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남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남면은 1906년 경주군 내남면으로 칭해진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95년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이 되었다. 현재 13개의 법정리와 30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남초등학교와 삼성생활예술고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반구대로, 박달로 등 여러 도로가 지나며, 경주 남산이 주요 명소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주시의 행정 구역 - 건천읍
경주시 건천읍은 11개 법정리로 이루어진 읍으로, 경부고속선과 동해선이 지나고 주요 도로와 나들목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며, 고분군과 단석산 등 문화재와 관광 명소가 있다. - 경주시의 행정 구역 - 감포읍
경주시 동해안에 있는 감포읍은 9개의 법정리를 관할하며 동해안로 등의 주요 도로와 해수욕장, 학교 등의 교육기관과 명소가 위치해 있다. - 경상북도의 읍·면 - 풍기읍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풍기읍은 고려 문종의 태를 묻은 것에서 유래한 풍기군의 중심지로, 풍기인삼과 온천, 희방사 등의 명소, 그리고 다양한 교육 및 교통 시설을 갖춘 읍이다. - 경상북도의 읍·면 - 내서면
상주시 내서면은 경상북도 상주시에 위치한 면으로, 과거 상주군 서쪽 지역의 18개 법정리에서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9개 법정리로 구성되었으며, 곶감 생산지로 유명하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내남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면 |
이름 | 내남면 |
한글 표기 | 내남면 |
한자 표기 | 內南面 |
로마자 표기 | Naenam-myeo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Naenam-myŏn |
행정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경주시 |
행정 구역 | 34개 행정리 (13개 법정리), 114개 반 |
소속 자치단체 | 경주시 |
관할 기관 | 경주시 |
지리 정보 | |
면적 | 122.05 km² |
인구 정보 | |
총 인구 | 6142 명 |
인구 조사 시점 | 2006년 |
인구 밀도 | 50 명/km² |
기타 정보 | |
방언 | 경상 방언 |
교육 기관 | http://www.gyeongju.go.kr/program/publicsil/condition/lstDetailCondition.asp?Con01Code=36&Kwa01Code=b_naenam&T=%B1%B3%C0%B0%B1%E2%B0%FC&N=T |
2. 역사
1906년 경주군 '''내남면'''으로 칭해졌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박달리 일부(상목골)가 산내면 내일리에 편입되었다. 당시 내남면은 배리, 율동리, 탑리, 노곡리, 덕천리, 망성리, 명계리, 박달리, 부지리, 비지리, 상신리, 안심리, 용장리, 월산리, 이조리, 화곡리를 관할했다. 1955년 경상북도 월성군 내남면으로 변경되었으며, 탑리가 경주시로 이관되었다. 1975년 율동리와 배리가 경주시로 이관되었다. 1989년 경상북도 경주군 내남면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1995년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2. 1. 행정 구역 변천
1906년 경주군 '''내남면'''으로 칭해졌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박달리 일부(상목골)가 산내면 내일리에 편입되었다. 당시 내남면은 배리, 율동리, 탑리, 노곡리, 덕천리, 망성리, 명계리, 박달리, 부지리, 비지리, 상신리, 안심리, 용장리, 월산리, 이조리, 화곡리를 관할했다. 1955년 경상북도 월성군 내남면으로 변경되었으며, 탑리가 경주시로 이관되었다. 1975년 율동리와 배리가 경주시로 이관되었다. 1989년 경상북도 경주군 내남면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1995년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2. 2. 1914년 이후 행정 구역 변화 (표)
3. 행정 구역
내남면은 13개의 법정리와 30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법정리 | 한자명 | 행정리 | 비고 |
---|---|---|---|
노곡리 | 蘆谷里 | 노곡1리, 노곡2리 | |
덕천리 | 德泉里 | 덕천1리, 덕천2리, 덕천3리 | |
망성리 | 望星里 | 망성1리, 망성2리 | |
명계리 | 椧溪里 | 명계1리, 명계2리, 명계3리 | |
박달리 | 朴達里 | 박달1리, 박달2리, 박달3리, 박달4리 | |
부지리 | 鳧池里 | 부지1리, 부지2리 | |
비지리 | 飛只里 | 비지1리, 비지2리 | |
상신리 | 上辛里 | 상신1리, 상신2리, 상신3리 | |
안심리 | 安心里 | 안심1리, 안심2리 | |
용장리 | 茸長里 | 용장1리, 용장2리, 용장3리, 용장4리 | |
월산리 | 月山里 | 월산1리, 월산2리 | |
이조리 | 伊助里 | 이조1리, 이조2리, 이조3리 | 내남면행정복지센터 소재지 |
화곡리 | 花谷里 | 화곡1리, 화곡2리 |
3. 1. 법정리 및 행정리 목록 (표)
wikitable법정리 | 한자명 | 행정리 | 비고 |
---|---|---|---|
노곡리 | 蘆谷里 | 노곡1리, 노곡2리 | |
덕천리 | 德泉里 | 덕천1리, 덕천2리, 덕천3리 | |
망성리 | 望星里 | 망성1리, 망성2리 | |
명계리 | 椧溪里 | 명계1리, 명계2리, 명계3리 | |
박달리 | 朴達里 | 박달1리, 박달2리, 박달3리, 박달4리 | |
부지리 | 鳧池里 | 부지1리, 부지2리 | |
비지리 | 飛只里 | 비지1리, 비지2리 | |
상신리 | 上辛里 | 상신1리, 상신2리, 상신3리 | |
안심리 | 安心里 | 안심1리, 안심2리 | |
용장리 | 茸長里 | 용장1리, 용장2리, 용장3리, 용장4리 | |
월산리 | 月山里 | 월산1리, 월산2리 | |
이조리 | 伊助里 | 이조1리, 이조2리, 이조3리 | 내남면행정복지센터 소재지 |
화곡리 | 花谷里 | 화곡1리, 화곡2리 |
4. 교육
내남초등학교가 부지리에 있다.
삼성생활예술고등학교가 있다.
내남초등학교 명계분교와 광석분교는 폐교되었다. 명계분교는 내남면 내외로 1042 (명계리)에, 광석분교는 내남면 덕천리 957-2에 있었다. 경주초등학교 학동분교는 내남면 반동길 44 (비지리)에서 폐교되었다. 내남중학교는 내남면 이조중앙길 27 (이조리)에서 폐교되었다. 이들 폐교는 지역 사회의 문화 공간이나 체험 시설 등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4. 1. 현존 학교
내남초등학교가 부지리에 있다.삼성생활예술고등학교가 있다.
4. 2. 폐교
내남초등학교는 부지리에 있었으며, 명계분교와 광석분교는 폐교되었다. 명계분교는 내남면 내외로 1042 (명계리)에, 광석분교는 내남면 덕천리 957-2에 있었다. 경주초등학교 학동분교는 내남면 반동길 44 (비지리)에서 폐교되었다. 내남중학교는 내남면 이조중앙길 27 (이조리)에서 폐교되었다.5. 교통
반구대로 (국도 제35호선), 박달로, 경덕로, 내남로, 내외로 (지방도 제904호선), 포석로, 화계로는 내남면을 지나는 주요 도로이다. 이 외에도 가메둘길, 고사리길, 광석길, 구일길, 귀계길, 남성길, 노곡1길, 노곡2길, 도진길, 뒷비파길, 등알길, 망성1길, 망성2길, 망성원길, 명계바탕골길, 명계1길, 명계2길, 명계3길, 미역골길, 박달괘밭길, 반동길, 백양길, 백운대길, 백운대안길, 상목길, 상신양지길, 상신평리길, 석갓길, 석화길, 수통골길, 신을길, 안심길, 앞비파길, 양삼길, 어련길, 이조중앙길, 용산강변길, 용장1길, 용장2길, 용장3길, 용장4길, 월산길, 이조1길, 이조2길, 이조3길, 재궁길, 재량길, 전포1길, 전포2길, 점말길, 천면1길, 천면2길, 청두마을길, 청학길, 틈수골길, 학동1길, 학동2길, 하성천길, 현동길, 화곡송림길 등의 시내 도로가 내남면 내 각 지역을 연결한다.
5. 1. 간선 도로 (표)
wikitable구분 | 도로 이름 |
---|---|
로 | 반구대로 (국도 제35호선), 박달로, 경덕로, 내남로, 내외로 (지방도 제904호선), 포석로, 화계로 |
길 | 가메둘길, 고사리길, 광석길, 구일길, 귀계길, 남성길, 노곡1길, 노곡2길, 도진길, 뒷비파길, 등알길, 망성1길, 망성2길, 망성원길, 명계바탕골길, 명계1길, 명계2길, 명계3길, 미역골길, 박달괘밭길, 반동길, 백양길, 백운대길, 백운대안길, 상목길, 상신양지길, 상신평리길, 석갓길, 석화길, 수통골길, 신을길, 안심길, 앞비파길, 양삼길, 어련길, 이조중앙길, 용산강변길, 용장1길, 용장2길, 용장3길, 용장4길, 월산길, 이조1길, 이조2길, 이조3길, 재궁길, 재량길, 전포1길, 전포2길, 점말길, 천면1길, 천면2길, 청두마을길, 청학길, 틈수골길, 학동1길, 학동2길, 하성천길, 현동길, 화곡송림길 |
6. 명소·문화재
경주 남산은 내남면의 주요 명소 중 하나이다.
6. 1. 주요 명소 및 문화재 목록 (미완성)
경주 남산은 내남면의 주요 명소 중 하나이다.참조
[1]
웹사이트
내남면 Yangbuk-myeon 內南面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8-17
[2]
웹사이트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2009-08-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