아랍 이민자들이 소말리아랜드에 도착했는데,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나중에 아브디라만 빈 이스마일 알자바르티(Abdirahman bin Isma'il al-Jabarti)|다로드(Daarood)와 이샤크 빈 아흐메드(Ishaaq bin Ahmed)(각각 다로드(Darod)와 이삭(Isaaq) 씨족의 추정되는 조상)와 같은 무슬림 셰이크(sheikh)에 관한 전설적인 이야기로 이어졌다. 그들은 아라비아(Arabia)에서 소말리아로 여행하여 현지 디르 씨족(Dir (clan))과 결혼했다.[85]

1332년, 제일라(Zeila)를 기반으로 한 아달(Adal)의 왕은 아비시니아 황제 암다 세이온 1세(Amda Seyon I)의 도시 진군을 저지하기 위한 군사 작전에서 살해되었다.[86] 1410년 이파트(Ifat)의 마지막 술탄인 사드 아드딘 2세(Sa'ad ad-Din II)가 제일라(Zeila)에서 황제 다윗 1세(Dawit I of Ethiopia)에게 살해되었을 때, 그의 자녀들은 예멘으로 도망쳤다가 1415년에 돌아왔다.[87] 15세기 초, 아달(Adal)의 수도는 내륙 도시 다카르(Dakkar)로 옮겨졌고, 그곳에서 사드 아드딘 2세(Sa'ad ad-Din II)의 장남인 사브르 아드딘 2세(Sabr ad-Din II)가 예멘에서 돌아온 후 새로운 근거지를 세웠다.[88][89]

아흐마드 이븐 이브라힘 알가지(Ahmad ibn Ibrahim al-Ghazi), 아달 술탄국(Adal Empire)의 이맘(Imam) 동상


다음 세기, 아달(Adal)의 본부는 다시 남쪽의 하라르(Harar)로 이전되었다. 이 새로운 수도에서 아달(Adal)은 이맘 아흐마드 이븐 이브라힘 알가지(Ahmad ibn Ibrahim al-Ghazi)(아흐마드 "구레이"(Gurey) 또는 "그란"(Gran); 둘 다 "왼손잡이"라는 뜻)와 그의 최측근인 최고 장군 가라드 히라부 고이타 테드로스(Garad Hirabu Goita Tedros)|가라드 히라부 "소말리아의 에미르"(Garad Hirabu "Emir Of The Somalis")가 이끄는 효과적인 군대를 조직하여 아비시니아 제국을 침략했다.[89] 이 16세기 전투는 역사적으로 아비시니아-아달 전쟁(Abyssinian–Adal war)|아비시니아 정복(''Futuh al-Habash'')으로 알려져 있다. 전쟁 중 이맘 아흐마드는 오스만 제국에서 공급받은 대포를 사용하여 아비시니아 군대와 크리스토바우 다 가마(Cristóvão da Gama)가 이끄는 포르투갈 동맹군을 공격했다. 그는 제일라(Zeila)를 통해 대포를 수입하여 사용했다.[90]

아주란 술탄국(Ajuran Sultanate) 시대에는 메르카(Merca), 모가디슈(Mogadishu), 바라와(Barawa), 호비오(Hobyo) 도시 국가와 공화국 및 그 항구들이 번영하여 아라비아, 인도, 베네토(Venetia (region)),[91] 페르시아, 이집트, 포르투갈 그리고 중국에 이르기까지 아라비아, 인도, 베네토에서 배들이 오가는 수익성 있는 해외 무역을 했다. 15세기에 모가디슈를 지나간 바스쿠 다 가마(Vasco da Gama)는 그곳이 여러 층짜리 집과 중앙에 큰 궁전들이 있는 큰 도시이고, 원통형 첨탑이 있는 많은 모스크들이 있다고 기록했다.[92] 키가 큰 초기 하미족(Hamitic) 집단인 하르라 사람들(Harla people)은 소말리아, 체르처(Tchertcher) 및 혼(Horn) 지역의 여러 곳에 다양한 토무루스(tumulus)를 세웠다.[93] 이 건축가들은 소말리아 민족의 조상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94]

아주란 술탄국(Ajuran Sultanate)은 명나라(Ming dynasty) 및 기타 왕국과 무역 관계를 유지했다.


16세기에 두아르테 바르보사(Duarte Barbosa)는 오늘날 인도에 있는 캄바야 왕국(Khambhat|Kingdom of Cambaya)의 많은 배들이 천과 향신료를 싣고 모가디슈로 항해하여 금, 밀랍, 상아를 얻었다고 기록했다. 바르보사는 또한 해안 시장에서 고기, 밀, 보리, 말, 과일이 풍부하여 상인들에게 막대한 부를 가져다주었다고 강조했다.[95] 번영하는 직물 산업의 중심지인 모가디슈((''toob benadir''; 이집트 시장 등을 위해 전문화됨[96])는 메르카와 바라와와 함께 스와힐리 사람들(Swahili people)이 몬바사(Mombasa)와 말린디(Malindi)에서 온 상인들과 킬와 술탄국(Kilwa Sultanate)|킬와의 금 무역을 위한 중계 지점 역할을 했다.[97] 호르무즈 해협(Strait of Hormuz)|호르무즈의 유대인(Jewish) 상인들은 인도 직물과 과일을 소말리아 해안으로 가져와 곡물(grain)과 나무와 교환했다.[98]

15세기에 말라카(Malacca)와의 무역 관계가 수립되었고,[99] 직물, 용연향, 도자기가 주요 무역 상품이었다.[100] 기린, 얼룩말, 향은 중국의 명나라(Ming Empire)로 수출되었고, 소말리아 상인들은 동아시아와 혼(Horn) 사이의 무역에서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했다.[101] 포르투갈 인도(Portuguese India)의 봉쇄(그리고 나중에는 오만의 간섭)를 우회하려는 수라트(Surat)의 힌두 상인과 파테 섬(Pate Island)|파테의 동아프리카 상인들은 메르카와 바라와(두 세력의 직접적인 관할권 밖에 있었음)의 소말리아 항구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간섭 없이 무역을 했다.[102]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아라비아 반도 남부에서 유목민인 소말리아인(Somali)들이 이주해왔다. 그들은 일찍부터 아랍인과 페르시아인과 무역을 했다.

2. 3. 근대

19세기 후반, 베를린 회담에서 유럽 열강들이 아프리카 분할을 시작하자, 소말리아인들은 데르비시의 지도자 무함마드 압둘라 하산을 중심으로 식민 지배에 저항했다. 하산은 영국이 종교를 파괴하고 소말리아의 자유를 약탈한다고 비난하며, 소말리아인들의 통합과 독립을 외쳤다. 그는 오스만 제국, 수단 등의 지원을 받아 무기를 확보하고, 군사 운동을 전개하여 영국군을 4번이나 격퇴했다. 그러나 1920년대 영국군의 대대적인 공세로 데르비시 운동은 무너졌고, 소말리아 대부분은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116]

근세 시대에는 아달 술탄국과 아주란 술탄국의 계승 국가들인 히라브 이마마트, 구레드 왕조가 이끄는 이삭 술탄국,[103][104] 아이나셰 왕조가 이끄는 하브르 유니스 술탄국,[21] 겔레디 술탄국(고브룬 왕조), 마제르테인 술탄국(미기우르티니아), 호비오 술탄국(오비아) 등이 번영하며 성 건설과 해상 무역의 전통을 이어갔다. 유수프 마하무드 이브라힘 술탄은 고브룬 왕조의 황금기를 열었고, 그의 아들 아흐메드 유수프는 19세기 동아프리카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었다.

소말릴란드에서는 1750년에 이삭 술탄국이 설립되어 18세기와 19세기 동안 아프리카의 뿔 지역을 통치했다.[103] 구전에 따르면, 구레드 왕조 이전에는 이삭 씨족은 톨제'로 지파의 왕조에 의해 통치되었다고 한다. 마지막 톨제'로 통치자 가라드 두흐 바라르는 이삭 씨족 연합에 의해 폐위되었다.[111][112]

1884년 베를린 회의 이후 영국은 소말리아 일부에 보호령을 선포했고,[113] 1889년에는 이탈리아가 이탈리아 소말리아 보호령을 설립했다.[114] 유수프 알리 케나디드는 1888년 자신의 호비오 술탄국을 이탈리아 보호령으로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다.[115]

호비오 술탄국 기병과 요새


다라위시는 영국 제국을 여러 차례 격퇴했으나,[116] 1920년 영국의 공군에 의해 패배했다.

1920년대 초 파시즘의 시작과 함께 이탈리아는 전략을 바꾸어 북동부 술탄국들을 ''대소말리아''의 경계 내에 강제로 편입시키려 했다. 1923년 체사레 마리아 데 베키 총독이 이탈리아 소말릴란드에 도착하면서 변화가 시작되었다.[115] 이탈리아는 지역 인프라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19] 파시스트 이탈리아는 1935년 에티오피아를 침략했고, 1936년 이탈리아 동아프리카를 통합했다. 1940년 이탈리아군은 영국 소말릴란드를 침공하여 베르베라를 점령했다.

1941년 영국군은 전역을 시작하여 영국 소말릴란드와 이탈리아 점령 에티오피아를 해방시키고 이탈리아 소말리아를 정복했다. 소말릴란드에서 작전을 수행한 영국 제국의 군대는 남아프리카, 서아프리카, 동아프리카 군대의 세 개 사단으로 구성되었으며, 소말리아인들의 지원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 소말리아인의 수는 감소하기 시작했다.[122]

소말리아인들은 원래 여섯 개의 부족으로 나뉘어 살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이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점령하고 오가덴 지역을 잠정 통치하면서 소말리아인 거주 지역이 영국 지배 아래 통일되었다. 그 과정에서 1943년 소말리아 청년 클럽(후에 소말리아 청년 연맹(SYL)으로 개칭)이 결성되었고, 독립 직전에는 이탈리아령에서는 SYL이, 영국령에서도 SYL의 영향을 받은 소말릴란드 민족 연맹(SNL)이 제1당이 되었다.[375]

2. 4. 독립과 소말리아 민주공화국

1960년 7월 1일, 영국령 소말릴란드와 이탈리아령 소말리아가 통합되어 소말리아 공화국이 수립되었다.[131] [132][133] 압둘라히 이사와 무하마드 하지 이브라힘 에갈 등 신탁통치령과 보호령 정부 요인들이 모여 정부를 구성하였고, 압둘카디르 무하마드 아덴이 소말리아 국회의장, 아덴 압둘라 오스만 다르가 대통령으로, 압디라시드 알리 셰르마르케가 총리로 지명되었다. 1961년 7월 20일, 국민투표를 통해 새로운 헌법이 구성되었는데, 이전 소말릴란드 보호령 출신 대다수는 국민 투표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국민 투표에 참여한 소말릴란드인 중 소수만이 1960년에 처음 작성된 새로운 헌법에 반대표를 던졌다.[134][26] 1967년, 셰르마르케의 지명을 받아 무하마드 하지 이브라힘 에갈이 총리가 되었다.

아덴 아데 대통령과 압디라시드 알리 셰르마르케 총리가 1964년 아르바 르쿤 모스크에서 이슬람 명절 기도를 하는 모습


1969년 10월 15일, 셰르마르케 대통령이 경호원에게 암살당했다. 그의 암살 직후 10월 21일에 군부 쿠데타가 일어났고, 군대가 무력 저항 없이 권력을 접수하였다. 이 쿠데타는 당시 군부를 장악하고 있던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장군이 이끌었다.

시아드 바레 장군


시아드 바레 장군은 최고혁명위원회를 발족하여 살라드 가브레예 케디예 대령과 자마 코르셸 경찰청장에게 위원회 운영을 맡겼다. 케디예 대령은 ‘혁명의 아버지’라는 호칭을 공식적으로 얻어내었으며, 최고 통수권자인 바레 장군은 위원장으로 임명되어 권력을 장악하였다. 최고혁명위원회는 국명을 소말리아 민주공화국으로 바꾸었으며, 의회와 대법원을 해산하고 헌법의 효력을 중지시켰다. 혁명위원회는 대규모 공공 프로젝트들을 진행하였고, 도시와 시골 지역들에 문해율을 높이기 위한 작업들을 대거 시행하여 소말리아의 문해율이 상당히 급격하게 높아지기도 하였다. 또한 새 정권은 아랍 세계와의 관계를 대단히 중시하였으며, 이 때문에 1974년에는 아랍 연맹에도 가입하였다. 같은 해에 바레 장군은 아프리카 연합의 전신인 아프리카 통일기구의 수장직을 맡기도 하였다.

1976년 7월, 바레 장군의 최고혁명위원회는 스스로 해산하였고 대신 소말리아 혁명사회당을 만들었다. 소말리아 혁명사회당은 사회주의와 이슬람에 뿌리를 둔 독재 정당으로, 마르크스주의와 이슬람교를 소말리아에 맞게 혼합하여 국가적인 이념으로 삼고자 하였다. 주로 이슬람의 사회 진보, 평등과 정의와 같은 가치들을 중시하였으며 중앙정부가 모든 것에 관여하는 성향을 띠었다. 소말리아 혁명사회당은 개인 투자를 제한적으로만 허용하였으며, 소말리아의 사회 경제체제는 기본적으로 공산주의와 비슷한 느낌을 풍겼다.

1977년 7월에는 바레 정권이 소말리아 남동부 지역에 살고 있는 소말리인들을 끌여들여 대소말리아주의를 강화하기 위하여 공산화된 지 얼마되지 않은 에티오피아의 농업 생산지를 침공한 직후 오가덴 전쟁이 발발하였다. 전쟁 초기에는 소말리아 군대가 오가덴 남부와 중부 지역을 빠르게 장악하였고, 이후에도 에티오피아 군대를 상대로 연이어 승리를 거두었다. 1977년 9월 경에 소말리아는 오가덴 지역의 90%를 장악하였으며 지부티 등으로 향하는 철도선을 가로막겠다고 협박하며 에티오피아를 압박하였다. 그러나 소말리아가 도시 하라르를 점령한 이후, 소련이 갑자기 공산 에티오피아를 돕기 위하여 간섭하였으며 20,000여 명의 쿠바 군대와 소련 전문가를 에티오피아에 파견하였다. 1978년이 되자 소말리아 군대는 오가덴 지방에서 쫓겨났으며, 이 때문에 바레 정권은 소련에 맞서기 위하여 당시 냉전기에 소련의 최고 숙적이었던 미국과 결탁을 노리게 되었다. 바레 정권은 미국과 관계를 공고히 하기 시작하였고, 정권 초기에 소련에서 지원받은 것과 후기에 미국에게 지원받은 것을 더하여 아프리카에서 가장 거대한 군대를 거느리게 되었다.

새로운 헌법이 1979년에 만들어졌고,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바레의 소말리아 혁명사회당이 선거에서 승리하여 통치를 계속하였다. 1980년 10월, 혁명사회당은 해산되었고 다시 최고혁명위원회가 복원되었다.

2. 5. 소말리아 내전과 과도 정부

1969년 10월, 쿠데타로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소장이 실권을 장악하고 국호를 소말리아 민주 공화국으로 변경했다. 대통령 암살 직후 권좌에 오른 시아드 바레 장군은 최고혁명위원회를 발족하여 살라드 가브레예 케디예 대령과 자마 코르셸 경찰청장에게 위원회의 운영을 맡겼다. 케디예 대령은 ‘혁명의 아버지’라는 호칭을 공식적으로 얻었으며, 최고 통수권자인 바레 장군은 위원장으로 임명되어 권력을 장악하였다. 최고혁명위원회는 국명을 소말리아 민주공화국으로 바꾸었으며, 의회와 대법원을 해산하고 헌법의 효력을 중지시켰다.[139][140][141] 혁명위원회는 대규모 공공 프로젝트들을 진행하였고, 도시와 시골 지역들에 문해율을 높이기 위한 작업들을 대거 시행하여 소말리아의 문해율이 상당히 급격하게 높아졌다. 새 정권은 아랍과의 관계를 중시하여 1974년에는 아랍 연맹에 가입하였고,[144] 같은 해 바레 장군은 아프리카 연합의 전신인 아프리카 통일 기구의 수장직을 맡았다.[145]

1976년 7월, 바레 장군의 최고혁명위원회는 해산되고 소말리아 혁명사회당이 만들어졌다. 소말리아 혁명사회당은 사회주의와 이슬람에 뿌리를 둔 독재 정당으로, 마르크스주의와 이슬람교를 소말리아에 맞게 혼합하여 국가적인 이념으로 삼고자 하였다. 주로 이슬람의 사회 진보, 평등과 정의와 같은 가치들을 중시하였으며 중앙정부가 모든 것에 관여하는 성향을 띠었다. 소말리아 혁명사회당은 개인 투자를 제한적으로만 허용하였으며, 소말리아의 사회 경제체제는 공산주의와 비슷했다.[141]

1977년 7월, 바레 정권이 소말리아 남동부 지역에 살고 있는 소말리인들을 끌어들여 대소말리아주의를 강화하기 위해 에티오피아의 농업 생산지를 침공하면서 오가덴 전쟁이 발발하였다. 전쟁 초기 소말리아 군대는 오가덴 남부와 중부 지역을 빠르게 장악하였고, 이후에도 에티오피아 군대를 상대로 연이어 승리했다. 1977년 9월 경 소말리아는 오가덴 지역의 90%를 장악하였으며 지부티 등으로 향하는 철도선을 가로막겠다고 협박하며 에티오피아를 압박하였다. 그러나 소말리아가 도시 하라르를 점령한 이후, 소련이 에티오피아를 돕기 위해 20,000여 명의 쿠바 군대와 소련 전문가를 파견하였다. 1978년 소말리아 군대는 오가덴 지방에서 쫓겨났으며, 바레 정권은 냉전기에 소련의 숙적이었던 미국과 결탁하게 되었다. 바레 정권은 미국과 관계를 공고히 하였고, 정권 초기에 소련에서 지원받은 것과 후기에 미국에게 지원받은 것을 더하여 아프리카에서 가장 거대한 군대를 거느리게 되었다.[147]

1979년 새로운 헌법이 만들어졌고,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바레의 소말리아 혁명사회당이 선거에서 승리하여 통치를 계속하였다.[140] 1980년 10월, 혁명사회당은 해산되었고 다시 최고혁명위원회가 복원되었다.[141] 당시 바레와 혁명사회당은 대중들에게 불신받고 있었고, 군사독재 치하에서 사회분위기가 악화되고 있었기에 분위기를 쇄신할 필요가 있었다.

1980년대 냉전 말기에 소말리아의 전략적 중요성이 줄어들자 정권은 점차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정부는 권위적인 성격을 띠기 시작하였고,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은 반군세력들이 등장하여 전국으로 퍼져나갔다. 이는 소말리아 내전으로 발전하였다. 주 반군 세력들 중에서는 통합소말리의회, 소말리국민운동, 소말리애국운동 등이 있었으며, 그 외에도 소말리민주운동, 소말리민주연합과 같은 비폭력적 정치적 대안 세력들이 급부상하였다.

1990년대 수도 모가디슈에서는 국민들이 공공에서 3~4명 이상 모이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석유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인플레이션이 발생, 당시 주식이었던 파스타 가격이 1kg당 5USD 정도로 급등했다. 케냐에서 들여오는 식물 까트도 가격이 1kg당 5USD 정도로 올랐다. 인플레이션이 심각했기에 액면가치는 거의 무시되었고, 물건을 사기 위해서는 돈다발을 갖고 다녀야 했다. 은행이 더 이상 환전해줄 현금이 부족해지자 도심에 암시장이 횡행하였으며 도시의 밤거리는 무법천지로 변했다. 외국인 방문객들은 군의 보호 하에서만 안전하게 돌아다닐 수 있었다. 외화 유출을 막기 위해 환전 규제가 이루어졌으며, 외국인에 대한 직접적인 규제는 없었으나 빈곤해보이는 장소들에 대한 사진 촬영은 금지되었다. 모가디슈의 낮에는 군인들을 찾아보기 어려웠으나, 저녁이 되고 밤이 되면 반정부 요인들이 자택에서 원인모를 이유로 ‘실종’되기 시작하였다.[155]

1991년 바레 정권은 에티오피아와 리비아의 지원을 받은 반대 세력 연합에 의해 축출되었다. 소말리국민운동과 소말리아 북부 지방의 원로들은 회담 끝에 이전 영국령 소말릴란드에 속했던 북부 지방을 소말리아에서 독립시켜 1991년 5월 소말릴란드를 건국하였다. 소말릴란드는 사실상 독립적인 국가이며, 남부지역보다 경제적으로 형편도 낫고 안정적이나 외국 정부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157][158]



많은 반대파들은 바레 정권이 쫓겨난 이후 권력 공백을 차지하기 위해 권력 다툼을 벌였다. 남부에서는 통합소말리의회의 장군인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와 알리 마흐디 모하메드가 수도 모가디슈의 통제권을 갖기 위해 충돌하였다.[160] 1991년 이웃 국가 지부티에서 소말리아에 대한 국제적 회의가 열렸는데,[161] 아이디드 장군은 첫 회담에서 항의 표시로 참석하지 않았다. 지부티 회담에서 국제 사회는 알리 마흐디 모하메드에게 정통성을 실어주었고, 마흐디 장군은 소말리아의 새 대통령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지부티,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이탈리아 등이 처음부터 공식적으로 인정하였으며 점차 타 국가들도 그를 공식적인 대통령으로 인정하였다. 허나 마흐디 대통령은 모가디슈 이외 지역에는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었고,[162] 소말리아 남부는 여러 파벌로 쪼개졌으며 북부는 수많은 자치구로 나뉘었다. 지부티 회담 이후 2개의 합의문이 발표되며 소말리아의 안정을 되찾으려 노력하였다. 15명의 파벌 대표들이 서명하였으며, 사회 복구를 위해 비공식적인 회담을 지속적으로 열 것에 합의하였고 1993년 아디스아바바 합의문이 발표되었다. 1990년대 초, 중앙정부의 부재로 국가 체제가 나락으로 빠져들자 소말리아는 ‘실패 국가’의 상징처럼 비춰지기 시작하였다.[163][164][165]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733호와 746호에서 국제사회는 소말리아에 안정을 되찾고 인도적 구호를 펼치기 위해 평화유지 작전인 UNOSOM I를 시행하였다. 1992년 12월 3일 통과된 결의안 794호에는 소련 붕괴 직후 미국 주도 하에 다국적군 결성이 합의되었고, UNITAF가 결성되었다. UNITAF의 주 임무는 인도적 지원들이 충분히 이행되어 안정이 되돌아올 때까지 임시적으로 치안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1993년부터 실시된 UNOSOM II 작전은 2년을 계획으로 주로 남부 지역에서 진행되었다. UNITAF의 목적은 인도적 지원들이 유엔 헌장에 의거하여 시민들에게 안전하게 당도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고, 대체적으로 성공적으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아이디드 장군은 UNOSOM II를 자신의 권력에 대한 위협으로 보았고, 1993년 6월에는 다국적군에 속해있던 파키스탄 군대를 공격하였다. 이때 수도 모가디슈에서 80명이 넘는 사상자가 났으며, 19명의 미군과 1,000여 명의 민간인과 군인들이 1993년 모가디슈 전투에서 사망하였다. 국제사회는 아이디드 장군을 비판하였으며, 이전 유엔 사무총장인 부트로스 부트로스갈리와 아흐메두 올루드 압달라 UN 소말리아 특별대사도 이를 ‘대학살’이라 표현하며 비판하였다.

유엔, 아프리카 연합, 아랍 연맹, IGAD 등은 여러 국제 회담을 열어 소말리아의 상황을 진정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1997년 에티오피아의 국제 구호 회의, 1997년 카이로 평화회의, 2000년 소말리아 국가평화회의, 2002년 케냐 소말리아 복구 회의, 2003년 나이로비 국가 복구회의 등의 노력을 걸쳐 소말리아의 평화를 되찾으려 했다. 이즈음 소말리아에서는 임시 연방정부가 세워졌고, 2007년에는 수도 모가디슈에서 국가재건회의가 열렸다.

내전으로 수많은 국민들이 보호 시설을 찾아 전국을 떠돌았다. UNHCR에 의하면 2016년에 인접 국가에만 총 975,951명의 피난민들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추가적으로 110만 명의 사람들이 난민으로 전락했다. 대부분의 난민들은 반투족이나 남부 지방에 살던 소수민족들이었다. 게다가 60%에 달하는 난민들은 모두 어린이들이었다. 난민들은 주로 폭력, 전쟁, 장기적인 가뭄, 자연재해 등을 피해 도망쳐 왔다. 난민 캠프는 주로 소말리아 중남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북부 푼트랜드, 소말릴란드 지역에 많다. 추가적으로 소말리아는 현재 9,356명의 등록된 난민들과 11,157명의 구호 예비자들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혼란과 죽음을 피해 외국으로 달아나지만, 몇몇 소수의 사람들은 폐허 속에서 사업 기회를 노리거나 재건 작업에 참여하기 위해 모가디슈와 같은 대도시들로 돌아오기도 한다.

중앙정부의 부재는 소말리아의 인도양 해안에서 소말리아의 해적들이 판치게 하는 결과를 불러일으켰다. 본디 토착 어부들이 외국인들이 자신의 어장에 함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자경대에서 출발하였으나, 점차 변질되어 외국 상선들까지 함부로 공격하는 불법 조직으로 전락한 것이다. 2008년 8월 아덴만에 연합태스크포스 150이 해안가를 순찰하며 해적들을 소탕하고 있으며, 많은 선주들은 스스로 경호대를 고용하고 있다. 이같은 조치는 효과가 있어 2012년 10월 경에는 2011년 3분기에만 36척의 배가 공격당한 것에 비해 3분기에 오직 1척만 공격을 받았다.

아브디카심 살라드 하산 초대 대통령


2000년 4월 소말리아에서 과도국민정부가 설립되었으며 아브디카심 살라드 하산이 임시 대통령이 되었다. 허나 과도 정부 내에서도 파벌간, 이념간 갈등이 극심하였고, 총리가 3년만에 4번이나 바뀌었으며 2003년 12월에는 파산을 신고하였다. 이후 과도국민정부가 해산되고 과도연방정부가 수립되었다.

2004년 10월 10일 의원들은 압둘라이 유슈프 아흐메드를 첫 연방정부의 대통령으로 선출하였다. 과도연방정부는 바레 정권이 무너진 이후 2번째로 세워진, 범국제적으로 인정을 받고 어느 정도 힘이 있는 전국가적 통치 기구였다. 과도연방정부는 2012년 8월 20일까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유일한 합법 정부였다.[44] 과도연방정부는 과도연방기구의 일환으로 설립되었으며, 2004년 11월에는 과도 연방의회를 만들었다. 과도연방정부가 정부의 행정부를 이루었고, 과도연방의회가 입법부 역할을 맡았다. 소말리아의 대통령이 최고 수반이었으며, 총리가 이끄는 내각의 보좌를 받았다. 다만 연방정부라는 단어는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모두를 통틀어 말하기도 한다.

2. 6. 이슬람 법정 연합과 연립 정부

세력이 최고조에 달했을 당시 이슬람 법원 연합의 영역


2006년, 이슬람 법원 연합(ICU)은 소말리아 남부 대부분 지역을 장악하고 샤리아 법을 시행했다. 유엔 고위 관계자들은 이 시기를 소말리아 정치사의 '황금기'라고 언급했다.[170][171]

과도연방정부(TFG)는 에티오피아군, 아프리카 연합 평화유지군, 미국의 지원을 받아 이슬람 법원 연합(ICU)을 몰아내고 통치를 공고히 했다.[172] 2007년 1월 8일,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 TFG 대통령은 에티오피아군의 지원을 받아 모가디슈에 입성했다. 이후 정부는 임시 거처였던 바이도아에서 수도의 빌라 소말리아로 이전했다. 이는 1991년 시아드 바레 정권 붕괴 이후 처음으로 연방 정부가 국가 대부분을 통제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173]

2006년 6월, 이슬람 법정 회의(ICU)는 모가디슈를 점령하며 종교 갈등으로 인한 대외 전쟁의 빌미를 제공했다. 같은 해 12월, 에티오피아군이 침공하여 소말리아를 제압하고 임시 정부가 국가 권력을 장악했다.

2007년 1월, 미군은 에티오피아군 지원을 위해 공습을 감행했고, 임시 정부는 법정 회의에 대한 승리를 선언했다. 이슬람 법정 회의(ICU)는 케냐 국경 부근으로 도주, 국내 잔당과 연계하여 테러의 근원이 되었다. 아프리카 연합(AU) 중심의 PKO 재파병이 결정되었으나 참가 국가 수와 내용 모두 저조했다.

2008년 8월, 이슬람 법정 세력과의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고, 12월에는 압둘라히 유수프 대통령이 사임했다.

2009년 1월, 이슬람 법정 회의의 계보를 잇는 ARS의 온건파 지도자 셰이크 샤리프 셰이크 아흐마드가 대통령으로 선출되고, 오마르 아브디라시드 알리 셜마르케를 총리로 하는 내각이 발족되었다.

2. 7. 연방 정부 수립 이후

알-샤바브는 에티오피아군의 소말리아 주둔에 반대하며 과도연합정부에 대한 반란을 계속했다. 2007년과 2008년 내내 알-샤바브는 군사적 승리를 거두며 소말리아 중부와 남부의 주요 도시와 항구를 장악했다. 2009년 1월까지 알-샤바브와 다른 민병대는 에티오피아군의 철수를 강요했고, 장비가 부족한 아프리카 연합 평화유지군이 과도연합정부군을 지원하게 남았다.[174]

2008년 12월 29일, 유수프는 바이도아에서 열린 연합 의회 앞에서 소말리아 대통령직에서 사임한다고 발표했다. 그는 17년간의 내전 종식에 실패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177] 그는 또한 정부를 지원하지 못한 국제 사회를 비난했고, 과도연합정부 헌장에 따라 의회 의장이 그의 뒤를 이을 것이라고 말했다.[178]

2008년 5월 31일부터 6월 9일까지, 소말리아 연방 정부와 소말리아 재해방 연합(ARS) 대표들은 지부티 평화 회담에 참여했다. 이 회의는 무장 충돌 중단 대신 에티오피아군 철수를 촉구하는 협정 체결로 끝났다. 이후 의회는 ARS 구성원을 수용하기 위해 550석으로 확대되었고, 셰이크 샤리프 셰이크 아흐메드를 대통령으로 선출했다.[1]

소말리아 중앙 정부, 소말릴란드 및 기타 행위자들의 상대적 통제력을 보여주는 SVG 지도
2023년 12월 기준 소말리아의 정치 및 군사 상황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는 소규모 아프리카 연합군의 도움을 받아 2009년 2월, 국가 남부 지역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확보하기 위한 반격을 시작했다. TFG는 통치를 공고히 하기 위해 이슬람 법정 연합, 소말리아 재해방 연합의 다른 구성원들, 그리고 온건한 수피 민병대인 아흘루 순나 왈자마아와 동맹을 맺었다.[179] 또한 주요 반대파 이슬람주의 무장 단체인 알-샤바브와 히즈불 이슬람은 2009년 중반부터 서로 싸우기 시작했다.[180] 휴전 조치로 2009년 3월, TFG는 샤리아를 국가의 공식 사법 제도로 재실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81] 그러나 국가 남부와 중부 지역에서는 계속해서 충돌이 발생했다. 몇 달 만에 TFG는 소말리아 남중부 분쟁 지역의 약 70%를 장악했던 것에서 이슬람 반군에게 분쟁 지역의 80% 이상을 잃었다.[173]

2011년 10월, 소말리아와 케냐 군대, 다국적군이 공동으로 소말리아 남부의 알-샤바브에 대한 작전인 린다 엔치 작전을 시작했다.[182][183] 2012년 9월까지 소말리아, 케냐, 라스캄보니군은 알-샤바브의 마지막 주요 거점인 남부 항구 도시 키스마요를 점령했다.[184] 2012년 7월, 소말리아와 관련된 세 가지 유럽 연합 작전 (EUTM 소말리아, 아탈란타 작전, EUCAP 네스토르)이 시작되었다.[185]

소말리아 연방 의회의 구조


"전환 종료 로드맵"의 일환으로, 과도 연방 정부의 임시 권한은 2012년 8월 20일에 종료되었다.[36] 동시에 소말리아 연방 의회가 개원했다.[44]

소말리아 연방 정부는 내전 시작 이후 최초의 상설 중앙 정부로서 2012년 8월에 수립되었다. 2014년 8월에는 소말리아 정부가 주도하는 인도양 작전이 반군이 장악한 시골 지역을 상대로 시작되었다.[186]

3. 지리

소말리아는 아프리카 대륙의 가장 동쪽 끝, '아프리카의 뿔'이라 불리는 곳에 위치한다. 국토 대부분은 고원이며, 기후는 아시아 대륙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주요 하천으로는 시벨리강과 주바강이 있고, 소말리아 반도를 구성한다. 에티오피아, 지부티, 케냐와 국경을 접하며, 북쪽과 동쪽은 인도양에 면해 있다.

소말리아는 북서쪽으로 지부티, 서쪽으로 에티오피아, 북쪽으로 아덴만, 동쪽으로 소말리아 해와 가르다후이 해협, 남서쪽으로 케냐와 접한다. 면적은 637657km2이며, 지형은 주로 고원, 평원, 고지대로 구성된다.[187] 소말리아의 해안선은 3333km로 아프리카 본토 국가 중 가장 길다.[14]

극북부에는 아덴만 해안에서 다양한 거리에 걸쳐 오고 산맥의 험준한 동서 방향 산맥이 뻗어 있다. 일 년 내내 더운 기온이 유지되며, 계절풍과 불규칙적인 강우가 주기적으로 발생한다.[189] 지질 조사 결과, 귀중한 광물 매장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말리아는 소말리아 해를 사이에 두고 세이셸과 분리되어 있으며, 가르다후이 해협을 통해 소코트라와 분리된다.

바브엘만데브 해협을 통해 홍해수에즈 운하로 가는 길목에 전략적으로 위치한 소말리아는 남서쪽으로 케냐, 북쪽으로 아덴만, 동쪽으로 가르다후이 해협과 인도양, 서쪽으로 에티오피아와 접하며, 지부티와도 국경을 맞대고 있다. 위도는 남위 2°에서 북위 12°, 경도는 동경 41°에서 동경 52° 사이에 위치한다.

소말리아 해안에는 바주니 제도(Bajuni Islands)와 사아드 아드딘 제도(Saad ad-Din Archipelago) 등 여러 섬과 군도가 있다.

주바 강과 셰벨레 강은 소말리아의 유이한 영구 하천으로, 두 강 모두 에티오피아 고지대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른다. 주바 강은 키스마요에서 인도양으로 합류하고, 셰벨레 강은 한때 메르카 근처에서 바다로 흘러들어갔으나 현재는 모가디슈 남서쪽 지점에 도달한 후 늪지대와 건조 지대를 지나 질리브 동쪽 사막 지대에서 주바 강 부근에서 사라진다.[196]

주바 강(Jubba River)


북부에는 구반이라 불리는 관목으로 뒤덮인 반사막 평원이 아덴만 연안과 평행하게 뻗어 있다. 폭은 서쪽 12km, 동쪽 2km 정도이며, 우기가 아닐 때는 건조한 모래 바닥인 수로들로 양분된다. 비가 내리면 구반의 낮은 관목과 풀 덩어리는 무성한 초목으로 변한다.[196] 이 연안 지대는 에티오피아 건조 초원 및 관목지 생태지역의 일부이다.

칼 마도우는 소말리아 북동부의 산맥으로, 보사소 서쪽 수 킬로미터 지점에서 에리가보 북서쪽까지 뻗어 있다. 소말리아 최고봉인 심비리스 (해발 약 )가 이 산맥에 위치한다.[1] 험준한 동서 방향의 카르카르 산맥도 아덴만 연안 내륙에 자리한다.[196] 중부 지역에서는 소말리아 북부 산맥들이 얕은 고원과 현지에서 '오고'라고 불리는, 대체로 건조한 수로로 이어진다. 오고의 서쪽 고원은 중요한 가축 방목지인 하우드로 점차 이어진다.[196]

소말리아는 경작 가능 면적이 약 1.6%에 불과한 반건조 기후 국가이다.[1]

4. 기후

소말리아는 적도와 가까워 계절 변화가 크지 않다. 연중 고온이며, 계절풍과 불규칙적인 강우가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동쪽 해안의 고지대를 제외하고는 일일 최고 기온 평균이 30°C 에서 40°C 범위이다. 동쪽 해안의 고지대에서는 차가운 해류의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모가디슈의 경우 4월 오후 평균 최고 기온은 에서 이다. 소말리아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연평균 기온 중 일부가 기록되었으며, 북서부 해안의 베르베라(Berbera)는 6월부터 9월까지 오후 최고 기온 평균이 38°C을 넘는다. 전국적으로 일일 최저 기온 평균은 보통 15°C 에서 30°C 정도이다.[196] 기후 변화가 가장 큰 지역은 소말리아 북부로, 7월에는 해안 평야에서 기온이 때때로 45°C을 넘고, 12월에는 고지대에서 영하로 떨어지기도 한다.[189][196] 이 지역의 상대 습도는 오후 중반에는 약 40%, 밤에는 85%이며, 계절에 따라 다소 변한다.[196] 이 위도에 있는 다른 대부분의 국가들과 달리, 소말리아의 기후는 북동부와 중부 지역은 건조하고, 북서부와 남부는 반건조 기후이다. 북동부의 연 강수량은 약 10.16cm 미만이고, 중앙 고원 지대는 약 20.32cm 에서 약 30.48cm 정도이다. 그러나 북서부와 남서부 지역은 훨씬 많은 비가 내려 연평균 약 50.80cm 에서 약 60.96cm 정도이다. 해안 지역은 연중 고온 다습하지만, 내륙 지역은 일반적으로 건조하고 덥다.[196]

목축과 농업 생활의 중심이 되는 네 가지 주요 계절이 있으며, 이는 바람 패턴의 변화에 따라 결정된다. 12월부터 3월까지는 일 년 중 가장 혹독한 건기인 ''Jilal''이다. ''Gu''라고 불리는 주요 우기는 4월부터 6월까지 지속된다. 이 기간은 남서 계절풍이 특징이며, 특히 중앙 고원의 목초지를 되살리고, 사막을 잠시 무성한 초목으로 변화시킨다. 7월부터 9월까지는 두 번째 건기인 ''Xagaa''( "Hagaa"로 발음)이다. 가장 짧은 우기인 ''Dayr''은 10월부터 12월까지 지속된다.[196] 두 계절풍 사이에 있는 ''tangambili'' 기간(10월~11월과 3월~5월)은 덥고 습하다.[196]

5. 정치

소말리아는 의원내각제 대의민주주의 공화국이다. 소말리아 대통령은 국가원수이자 소말리아 군의 최고 사령관이며, 총리를 임명하여 정부 수반으로 임명한다.[210]

소말리아 연방 의회는 소말리아의 국회이다. 양원제인 국회는 하원인 대표원과 상원인 상원으로 구성되며, 의원들은 4년 임기를 수행한다. 국회는 대통령, 의장, 부의장을 선출한다. 또한 법률을 통과시키고 거부할 권한도 있다.[211]

샤리프 하산 셰이크 아덴, 전 국회의장


소말리아 사법부는 소말리아 연방 공화국 잠정 헌법에 의해 규정된다. 2012년 8월 1일 모가디슈의 전국 헌법 회의에서 채택되었으며,[212][213] 이 문서는 변호사이자 연방 의회 의장인 모하메드 오스만 자와리가 의장을 맡은 전문가 위원회가 작성했다.[214] 이는 연방 공화국의 존재에 대한 법적 토대이자 법적 권한의 근원이다.[215]

국가 법원 체계는 헌법재판소, 연방 정부 수준 법원 및 주 수준 법원의 세 계층으로 구성된다. 9명으로 구성된 사법 서비스 위원회는 사법부의 연방 수준 구성원을 임명한다. 또한 헌법재판소 판사 후보를 선출하여 대표원의 승인을 얻기 위해 제출한다. 승인되면 대통령은 후보를 헌법재판소 판사로 임명한다. 5명으로 구성된 헌법재판소는 헌법에 관한 문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방 및 하위 국가 문제를 심리한다.[215]

소말리아 법은 민법, 이슬람법, 관습법의 세 가지 체계가 혼합되어 있다.[216]

2012년 8월 20일 소말리아는 과도 정부 체제를 끝내고 공식적인 헌법과 의회 제도를 도입하여 '''소말리아 연방 공화국'''으로 출범하였고, 9월 10일 하산 셰흐 마하무드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9월 16일 공식 취임하였다.

2023년 V-Dem 민주주의 지수에 따르면 소말리아는 아프리카에서 5번째로 민주주의가 부족한 국가이다.[217]

1991년 소말리아 붕괴 이후, 자신을 국가라고 선포한 소말릴란드 정부와 소말리아 정부 사이에는 어떠한 관계나 접촉도 없었다.[218][219]

6. 외교

소말리아는 전통적으로 아랍 세계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어왔으며, 1974년 아랍 연맹의 회원국이 되었다. 아프리카 연합 창립에 동참하여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를 추구하였고,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에 맞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프리카 민족회의를 지지하였다.[409] 에리트레아 독립 전쟁 당시 에티오피아로부터 독립하려는 에리트레아 분리주의자들을 지원하였다.[410] 이슬람 회의 기구의 창립국이자, 유엔비동맹 운동에도 가입하였다.

소말리아 내전과 불안정한 상황 속에서도 자유 시장 경제를 유지하려 노력했으며, 유엔은 소말리아가 아프리카의 다른 국가들보다 시장 자유화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했다.[411] 그러나 현재 소말리아는 소말리아 내전으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국가" 중 하나로 분류되며, 대한민국을 비롯한 대부분 국가에서 시리아, 아프가니스탄, 예멘, 이라크, 리비아와 함께 여행 금지국으로 지정되어 있다(2021년 7월 31일까지).

소말리아의 외교 관계는 대통령이 주도하고, 외교부가 보좌한다.[215] 헌법 54조에 따르면, 외교, 국방, 시민권, 이민, 통화 정책은 중앙 정부가 담당하며, 주 정부는 관여할 수 없다. 다만 헌법 53조는 연방 정부가 국제 협약을 체결할 때 주 정부와 협의해야 한다고 규정한다.[215]

소말리아는 지부티, 에티오피아, 이집트, 아랍에미리트, 예멘, 터키, 이탈리아, 영국, 덴마크, 프랑스, 미국,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러시아, 대한민국 등과 양자 관계를 맺고 있다.

소말리아 모가디슈에 있는 아덴 압둘레 국제공항의 새로운 터미널을 개장하는 소말리아의 하산 셰이크 모하무드 대통령과 터키의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 (2015년 1월 25일)


소말리아는 해외에 여러 외교 공관을 두고 있으며, 수도 모가디슈 등에는 외국 대사관과 영사관이 설치되어 있다.

국제 연합, 아프리카 연합, 아랍 연맹 등 국제기구의 회원국이며, 1969년 이슬람 협력 기구 창립 회원국이었다.[220] 아프리카 개발 은행, 동아프리카 공동체, 77개국 그룹, 정부 간 개발 기구, 국제 부흥 개발 은행, 국제 민간 항공 기구, 국제 개발 협회, 국제 금융 공사, 비동맹 운동, 세계 무역 연맹, 세계 기상 기구 등에도 가입했다.

아덴 만은 소말리아 해적 문제로 선박 항해가 위험한 해역이다. 국제상업회의소(ICC) 국제해사기구(IMB)에 따르면, 2001년부터 인도양에서 해적 공격이 보고되기 시작하여 2005년에 급증했고, 소말리아 해적은 아덴 만을 포함한 소말리아 주변 해역을 위험하게 만들고 있다.

6. 1. 대북한 관계

1967년 4월 13일 소말리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수교했는데,[425] 이는 대한민국과 수교한 시점보다 20년 앞선 것이다.[426] 같은 해 11월 23일 북한은 소말리아에 상주 대사관을 개설하였다.[425]

김일성1970년대 초부터 소말리아를 '아프리카 자력갱생의 본보기'로 만들겠다며 상당한 경제·군사적 지원을 했다. 북한식 제도를 받아들여 발전을 꾀함으로써 북한 체제의 우수성을 보여주겠다는 의도였다. 북한의 혁명 이론에 따르면 타도 대상인 지주 계층을 도우면서까지 소말리아의 농업 발전을 지원했다.[426]

그러나 소말리아는 빈곤과 분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어느 날 북한이 소말리아에 지어준 성냥 공장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는 보고를 받은 김일성은 "허리띠를 졸라매고 도와주는데 바레 그 놈이 무식하다"며 욕을 했다고 한다.[426]

1970년대 중반, 소말리아와 적대 관계였던 에티오피아에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섰고, 북한이 에티오피아와 밀착하면서 소말리아와의 관계는 소원해졌다. 소말리아는 에티오피아와의 전쟁에서 패배한 뒤 공산권에서 점차 소외되었고, 서구권으로 눈을 돌리던 중 대한민국과 수교하게 되었다.[426]

1991년 1월 북한은 소말리아 주재 대사관을 폐쇄하였고, 이후 주에티오피아 대사관이 겸임하고 있다.[425]

7. 군사

소말리아 국방군(SAF)은 소말리아 연방 공화국의 군대이다.[221] 대통령이 최고사령관으로서 이끄는 소말리아 국방군은 헌법에 따라 국가의 주권, 독립 및 영토 보전을 보장할 책임을 맡고 있다.[215]

소말리아 국방군은 초기에는 육군, 해군, 공군, 경찰 및 국가안보국으로 구성되었다.[222] 독립 이후 소말리아 국방군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큰 군대 중 하나로 성장했으나,[147] 1991년 내전이 발발하면서 해체되었다.[223]

2004년 과도연방정부(TFG)가 수립되면서 군대 재건 과정이 점진적으로 시작되었다. 소말리아 국방군은 현재 2012년 중반에 설립된 소말리아 연방 정부의 국방부의 감독을 받고 있다. 2013년 1월 소말리아 연방 정부는 모가디슈에 국가 정보 기관을 재개설하고, 이 기관의 이름을 국가정보안보국(NISA)으로 변경했다.[224] 소말릴란드와 푼트랜드 지역 정부는 자체 보안 및 경찰력을 유지하고 있다.

과도 정부의 총 병력은 5,000명이며, 2002년 국방 예산은 1500만달러였다. 국내 무장 세력들이 각각 병력을 보유하고 있다.

과거 소말리아는 MiG-15와 MiG-17을 각각 20대 이상, MiG-21 8대, 호커 헌터 8대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내전으로 붕괴되었다. 2012년 소말리아 과도정부가 이탈리아의 지원으로 국방군 산하에 공군을 창설했다. An-24 2대가 내전의 영향으로 조모 케냐타 국제공항에 방치되어 있다.

8. 경제

CIA과 소말리아 중앙은행에 따르면, 소말리아는 내전에도 불구하고 주로 가축, 송금 및 통신을 기반으로 한 건강한 비공식 경제를 유지해 왔다.[1][49] 공식 정부 통계 부족과 최근의 내전으로 인해 경제 규모나 성장률을 정확히 측정하기는 어렵다. 1994년 CIA는 GDP를 33억 달러로 추산했고,[227] 2001년에는 41억 달러로 추산했다.[228] 2009년 CIA는 GDP가 57억 3,100만 달러로 성장했고, 예상 실질 성장률은 2.6%였다고 추산했다.[1] 2007년 영국 상공회의소 보고서에 따르면, 특히 서비스 부문에서 민간 부문도 성장했다. 내전 이전에는 대부분의 서비스와 산업 부문이 정부 운영이었지만, 소말리아 디아스포라에 의해 자금 조달된 상당한 민간 투자가 이루어졌다. 여기에는 무역 및 마케팅, 송금 서비스, 운송, 통신, 어업 장비, 항공, 통신, 교육, 보건, 건설 및 호텔 등이 포함된다.[229]

소말리아 중앙은행에 따르면, 2012년 기준 1인당 GDP는 226달러로 1990년보다 약간 감소했다. 인구의 약 43%가 하루 1달러 미만으로 생활하고 있으며, 그중 약 24%는 도시 지역, 54%는 농촌 지역에 거주한다.[49]

소말리아 경제는 전통적 생산과 현대적 생산으로 구성되며, 점차 현대적 산업 기술로 전환되고 있다. 소말리아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낙타 개체수를 보유하고 있다. 소말리아 중앙은행에 따르면, 인구의 약 80%는 유목민 또는 반유목민 목축민이며, 염소, 양, 낙타 및 소를 사육한다. 유목민들은 또한 소득을 보충하기 위해 수지와 고무를 채취한다.[49]

보사소 항구


농업은 소말리아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부문으로, GDP의 약 65%를 차지하고 노동력의 65%를 고용하고 있다.[229] 가축은 GDP의 약 40%, 수출액의 50% 이상을 차지한다.[1] 주요 수출품으로는 어류, , 바나나가 있으며, 설탕, 수수, 옥수수는 국내 시장용 제품이다.[1] 소말리아 중앙은행에 따르면 상품 수입은 연간 약 4.6억달러에 달하며, 1991년 내전 시작 전의 총 수입을 넘어섰다. 연간 약 2.7억달러에 달하는 수출도 전쟁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소말리아는 연간 약 1.9억달러의 무역 적자를 기록하지만, 이는 소말리아 해외 거주민이 송금하는 약 10억달러의 송금액으로 상쇄된다.[49]

아라비아 반도 근처에 위치한 이점을 바탕으로 소말리아 상인들은 걸프 아랍 국가의 가축 및 육류 시장에서 전통적으로 우위를 점해 온 오스트레일리아에 도전하기 시작하여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고품질의 동물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걸프 아랍 국가들은 소말리아에 전략적 투자를 시작했으며, 사우디아라비아는 가축 수출 인프라를 구축하고 아랍에미리트는 대규모 농지를 매입했다.[230] 소말리아는 또한 세계적으로 중요한 유향몰약 공급국이기도 하다.[231]

베르베라 항구


농산물 가공을 기반으로 하는 소규모 산업 부문은 소말리아 GDP의 10%를 차지한다.[1] 1991년 내전 발발 전에는 약 53개의 국영 중소형 제조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그 후의 분쟁으로 인해 남은 산업들도 많이 파괴되었다. 그러나 주로 소말리아 해외 거주민들의 투자로 인해 이러한 소규모 공장의 상당수가 재개장했고 새로운 공장들이 건설되었다. 2004년에는 소말리아 여러 지역의 투자자들이 투자한 830.0000000000001만달러 규모의 코카콜라 병입 공장도 문을 열었다.[235] 외국인 직접 투자에는 제너럴 모터스돌 프루트를 포함한 다국적 기업도 포함되었다.[236]

2022년 소말리아 1온스 은화 표범(100실링)


소말리아 중앙은행은 소말리아의 공식적인 통화 당국이다.[49] 재정 관리 측면에서, 중앙은행은 통화 정책 수립 및 시행을 담당한다.[237] 현지 통화에 대한 신뢰 부족으로 인해, 미 달러는 소말리아 실링과 함께 교환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달러화에도 불구하고, 소말리아 실링의 대량 발행은 특히 저가 거래에서 물가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다. 중앙은행에 따르면, 이러한 인플레이션 환경은 중앙은행이 통화 정책을 완전히 통제하고 현재 민간 부문에서 유통되는 통화를 대체하면 해결될 것이다.[237]

1991년 내전 발발과 2009년 소말리아 중앙은행 재건 사이 15년 이상 소말리아에는 중앙 통화 당국이 없었지만, 비공식적인 은행 네트워크 역할을 한 사설 송금업체(MTO)가 광범위하게 존재하여 국가의 지급 시스템은 상당히 발전되어 있었다.[238] 이러한 송금 회사(''하왈라'')는 소말리아에서 큰 산업이 되었으며, 해외에 있는 소말리아인들이 송금 회사를 통해 매년 약 16억달러를 송금한다.[1] 소말리아 MTO 중 가장 큰 회사는 다하브실로, 런던두바이에 지사를 두고 144개국에서 2,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240]

500 소말리아 실링 지폐


지역 안보가 크게 개선됨에 따라 소말리아 해외 거주자들이 투자 기회를 위해 본국으로 돌아오기 시작했다. 외국인 투자와 결합된 자금 유입은 소말리아 실링의 가치 상승에 기여했다. 2014년 3월까지, 이 통화는 전년 대비 미 달러에 대해 거의 60%나 평가절상되었다. 소말리아 실링은 블룸버그가 거래하는 175개의 글로벌 통화 중 가장 강세를 보였다.[241]

소말리아 증권거래소(SSE)는 소말리아의 국가 거래소이다. 소말리아의 재건 과정을 가속화하기 위해 소말리아 소유 회사와 글로벌 회사 모두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2012년에 설립되었다.[242]

세계은행은 현재 전력 공급이 상당 부분 지역 기업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보고하고 있다.[229] 이러한 국내 기업 중에는 전력 생산, 송전 및 배전을 담당하는 소말리아 에너지 회사(Somali Energy Company)가 있다.[243] CIA에 따르면 2010년 소말리아는 3억 1천만 kWh를 생산하고 2억 8830만 kWh를 소비하여 각각 170위와 177위를 기록했다.[1]

푼트랜드의 석유 블록


소말리아는 우라늄, 철광석, 주석, 석고, 보크사이트, 구리, 소금천연가스를 포함한 여러 가지 천연자원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CIA는 확인된 천연가스 매장량이 56억 6300만 세제곱미터라고 보고한다.[1] 소말리아의 확인된 원유 매장량의 존재 여부 또는 규모는 불확실하다. CIA는 2011년 기준으로 소말리아에는 확인된 원유 매장량이 없다고 주장하는 반면,[1] UNCTAD는 소말리아의 대부분의 확인된 원유 매장량이 북서부 해안의 솔말란드 지역에 있다고 시사한다.[244] 시드니에 상장된 석유 회사인 레인지 리소시스(Range Resources)는 북동부 푼트랜드 지역이 50억에서 100억 배럴의 원유 생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추정한다.[245] 이는 수단의 확인된 원유 매장량 과 비교된다.[246] 이러한 발전의 결과로 소말리아 석유 공사(Somalia Petroleum Corporation)가 연방 정부에 의해 설립되었다.[247]

1960년대 후반, UN 지질학자들은 소말리아에서 주요 우라늄 매장량과 기타 희귀 광물 매장량을 발견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매장량이 당시 알려진 세계 우라늄 매장량 80만 톤의 25%를 넘을 수 있다고 추산했다.[248] 소말리아는 미국, UAE, 이탈리아, 브라질 광산 회사들이 채굴 권리를 두고 경쟁하면서 주요 세계 우라늄 공급국으로 성장했다.

초국적 산업 전력 및 가스 회사(Trans-National Industrial Electricity and Gas Company)는 모가디슈에 본사를 둔 에너지 기업이다. 2010년 이스탄불에서 체결된 공동 합의에 따라 소말리아의 전력 및 가스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해 무역, 금융, 보안통신 부문의 5개 주요 소말리아 회사를 통합했다. 10억달러의 초기 투자 예산으로 이 회사는 지역 산업화 이니셔티브를 촉진하기 위한 노동 집약적인 에너지 프로그램인 소말리아 평화 배당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소말리아 중앙은행에 따르면, 소말리아가 재건의 길에 들어섬에 따라 경제는 내전 이전 수준에 도달할 뿐만 아니라 소말리아의 미개발 천연자원으로 인해 성장과 발전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49]

샤르자(아랍에미리트)의 소말리아항공(Air Somalia) 투폴레프 Tu-154 항공기. 현재 소말리아에는 여러 민간 항공사가 있다.


모가디슈에 있는 호르무드 텔레콤(Hormuud Telecom) 건물


내전이 시작된 후, 여러 새로운 통신 회사들이 생겨나 부족한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해 경쟁하기 시작했다. 소말리아 기업가들이 자금을 지원하고 중국, 대한민국 및 유럽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설립된 이 신생 통신 회사들은 아프리카의 다른 많은 지역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저렴한 휴대전화 및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객들은 송금(인기 있는 다하브쉴(Dahabshiil)을 통한 송금 등) 및 기타 은행 업무를 휴대전화를 통해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에 쉽게 접속할 수 있다.[251]

스프린트, ITT 및 텔레노르(Telenor)과 같은 다국적 기업과 파트너십을 체결한 이 회사들은 현재 아프리카에서 가장 저렴하고 선명한 통화를 제공한다.[252] 이러한 소말리아 통신 회사들은 소말리아의 모든 도시와 마을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1,000명당 약 25개의 주요 회선이 있으며, 지역 전화선 가용성(전화 보급률)은 이웃 국가보다 높다. 인접한 에티오피아보다 3배나 더 높다.[234] 주요 소말리아 통신 회사로는 골리스 텔레콤 그룹, 호르무드 텔레콤(Hormuud Telecom), 소마폰(Somafone), 네이션링크, 넷코, 텔콤 및 소말리아 텔레콤 그룹(Somali Telecom Group)이 있다. 호르무드 텔레콤은 연간 약 4000만달러의 매출을 올린다. 이러한 회사들은 경쟁에도 불구하고 2005년 상호 연결 계약을 체결하여 가격 설정, 네트워크 유지 및 확장, 경쟁이 과열되지 않도록 보장한다.[251]

내전으로 경제는 파괴되어 붕괴 상태에 있다. 세계 최빈국 중 하나이며, IMF에 따르면 2020년 소말리아의 1인당 GDP는 332달러로, 세계 195개 국가 및 지역 중 193위이다.[387] 주요 산업은 바나나를 중심으로 하는 농업, 낙타(사육 마릿수 세계 1위)··염소 등의 축산업이다. 주요 수출품은 바나나, 가축, 가죽이다. 축산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GDP의 40%, 수출 수입의 65%에 달한다. 농산물 가공을 중심으로 한 소규모 경공업은 GDP의 10%에 달한다. 주요 수입품은 원유, 석유 제품, 식료품, 기계류 등이다.

통화는 소말리아실링(SOS)이다. 미국의 경제 전문지 『Foreign Policy』에 따르면, 2007년 조사 당시 세계에서 가장 가치가 낮은 통화 상위 5개 중 하나였다. 환율은 1달러=1387.77소말리아실링이다.[389] 현재 국내에서는 달러유로, 사우디리알 등이 주로 유통되고 있다. 2004년부터 소말리아 명의의 금괴 형태 은화가, 2010년부터 금괴 형태 금화가 발행되고 있지만, 이는 독일의 바이에른 주 조폐국이 제조한 것으로, 코끼리가 그려져 있어 엘리펀트 코인이라고도 불린다.[390]

9. 사회

소말리아는 지리적, 기후적 다양성으로 인해 치타, 사자, 그물무늬기린, 개코원숭이 등 다양한 포유류가 서식하고 있다.[206] 약 727종의 조류가 서식하며, 그중 8종은 고유종이다.[207] 소말리아 영해는 참치 등 고도로 이동성이 높은 해양 종의 주요 어장이다.[208] 약 235종의 파충류가 서식하며, 이 중 거의 절반이 북부 지역에 서식한다.[209]

소말리아에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 동성 성행위가 사형에 처해질 수 있다.[225] 2020년 10월 3일, UN 인권 조사관은 소말리아 정부의 인권 약속 위반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226]

9. 1. 인구

소말리아는 신뢰할 수 있는 인구 통계 자료가 부족하다.[267][268] 2018년 기준으로 1,500만 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1975년의 330만 명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였다.[269] 2013년과 2014년에 실시된 국제연합 인구기금 조사에 따르면 총 인구는 12,316,895명으로 추산되었다.[270]

연령별 인구


현지 주민의 약 85%는 소말리아인이며,[1] 이들은 역사적으로 소말리아 북부 지역에 거주해 왔다.[271] 이들은 전통적으로 유목민 목축 클랜, 느슨한 제국, 술탄국 및 도시 국가로 조직되어 왔다.[272] 1990년대 초 내전으로 인해 소말리아 디아스포라의 규모가 크게 증가했는데, 이때 가장 교육을 잘 받은 소말리아인들이 많이 출국하였다.[273]

소말리아 인구의 나머지는 소말리아인이 아닌 소수 민족으로 구성되며, 주로 남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271] 여기에는 브라바네스인, 반투족, 바주니족, 에티오피아인(특히 오로모족), 예멘인, 인도인, 페르시아인, 이탈리아인 및 영국인이 포함된다. 소말리아에서 가장 큰 소수 민족인 반투족은 아랍과 소말리아 상인들이 동아프리카에서 데려온 노예들의 후손이다.[274]

소말리아의 인구는 연간 1.75%의 성장률과 인구 1,000명당 40.87명의 출산율로 증가하고 있다.[1] 총 출산율은 여성 1명당 6.08명으로 매우 높으며, 세계에서 4번째로 많은 수치이다.[1] 대부분의 주민들은 젊으며 중위 연령은 17.7세이다. 인구의 약 44%는 0~14세, 52%는 15~64세, 2%만이 65세 이상이다.[1] 성비는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거의 비슷하다.[1]

소말리아의 도시화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통계 정보는 거의 없다. 대략적인 추산에 따르면 도시화율은 연간 4.8%(2005~2010년 추산)이며, 많은 마을이 빠르게 도시로 성장하고 있다.[1] 내전이 시작된 이후 많은 소수 민족이 특히 모가디슈키스마요로 시골 지역에서 도시 중심지로 이동했다.[278] 2008년 기준으로, 전국 인구의 37.7%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 비율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1]

소말리아 인구
연도백만 명
19502.3
20009.0
201815.0



모가디슈의 이슬람 모스크

9. 2. 언어

소말리어아랍어는 소말리아의 공용어이다.[215] 소말리아어는 소말리아 국민 중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는 소말리아인의 모국어이다.[1] 이 언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쿠시어파에 속하며, 가장 가까운 친족 언어는 오로모어, 아파르어, 사호어이다.[279] 소말리아어는 쿠시어족 언어 중 가장 잘 기록된 언어이며,[280] 1900년 이전부터 학술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14세기의 와다드 문자로 쓰여진 돌비석


소말리아어 방언은 크게 북부 소말리아어, 베나디르 소말리아어, 마이어 세 가지로 나뉜다. 북부 소말리아어(또는 북중부 소말리아어)는 표준 소말리아어의 기반이다. 베나디르어(해안 소말리아어로도 알려짐)는 모가디슈를 포함하여 아달에서 메르카 남쪽까지 베나디르 해안과 그 직접적인 내륙 지역에서 사용된다. 해안 방언에는 표준 소말리아어에는 없는 추가적인 음소가 있다. 마이어어는 주로 소말리아 남부 지역의 디길과 미리플(라한웨인) 부족이 사용한다.[281] 베나디르어는 소말리아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언인 반면, 북부 소말리아어는 소말릴란드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언이다.[282]

소말리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여러 해 동안 다양한 문자 체계가 사용되어 왔다. 그중에서 소말리아 알파벳이 가장 널리 사용되며, 1972년 10월 최고혁명평의회가 공식적으로 도입한 이후 소말리아의 공식 문자 체계가 되었다.[283] 소말리아어를 쓰기 위해 수세기 동안 사용되어 온 다른 문자 체계에는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아랍 문자와 와다드 문자가 있다. 20세기에 개발된 토착 문자 체계에는 오스마냐 알파벳, 보라마 알파벳, 카다레 알파벳이 있다.[284]

소말리아어 외에도 아랍어는 소말리아의 공식 국가 언어이다.[215] 아랍 세계와의 수세기 동안의 유대 관계, 아랍 언론의 광범위한 영향력, 종교 교육으로 인해 약 200만 명의 소말리아인이 아랍어를 사용한다.[285][286][287][288]

영어는 널리 사용되고 가르쳐진다. 영어는 과거 영국령 소말릴란드의 행정 언어였으며, 세계화로 인해 현재 소말리아 전역에서 두드러지게 사용된다. 영어는 소말리아 전역의 많은 대학에서 교육 언어로 사용되며,[289][290] 소말리아에서 활동하는 주요 비정부기구의 주요 업무 언어 중 하나이다.[291][292][293][294] 이탈리아어이탈리아령 소말리아와 신탁통치 시대의 공식 언어였지만, 독립 이후 사용이 크게 줄었다. 현재는 주로 노년층, 정부 관계자, 교육받은 계층에서 사용된다.[286][285]

9. 3. 종교

이슬람교는 소말리아의 국교이며, 국민의 99% 이상이 무슬림이다.[318] 대부분은 수니파에 속하며, 샤피이 학파를 따른다.[18] 수피교도 지방에 학교와 사원들을 여럿 세우며 상당한 세력을 확보하고 있다.[319] 소말리아 헌법은 이슬람을 소말리아 연방 공화국의 국교로, 이슬람 샤리아 법을 국가 입법의 기본 근거로 규정하고 있으며,[215] 샤리아의 기본 원칙에 어긋나는 법은 제정될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215]

이슬람교는 고대 아프리카의 뿔 지방에 아랍 난민들이 홍해를 건너오면서 무함마드의 가르침을 전파하며 매우 초기에 소말리아에 진출하였다. 이슬람교는 아랍 지방에서 자리를 잡기 전부터 소말리아에서 상당한 신도를 확보할 정도로 빠르게 전파되었다.

기독교는 소말리아의 소수 종교이며, 2010년 기준으로 전체 인구의 0.1% 정도만이 기독교를 믿는다.[318] 소말리아의 기독교인 수는 1,000명으로 추산된다.[320] 가톨릭 교구는 모가디슈 교구 하나뿐이며, 2004년에는 약 100명의 가톨릭 신자만 있었던 것으로 추산된다.[321] 1970년대 시아드 바레 정권의 사회주의 정책으로 교회 운영 학교들이 폐쇄되고 선교사들이 추방되었다. 1989년 이후 소말리아에는 주교가 없으며, 모가디슈 대성당은 내전 기간에 심각하게 파손되었다. 2013년 12월 사법종교부는 기독교 관련 행사 금지 법령을 전국에 공포하기도 하였다.[324]

소말리아 인구의 0.1% 미만이 민속 신앙을 믿는다고 한다.[318] 이들은 주로 소말리인이 아닌 소수민족으로, 애니미즘 기반의 종교를 믿는다. 반투족의 경우 동남부 아프리카에서 건너온 자신들의 종교를 여전히 믿는 경우가 많다.[325] 그 외 소말리아 인구의 0.1% 미만이 유대교, 힌두교, 불교 등 타 종교를 믿는다고 한다.[318]

9. 4. 보건

소말리아는 세계에서 기아가 가장 심각한 나라 중 하나이다. 컨선월드와이드, 세계기아원조, 국제식량정책연구소가 협력하여 발표하는 세계기아지수(GHI)에 따르면, 2016년 소말리아는 자료 부족으로 기아지수를 산출할 수 없었지만, 영유아사망률은 13.7%로 조사 대상 118개국 중 세 번째로 높았다.[427] 소말리아 유니세프와 국제적십자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아동 영양 부족이 심각하며, 2011년 기근으로 25만 명이 사망했다.[427] 2015년 엘니뇨 관련 가뭄으로 식량 불안이 심각한 상황이다.[427]

소말리아의 기아문제


1991년 내전 이전에는 소말리아의 복지와 건강은 복지부가 관할하여 양호한 상태였다. 그러나 시아드 바레 정부는 세입 대부분을 군비에 낭비하여 복지 문제는 뒷전이었다. 내전 이후 국민들의 건강은 악화되었고, 의료 시설은 민영화되어 비용이 비싸졌다. 많은 병원, 보건소 등이 민간요법 의사들 주도로 세워졌으며, 진료비는 5.72달러, 왕진비는 1.89~3.97달러, 입원비는 1일 7.83~13.95달러였다.[329]

2005년과 2010년 사이 측정 결과, 소말리아 국민들의 기대수명은 내전 이전보다 늘었다. 남성은 48.2세, 여성은 51세였다. 홍역 면역 치료를 받은 어린이 비율도 30%에서 40%로 늘었고, 결핵 발병률은 20%에서 50%로 증가했다. 유아 사망률은 1,000명 당 152명에서 109.6명, 산모 사망률은 10만 명당 1,600명에서 1,100명으로 감소했다. 10만 명당 의사 수는 3.4명에서 4명으로 증가했으며, 보건 시스템 이용 가능 인구 비율도 18%에서 26%로 증가했다.

유엔인구기금에 따르면 소말리아에는 429명의 전문 산파가 있었고, 8개의 출산 기관이 있었다. 산파 교육은 12~18달이 걸리며, 전문 면허가 필요하다. 350명의 회원을 가진 산파 조직도 있다.

WHO의 2005년 조사에 따르면 소말리아 여성과 소녀의 97.9%가 여성 할례를 받았다.[336] 이는 아프리카의 뿔 지역과 근동 지역의 악습으로, 사회에 뿌리 깊게 남아있다. 2013년 UNICEF에 따르면 소말리아 1~14세 소녀의 25%가 여성 할례를 받았으며, 소말리아 남성의 93%가 할례를 받았다.

소말리아는 아프리카에서 에이즈 감염률이 가장 낮은 국가 중 하나인데, 이는 엄격한 이슬람 교리 때문이다. 1987년 감염률은 성인 중 1%였으나, 2004년 UN 조사에서는 0.7%로 감소했다.

소말리아의 의료 체계는 거의 사립에 의존하고 있지만, 공공 의료제도도 보건부 지도 하에 재개되고 있다. 보건부 장관은 카마르 아단 알리이다. 푼트랜드와 소말릴란드는 자치 보건부를 가지고 있다.

소말리아의 기대 수명, 1950년~2019년

9. 5. 교육

교육부는 소말리아의 교육을 공식적으로 담당하며, 전국적인 초등, 중등, 기술 및 직업 학교뿐만 아니라 초등 및 기술 교원 양성과 비정규 교육을 감독한다. 정부 예산의 약 15%가 교육에 할당된다.[348] 자치 지역인 푼틀랜드와 소말리랜드는 자체 교육부를 운영한다.

모가디슈 대학교 모가디슈 캠퍼스


소말리아의 고등 교육은 현재 대부분 사립이다. 모가디슈 대학교를 포함한 소말리아의 여러 대학교는 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 최고의 대학교 100곳에 선정되어, 풀뿌리 운동의 승리로 칭송받았다.[234] 남부 지역에서는 베나디르 대학교, 소말리아 국립 대학교, 키스마요 대학교, 게도 대학교 등이 고등 교육을 제공한다. 푼틀랜드에서는 푼틀랜드 주립 대학교와 동아프리카 대학교가 고등 교육을 제공하며, 소말리랜드에서는 아무드 대학교, 하르게이사 대학교, 소말리랜드 기술 대학교, 부라오 대학교가 고등 교육을 제공한다.

꾸란 학교(또는 ''dugsi quran'' 또는 ''mal'aamad quran''으로 알려짐)는 전통적인 종교 교육의 기본 시스템으로 남아 있다. 가장 안정적인 지역 비정규 교육 시스템으로 기본적인 종교 및 도덕 교육을 제공하는 이 시스템은 지역 사회의 지원과 현지에서 제작되고 널리 사용 가능한 교육 자료에 그 강점이 있다. 다른 교육 부문과 비교하여 가장 많은 학생 수를 가르치는 꾸란 시스템은 종종 도시 지역과 비교하여 유목 지역 소말리아인들에게 접근 가능한 유일한 시스템이다. 소말리아 정부는 종교 교육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꾸란 교육을 규제하는 기부 및 이슬람 사무부를 설립했다.[349]

1991년 중앙 정부 붕괴 이후 소말리아의 교육 시스템은 사립화되었다. 초등학교는 내전 이전 600개교에서 2005년에는 1,172개교로 증가했으며, 2005년까지 3년 동안 초등학교 입학생은 28% 증가했다.[396] 2006년에는 북동부 푼틀랜드(Puntland) 자치 지역이 소말릴랜드(Somaliland) 지역에 이어 소말리아에서 두 번째로 무상 초등 교육을 도입한 지역이 되었으며, 현재 교사들은 푼틀랜드 정부로부터 급여를 받고 있다.[397] 베나디르 대학교, 소말리아 국립 대학교, 모가디슈 대학교, 키스마요 대학교, 게도 대학교 등 소말리아 8개 대학교 중 5개가 소말리아 남부에 위치하며 고등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2001년 추계에 따르면, 15세 이상 국민의 문해율은 37.8%(남성: 49.7%, 여성: 25.8%)이다.[398]

10. 문화

소말리아의 문화는 아랍, 인도, 이탈리아 등 여러 문화의 영향을 받아 다채롭게 발전해왔다. 특히 소말리아 요리는 이러한 문화 융합의 정수를 보여준다.[350]

다양한 소말리아 요리 모음


소말리아 요리는 쌀과 파스타를 주식으로 하며, 양고기, 쇠고기, 닭고기 등 다양한 육류를 사용한다. 큐민, 카르다몬, 고수와 같은 향신료는 음식에 풍미를 더한다.[351][352] 칸제로/라호는 소말리아를 비롯한 주변 국가에서 즐겨 먹는 발효 팬케이크와 같은 납작빵이다.[353][354][355] 낙타고기와 우유는 소말리아 요리에서 중요한 재료로 사용된다.[356]

소말리아식 쌀은 저녁이나 점심 식사의 주식으로, 고기, 채소, 건포도 등을 넣어 양념하며, 때로는 사프란과 같은 향신료를 사용하여 색을 내기도 한다.[357]

소말리아식 쌀(바리스)과 생선(칼룬), 간(비어르카)과 채소, 그리고(사바야드) 팬케이크


이탈리아 식민 통치의 영향으로 파스타와 라자냐는 소말리아 남부 지역에서 널리 소비된다.[358][359]

차와 커피는 소말리아에서 인기 있는 음료이다. 소말리아는 커피를 일찍이 즐긴 국가 중 하나이며, 소말리아 상인들은 커피 콩을 수출한 최초의 사람들 중 하나였다.[360][361] 현지에서 '카흐워'로 알려진 소말리아 커피와 '샤(Shah)'라는 차는 향신료를 넣어 독특한 풍미를 낸다.[362]

'할워(Xalwo)'는 오만 요리의 '할와'와 유사한 젤리 형태의 간식으로, 소말리아에서 카흐워와 함께 즐겨 먹는다.[363] 식사 후에는 'dabqaad'라는 향로에 유향(unsiso)을 피워 집 안에 향을 낸다.[364]

''Cambuulo''는 잘 익힌 팥에 버터와 설탕을 섞어 만든 요리로, 소말리아 전역에서 저녁 식사로 즐겨 먹는다.[403]

축구는 소말리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소말리아 리그, 소말리아컵 등의 국내 대회가 있다. 소말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국제 대회에 참가한다. 농구 또한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소말리아 농구 국가대표팀은 1981년 FIBA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367] 보르릉에서는 소말리아 밴디 국가대표팀이 결성되어 2014년 밴디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무술 분야에서는 소말리아 태권도 국가대표팀의 페이살 제일라니 아웨이스와 모하메드 데크 아브둘레가 통헌에서 열린 세계 오픈 태권도 챌린지컵에서 각각 은메달과 4위를 차지했다.[368] 모하메드 자마는 K-1태국식 복싱에서 세계 및 유럽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369]

곤데르셰의 성채
소말리아 건축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식을 보여준다. 고대에는 ''taalo''라고 불리는 피라미드 구조가 인기 있는 매장 방식이었고, 주택은 고대 이집트와 유사하게 다듬은 돌로 지어졌다.[370] 워가아데 성벽과 같이 정착지를 둘러싸는 돌담도 존재했다.

초기 중세 시대에는 이슬람교의 영향으로 아라비아와 페르시아의 이슬람 건축 양식이 도입되었다. 건축 자재는 산호석, 진흙 벽돌, 석회암 등으로 변화했으며, 모스크와 같은 새로운 건축 디자인은 이전 구조물 위에 지어졌다.[371]

소말리아는 이슬람 국가이며, 여성할례가 행해지고 있다.[402]

10. 1. 문학

소말리아 사회는 수년 동안 많은 중요한 시인, 작가, 이슬람 인물들을 배출해 왔으며, 그 상당수는 뿔의 아프리카뿐만 아니라 아라비아 반도와 전 세계 다른 지역에 이르기까지 이슬람 학문과 전통의 궤적에 영향을 미치고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소말리아는 마가렛 로렌스를 포함한 사람들에 의해 "시인의 나라"이자 "음유시인의 나라"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영국의 탐험가이자 작가인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은 소말리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366]

> "이 나라는 '시인, 시인 지망생, 시인 아마추어, 시인 흉내쟁이'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모든 사람은 마치 수십 년간 잡지에 실린 평론을 받은 것처럼 문학에서 자신의 인정받는 위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의 뛰어난 귀는 그들이 조화로운 소리와 시적인 표현에 가장 큰 기쁨을 느끼게 하지만, 잘못된 양이나 산문적인 구절은 그들의 격렬한 분노를 불러일으킵니다."

저명한 시인, 철학자이자 웅변가인 모하메드 이브라힘 와르사메(하드라위)
]1972년 소말리아가 라틴 알파벳을 국가 표준 표기법으로 채택하면서 많은 현대 소말리아 작가들이 소설을 발표했고, 그중 일부는 세계적인 찬사를 받았습니다. 이러한 현대 작가들 중에서 누르딘 파라가 가장 유명하며, 1998년 뉴스타트 국제 문학상을 비롯한 많은 영예를 수상했습니다.[13] 파아락 M.J. 카울은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소말리아 작가로, 데르비시 시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 ''무지는 사랑의 적이다''로 유명합니다. 하드라위는 그의 산문과 시로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습니다.

소말리아는 지난 세기 소말리아 지식인들이 이슬람 시와 하디스를 통해 많은 문학 작품을 만들어 왔습니다. 현대에도 구전시가 성행하고 있으며, "시인의 나라"라고도 불립니다.[403]

1973년 라틴 문자 채택 이후 몇 년 만에 많은 소말리아 작가들이 책을 출판했고, 그 책들은 널리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누르딘 파라는 그러한 인물 중 한 명입니다. 『무기의 바늘』(1976)과 ''From a Crooked Rib'', ''Links''와 같은 소설은 중요한 문학적 업적으로 여겨지며, 1998년에 노이슈타트 국제 문학상을 수상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알리 지마르 아흐메드(Ali Jimale Ahmed)는 현대 문학가 중 한명 입니다.

10. 2. 음악

소말리아는 전통 소말리아 민속을 중심으로 한 풍부한 음악 유산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소말리아 노래는 펜타토닉 음계를 사용한다. 소말리아 음악은 에티오피아, 수단 또는 아라비아 반도와 같은 인근 지역의 소리와 혼동될 수 있지만, 독특한 선율과 스타일로 궁극적으로 구분된다. 소말리아 음악에서 두드러지게 등장하는 전통 악기로는 우드 류트가 있다.[365] 종종 작은 드럼과 배경의 리드 플루트가 함께 연주된다. 소말리아 노래는 보통 작사가(midhoso), 작곡가(laxanso) 및 가수(codkaso 또는 "목소리") 간의 협업의 산물이다.[365]

Waaberi나 Horseed와 같은 전통적인 밴드는 해외에도 소수의 지지자를 확보하고 있다. 그 외에 Maryam Mursal은 소말리아 전통 음악에 록, 보사노바, 힙합, 재즈의 영향을 받아 융합시켰다.

대규모 소말리아인 공동체가 있는 토론토는 불안정한 모가디슈를 대신하여 소말리아 음악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소말리아인 공동체는 런던, 미니애폴리스, 콜럼버스에도 존재한다. 소말리아인의 이산으로부터 탄생한 인기 음악가 중 한 명으로 토론토 출신 래퍼 K'Naan이 있으며, 그의 노래는 내전 발발 이후 소말리아의 삶의 고투를 이야기하고 있다.

10. 3. 소말리아 해적 문제

소말리아에는 해적이 많은데, 소말리아 해적은 다른 나라에서 오는 배를 수도 없이 납치한 적이 있다. 미국, 유럽 연합, 러시아, 인도, 대한민국 등 각국 해군이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다른 나라에서 오는 배를 소말리아 해적으로부터 지키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소말리아는 사실상 무정부 상태이기 때문에, 소말리아 해적 문제는 지금도 통제할 수 없다고 한다.

소말리아에서 오는 해적들은 대부분 지방 출신이다. 소말리아는 경제 상태가 가장 나쁜 최빈국으로 분류되며, 주민들은 자신들의 생계를 위해서 해적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다른 나라에서 소말리아 근처 해안에 산업 폐기물을 투기하는 경우가 많고, 프랑스와 같은 나라는 소말리아가 정치적 혼란 상태인 것을 이용해 제재 없이 불법 어업 활동을 벌이기도 하였기 때문에 어민들의 생계가 위협을 받아 해적으로 활동하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예전부터 소말릴란드푼틀란드가 접하는 아덴만은 해적 행위가 빈발하는 해역이다. 국제상업회의소(ICC) 국제해사기구(IMB)의 조사에 따르면, 2001년인도양 쪽에서도 해적에 의한 공격이 보고되기 시작하여, 2005년에 이르러 빈발하게 되면서 인도네시아 주변 해역에 이어 해적 행위가 많은 해역으로 급부상했다. 이후 2007년까지 상위 5개 해역에 위치했으며, 해안에서 최대 390해리까지 이르는 소말리아를 근거지로 하는 해적들에 의해 아덴 만을 포함한 소말리아 주변 해역은 선박 항해에 매우 위험한 곳이 되고 있다.

소말리아는 1991년 바레 정권 붕괴 이후 무정부 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치안이 불안한 국가라고 할 수 있다. 무장하지 않고는 외출할 수 없으며, 무장하더라도 목숨의 위험이 있는 상태이다. 일본 외무성, 호주 정부, 미국 정부 모두 여행을 삼가하고 자국민에게 철수를 촉구하고 있다.[404][405]

또한, 소말리아 인근 해역에서는 해적이 발생하고 있으며, 과거에 비해 감소했지만, 현재도 해적 발생이 이어지고 있다.[406]

참조

[1]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1-01-24
[2] 서적 Peoples of the Horn of Africa: Somali, Afar and Saho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African Institute 1969
[3] 웹사이트 World Bank Open Data https://data.worldba[...] 2024-04-04
[4] 웹사이트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22). World Population Prospects https://population.u[...]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22-07-16
[5]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pril 2024 Edition. (Somalia)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4-04-26
[6] 웹사이트 Gini Index coefficient https://www.cia.gov/[...] The World Factbook 2024-09-24
[7] 간행물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8] 서적 Peoples of the Horn of Africa: Somali, Afar, and Saho https://books.google[...] Red Sea Press 1998
[9] 서적 English Pronouncing Diction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사전 Somalia
[11] 사전 Somalia
[12] 웹사이트 Federal Republic of Somalia http://www.somaliwey[...] 2012-10-02
[13]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britanni[...] Britannica
[14] 웹사이트 Coastline https://web.archiv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5] 웹사이트 World Bank Open Data https://data.worldba[...]
[16] 서적 Area Handbook for Somalia: Co-authors: Irving Kaplan [et al.] Research and Writing Were Completed on June 15, 1969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9
[17] 웹사이트 Middle East Policy Council – Muslim Populations Worldwide http://www.mepc.org/[...] Mepc.org 2005-12-01
[18] 논문 2001
[19] 서적 Phoenicia B. Fellowes 1855
[20] 서적 Ancient Trad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Mich. 1984
[21] 서적 Regents of nations: systematic chronology of states and their political representatives in past and present : a biographical reference book. 1984
[22] 서적 Geopolítica de lo Desconocido: Una visión diferente de la Política Internacional
[23]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05
[24] 논문 1977
[25] 서적 The Collapse of the Somali State: The Impact of the Colonial Legacy Haan Associates
[26] 서적 The Illustrated Library of The World and Its Peoples: Africa, North and East Greystone Press 1967
[27] 서적 Clan Cleansing in Somalia: The Ruinous Legacy of 19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8] 웹사이트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https://web.archive.[...]
[29] 뉴스 Harvard-Educated Technocrat Chosen as Somalia Premier https://www.nytimes.[...] 2011-06-23
[30] 학술지 Ethiopian Invasion of Somalia, US Warlordism & AU Shame https://www.jstor.or[...] 2007
[31] 학술지 The Evolution of Political Violence: The Case of Somalia's Al-Shabaab https://www.tandfonl[...] 2018-01-02
[32] 서적 The Rule Is For None But Alla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3] 논문 The Production of Somali Conflict and the Role of Internal and External Actors https://www.jstor.or[...] Pluto Press 2013
[34] 뉴스 Somali president resigns amid power struggle https://www.theguard[...] 2008-12-29
[35] 뉴스 Moderate Islamist picked as Somali president http://edition.cnn.c[...] CNN 2009-01-31
[36] 뉴스 Somalia rising after two decades of civil war and unrest http://english.alara[...] Al Arabiya 2012-08-09
[37] 뉴스 Somalia's al-Shabab join al-Qaeda https://www.bbc.com/[...] 2024-11-16
[38] 웹사이트 Al-Shabab https://www.cfr.org/[...] 2022-02-13
[39] 뉴스 Somalia conflict: Al-Shabab 'collects more revenue than government' https://www.bbc.com/[...] 2022-02-13
[40] 웹사이트 Kenyan troops seize al-Shabaab base in Somalia https://www.aa.com.t[...] 2022-02-13
[41] 뉴스 Somali Leaders Adopt Draft Constitution http://gulfnews.com/[...] ANP/AFP 2012-06-23
[42] 뉴스 Somali leaders back new constitution https://www.bbc.co.u[...] 2012-08-02
[43] 뉴스 Somalia's newly-endorsed constitution widely hailed http://news.xinhuane[...] 2012-08-02
[44] 뉴스 Somalia: UN Envoy Says Inauguration of New Parliament in Somalia 'Historic Moment' http://allafrica.com[...] 2012-08-24
[45] 웹사이트 Mogadishu: East Africa's newest business destination? http://www.howwemade[...] 2012-06-26
[46] 웹사이트 LDCs at a Glance {{!}}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https://www.un.org/d[...] 2023-02-12
[47] 웹사이트 Overview https://www.worldban[...] 2023-02-12
[48] 웹사이트 Fragile States Index 2023 https://fragilestate[...] Fund for Peace 2024-02-15
[49] 웹사이트 Central Bank of Somalia – Economy and Finance http://www.somalbanc[...] Somalbanca.org 2010-12-30
[50] 웹사이트 Member States https://www.un.org/e[...] 2021-08-27
[51] 웹사이트 Member States http://www.lasportal[...] 2021-08-27
[52] 웹사이트 Member State Profiles https://au.int/en/me[...] 2021-08-27
[53] 웹사이트 Non-Aligned Movement (NAM) | What is the Non-Aligned Movement? https://www.nti.org/[...] 2021-08-27
[54] 뉴스 Somalia joins East African Community https://www.bbc.com/[...] 2023-11-25
[55] 웹사이트 Member States https://www.oic-oci.[...] 2021-08-27
[56] 서적 A History of African Archaeology https://archive.org/[...] J. Currey
[57] 논문 The Hargeisan revisited: Lithic industries from shelter 7 of Laas Geel, Somaliland and the transition between the Middle and Late Stone Age in the Horn of Africa 2014-09
[58] 서적 The Prehistoric Cultures of the Horn of Africa: An Analysis of the Stone Age Cultural and Climatic Succession in the Somalilands and Eastern Parts of Abyssin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0-19
[59] 서적 African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0-19
[60] 서적 Encyclopedia of Human Evolution and Pre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8-23
[61] 서적 The Evolution of Human Populations in Arabia: Paleoenvironments, Prehistory and Genet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20-10-19
[62] 논문 Early Holocene Mortuary Practices and Hunter-Gatherer Adaptations in Southern Somalia
[63] 논문 Prehistoric Implements From Somaliland https://archive.org/[...] 2011-01-30
[64] 간행물 Early Pastoral Nomadism and the Settlement of Lower Mesopotamia
[65] 논문 Farmers and Their Languages: The First Expansions
[66] 뉴스 Grotto galleries show early Somali life https://www.google.c[...] 2013-05-11
[67] 논문 The Discovery of Dhambalin Rock Art Site, Somaliland http://www.mbali.inf[...] 2013-06-22
[68] 뉴스 UK archaeologist finds cave paintings at 100 new African sites https://www.theguard[...] 2010-09-17
[69] 서적 East African Handbook https://books.google[...] Trade & Travel Publications 2015-06-20
[70] 서적 Somalia Today: General Information https://books.googl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National Guidance, Somali Democratic Republic 2015-06-20
[71] 서적 The History of Somal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06-20
[72] 서적 The Illustrated Timeline of the History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15-06-20
[73] 서적 Egyptology at the Dawn of the Twenty-first Century: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 in Cairo Press 2015-06-20
[74] 서적 The Geography of Herodotus: Illustrated from Modern Researches and Discoveries https://archive.org/[...]
[75] 서적 The popular cyclopædia of Biblical literature: condensed from the larger work Gould and Lincoln
[76] 서적 Near Eastern archaeology: a reader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Somaliland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82] 서적 Encyclopedia Americana https://books.google[...] Americana Corporation 2015-06-20
[83] 서적 Peoples of the Horn of Africa: Somali, Afar and Saho https://archive.org/[...] International African Institute
[84] 서적 The History and Description of Africa https://archive.org/[...] Hakluyt Society 2017-01-02
[85] 서적 Blood and Bone: The Call of Kinship in Somali Society https://books.google[...] The Red Sea Press 1994
[86]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2015-06-20
[87] 학술지 A Sufi Response to Political Islamism: Al-Abāsh of Lebanon
[88] 서적 Bradt Somaliland: With Addis Ababa & Eastern Ethiopia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5-06-20
[89]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https://books.google[...] James Currey Publishers 2015-06-20
[90]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LIT Verlag Münster
[91] 서적 Papers in African Prehisto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2] 서적 A Journal of the First Voyage of Vasco Da Gama, 1497–149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6-20
[93] 학술지 Fouille d'un tumulus à Ganda Hassan Abdi dans les monts du Harar http://www.persee.fr[...] 1976
[94] 서적 Islamic History and Culture in Southern Ethiopia: Collected Essays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95] 서적 East Africa and its invaders: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death of Seyyid Said in 1856 Russell & Russell
[96] 서적 East Africa and the Indian Ocean https://books.google[...] Markus Wiener Publishers 2015-06-20
[97] 서적 The Return of Cosmopolitan Capital: Globalization, the State and War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15-06-20
[98] 서적 The Arabian Seas: The Indian Ocean world of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M.E. Sharpe
[99] 서적
[100] 서적 Chinese Porcelain Marks from Coastal Sites in Kenya: Aspects of Trade in the Indian Ocean, XIV–XIX Centuries British Archaeological Reports
[101] 서적 East Africa and Its Invaders: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Death of Seyyid Said in 1856 Russell & Russell
[102] 서적 East Africa and the Indian Ocean https://books.google[...] Markus Wiener Publishers 2015-06-20
[103] 서적 The Horn Engaging the Gulf Economic Diplomacy and Statecraft in Regional Relations Bloomsbury
[104] 서적 Suicidal Behavior in Muslim Majority Countries: Epidemiology, Risk Factors, and Preven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4
[105]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LIT Verlag Münster
[106] 웹사이트 Taariikhda Beerta Suldaan Cabdilaahi ee Hargeysa http://www.qurbejoog[...] 2021-01-09
[107] 서적 Genealogies of the Somal Eyre and Spottiswoode (London) 1896
[108] 웹사이트 Taariikhda Saldanada Reer Guuleed Ee Somaliland.Abwaan:Ibraahim-rashiid Cismaan Guure (aboor). https://web.archive.[...] 2021-08-09
[109] 웹사이트 Degmada Cusub Ee Dacarta Oo Loogu Wanqalay Munaasibad Kulmisay Madaxda Iyo Haldoorka Somaliland https://web.archive.[...] 2021-08-11
[110] 웹사이트 Taariikhda Toljecle https://www.tashiwan[...] 2021-08-09
[111] Youtube Taariikhda Boqortooyadii Axmed Sheikh Isaxaaq ee Toljecle 1787 https://www.youtube.[...] 2021-08-15
[112] 간행물 Pastoral society and transnational refugees: population movements in Somaliland and eastern Ethiopia 1988–2000 New Issues in Refugee Research
[113] 서적 Langers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114] 서적 Somalia: clan vs. nation 2002
[115] 서적 History of East Africa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16]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CRC Press
[117] 뉴스 The fight in Somaliland https://newspapers.l[...] 1904-01-02
[118]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CRC Press
[119] 서적 Somalia in Pictures https://books.google[...] Twenty-First Century Books
[120] 서적 (정보 부족) https://books.google[...]
[121] 서적 Africana: the encyclopedia of the African and African American experience: the concise desk reference https://books.google[...] Running Press 2003
[122] 서적 The Colonial Legacy in Somalia: Rome and Mogadishu: From Colonial Administration to Operation Restore Hope https://books.google[...] Macmillan Press
[123] 웹사이트 Somalia: A Country Study http://countrystudie[...] GPO for the Library of Congress
[124] 서적 Somalia: A Country Study Kessinger Publishing, LLC
[125] 서적
[126] 서적 First report on succession of states in respect of treaties: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twenty-sixth session 6 May – 26 July 1974 United Nations
[127] 서적
[128] 서적 Domestic political institutions and the evolution of international conflic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129]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CRC Press
[130] 서적 https://books.google[...]
[131] 서적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132] 웹사이트 The dawn of the Somali nation-state in 1960 https://web.archive.[...] Buluugleey.com
[133] 웹사이트 The making of a Somalia state http://www.strategyp[...] Strategypage.com 2006-08-09
[134] 웹사이트 The 1961 Referendum https://web.archive.[...]
[135] 웹사이트 https://www.cia.gov/[...]
[136] 서적 Somali Piracy and Terrorism in the Horn of Africa Scarecrow Press 2012
[137] 서적 Arrivederci a Mogadiscio Edizioni associate 1991
[138] 서적 Mending rips in the sky: options for Somali communities in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Red Sea Press
[13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0] 서적 The Encyclopedia Americana: complete in thirty volumes. Skin to Sumac Grolier
[141] 서적 The New Communist Third World: an essay in political econom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42] 서적 Area Handbook for Somalia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43] 서적 The History of Somalia ABC-CLIO
[144] 서적 The Cold War, 1945–1991: Leaders and other important figures in the Soviet Union, Eastern Europe, China, and the Third World Gale Research
[145] 서적 Africa South of the Sahara 2001 Taylor and Francis
[146] 서적 (서적 제목 정보 없음) https://books.google[...]
[147] 서적 Encyclopedia of international peacekeeping operations https://archive.org/[...] ABC-CLIO
[148] 웹사이트 Somalia – Civil War, Conflict, Famine https://www.britanni[...] 2024-05-31
[149] 웹사이트 Somalia — Government http://countrystudie[...] Library of Congress 2014-02-15
[150] 웹사이트 State-sponsored violence and conflict under Mahamed Siyad Barre: the emergence of path dependent patterns of violence https://web.archive.[...] World Peace Foundation, The Fletcher School of Law and Diplomacy 2013-10-22
[151] 웹사이트 Somalia: Information on the capture of the town of Belet Uen by the United Somali Congress (USC) at the end of 1990 or early 1991 and on persecution of Darod in Belet Uen by USC soldiers https://webarchive.a[...] Canada: Immigration and Refugee Board of Canada 1992-11-01
[152] 웹사이트 Human Rights Watch World Report 1989 – Somalia https://www.refworld[...] Human Rights Watch 1990-01-01
[153] 웹사이트 One in four people in Somalia have now fled their homes https://reliefweb.in[...] Islamic Relief 2023-08-31
[154] 서적 The Genesis of the Civil War in Somalia: The Impact of Foreign Military Intervention on the Conflict Bloomsbury Academic
[155] 간행물 Focus on the Horn, Issues 7–9 Horn of Africa Information Committee
[156] 간행물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Columbia University, School of International Affairs
[157] 뉴스 Somaliland citizens ask to be recognized as a state http://news.bbc.co.u[...] 2001-06-04
[158] 뉴스 Somaliland votes for independence http://news.bbc.co.u[...] 2001-05-31
[159] 서적 Africa Today
[160] 간행물 The Middle East: Abstracts and index Library Information and Research Service
[161] 웹사이트 Harbinger of a New World Order? Humanitarian Intervention in Somalia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162] 뉴스 Somalia: Some key actors in the transitional process https://web.archive.[...] 2005-05-06
[163] 잡지 The Most Failed State https://www.newyorke[...] 2009-12-14
[164] 뉴스 Somalia: A failed state is back from the dead https://web.archive.[...] 2013-01-13
[165] 뉴스 Yes, There Is a Reason to Be in Somalia https://www.nytimes.[...] 1993-08-10
[166]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67] 웹사이트 TNG Prime Minister Concludes Formation of Cabinet https://web.archive.[...] 2003-12-31
[168] 웹사이트 :: Xinhuanet – English https://web.archive.[...]
[169]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70] 웹사이트 Somalia Mourns a 'Golden Era' as Crisis Worsens https://afjn.org/som[...] 2007-12-11
[171] 뉴스 As Somali Crisis Swells, Experts See a Void in Aid https://www.nytimes.[...] 2007-11-20
[172] 웹사이트 Ethiopian Invasion of Somalia http://www.globalpol[...] Globalpolicy.org 2007-08-14
[173] 웹사이트 Somalia President, Parliament Speaker dispute over TFG term https://web.archive.[...] Garoweonline.com 2011-01-12
[174] 웹사이트 USCIRF Annual Report 2009 – The Commission's Watch List: Somalia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09-05-01
[175] 웹사이트 Somalia: Guide to Puntland Election 2009 http://www.garoweonl[...] Garoweonline.com 2008-12-25
[176] 웹사이트 Opening Annual General Assembly Debate, Secretary-General Urges Member States to Press in Tackling Poverty, Terrorism, Human Rights Abuses, Conflicts http://www.unis.unvi[...] Unis.unvienna.org 2011-06-12
[177] 뉴스 Somalia's president quits office http://news.bbc.co.u[...] 2008-12-29
[178] 뉴스 Somali President Yusuf resigns http://www.ft.com/cm[...] 2008-12-29
[179] 웹사이트 UN boss urges support for Somalia ahead of Istanbul summit http://horseedmedia.[...] Horseedmedia.net 2010-05-22
[180] 뉴스 Islamists break Somali port truce http://news.bbc.co.u[...] 2009-10-21
[181] 뉴스 Shariah in Somalia http://www.arabnews.[...] 2009-03-01
[182] 웹사이트 Joint Communique – Operation Linda Nchi https://web.archive.[...] Kenya High Commission, Tanzania
[183] 간행물 The Kenyan Military Intervention in Somalia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12-02-15
[184] 뉴스 Kenyan troops launch beach assault on Somali city of Kismayo https://www.theguard[...] 2012-09-28
[185] 웹사이트 Analysis of EUCAP Nestor by the Global Governance Institute https://web.archive.[...] Global Governance Institute 2012-07-26
[186] 뉴스 SOMALIA: President says Godane is dead, now is the chance for the members of al-Shabaab to embrace peace https://web.archive.[...] 2014-09-05
[187] 웹사이트 Somalia https://web.archiv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9-05-14
[188] 간행물 The Somali Refugees-Africa's Open Wound Refuses to Heal
[189] 웹사이트 Somalia – Climate http://countrystudie[...] countrystudies.us 2009-05-14
[190] 웹사이트 Somalia Flooding: Population Density with Baseline Population by District (26 Dec 2023) https://reliefweb.in[...] 2023-12-26
[191] 웹사이트 The population of the pre-war regions and districts of Somalia according to estimates and calculations. https://www.citypopu[...] 2021-05-02
[192] 뉴스 International community welcomes newly-elected President of Somalia's Interim South West Administration https://web.archive.[...] 2014-11-19
[193] 뉴스 Adado conference kicks off in central Somalia https://web.archive.[...] 2015-04-16
[194] 웹사이트 The Federal Republic of Somalia – Harmonized Draft Constitution http://dastuurkeenna[...] Federal Government of Somalia
[195] 웹사이트 Guidebook to the Somali Draft Provisional Constitution https://web.archive.[...]
[196] 간행물 The Geology of Somalia: A Selected Bibliography of Somalian Geology, Geography and Earth Science https://web.archive.[...] Engineer Research and Development Laboratories, Topographic Engineering Center
[197] 서적 The world trade in sharks: a compendium of Traffic's regional studies Traffic International
[198] 학술지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199] 서적 National Geographic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0] 서적 World poverty ABC-CLIO
[201] 웹사이트 Goldman Prize https://web.archive.[...] Horn Relief 2002-04-22
[202] 웹사이트 International Women's Day – 8 March 2006 – Fatima Jibrell https://web.archive.[...] Unep.org 2006-03-08
[203] 웹사이트 Fatima Jibrell https://web.archive.[...] Goldman Environmental Prize
[204] 웹사이트 Conservation Heroes Honored by National Geographic, Buffett Foundation http://blogs.nationa[...] 2008-12-11
[205] 뉴스 Somalia's secret dumps of toxic waste washed ashore by tsunami https://web.archive.[...] 2005-03-04
[206] 서적 The Camel (Camelus Dromedarius): A Bibliographical Review International Livestock Centre for Africa
[207] 서적 The Howard and Moore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8] 간행물 FishBase 2004: a global information system on fishes WorldFish Center – Philippine Office
[209] 웹사이트 The Reptile Database http://www.reptile-d[...]
[210]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11] 뉴스 Somalia swears in historic new parliament http://www.aljazeera[...] 2012-08-20
[212] 뉴스 Somali leaders back new constitution https://www.bbc.co.u[...] 2012-08-01
[213] 웹사이트 President's inauguration marks 'new era' for Somalia, says UN envoy https://www.un.org/a[...] UN News Centre 2012-09-16
[214] 뉴스 Somalia successfully concludes first elections in over 20 years http://sabahionline.[...] 2012-08-29
[215] 웹사이트 The Federal Republic of Somalia – Provisional Constitution http://www.somaliwey[...]
[216] 웹사이트 Somalia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1-09-27
[217] 웹사이트 The V-Dem Dataset https://www.v-dem.ne[...] 2023
[218] 웹사이트 Somalia-Somaliland: A Halting Embrace of Dialogue https://www.crisisgr[...] 2020-08-06
[219] 뉴스 Russia Digs into Somaliland-Somalia Feud as Envoy Calls for Resumption of Talks – East African Business Week https://www.busiweek[...] 2020-12-04
[220] 웹사이트 Member states http://www.oic-oci.o[...] Organisation of Islamic Cooperation
[221] 보도자료 AMISOM offers IHL training to senior officials of the Somali National Forces http://amisom-au.org[...] AMISOM 2012-10-29
[222] 웹사이트 Somalia: A Country Study – Army Ranks and Insignia http://www.marines.m[...]
[223] 간행물 The Warrior Tradition and Development of a Modern Army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y 1992-05
[224] 뉴스 Somalia Re-Opens its National Intelligence & Security Agency http://www.waltainfo[...] 2013-01-10
[225] 뉴스 The countries where homosexuality is still illegal https://www.theweek.[...] 2019-06-12
[226] 웹사이트 UN Expert: Somalia Backtracking on Human Rights Commitments https://www.voanews.[...] 2020-10-03
[227]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Somalia (1995) http://permanent.acc[...] Permanent.access.gpo.gov
[228]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Somalia (2003) http://www.bartleby.[...] Bartleby.com
[229] 서적 The British Chambers of Commerce Guide to African Markets https://books.google[...] Ten Alps Publishing
[230] 웹사이트 The Arab countries demand Australian sheep and lamb http://www.meattrade[...]
[231] 웹사이트 Expanding Investment Finance in Northern Kenya and Other Arid Lands http://www.elmt-relp[...]
[232] 웹사이트 Aviation http://www.somalicha[...] Somali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233] 웹사이트 Government of Punt Land State of Somalia, Lootah Investment sign strategic agreements worth Dhs170m http://www.ameinfo.c[...] Ameinfo.com
[234] 웹사이트 Somalia: The Resilience of a People http://www.africanex[...] The African Executive
[235] 뉴스 Amid Somalia's troubles, Coca-Cola hangs on https://www.nytimes.[...] 2006-07-10
[236] 서적 Somalia: Economy without State Indiana University Press
[237] 웹사이트 Central Bank of Somalia – Monetary policy http://www.somalbanc[...] Somalbanca.org
[238] 웹사이트 Central Bank of Somalia – Payment system http://somalbanca.or[...] Somalbanca.org
[239] 웹사이트 UK Somali Remittances Survey http://www.diaspora-[...]
[240] 뉴스 Decades of community service recognised with award http://www.threcorde[...] 2007-04-13
[241] 뉴스 The curious tale of the world-beating Somali shilling http://blogs.ft.com/[...] 2014-03-26
[242] 뉴스 Diplomat to start Somalia's first stock market https://www.reuters.[...] 2012-08-08
[243] 웹사이트 Mission & Vision http://www.somenergy[...] Somali Energy Company
[244] 웹사이트 Somalia http://unctad.org/se[...] UNCTAD
[245] 웹사이트 Exploration rights in Somalia for Chinese oil giant CNOOC http://www.oilmarket[...] Oilmarketer.co.uk
[246] 웹사이트 OPEC: World proven crude oil reserves by country, 1960–2011 http://www.opec.org/[...] OPEC 2013-09-03
[247] 뉴스 Soma Oil & Gas May Invest $20 Million to Survey War-Torn Somalia http://www.businessw[...] Bloomberg BusinessWeek 2013-08-08
[248] 뉴스 Big Uranium Find Announced in Somalia https://news.google.[...] 1968-03-16
[249] 간행물 International Uranium Resources Evaluation Project (IUREP) Orientation Phase Mission Report, Somalia https://inis.iaea.or[...]
[250] 뉴스 Long Forgotten Uranium Bonanza Rediscovered, Kilimanjaro Unleashes Somalia Uranium Exploration Initiative http://www.marketwat[...] 2014-04-15
[251] 뉴스 Telecom Firms Thrive in Somalia Despite War, Shattered Economy https://www.wsj.com/[...] 2010-05-11
[252] 서적 After war: the political economy of exporting democracy Stanford University Press
[253] 웹사이트 After 20 years, Somali president inaugurates national TV station https://web.archive.[...] 2011-04-04
[254] 뉴스 Radio and electronic media edge out newspapers in Somalia http://sabahionline.[...] 2012-12-11
[255] 웹사이트 SO Registry http://www.soregistr[...]
[256] 뉴스 International mail services officially resume in Somalia http://news.upu.int/[...] 2013-11-01
[257] 뉴스 Somalia's government launches postal service https://www.bbc.com/[...] 2014-10-13
[258] 뉴스 New tourism ministry under construction in Garowe http://sabahionline.[...] 2012-11-01
[259] 웹사이트 Somali Tourism Association (SOMTA) http://somta.so/ Somali Tourism Association
[260] 뉴스 South West State to renovate Government Hotels to Attract Tourism http://goobjoog.com/[...] 2015-03-25
[261] 웹사이트 Travel.State.Gov CSI https://travelmaps.s[...]
[262] 웹사이트 The First 100 Days in Office https://web.archive.[...] 2009-04-26
[263] 서적 Africa Review 2003: The Economic and Business Report Walden Publishing
[264] 웹사이트 World Airline Directory – Somali Airlines http://www.flightglo[...] Flight International 1995-04-05
[265] 뉴스 Somalia to revive national airline after 21 years http://laanta.net/20[...] Laanta 2012-07-24
[266] 뉴스 The long awaited Somali Airlines is Coming Back! http://www.keydmedia[...] 2013-11-20
[267] 논문 A high resolution spatial population database of Somalia for disease risk mapping
[268] 논문 Understanding the crisis in Somalia
[269] 웹사이트 Somalia – population https://web.archive.[...]
[270] 웹사이트 Population Estimation Survey 2014 for the 18 pre-war regions of Somalia https://somalia.unfp[...]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14-10
[271] 참고문헌
[272] 참고문헌
[273] 웹사이트 Somali Diaspora https://web.archive.[...]
[274] 웹사이트 The Somali Bantu: Their History and Culture – People http://webdev.cal.or[...] Cal.org
[275] 서적 The Colonial Legacy in Somalia
[276] 트윗 Warsaxaafadeed ku saabsan celinta jinsiyaddii labaad ee Madaxweynaha Jamhuuriyadda Federaalka Soomaaliya Mudane @M_Farmaajo.pic.twitter.com/AtMOPKyN3E 2019-08-01
[277] 뉴스 Somalia's president renounces US citizenship https://www.washingt[...] 2019-08-01
[278] 웹사이트 Bantu ethnic identities in Somalia https://web.archive.[...]
[279] 서적 Peoples of the Horn of Africa: Somali, Afar and Saho Red Sea Press
[280] 참고문헌
[281] 서적 Dictionary of languages: the definitive reference to more than 400 languages Columbia University Press
[282] 웹사이트 The Afro-Asiatic Languages: Classification and Reference List http://rogerblench.i[...] 2021-04-25
[283] 서적 Middle East annual review Economist Intelligence Unit (Great Britain)
[284] 논문
[285]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ethnolog[...] 2020-02-02
[286] 서적 A grammatical sketch of Somali Kِppe
[287] 서적 The Somalis: their history and culture 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
[288] 서적 Peoples of Africa Marshall Cavendish
[289] 웹사이트 Mogadishu University – Towards A Better Future https://mu.edu.so/ 2019-08-02
[290] 웹사이트 Puntland State University PSU is an Agent of Change https://psu.edu.so/ 2019-08-02
[291] 웹사이트 Somalia Save the Children https://somalia.save[...] 2019-08-02
[292]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ri.org/r[...] 2019-08-02
[293] 웹사이트 Where We Work Care International https://www.care-int[...] 2019-08-02
[294] 웹사이트 Somalia DRC https://web.archive.[...] 2019-08-02
[295]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296] 웹사이트 Somalia https://reliefweb.in[...] reliefweb
[297]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298]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299]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00]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01]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02]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03]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04]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05]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06]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07]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08]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09]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10]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11]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12]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13]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14]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15]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16]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17]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318] 웹사이트 The Global Religious Landscape http://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13-12-27
[319] 서적 Saints and Somalis: Popular Islam in a Clan-based Society The Red Sea Press 1998
[320] 뉴스 Almost expunged: Somalia's Embattled Christians http://www.economist[...] 2009-10-22
[321] 간행물 Diocese of Mogadiscio 2015-01-23
[322] 서적 The Catholic Encyclopedia: An International Work of Reference on the Constitution, Doctrine, Discipline, and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Robert Appleton Co. 1913
[323] 서적 History of Christian Missions Read Books 2007
[324] 뉴스 Somalia bans Christmas celebrations https://web.archive.[...] 2013-12-25
[325] 웹사이트 Refugees Vol. 3, No. 128, 2002 UNHCR Publication Refugees about the Somali Bantu http://www.unhcr.org[...]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02-09-01
[326] 서적 My country and my people: the collected speeches of Major-General Mohamed Siad Barr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National Guidance 1970
[327] 웹사이트 Better Off Stateless: Somalia Before and After Government Collapse http://www.peterlees[...]
[328] 웹사이트 Entrepreneurship and Statelessness: A Natural Experiment in the Making in Somalia https://www.scribd.c[...] Scribd.com 2008-10-01
[329] 웹사이트 Estimates of Unit Costs for Patient Services for Somalia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12-06
[330] 간행물 Human Development Report 2001-Somalia UNDP 2001
[331] 웹사이트 UNdata – Somalia http://data.un.org/C[...] United Nations 1960-09-20
[332] 간행물 Socio-Economic Survey-Somalia-2004 UNDP and World Bank 2003
[333] 간행물 Socio-Economic Survey-Somalia-1999 UNDP and World Bank 2003
[334] 간행물 Human Development Report 2006 UNDP 2006
[335] 웹사이트 The State Of The World's Midwifery http://www.unfpa.org[...]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336] 웹사이트 Prevalence of FGM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12-09
[337] 논문 Female genital mutilation, fertility control, women's roles, and the patrilineage in modern Sudan: a functional analysis 1975
[338] 서적 Women in Muslim societies: diversity within unity Lynne Rienner Publishers 1998
[339] 서적 Studies in human sexuality: a selected guide Libraries Unlimited 1995
[340] 웹사이트 Female Genital Cutting: Nursing Implications 2014
[341] 뉴스 Somalia: Female genital mutilation down http://www.thejakart[...] 2013-04-16
[342] 웹사이트 Male Circumcision and AIDS: The Macroeconomic Impact of a Health Crisis by Eric Werker, Amrita Ahuja, and Brian Wendell :: NEUDC 2007 Papers :: Northeast Universities Development Consortium Conference http://www.cid.harva[...] Center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at Harvard University
[343] 논문 Religious and cultural traits in HIV/AIDS epidemics in sub-Saharan Africa http://ams.ac.ir/aim[...] 2007
[344] 웹사이트 Mogadishu – HIV in a time of unrest https://www.unaids.o[...]
[345] 웹사이트 The Regional Office And Its Partners – Somalia http://www.emro.who.[...] Emro.who.int
[346] 웹사이트 Ministry of Health – Puntland State of Somalia http://health.puntla[...]
[347] 웹사이트 Somaliland – Government Ministries http://somalilandgov[...] Somalilandgov.com
[348] 웹사이트 Somalia – Education Overview https://web.archive.[...] Wes.org 2004-05-06
[349] 웹사이트 Koranic School Project http://www.pitt.edu/[...]
[350]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Culture and Customs of Africa) http://archive.org/d[...] Greenwood Press 2001
[351] 웹사이트 Report on Somali Diet https://ethnomed.org[...] 2024-04-22
[352] 웹사이트 Exploring the Aromatic World of Traditional Somali Spice Blends https://hooyoshouse.[...] 2024-04-22
[353] 웹사이트 Yemenite Lahoh (Lachoch) https://www.deliciou[...] 2024-04-22
[354]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Culture and Customs of Africa) http://archive.org/d[...] Greenwood Press 2001
[355] 웹사이트 Somali Anjero (Canjeero) Anjero Somali Xawaash.com https://web.archive.[...] 2024-04-22
[356] 학술지 Role of Camels ( Camelus Dromedarius ) in the Traditional Lifestyle of Somali Pastoralists in Northern Kenya http://journals.sage[...]
[357] 웹사이트 Somali Rice Pilaf (Bariis Maraq) Riz Pilaf Somali البيلاف الصومالي https://web.archive.[...] 2024-04-22
[358] 웹사이트 How Lasagna Landed in Africa https://www.saveur.c[...]
[359] 뉴스 Spaghetti and Bananas Is Somali Comfort Food https://www.vice.com[...]
[360] 웹사이트 The History of Coffee https://www.cafedire[...]
[361] 서적 Aden Under British Rule, 1839–1967 https://books.google[...] Hurst 1975
[362] 웹사이트 Qahwe https://www.mysomali[...]
[363] 웹사이트 Halwa, Mahyawa and Multiple Registers of Life in the Gulf https://archive-stor[...]
[364]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Culture and Customs of Africa) Greenwood Press 2012
[365]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Culture and Customs of Africa) 2001
[366] 서적 First Footsteps in East Africa Dover Publications 1986
[367] 웹사이트 1981 African Championship for Men https://archive.fiba[...] FIBA 2013-12-15
[368] 뉴스 Somalia moves forward at world Taekwondo https://web.archive.[...] 2013-10-19
[369] 뉴스 Great Victory for Malta in K1 Kickboxing http://www.independe[...] 2013-10-18
[370] 서적 Man, God and Civilization Citadel Press 1972
[371]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Culture and Customs of Africa) 2001
[372]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a.gov/[...] ザ・ワールド・ファクトブック 2022-08-13
[373]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중앙정보국 2019-11-10
[374] 웹사이트 The Federal Republic of Somalia/Draft Constitution https://www.constitu[...] 2019-11-10
[375] 참고자료 吉田(2012)
[376] 참고자료 吉田(2012)
[377] 뉴스 ソマリア大統領にモハムド氏選出、21年ぶりの安定政府樹立へ https://www.cnn.co.j[...] CNN 2012-09-11
[378] 웹사이트 IMF Recognizes the Federal Government of Somalia After 22-year Interval http://www.imf.org/e[...] IMF 2013-04-29
[379] 뉴스 ソマリア大統領に元首相 「過激派との闘いの始まり」 http://www.asahi.com[...] 2017-02-11
[380] 웹사이트 エチオピアとエリトリアが平和協定締結、国境も再開 https://www.jetro.go[...] ジェトロ 2020-11-27
[381] 웹사이트 トランプ氏、ソマリア駐留の米軍撤収指示 近隣国に移動 https://www.asahi.co[...] 朝日新聞DIGITAL 2020-12-04
[382] 웹사이트 ソマリア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022-09-04
[383] 뉴스 ソマリア首相辞任、暫定大統領と対立 http://www.worldtime[...] The Sekai Nippo
[384] 뉴스 ソマリア首相が辞任 数カ月前から大統領と対立 http://www.sankei.jp[...] MNS:産経ニュース
[385] 뉴스 世界汚職国家ランキング、北朝鮮とソマリアが今年も最悪 https://www.cnn.co.j[...] CNN.co.jp
[386] 웹사이트 Federal Member States (FMS) http://mop.gov.so/in[...] 計画・投資・経済開発省 2021-06-14
[387] 웹사이트 GLOBAL NOTE https://www.globalno[...]
[388] 뉴스 Somali PM suspends foreign minister for abuse of power http://english.news.[...] 新華社 2022-05-24
[389] 웹사이트 The List: The World’s Worst Currencies http://www.foreignpo[...] Foreign Policy 2007-06-19
[390] 웹사이트 A Bullion Coin from Germany: The Somalia Elephant https://cosmosofcoll[...] Cosmos Of Collectibles 2023-12-28
[391] 웹사이트 Internet Usage Statistics for Africa http://www.internetw[...] Internetworldstats.com 2008-12-31
[392] 웹사이트 外務省 ソマリア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393] 웹사이트 在留外国人統計(旧登録外国人統計)統計表 https://www.moj.go.j[...]
[394]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9-05-14
[395] 간행물 An Urban Development Programme for the European Commission in Somalia http://www.delken.ec[...]
[396] 웹사이트 EC and UNICEF join hands to support education in Somalia http://www.reliefweb[...]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 2005-01-31
[397] 웹사이트 Puntland (Somalia) to introduce free primary schools http://www.afrol.com[...] Afrol News 2006-04-06
[398] 웹사이트 https://www.cia.gov/[...] 2009-11-14
[399] 웹사이트 Religious and cultural traits in HIV/AIDS epidemics in sub-Saharan Africa http://ams.ac.ir/aim[...]
[400] 뉴스 ソマリアから撤退する理由 http://www.huffingto[...] ハフィントン・ポスト 2013-09-06
[401] 간행물 A Guide to Name and Naming Practices https://www.fbiic.go[...] 2006-03-01
[402] 웹사이트 www.inv.co.jp http://www.inv.co.jp[...]
[403] 서적 アフリカ文学 黒人作家を中心として 明石書店 2002-12
[404] 웹사이트 外務省 海外安全ホームページ https://www.anzen.mo[...] 2024-10-11
[405] 웹사이트 ソマリアのトラベルアドバイザー https://www.smartrav[...] オーストラリア政府 2024-10-11
[406] 웹사이트 ソマリアの危険度 https://travel.state[...] アメリカ政府 2024-10-11
[407] 웹인용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pril 2024 Edition. (Somalia)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4-04-26
[408] 웹인용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s://hdr.undp.org[...] 유엔 개발 계획 2024-03-13
[409] 웹사이트 http://www.anc.org.z[...]
[410] 서적 Superpower diplomacy in the Horn of Africa
[411] 웹사이트 Somalia economy stronger than others in Africa, UN-backed meeting says http://www.un.org/ap[...]
[412] 서적 Phoenicia
[413] 서적 The Aromatherapy Book
[414] 서적 Egypt: 3000 Years of Civilization Brought to Life
[415] 서적 Ancient perspectives on Egypt University College, London
[416] 서적 Africa's legacies of urbanization: unfolding saga of a continent
[417] 서적 Civilizations: Culture, Ambi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Nature
[418] 서적 Man, God and Civilization
[419] 서적 Oman in history
[420] 서적 Society, security, sovereignty and the state in Somalia
[421] 서적 East Africa: Its Peoples and Resources
[422] 서적 Shaping of Somali society
[423] 서적 Futuh Al Habash
[424] 서적 Sudan Notes and Records
[425] 웹인용 약황 https://overseas.mof[...] 2016-01-15
[426] 뉴스 [단독] 목숨 같은 北난수책 분실···태영호가 전한 '모가디슈' 진짜 결말 https://www.joongang[...] 2021-08-09
[427] 간행물 Global Hunger Index-기아가 없는 세상 http://www.concern.o[...]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독일의 NGO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그리고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 2017-1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