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66년은 병인년으로, 각국의 연호와 기년이 사용된 해이다. 일본에서는 경응 1년 11월 15일부터 경응 2년 11월 25일까지였으며, 조선은 고종 3년, 단기 4199년에 해당했다. 류큐 왕국은 청나라의 동치 연호를 사용했다. 주요 사건으로는 일본의 사쓰마-조슈 동맹, 병인양요,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대서양 횡단 전신 케이블 완성 등이 있었다. 이 해에는 피스크 대학교 설립, 다이너마이트 발명, H. G. 웰스의 탄생 등 다양한 문화, 과학, 기술 분야의 사건도 일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6년 -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은 1866년 프로이센 왕국과 오스트리아 제국을 중심으로 독일 연방 내 국가들이 참여한 전쟁으로, 프로이센의 주도권 확보와 오스트리아의 영향력 약화를 목표로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와 비스마르크의 책략이 원인이 되었으며, 프로이센은 승리를 통해 북독일 연방을 결성하고 오스트리아는 영향력을 상실했다.
| 1866년 | |
|---|---|
| 지도 | |
| 19세기 연도별 주제 | |
| 인문학 | 애니메이션 고고학 건축 미술 문학 시 음악 |
| 국가별 | 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브라질 불가리아 캐나다 중국 덴마크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멕시코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필리핀 포르투갈 러시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페인 스웨덴 영국 미국 베네수엘라 |
| 기타 주제 | 철도 운송 과학 스포츠 |
| 지도자 목록 | 주권 국가 주권 국가 지도자 영토 총독 종교 지도자 법 |
| 출생 및 사망 | 출생 사망 |
| 설립 및 해체 | 설립 해체 |
| 작품 | 작품 |
| 달력 | |
| 그레고리력 | 1866 |
| 로마 건국 기원 | 2619 |
| 아르메니아력 | 1315 |
| 중국력 | 4562 ~ 4563 |
| 에티오피아력 | 1858 ~ 1859 |
| 히브리력 | 5626 ~ 5627 |
| 힌두력 | 비크라마력: 1922 ~ 1923 샤카력: 1788 ~ 1789 칼리 유가: 4967 ~ 4968 |
| 이란력 | 1244 ~ 1245 |
| 이슬람력 | 1282 ~ 1283 |
| 불교력 | 2409 ~ 2410 |
| 기년법 | |
| 대한제국 | 고종 3년 |
| 청나라 | 동치 5년 |
| 일본 | 게이오 2년 |
2. 연호 및 기년
청는 동치 5년, 일본은 게이오(慶應일본어) 2년, 응우옌 왕조는 뜨득(嗣德) 19년, 류큐는 쇼타이왕(尚泰王일본어) 19년, 조선은 고종 3년, 간지는 병인년이었다.
일본력으로는 경응 원년 11월 15일부터 경응 2년 11월 25일까지이며, 황기 2526년이다. 청은 동치 4년 11월 15일부터 동치 5년 11월 25일까지이다. 조선은 단기 4199년, 베트남(응우옌 왕조)은 자덕 19년이다.
불멸기원은 2408년에서 2409년, 이슬람력은 1282년 8월 13일에서 1283년 8월 23일, 유대력은 5626년 4월 14일에서 5627년 4월 23일까지이다. 수정율리우스일(MJD)은 2602일에서 2966일, 릴리우스일(LD)은 103443일에서 103807일까지이다.
황기는 태양력 채용과 함께 1873년에 시행되었다. 단기는 대한민국에서 1948년 9월 25일에 법적 근거를 부여받았으나, 1961년 연호 폐지 법령 제정에 따라 1962년 1월 1일부터 공식적인 자리에서의 사용이 금지되었다.
2. 1. 아시아
2. 2. 류큐 왕국
류큐 왕국은 쇼타이왕 19년(쇼타이왕 재위 기간: 1848년 ~ 1879년)이었다. 당시 류큐 왕국은 일본 사쓰마 번의 지배를 받는 동시에 청나라와도 조공 관계를 유지하는 이중적인 외교 관계를 맺고 있었다.
1866년의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3. 사건


3. 1. 국내 사건
8월 21일(음력 7월 12일) - 평양에서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 호가 불타는 사건이 발생하였다.[1]
독일과 미국 배가 조선에 들어와 통상을 요구하였다.
병인박해가 발생하였다.
3월 8일 - 병인양요: 조선에서 프랑스인 선교사 등 가톨릭 신자들의 학살이 시작됨
10월 14일 - 병인양요: 프랑스가 병인박해에 대한 보복으로 조선을 공격하여 강화도를 점령하였다.
10월 26일 - 병인양요 발생.
3. 2. 국제 사건
3. 3. 기타 사건
4. 탄생
- 1월 5일 - 라몬 카사스, 스페인 화가. (1932년 사망)
- 1월 8일 - 해리스 라이언, 미국 전자공학 연구자. (1934년 사망)
- 1월 10일 - 헤르마누스 요하네스 로빙크, 네덜란드 농업인이자 정치인. (1938년 사망)[6]
- 1월 13일
- * 게오르기 쥐르지예프, 러시아 영적 스승. (1949년 사망)
- * 바실리 칼리니코프, 러시아 작곡가. (1901년 사망)
- 1월 14일 - 얀 포스카, 에스토니아 정치인. (1920년 사망)
- 1월 15일
- * 나탄 쇠데르블롬, 스웨덴 대주교, 노벨 평화상 수상자. (1931년 사망)
- * 호레이쇼 드레서, 미국 뉴사상 종교 지도자이자 작가. (1954년 사망)
- 1월 16일 – 퍼시 필처, 영국 발명가이자 비행 선구자. (1899년 사망)
- 1월 17일 - 마쓰가타 고지로, 일본 실업가. (1950년 사망)
- 1월 19일 – 해리 데이븐포트, 미국 배우. (1949년 사망)
- 1월 23일 - 카와시마 나미하야, 일본 대륙낭인. (1949년 사망)
- 1월 29일
- * 로맹 롤랑, 프랑스 작가, 노벨 문학상 수상자. (1944년 사망)
- * 프랭크 투더, 오스트레일리아 정치인. (1922년 사망)

- 2월 1일 – 아그다 메이어손, 스웨덴 간호사이자 의료 전문직 활동가. (1924년 사망)
- 2월 2일 – 엔리케 시모네트, 스페인 화가. (1927년 사망)
- 2월 9일 – 조지 에이드, 미국 작가, 신문 칼럼니스트이자 극작가. (1944년 사망)
- 2월 16일
- * 요한 슈트라우스 3세, 오스트리아 음악가. (1939년 사망)
- * 빌리 해밀턴, 미국 메이저리거. (1940년 사망)
- * 사이토 슈사부로, 일본 영어학자. (1929년 사망)
- 2월 18일
- * 얀코 부코티치, 몬테네그로 장군. (1927년 사망)
- * 나카가와 코쥬로, 일본 귀족원 의원, 릿쿄 대학 창설자. (1944년 사망)
- 2월 25일 - 베네데토 크로체, 이탈리아 철학자. (1952년 사망)
- 2월 26일
- * 허버트 허버트 다우, 캐나다 화학 공업가. (1930년 사망)
- * 가와구치 케이카이, 일본 불교학자·탐험가. (1945년 사망)
- 3월 5일 – 아서 레오폴드 부시, 영국계 미국인 잠수함 개척자. (1956년 사망)
- 3월 7일 – 한스 프루흐슈토퍼, 독일 나비 연구가. (1922년 사망)
- 3월 13일 – 프리드리히 보에디커, 독일 제독. (1944년 사망)
- 3월 15일 – 매슈 찰턴, 오스트레일리아 정치인. (1948년 사망)

- 3월 17일 - 노구치 유코, 일본 유아교육자·사회사업가. (1950년 사망)
- 3월 19일 – 에밀리오 데 보노, 이탈리아 장군이자 파시스트 활동가. (1944년 사망)
- 3월 21일 - 제임스 하보드, 미국 장군. (1947년 사망)
- 4월 3일 – J. B. M. 헤르초그, 보어 장군이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세 번째 총리. (1942년 사망)
- 4월 8일 – 알프레드 앨런, 미국 배우. (1947년 사망)
- 4월 10일 - 테라사키 히로나리, 일본화가. (1919년 사망)
- 4월 13일 – 버치 캐시디, 미국 무법자. (1908년 사망)


- 4월 17일 – 어니스트 스타링, 영국 생리학자. (1927년 사망)
- 4월 18일 – 야마야 타닌, 일본 해군 제독. (1940년 사망)
- 4월 21일 – 호세파 톨레도 데 아게리, 니카라과의 선구적인 교육자. (1962년 사망)
- 4월 22일 – 한스 폰 제크트, 독일 장군. (1936년 사망)
- 4월 24일 – 이시이 기쿠지로, 일본 외교관. (1945년 사망)
- 5월 10일 – 리처드 H. 잭슨, 미국 해군 4성 장군. (1971년 사망)
- 5월 12일 - 구스타프 아돌프 폰 괴체, 독일 탐험가. (1910년 사망)
- 5월 13일 - 오타카르 노바체크, 체코 바이올리니스트·작곡가. (1900년 사망)
- 5월 22일 - 찰스 F. 해넬, 미국의 뉴사상 작가이자 사업가. (1949년 사망)
- 6월 4일 – 미이나 실란패, 핀란드 정치인. (1952년 사망)
- 6월 26일
- * 조지 허버트 카나번 5세, 영국 이집트 발굴 재정가. (1923년 사망)
- * 요제프 스위카드, 독일 배우. (1940년 사망)
- 6월 29일 - 타카쿠스 준지로, 일본 불교학자. (1945년 사망)
- 7월 1일 - 찰스 다벤포트, 미국 생물학자. (1944년 사망)
- 7월 6일 – 샤를 망쟁, 프랑스 장군. (1925년 사망)
- 7월 9일 – 맥클린 아버클, 미국 배우. (1931년 사망)
- 7월 13일 – 라 굴뤼, 프랑스 무용수. (1929년 사망)

- 7월 20일 - 니노미야 추하치, 일본 항공기 기술자. (1936년 사망)
- 7월 21일 - 맷 킬로이, 미국 메이저리거. (1940년 사망)
- 7월 25일 – 프레더릭 블랙먼, 영국 식물생리학자. (1947년 사망)
- 7월 27일 – 안토니우 조제 드 알메이다, 포르투갈 제6대 대통령 겸 제64대 총리. (1929년 사망)
- 7월 28일 – 비아트릭스 포터, 영국 아동 문학가 (''피터 래빗''과 ''제미마 퍼들덕'' 저자). (1943년 사망)
- 8월 2일 – 아드리앵 드 제를라슈, 벨기에 해군 장교이자 탐험가. (1934년 사망)
- 8월 4일 – 게오르게 머르더레스쿠, 루마니아 장군이자 정치인. (1938년 사망)
- 8월 6일 – 치프 썬더버드, 미국 원주민 배우. (1946년 사망)
- 8월 8일 - 매슈 헨슨, 미국의 흑인 북극 탐험가. (1955년 사망)
- 8월 9일 - 쿠로다 세이키, 일본 화가. (1924년 사망)
- 8월 12일 – 하신토 베나벤테, 스페인 작가, 노벨 문학상 수상자. (1954년 사망)
- 8월 13일 - 조반니 아녤리, 이탈리아의 자동차 회사 피아트의 창업자. (1945년 사망)
- 8월 14일 – 드미트리 메레즈코프스키, 러시아 소설가, 시인, 종교 사상가. (1941년 사망)
- 8월 19일 - 나카무라 후세키, 일본 서양화가·서예가. (1943년 사망)
- 9월 1일
- * 제임스 J. 코벳, 미국 권투 선수. (1933년 사망)[7]
- * 토머스 F. 우드록, ''월스트리트 저널'' 편집자 겸 주간통상위원회 위원. (1945년 사망)
- 9월 3일 - 호오 마고로, 일본 대일본 상공합명회사의 원로력사·대관. (1907년 사망)
- 9월 7일 – 트리스탕 베르나르, 프랑스 작가. (1947년 사망)
- 9월 9일 - 로저 프라이, 영국 화가·예술 비평가. (1934년 사망)
- 9월 10일 – 예페 아케르, 덴마크 시인이자 소설가. (1930년 사망)
- 9월 16일 – 조 빌라, 미국 스포츠 기자. (1934년 사망)
- 9월 21일 - 샤를 니콜, 프랑스 세균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1936년 사망)
- 9월 22일 – 윗머 스톤, 미국 조류학자이자 식물학자. (1939년 사망)
- 9월 25일 - 토머스 헌트 모건, 미국 유전학자,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1945년 사망)

- 9월 27일 – 에우로시아 파브리스, 이탈리아 가톨릭 복자. (1932년 사망)
- 10월 6일
- * 레지널드 페센던, 캐나다 발명가. (1932년 사망)
- * 니나 방, 덴마크 정치인. (1928년 사망)
- 10월 12일 – 램지 맥도널드, 스코틀랜드 출신 영국 총리. (1937년 사망)

- 10월 20일 - 구스타프 카셀, 스웨덴의 경제학자. (1945년 사망)
- 10월 29일
- * 안토니오 루나, 필리핀 장군. (1899년 사망)
- * 드미트리 파르스키, 러시아 장군. (1921년 사망)
- 11월 3일 – 파울 린케, 독일 작곡가. (1946년 사망)
- 11월 11일
- * 마사 애니 화이트리, 잉글랜드 화학자이자 수학자. (1956년 사망)
- * 후지이 켄지로, 일본 식물학자·유전학자. (1952년 사망)
- 11월 16일 – 코르넬리아 소랍지, 인도 출신 변호사. (1954년 사망)
- 11월 20일 - 케네소 마운틴 랜디스, 미국 MLB 커미셔너. (1944년 사망)
- 11월 21일 - 고니시키 야소키치 (초대), 일본 대일본 상공합명회사 제17대 요코즈나. (1914년 사망)
- 11월 26일 - 휴 더피, 미국 메이저리거. (1954년 사망)
- 11월 28일
- * 시 샌본, 미국 스포츠 기자. (1934년 사망)
- * 데이비드 워필드, 미국 무대 배우. (1951년 사망)
- 11월 30일
- * 로버트 브룸, 스코틀랜드 고생물학자. (1951년 사망)
- * 안드레이 랴프체프, 불가리아 제22대 총리. (1933년 사망)
- 12월 2일 – 콘스탄틴 크리스테스쿠, 루마니아 장군. (1923년 사망)
- 12월 11일 – 아다 베이커, 오스트레일리아 소프라노, 성악 교사, 보드빌 스타. (1949년 사망)
- 12월 12일 – 알프레트 베르너, 독일 화학자, 노벨 화학상 수상자. (1919년 사망)
- 12월 17일 – 카지스 그리니우스, 리투아니아 제5대 총리. (1950년 사망)
- 12월 29일 – 마리 케이힐, 미국 가수이자 배우. (1933년 사망)
- 윌리엄 M. 달톤, 미국의 구 서부 시대 무법자. (1894년 사망)
4. 1. 정치 및 사회 운동
4. 2. 예술 및 문화
- 4월 1일 - 페루초 부소니, 이탈리아의 작곡가. (~1924년)
- 5월 17일 - 에릭 사티, 프랑스의 작곡가. (~1925년)
- 9월 21일 - 허버트 조지 웰스, 영국의 소설가. (~1946년)
- 12월 16일 - 바실리 칸딘스키, 러시아의 화가. (~1944년)


4. 3. 과학 및 기술
구스타프 카셀sv은 스웨덴의 경제학자로, 구매력 평가설을 주장했다.[6] 앤 설리번은 미국의 교육가로, 헬렌 켈러의 가정교사로 잘 알려져 있다.[6] 허버트 조지 웰스는 영국의 소설가로, 타임머신, 우주 전쟁 등의 과학 소설을 집필하여 'SF의 아버지'로 불린다.[6]5. 사망
1866년에 사망한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날짜 | 인물 | 설명 |
|---|---|---|
| 1월 16일 | 피니어스 퀸비 | 미국 의사 |
| 1월 19일 | 해리엇 러들로 클라크 | 영국 화가 |
| 1월 23일 | 토머스 러브 피콕 | 영국 풍자 작가 |
| 1월 31일 | 프리드리히 뤼케르트 | 독일 시인, 번역가, 동양어 교수 |
| 2월 25일 | 사라 앤 길 | 바베이도스의 국민 영웅 |
| 3월 4일 | 알렉산더 캠벨 | 아일랜드/미국 그리스도의 제자들 창립자 |
| 3월 6일 | 윌리엄 휘웰 | 영국 과학자, 철학자, 과학사가 |
| 3월 7일 | 남종삼 | 조선의 가톨릭 순교자 |
| 3월 7일 | 피에르앙리 도리 | 조선의 가톨릭 순교자, 프랑스인 신부 |
| 3월 7일 |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 조선의 가톨릭 순교자, 프랑스인 신부 |
| 3월 7일 |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 | 조선의 가톨릭 순교자, 프랑스인 신부 |
| 3월 7일 |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 조선의 가톨릭 순교자, 프랑스인 신부 |
| 3월 20일 | 리카르드 노르드라크 | 노르웨이 작곡가 |
| 3월 21일 | 나데즈다 두로바 | 러시아 최초의 여성 군 장교 |
| 3월 24일 | 마리아 아말리아 | 프랑스 왕비[8] |
| 3월 28일 | 솔로몬 풋 | 미국 정치인 |
| 3월 29일 | 존 키블 | 영국 성직자 |
| 3월 30일 |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 프랑스인 가톨릭 신부, 조선의 가톨릭 순교자 |
| 4월 1일 | 엘리자베스 제서 리드 | 영국 사회 개혁가, 베드퍼드 칼리지 창립자 |
| 4월 4일 | 윌리엄 딕 | 에든버러 수의과 대학 창립자 |
| 4월 5일 | 토머스 호지킨 | 영국 의사 |
| 4월 7일 | 요한 세들라체크 | 독일 플루트 연주자 |
| 4월 12일 | 피터 헤스케스-플릿우드 | 영국 국회의원이자 개발업자 |
| 5월 13일 | 니콜라이 브라슈만 | 체코 출신 러시아 수학자 |
| 5월 18일 | 손자선 | 조선의 가톨릭 순교자 |
| 5월 29일 | 윈필드 스콧 | 미국 장군이자 대통령 후보 |
| 6월 17일 | 루이스 캐스 | 미국 군인, 정치인, 국무장관 |
| 7월 20일 | 베른하르트 리만 | 독일의 수학자 |
| 7월 25일 | 플로리드 캘훈 | 미국의 세컨드 레이디 |
| 7월 29일 | 뉘블레 클리코 퐁사르댕 | 프랑스 샴페인 생산자 |
| 8월 1일 | 존 로스 | 체로키 국가의 장기 집권 추장 |
| 8월 6일 | 크리스티안 에릭 팔크란츠 | 스웨덴 작가 |
| 8월 20일 | 마리아 데 마티아스 | 이탈리아 가톨릭 성인 |
| 8월 29일 | 도쿠가와 이에모치 | 일본 에도 막부의 14대 쇼군 |
| 9월 4일 | 테레사 풀스키 | 유럽 작가 |
| 9월 30일 | 페르 구스타프 스빈후프우드 아프 콰르스타드 | 스웨덴-핀란드 출신 타바스티아 주 재무관[9] |
| 10월 13일 | 셀라돈 리즈 다볼 | 미국 상인이자 발명가 |
| 10월 18일 | 마누엘 불네스 | 칠레 장군이자 정치인, 칠레 대통령 |
| 11월 11일 | 아구스틴 헤로니모 데 이투르비데 이 우아르테 | 멕시코 제국 황태자 |
| 11월 14일 | 미구엘 1세 | 포르투갈 국왕 |
| 11월 26일 | 장 자크 빌마르 | 룩셈부르크 정치인 |
| 12월 1일 | 조지 에베레스트 | 웨일스 지오데시스트 |
| 12월 13일 | 손선지 | 조선의 가톨릭 순교자 |
| 12월 21일 | 윌리엄 J. 페터먼 | 미국 육군 장교[10] |
| 12월 21일 | 메르세데스 마린 델 솔라르 | 칠레 시인이자 교육 개혁가 |
| 불명 | 뒤부아 아제 | 서호주 초기 정착민 |
병인박해로 인한 종교인들의 순교, 그리고 정치, 군사, 학문,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인물들이 이 해에 사망했다.
5. 1. 종교 및 순교
1866년 3월 7일에는 병인박해로 인해 남종삼, 피에르앙리 도리,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등 프랑스인 신부들과 조선인 가톨릭 신자들이 순교하였다.[8] 3월 30일에는 프랑스인 가톨릭 신부이자 조선의 가톨릭 순교자인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가 순교하였다.[8] 5월 18일에는 조선의 가톨릭 순교자 손자선이 순교하였고,[8] 12월 13일에는 조선의 가톨릭 순교자 손선지가 순교하였다.[8]5. 2. 정치 및 군사
- 8월 29일 - 도쿠가와 이에모치, 일본 에도 막부의 14대 쇼군. (1846년~)
- 5월 29일 - 윈필드 스콧, 미국 장군이자 대통령 후보. (1786년~)
- 6월 17일 - 루이스 캐스, 미국 군인, 정치인, 국무장관. (1782년~)
5. 3. 학문 및 예술

6. 달력
186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6. 1. 음양력 대조 일람
양력 월일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