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의 총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덜란드의 총리는 네덜란드 정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1983년 헌법 개정을 통해 공식화되었다. 총리는 각료회의 의장직을 수행하며, 국왕의 칙령에 의해 임명된다. 총리는 정부 정책에 대해 국왕과 매주 회의를 갖고, 각료회의를 주재하며, 총무부 장관을 겸임한다. 네덜란드의 선거 제도는 연립 정부 구성을 일반화하며, 총리는 하원에서 가장 큰 정당의 대표가 맡는 것이 관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총리 목록 - 바하마의 총리
바하마의 총리는 바하마의 정부 수반으로서 하원 다수 의원의 지지를 받는 의원을 총독이 임명하며, 총리실 등의 부처를 관할하고 1955년 수석 장관 직책에서 시작하여 1973년 독립 이후 현재의 총리직으로 이어져 왔으며 현 총리는 2021년 9월 17일에 취임한 필립 데이비스이다. - 총리 목록 - 중화인민공화국의 국무원 총리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총리는 정부의 최고 행정 책임자로서, 국가 경제 및 사회 개발 계획과 예산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전국인민대표대회에 책임을 지는 직책으로, 중국 공산당 지도부 내에서 선출된다. - 네덜란드의 총리 - 마르크 뤼터
마르크 뤼터는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하고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무총장으로 재직하며, 자유민주국민당 대표를 지냈고, 긴축 재정 정책을 추진하다 2023년 사임했다. - 네덜란드의 총리 - 빔 코크
빔 코크는 네덜란드의 노동 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하며 워크셰어링 정책을 추진하고 동성 결혼과 안락사 합법화 등의 사회 개혁을 이루었으나, 인도네시아 관련 사과 시도 실패 후 조기 사임했다.
네덜란드의 총리 | |
---|---|
기본 정보 | |
직책 | 네덜란드 총리 |
원어 명칭 | Minister-president van Nederland |
국가 | 네덜란드 |
![]() | |
현직 | 딕 스호프 |
현직 시작일 | 2024년 7월 2일 |
유형 | 정부 수반 (사실상) |
소속 부서 | 총무부 |
구성원 | 각료회의 유럽 이사회 |
관저 | 카츠하위스, 헤이그 |
집무실 | 토렌체, 헤이그 |
임명권자 | 네덜란드 국왕 |
임기 | 4년, 연임 가능 |
첫 총리 | 헤릿 스힘멜페닌크 |
형성 | 1848년 3월 25일 |
부총리 | 부총리 |
급여 | €189,210 (2024년) |
웹사이트 | 총무부 |
2. 역사
1845년부터 총리직은 정부 지도자의 공식적인 기능이 되었으며, 이는 가장 큰 정당의 정치 지도자가 맡게 되었다. 바렌트 비스헤우벨 (1971–1974)은 내각에서 가장 큰 정당의 정치 지도자가 아닌 마지막 총리였으며 (실제로 그의 당은 세 번째로 컸다), 딕 스호프 (2024-현재)는 우익 연립을 이끌도록 선택된 무소속 정치인이다.[6]
유럽 이사회의 창설로 총리직의 지위는 강화되었다.[6] 2006년 11월, 각료 이사회 규칙이 변경되어 총리는 어떤 안건이라도 이사회 의제로 올릴 수 있게 되었고, 더 이상 장관이 주도하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어졌다.[7] 2008년 7월에는 내각 절차 규칙이 변경되면서 총리는 여러 부처에서 로열 하우스의 비용을 관리할 수 있게 되었고, 여러 부처에서 부담하는 로열 하우스 비용을 한 부처에서 관리하도록 했다.[8]
2. 1. 각료회의 의장 (1815년~1945년)
1845년에 네덜란드 헌법이 개정되어 장관은 국회에 책임을 지게 되었고, 내각의 수장 역할을 하던 국왕에게는 책임을 지지 않게 되었다.[6] 1901년까지는 각료 평의회 의장직이 공식적으로 장관들 사이에서 순환되었다. 1901년부터 1945년까지는 직책이 형식적으로는 여전히 순환되었지만, 유력한 정치인들은 4년의 순환 기간을 주장할 수 있었다.1937년에는 별도의 일반 업무부가 설치되었으며, 이는 비공식적으로 총리와 연결되었다.
이름 | 재임 기간 | 파벌·정당 | |
---|---|---|---|
![]() | 게리트 스히멜페닝크영어 | 1848년 3월 25일 - 5월 17일 | 자유주의 |
![]() | 야코프 데 켐페나르영어 | 1848년 11월 21일 - 1849년 11월 1일 | 자유주의 |
![]() | 요한 루돌프 토르베케 | 1849년 11월 1일 - 1853년 4월 19일 | 자유주의 |
![]() | 플로리스 아드리안 판 할영어 | 1853년 4월 19일 - 1856년 7월 1일 | 자유주의 |
![]() | 유스티누스 판 데르 브뤼헨영어 | 1856년 7월 1일 - 1858년 3월 18일 | 반혁명당 |
![]() | 얀 야코프 로흐센영어 | 1858년 3월 18일 - 1860년 2월 23일 | 보수주의 |
플로리스 아드리안 판 할영어 | 1860년 2월 23일 - 1861년 3월 14일 | 자유주의 | |
![]() | 야코프 판 자위렌 판 니에펠트영어 | 1861년 3월 14일 - 11월 10일 | 자유주의 |
![]() | 셸토 판 헤엠스트라영어 | 1861년 11월 10일 - 1862년 2월 1일 | 자유주의 |
-- | 요한 루돌프 토르베케 | 1862년 2월 1일 - 1866년 2월 10일 | 자유주의 |
![]() | 이사크 디그누스 프란센 판 데 퓌테영어 | 1866년 2월 10일 - 6월 1일 | 자유주의 |
![]() | 율리우스 판 자위렌 판 니에펠트영어 | 1866년 6월 1일 - 1868년 6월 4일 | 보수주의 |
![]() | 피터 필립 판 보세영어 | 1868년 6월 4일 - 1871년 1월 4일 | 자유주의 |
-- | 요한 루돌프 토르베케 | 1871년 1월 4일 - 1872년 6월 4일 | 자유주의 |
![]() | 게리트 데 프리영어 | 1872년 6월 4일 - 1874년 8월 27일 | 자유주의 |
![]() | 얀 헤엠스케르크영어 | 1874년 8월 27일 - 1877년 11월 3일 | 보수주의 |
![]() | 얀 카페이네 판 데 코펠로영어 | 1877년 11월 3일 - 1879년 8월 20일 | 자유주의 |
![]() | 테오 판 린던 판 산덴부르크영어 | 1879년 8월 20일 - 1883년 4월 23일 | 반혁명당 |
얀 헤엠스케르크영어 | 1883년 4월 23일 - 1888년 4월 20일 | 보수주의 | |
-- | 아이네아스 매케이영어 | 1888년 4월 20일 - 1891년 8월 21일 | 반혁명당 |
![]() | 하이스베르트 티엔호벤영어 | 1891년 8월 21일 - 1894년 5월 9일 | 자유주의 |
![]() | 조안 로엘영어 | 1894년 5월 9일 - 1897년 7월 27일 | 자유주의 |
![]() | 니콜라스 피어슨영어 | 1897년 7월 27일 - 1901년 8월 1일 | 자유연합 |
![]() | 아브라함 카이퍼 | 1901년 8월 1일 - 1905년 8월 17일 | 반혁명당 |
![]() | 테오 데 메스터영어 | 1905년 8월 17일 - 1908년 2월 12일 | 자유연합 |
![]() | 테오 헤엠스케르크영어 | 1908년 2월 12일 - 1913년 8월 29일 | 반혁명당 |
![]() | 피터 코르트 판 데르 린던영어 | 1913년 8월 29일 - 1918년 9월 9일 | 자유주의 |
![]() | 찰스 루이스 데 베렌브루크영어 | 1918년 9월 9일 - 1925년 8월 4일 | 로마 가톨릭 국민당 |
![]() | 헨드리쿠스 콜레인영어 | 1925년 8월 4일 - 1926년 3월 8일 | 반혁명당 |
![]() | 디르크 얀 데 헤르 | 1926년 3월 8일 - 1929년 8월 10일 | 기독교 역사 연합 |
찰스 루이스 데 베렌브루크영어 | 1929년 8월 10일 - 1933년 5월 26일 | 로마 가톨릭 국민당 | |
-- | 헨드리쿠스 콜레인영어 | 1933년 5월 26일 - 1939년 8월 10일 | 반혁명당 |
-- | 디르크 얀 데 헤르 | 1939년 8월 10일 - 1940년 9월 3일 | 기독교 역사 연합 |
![]() | 피터 슈어드 게르브란디 | 1940년 9월 3일 - 1945년 6월 24일 | 반혁명당 |
2. 2. 네덜란드 총리 (1945년 이후)
노동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