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선 해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이선 해치는 미국의 역사학자이자 교육자이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컬럼비아에서 태어나 휘튼 대학교를 최우등으로 졸업하고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와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를 했으며, 노트르담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부총장, 교무처장을 역임했다. 2005년부터 2021년 은퇴 시점까지 웨이크 포레스트 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미국 종교사 연구의 영향력 있는 학자 중 한 명으로, 저서 『미국 기독교의 민주화』는 여러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터데임 대학교 교수 - 마크 놀
마크 놀은 미국의 역사학자이자 기독교 사상가로, 휘튼 칼리지와 노터데임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복음주의 운동 내 반지성주의를 비판하며 복음주의 신념과 태도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하여 2006년 국립 인문학 메달을 수여받았다. - 노터데임 대학교 교수 - 스탠리 하우어워스
스탠리 하우어워스는 서사 신학과 탈자유주의 신학에 기반하여 신학적, 철학적 관점을 제시하며 교회 공동체의 중요성, 기독교 평화주의 옹호, 신학과 윤리의 통합을 주장하는 미국의 신학자이자 윤리학자이다. -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동문 - J. C. R. 리클라이더
J. C. R. 리클라이더는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로, 심리음향학을 연구하고 인간-컴퓨터 공생 개념을 제시했으며, ARPANET 개발에 기여했다. -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동문 - 진념
진념은 대한민국의 경제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경제기획원 등에서 주요 보직과 다섯 차례의 장관직을 역임하며 한국 경제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고 경제부총리, 장관 등을 지냈으며 경기도지사 선거에 낙선 후 학계와 재계에서 활동하고 있다. - 21세기 역사가 - 아키라 이리에
아키라 이리에는 미국에서 태어난 일본계 미국인 역사학자로, 외교사에 문화적 관점을 통합하여 국제 관계 연구를 확장하고 미국과 동아시아 관계, 냉전 시대 아시아 등에 대한 연구로 학계에 기여했으며, '역사의 국제화'를 주장하며 국제사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21세기 역사가 - 세일라 벤하비브
세일라 벤하비브는 튀르키예 출신의 정치철학자이며, 문화의 순수성을 부정하고 다원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양립을 주장하며, 저서로 『타자의 권리』 등이 있고 북미철학회상 등을 수상했다.
| 네이선 해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네이선 오어 해치 |
| 원어 이름 | Nathan Orr Hatch |
| 직업 | 대학 행정가, 저술가 |
| 직책 | |
| 직함 | 웨이크 포레스트 대학교 총장 |
| 임기 시작 | 2005년 10월 20일 |
| 임기 종료 | 2021년 6월 30일 |
| 이전 | 토마스 K. 헌 주니어 |
| 이후 | 수전 웬트 |
| 개인 정보 | |
| 출생 | 컬럼비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미국 |
| 학력 | 휘튼 칼리지 (BA)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MA, PhD) |
| 웹사이트 | |
| 공식 웹사이트 | president.wfu.edu/bio/ |
2. 생애와 교육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컬럼비아에서 태어나고 자란 네이선 해치는 일리노이주에 있는 휘튼 대학교를 ''최우수''로 졸업했으며(1968년)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2][3] 그는 하버드와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 펠로우십을 역임했으며, NEH, 미국 학술 단체 협의회, 미국 골동품 협회로부터 연구 보조금을 받았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컬럼비아에서 태어나고 자란 네이선 해치는 일리노이주에 있는 휘튼 대학교를 ''최우수''로 졸업했으며(1968년),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2][3] 그는 하버드와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 펠로우십을 역임했으며, NEH, 미국 학술 단체 협의회, 미국 골동품 협회로부터 연구 보조금을 받았다.3. 학문 및 교육 경력
해치는 1976년부터 노트르담 대학교에서 가르쳤다. 1983년부터 1988년까지 이 대학의 가장 큰 단과대학인 문리대학의 부학장을, 1988년부터 1989년까지 학장 대행을 역임했다. 그 기간 동안 인문 사회 과학 분야 교수진에 대한 외부 자금 지원을 6배 증가시키고, 1985년부터 1991년까지 노트르담 교수진이 21개의 국립 인문학 기금 펠로우십을 획득하도록 지원한 인문 사회 과학 연구소(ISLA)를 설립하여 이끌었다. 1999년에는 노트르담에서 앤드류 V. 태키스 역사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1989년 노트르담 대학원 연구 부총장으로 임명되었고, 1996년에는 1970년 이 직위가 창설된 이후 세 번째로 대학의 교무처장이 되었다. 교무처장으로서 노트르담의 두 번째로 높은 학술 담당자였으며, 총장의 지휘 하에 학술 활동 전반에 대한 책임을 수행했다. 2005년까지 이 직책을 맡았으며, 이후 웨이크 포레스트 대학교 총장이 되었다.[4][5] 2021년에 웨이크 포레스트 대학교에서 은퇴했다.[2][6]
3. 1. 연구 업적 및 영향력
해치는 미국 종교사 연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학자 중 한 명으로 꾸준히 언급된다.[1] 1989년 예일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된 그의 저서 《미국 기독교의 민주화》는 알버트 아울러 에큐메니컬 교회 역사상(1989년), 존 호프 프랭클린 상(1990년, 미국학 분야 최우수 도서)을 포함하여 3개의 상을 받았다.[1] 브라운 대학교의 고든 S. 우드 교수는 이 책을 "초기 공화국 시대의 종교에 관한 최고의 책"이라고 불렀으며, 2,000명의 역사학자 및 사회학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미국 종교 연구에 가장 중요한 두 권의 책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해치는 예일 대학교 출판부에서 《자유의 성스러운 대의: 혁명적 뉴잉글랜드의 공화주의 사상과 천년왕국》을 출판했으며, 1983년에는 역사학자 조지 마스덴, 마크 놀과 함께 《기독교 미국의 탐구》(크로스웨이 북스)를 공동 저술했다.[1]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와 함께 《미국의 성경》(마크 놀과 공동 편집, 1981년), 《조나단 에드워즈와 미국 경험》(해리 스타우트와 공동 편집, 1989년) 두 권의 책을 공동 편집했다.[1] 2001년에는 존 위거와 함께 《감리교와 미국 문화 형성》(애빙던 프레스)을 공동 편집했으며, 노트르담 대학교 출판부와 함께 《미국 역사 속의 전문직》(1988년)을 편집했다.[1] 1982년 마크 놀과 함께 학부 모교인 휘튼 칼리지에 미국 복음주의 연구소(ISAE)를 공동 설립했다.[1] 1990년 퓨 자선 신탁으로부터 자금을 확보하여 노트르담 대학교에 복음주의 장학금 계획을 설립, 광범위한 학문 분야에서 복음주의 고위 학자, 안식년 기금, 복음주의 대학원생을 위한 장학금을 제공했다.[1] 1993년 미국 교회 역사 학회 회장을 역임했다.[1]
3. 2. 복음주의 연구 지원
해치는 1982년 마크 놀과 함께 학부 모교인 휘튼 칼리지에 미국 복음주의 연구소(ISAE)를 공동 설립했다.[1] 1990년에는 퓨 자선 신탁으로부터 자금을 확보하여 노트르담 대학교에 복음주의 장학금 계획을 설립했다.[1] 이 계획은 광범위한 학문 분야에서 복음주의 고위 학자, 안식년 기금, 복음주의 대학원생을 위한 장학금을 제공했다.[1]4. 저서
- ''자유의 성스러운 대의: 혁명적인 뉴잉글랜드의 공화주의 사상과 천년왕국'' (예일 대학교 출판부, 1977)[1]
- ''미국의 복음: 미국의 복음주의 이야기의 주제'' (1979)[1]
- ''미국의 성경: 문화사 에세이'' (1982)[1]
- 마크 놀과 조지 마스덴 공저, ''기독교 미국을 찾아서'' (크로스웨이 북스, 1983)[1]
- ''미국사 속의 직업'' (1988)[1]
- ''조나단 에드워즈와 미국의 경험'' (1988)[1]
- ''미국 기독교의 민주화'' (예일 대학교 출판부, 1989) - 1989년 알버트 아울러 에큐메니컬 교회 역사상, 1990년 미국학 분야 최우수 도서로 존 호프 프랭클린 상 수상.[1]
- 존 위거와 공편, ''미국 문화 형성에 미친 감리교의 영향'' (애빙던 프레스, 2001)[1]
- ''변혁적 리더의 선물'' (2024)[1]
5. 개인사
해치는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고 있다.[2] 웨이크 포레스트 대학교 재학 시절, 학생들은 그를 종종 "내티 오(Natty O)"라고 불렀다.[7] 해치의 미들 네임은 "오어(Orr)"이다.
참조
[1]
웹사이트
Notre Dame Provost Nathan O. Hatch named 13th President of Wake Forest University
http://www.wfu.edu/w[...]
2005-01-21
[2]
웹사이트
About Dr. Hatch
https://hatch.presid[...]
Wake Forest University
2024-09-11
[3]
웹사이트
About Dr. Nathan O. Hatch '68
https://alumni.wheat[...]
Wheaton College Alumni Association
2024-09-11
[4]
뉴스
Notre Dame Provost Picked to Be Wake Forest President ; Board of Trustees Approves Appointment of Hatch to Replace Retiring Hearn
https://www.proquest[...]
2024-10-23
[5]
뉴스
New Leader at Wake Forest
https://www.proquest[...]
2024-10-23
[6]
웹사이트
Wake Forest University President Nathan O. Hatch To Step Down
https://www.wfdd.org[...]
2024-09-11
[7]
웹사이트
Blogging your way to court {{!}} Old Gold & Black
http://oldgoldandbla[...]
2016-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